KR20140129833A -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833A
KR20140129833A KR20130048647A KR20130048647A KR20140129833A KR 20140129833 A KR20140129833 A KR 20140129833A KR 20130048647 A KR20130048647 A KR 20130048647A KR 20130048647 A KR20130048647 A KR 20130048647A KR 20140129833 A KR20140129833 A KR 2014012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al
category
content
vocabula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5400B1 (en
Inventor
이상주
성용현
한성욱
김현정
최민영
Original Assignee
(주)다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음소프트 filed Critical (주)다음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04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40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 sensitiv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is performed in a sensitivity keyword classification server. The sensitiv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comprises a step for classifying a sensitivity keyword which represents the emotion and the opinion of a content user with regard to content, by a mood category comprising a mood state before the user uses the content, a situation category comprising a situation of enabling the user to use the content, a feeling category comprising the emotion and the opinion after the user uses the content, and a style category comprising the property of the content defined by a content manufacturer or one or more users; a step for selecting one or more sensitivity keywords included in the mood category, the situation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and a step for determining a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sensitivity keywor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classify the sensitivity keyword for the content by the mood category, the situation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xpress various emotions.

Description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executable emotional 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a computer-

본 발명은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을 다양하게 표현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검퓨터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lassifying emotional vocabularies and a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lassifying emotional vocabulary that can express various kinds of emotions of a user and accurately measure contents, .

감성이란 사용자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는 감각이나 지각으로 인해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감성 상태를 의미하며, 감성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는 정보통신 기기가 사람의 감성을 인지하고, 인지한 감성 정보를 처리해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해당한다.Emotion refers to the complex emotional state that occurs in the human body due to the sense or perception that responds to external physical stimuli obtained through the user's experience. Emotional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And technology that processes necessary emoti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necessary products and services.

한국공개특허 10-1102823호(2011.12.29.)는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그 사용자가 음악을 듣고 싶어하는지 아닌지를 추론한 후에, 만일 음악을 듣고 싶어한다면 그 사용자의 무드를 추론하고, 추론된 무드에 적합한 음악을 추천함으로써 추천의 효과성을 높인 음악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102823 (Dec. 29, 2011) grasps the situation of a user and deduces whether or not the user wants to listen to music. If the user wants to listen to music, he infer the mood of the user, And recommending music suitable for the mood, thereby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mmendation.

한국공개특허 10-2008-0002187호(2008.01.04.)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오류를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감성, 선호 내용, 성격, 취향 등에 보다 근접한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개인 감성 및 상황 변화에 따른 맞춤형 감성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02187 (Apr. 14, 2008) provides a preference for a user-preferred content based on a content selected by a user, thereby reducing an error of providing a content that the user does not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emotional service system and a personalized emotional service system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ersonal emotions and circumstances, which have an effect of enabling users to enjoy services more similar to their emotions, preferences, personalities and tastes.

다만, 이러한 선행 기술들과 종래 기술들은 7 내지 12개의 제한된 감성 어휘를 사용함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감성 표현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의 감성 상태만을 기술하고 콘텐츠에 대한 느낌 표현을 배제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se prior arts and conventional technologies use 7 to 12 limited emotional vocabular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press diverse and complex emotions. In addition, the related arts have a problem in that only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is described and the expression of the feeling of the contents is excluded and the user-customized service can not be provided properly.

한국공개특허 10-11028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02823 한국공개특허 10-2008-00021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02187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한 다양하고 복잡한 감성 표현이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capable of expressing various complex expressions of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 검색 텍스트에서 사용자의 감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lassifying emotional vocabulary that can more accurately measure a user's emotions in a content retrieval text.

본 발명은 사용자 감성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for recommending user-customized contents based on user's emotions.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은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수행된다.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은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computer-executable emotional word classification method is performed in a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The computer-executabl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is classified into a Sensitiv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about the content,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emotion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 and attributes of the content defined by the content creator or at least one or more users (e.g.,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property (Property);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context category, feel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determining the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관련 구문에서 추출된 감성 어휘 그룹을 대표하는 중분류 범주 어휘 각각을 해당 범주의 제1 서브 감성 어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제1 서브 감성 어휘들 중 하나의 제1 서브 감성 어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서브 감성 어휘와 연관되고 상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is extracted from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related phrases collected through social mining Providing each of the middle class category vocabularies representing the emotional vocabulary group as a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And providing the emotional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and collected through the social mining to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ies if a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of one of the provided first sub- . ≪ / RTI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 각각에 대한 감성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들을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user emotions for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one or more emotional vocabulary comprises: determining emotional values for each of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And generating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indicating user emo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al valu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소셜 웹 마이닝을 통해 감성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를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determining an emotion value through social web mining for at least one content that includes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And generating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representing a user emotion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 value and linking the content to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를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감성 어휘 벡터와 상기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콘텐츠 각각의 감성 어휘 벡터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linking the content to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comprises 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generated emotional vocabulary vector and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of each of the content i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emo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in the mapping database.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은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성 텍스트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감성 관련 어휘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computer-executabl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includes: extracting emotion related vocabulary from emotional text received from a content user;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 situation category including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content category in which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Matching with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later emotions and opinions and a property of a content creator or content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users step; And determining the user emotion based on the match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어휘를 상기 각각의 범위에 포함된 감성 어휘들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성어휘 온톨로지(Ontology)를 이용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matching the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extracted vocabulary is identical to emotional vocabularies included in the respective ranges; And if they are not the same, judging similarity using an emotion lexical ontology (Ontology).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실행 장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감성 어휘 제시부;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감성 어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사용자 감성 결정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sensibil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on the content,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emotion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s, and a property category of contents defined by the content creator or at least one or more users,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category (Property); An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situation category, feeling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a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 wor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감성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 각각에 대한 감성 수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들을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 emotion value for each of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ies, and generates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representing the emo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 valu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실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소셜 웹 마이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 상기 컴퓨터 실행 장치는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성 텍스트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는 감성 어휘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감성 관련 어휘를 상기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감성 어휘 매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implemented device comprises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comprising the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selected via social web mining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includes an emotional vocabulary extractor for extracting emotional-related vocabulary from emotional text received from a content user; And an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extracted emotion related vocabulary with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실시예들 중에서,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기능;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기능;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Among the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mputer program executed in the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is recorded may be configured to record the sensibil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s and opinions of the content user on the content, the mood state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 Mood Category, a Situation Category that includes a situation where a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Feeling Category that includes feeling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 and a content creator or at least one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property of a content defined by the user;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context category, feel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determining a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본 발명의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콘텐츠에 대한 느낌 어휘와 스타일 어휘 및 사용자의 기분 어휘와 상황 어휘를 제공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감성 표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and related techniqu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and complex emotional expressions by providing a feeling vocabulary and a style vocabulary for a content and a user's mood vocabulary and a context vocabulary.

본 발명의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콘텐츠 검색 텍스트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고, 감성 어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and related 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emotion related vocabulary from the content search text and determine the emotional vocabulary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emo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콘텐츠에 대한 감성 평가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고, 감성 어휘를 결정하여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related 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emotion related vocabulary from the emotional evaluation of the contents and recommend user customized contents by determining the emotional vocabulary.

도 1은 감성 어휘 분류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수행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ontology)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기분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상황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c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느낌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d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스타일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서 대표 감성 어휘와 감성 어휘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서 감성 어휘와 감성 관련 어휘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감성 어휘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예시도이다.
도 7b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감성 어휘를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of FIG.
3 is a flowchart of a sensory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od categories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FIG. 5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tegory of the sensible lexical category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among the major categories.
FIG. 5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eling category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FIG. 5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yle category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group in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6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 related vocabulary group in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FIG. 7A is an exemplary Web service providing emotional vocabulary in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7B is an exemplary mobile service providing emotional vocabulary in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of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서버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서버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 server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server,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감성 어휘 분류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otional word classification system 100. A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감성 어휘 분류 시스템(100)은 컴퓨터 실행 장치(110), 콘텐츠 제공 서버(120) 및 메타데이터(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컴퓨터 실행 장치(110)와 메타데이터(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2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an emotional word classif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computer execution unit 110, a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and metadata 130. Here, the computer execution unit 110 and the metadata 130 are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via a network.

컴퓨터 실행 장치(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검색하고, 콘텐츠를 다운로딩받거나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Server),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The computer execution device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er executing device that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to search for a content, download the content, or receive a content streaming service. For example, ), A desktop, a laptop, a smartphone, 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컴퓨터 실행 장치(110)는 사용자 및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로부터 감성 관련 어휘들을 추출하여 감성 어휘를 선택하고, 감성 어휘에 따라 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다.The computer execution unit 110 may extract emotion-related vocabularies from the metadata of the user and the contents to select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classify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emotional vocabulary.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컴퓨터 실행 장치(110)로부터 콘텐츠 검색을 위해 입력된 텍스트를 수신하고, 콘텐츠 검색 텍스트를 기초로 사용자의 감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컴퓨터 실행 장치(110)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된 감성 어휘 분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배포, 가상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may receive the text input for retrieving the content from the computer execution device 110 and may measure the emo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retrieval text.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may provide the computer executing apparatus 110 with an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program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provision may include distribution of a computer program, and execution of a computer program in a virtual or cloud computing environment.

메타데이터(130)는 감성 콘텐츠와 관련하여 감성 관련 어휘가 포함된 데이터에 해당한다. 감성 관련 어휘는 사용자의 감성 또는 의견을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한다.
The metadata 130 corresponds to the data including the emotion-related vocabulary in relation to the emotional contents. Emotion related vocabularies correspond to vocabulary expressing emotions or opinions of users.

도 2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11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uter execution device 110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 실행 장치(110)는 감성 어휘 제시부(210), 감성 어휘 선택부(220),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 송수신부(240), 감성 어휘 추출부(250),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260), 감성 어휘 매칭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2, the computer execution apparatus 110 includes an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an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unit 220, a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a transceiver unit 240, an emotional vocabulary extraction unit 250,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260, an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and a control unit 280. [

감성 어휘 제시부(210)는 감성 어휘(Sensitibity Keyword)를 기분 범주(Mood Category), 상황(Situation) 범주, 느낌(Feeling) 범주 및 스타일(style) 범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이하 감성 어휘 및 각 범주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classifies the sensibility keyword into categories such as a mood category, a situation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Hereafter,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each category will be explained in detail.

감성 어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감성 어휘는 메타데이터(130)로부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The 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s to a vocabulary expressing the feelings and opinions of the content users on the content. Here, the emotional vocabulary can be collected from the metadata 130 through social mining and can be periodically updated.

도 5a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기분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od categories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도 5a를 참조하면, 기분 범주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 즉,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에 적절한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감성 어휘들을 포함하는 범주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분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는 사용자에게 외부 자극 없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mood category corresponds to a category including mood states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that is, emotional vocabularies indicating mood states suitable for the user to experience the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may correspond to a vocabulary representing a mental state that continuously appears to the user without external stimulation.

도 5b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상황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ategory of the sensible lexical category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among the major categories.

도 5b를 참조하면, 상황 범주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 즉,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시간(Time), 장소(Place) 및 경우(Occasion) 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범주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황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는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위의 상태에 해당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자극을 주는 자극의 총체 또는 환경적 조건을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category of the situation may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that is, an emotion indicating a time, a place and an occasion in which the user is judged suitable for experiencing the content It corresponds to the category including the vocabulary. More specifically, an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a situation may correspond to a surrounding condition that affects a user, or a vocabulary representing a total or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timulus that stimulates a user.

도 5c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느낌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eeling category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도 5c를 참조하면, 느낌 범주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에 느낀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들을 포함하는 범주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느낌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는 사용자의 경험에서 비롯되는 콘텐츠에 대한 순간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할 수 있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feeling category corresponds to a category including emotional voices expressing emotions and opinions that the user felt after experiencing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emotional category may correspond to a vocabulary representing a momentary response to the content derived from the user's experience, and may correspond to a user's opinion on the content.

도 5d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의 감성 어휘 분류에 대한 대분류 범주 중에서 스타일 범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yle category among the major categorie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of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도 5d를 참조하면, 스타일 범주는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들을 포함하는 범주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는 유사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의 일반적 형식을 나타내는 어휘에 해당할 수 있고, 명시적이지는 않으나 암시적으로 인식 가능한 콘텐츠 간의 차이, 형식 또는 이들을 조합한 어휘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D, the style category corresponds to a category including emotional vocabularies representing a property of content defined by a content creator or at least one or more users. More specifically, an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a style category may correspond to a vocabulary representing a general form of content containing a similar feature, and may be a vocabulary that is not explicitly, but implicitly recognizable, .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감성 어휘 분류를 위한 대분류 범주 각각은 하나 이상의 중분류 범주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A to 5D, each of the major category categories for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includes one or more sub category categories.

예를 들어, 기분 범주는 중분류 범주로 [우울할 때], [나른할 때], [즐거울 때], [활기찰 때]를 포함한다.For example, mood categories include sub-categories [when depressed], [when they are laughing], [when they are laughing], [when they are alive].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중분류 범주 각각은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관련 구문에서 추출된 감성 어휘들 중에서 해당 중분류 범주와 연관성이 높은 감성 어휘들을 포함한다.5A to 5D, each of the secondary classification categories includes emotional vocabularies that are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condary classification category among the sensory vocabularies extracted from the mood category, the condition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related phrases collected through social mining do.

예를 들어, 기분 범주의 중분류 범주인 [우울할 때] 범주는 해당 범주와 연관성이 높은 [우울할 때], [슬플 때], [짜증날 때], [화날 때], [외로울 때] 등과 같은 감성 어휘들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category [category of mood] of the mood category [when depressed] is classified into emotional vocabulary such as [when depressed], [when sad], [when annoyed], [when anger], [when lonely] .

도 6a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서 대표 감성 어휘와 감성 어휘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group in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도 6a를 참조하면, 대표 감성 어휘 각각은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감성 어휘들로 구성된 감성 어휘 그룹을 대표한다. Referring to FIG. 6A, each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represents an emotional vocabulary group composed of one or more emotional voc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여기에서, 대표 감성 어휘들은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관련 구문에서 추출된 감성 어휘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감성 어휘들의 수량이 특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된 감성 어휘들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고, 제2 서브 감성 어휘는 클러스터링을 통해 생성된 감성 어휘 그룹들을 각각 대표하는 감성 어휘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ies may correspond to emotional vocabularies extracted from the emotion related phrases collected through social mining from the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extracted emotional vocabularies exceeds a certain criterion, the extracted emotional vocabularies can be clustered, and the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y can correspon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representing each of the emotional vocabulary groups generated through clustering have.

예를 들어, 기분 범주의 중분류 범주인 [우울할 때]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인 [외로울 때]의 경우에는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로울 때], [고독할 때], [쓸쓸할 때], [허전할 때], [적적할 때] 등과 같은 감성 어휘들로 구성된 감성 어휘 그룹을 대표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emotional vocabulary] [loneliness],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category of mood], which is a category of mood categories, the words of the same or similar meaning [lonely], [when solitude], [when lonely] , 'Emotional vocabulary', 'emotional vocabulary', and 'emotional vocabulary'.

또 다른 예를 들어, [중독적인], [매력적인], [빠지는], [러블리한], [사랑스러운], [아름다운] 등과 같은 30개의 감성 어휘가 도출된 경우, 클러스터링을 통해 [중독적인], [매력적인], [빠지는]을 포함하는 감성 어휘 그룹과 기타 [사랑스러운], [러블리한]을 포함하는 그룹들을 생성할 수 있고, 이 그룹들을 각각 대표하는 [중독적인], [사랑스러운]을 대표 감성 어휘로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하면서도 복잡하지 않은 감성 어휘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f 30 emotional vocabularies such as [addictive], [attractive], [falling], [lovely], [lovely], [beautiful] You can create groups of emotional vocabulary including [Attractive] and [Disappearing] and others including [Lovely] and [Lovely], and you can create [addictive], [lovely] As a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emotional vocabularies that are diverse and uncomplicated.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감성 어휘는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감성 어휘 집합 내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많은 어휘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서브 감성 어휘는 소셜 마이닝에 의하여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클러스터링하여 분류된 감성 어휘 집합 내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많은 감성 어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마이닝에 의하여 수집된 감성 어휘들의 수가 일정 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제2 서브 감성 어휘도 앞서 설명한 방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may correspond to the vocabulary having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in the classified emotional vocabulary set by clustering the emotional vocabularies collected through social mining. In other words, the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motional vocabularies collected by the social mining are clustered to correspond to the emotional vocabulary having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in the classified emotional vocabulary set. Also, when the number of emotional voices collected by social mining exceeds a certain range, the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y may be determin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개성있는], [러블리한], [밝은], [상쾌한]과 같은 감성 어휘가 수집되고, 출현된 빈도가 각각 100회, 50회, 200회, 150회에 해당하는 경우,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밝은]이 제1 서브 감성 어휘로 선택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emotional vocabulary such as [unique], [lovely], [bright], and [refreshing] are collected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100, 50, 200, And the [brightest] with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can be selected as the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도 6b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서 감성 어휘와 감성 관련 어휘 그룹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 related vocabulary group in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도 6b를 참조하면, 감성 어휘 각각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감성을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감성 관련 어휘들로 구성된 감성 관련 어휘 그룹을 대표한다. 여기에서, 감성 관련 어휘는 콘텐츠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관련 구문에서 감성을 표현하는 단어, 구 또는 절 등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6B, each emotional vocabulary represents a sensitivity related vocabulary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emotional related vocabulary expressing the same or similar emotions. Here, emotion-related vocabularies correspond to words, phrases, or phrases expressing emotion in emotion related phrases collected through social mining from metadata associated with contents.

예를 들어, 기분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인 [외로울 때]의 경우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감성을 표현하는 [외로울 때], [외로움 탈 때], [외로움 느낄 때], [외롭다고 생각될 때] 등과 같은 단순한 감성 관련 어휘 뿐만 아니라 [외로울 때 듣기 좋은], [외로울 때 들을 만한], [외로울 때 듣는] 등과 같은 확장된 감성 관련 어휘들로 구성된 감성 관련 어휘 그룹을 대표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lonely when], expressions of the same or similar emotions such as [lonely time], [loneliness ride], [loneliness], [when lonely] It can be defined as representing emotional lexical group consisting of extended emotion related vocabulary such as [good to hear when lonely], [lonely when to listen], [to listen when lonely] as well as simple emotional related vocabulary.

또 다른 예를 들어, [중독적인 노래], [들을수록 중독되는 노래], [중독성이 강한 음악] 등과 같은 구문에서 느낌과 관련된 [중독적인], [중독되는], [중독성이 강한]과 같은 감성 관련 어휘들이 추출될 수 있고, 상기의 감성 관련 어휘들을 의미적 동일성, 유사성 및 대표성을 고려하여 [중독적인]이라는 감성 어휘를 도출해 낼 수 있다.Another example is the use of phrases such as [addictive], [addicted], [addictive], etc. in phrases such as [addictive song], [addicted song], [addictive music] Emotion related vocabularies can be extracted, and emotional vocabularies such as [addictive] can b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semantic identity, similarity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above emotional related vocabularies.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제시부(210)는 대분류 범주인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대분류 범주들 중에서 하나의 대분류 범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대분류 범주에 속하는 중분류 범주 어휘들을 제1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제1 서브 감성 어휘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서브 감성 어휘와 연관되고 상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provides a mood category, a mood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which are the major category categories, and, when one of the major classification categories is selected from the provided major classification categories, Category vocabularies as first sub-emotional vocabularies, and when one of the provid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ies is selected, the emotional vocabulary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and collected through the social mining, Vocabulary can be provided.

도 7a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감성 어휘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예시도이다. FIG. 7A is an exemplary Web service providing emotional vocabulary in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7a를 참조하면, 감성 어휘 제시부(210)는 [느낌], [기분], [상황], [스타일]이라는 대분류 범주를 제공하고, 이 중 [느낌] 범주가 선택되면, [전체], [밝은], [역동적인], [차분한] 및 [어두운]과 같은 중분류 범주들을 제1 서브 감성 어휘로 제공하고, 이 중 [밝은]과 같은 제1 서브 감성 어휘가 선택되면, [신나는], [즐거운] 등과 같은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중분류 범주 [전체]는 해당 대분류 범주에 속하는 모든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the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provides a general category category of [feel], [mood], [context], and [style], and when the [feel] category is selected, If the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such as [bright] is selected, the [exciting], [sub-emotional], and [ Pleasant] can be provided as the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ies. Here, the subdivision category [all] can be defined as including all emotion vocabulari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major category.

도 7b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에서 감성 어휘를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예시도이다. FIG. 7B is an exemplary mobile service providing emotional vocabulary in the computer-implemented apparatus of FIG.

도 7b를 참조하면, 감성 어휘 제시부(210)는 [느낌]이라는 대분류 범주에 대해 [밝은], [역동적인], [차분한] 및 [어두운]과 같은 중분류 범주 어휘들을 제1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하고, 이 중 [밝은]과 같은 제1 서브 감성 어휘가 선택되면, [신나는], [즐거운] 등과 같은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the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may classify middle classification category vocabularies such as [bright], [dynamic], [calm], and [dark] And when a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such as [bright] is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such as [exciting], [amusing] or the like can be provided as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ies.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한다.The emotional lexical selecting unit 220 selects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선택 요청에 따라 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같은 시간대에 가장 많이 선택되는 감성 어휘를 선택하거나 또는 랜덤하게 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can select an emotional vocabular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request. Alternatively,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may select the emotional vocabulary most frequently selected at the same time, or may select the emotional vocabulary at random.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전 사용자의 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한 이후 사용자의 감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unit 220 may select the emotional vocabulary to evaluate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before using the content.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change of the user after the user uses the content, .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수신된 감성 텍스트로부터 추출된 감성 관련 어휘를 감성 어휘와 매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 저장된 감성 어휘 목록을 기초로 감성 관련 어휘와 감성 어휘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감성 관련 어휘를 감성 어휘와 매칭할 수 있다. 또한, 감성 어휘와 대표 감성 어휘와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여 감성 관련 어휘를 대표 감성 어휘와 매칭할 수 있다.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may match 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ed from the received emotional text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More specifically,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can match the emotional vocabulary with the emotional vocabulary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the sensible vocabulary list stored in the sensible vocabulary ontology. In additi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can be confirmed, and the emotional related vocabulary can be matched with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예를 들어, 추출된 감성 관련 어휘가 [쓸쓸할 때 듣기 좋은]을 포함하고 있고 [쓸쓸할 때 듣기 좋은]과 감성 어휘 [쓸쓸할 때]가 대응 관계가 있는 경우, [쓸쓸할 때 듣기 좋은]은 [쓸쓸할 때]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감성 어휘 [쓸쓸할 때]가 대표 감성 어휘 [외로울 때]와 대응 관계가 있는 경우, 감성 관련 어휘 [쓸쓸할 때 듣기 좋은]은 대표 감성 어휘 [외로울 때]에 매칭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xtracted emotion-related vocabulary contains [good to be heard when lonely] and [emotionally good to listen] and emotional vocabulary [when lonely] have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Can be matched to [when lonely]. Also, when the emotional vocabulary [lonely time] has a correspondence with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lonely time], the emotional vocabulary [good when listening] can be matched to the representative emotional vocabulary [lonely time].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감성 관련 어휘와 감성 어휘간 매칭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감성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can select the emotional vocabulary when the matching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is performed.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내에서 선택된 감성 어휘를 기초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사용자 감성을 결정한다.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a user emotion represen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on the content based on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ed in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내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의 감성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각 범주에서 선택된 감성 어휘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사용자 감성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emotion of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selected within a mood category, a context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That is,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user emotion by combining at least some of the emotion words selected in each category.

예를 들어,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 각각을 사용자 감성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 예를 들어, 느낌 범주와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를 결합한 형태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each emotion word belonging to a mood category, a situation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as user emo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motion categories, And emotional vocabularies belonging to the style categor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선택된 감성 어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성 어휘 벡터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들의 감성 어휘 벡터들을 조합하여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그룹의 감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ensory vocabulary vector by giving a weight to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Here,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may indicate the degree of emotion of the content us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In addition, the emotional lexical vectors of the individual users may be combined to indicate the degree of emotion of the content user group with respect to the content.

감성 어휘 벡터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중 적어도 하나의 범주에 속하는 감성 어휘 각각을 하나의 차원에 대응하는 n차원 벡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motional lexical vector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n-dimensional vector corresponding to one dimension, each of the emotional vocabular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category of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SKV(x,y) : 콘텐츠 x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또는 콘텐츠 사용자 그룹) y의 감성 정도를 n차원 벡터로 표시한 함수.SKV (x, y): A function that expresses the degree of emotion of the content user (or the content user group) y with respect to the content x as an n-dimensional vector.

SKW(i,x,y) : 콘텐츠 x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또는 콘텐츠 사용자 그룹) y의 감성 어휘 i에 대한 가중치를 표시한 함수
SKW (i, x, y): a function indicating the weight for the emotional vocabulary i of the content user (or the content user group) y for the content x

여기에서, n은 감성 어휘 전체 집합의 크기에 해당하고, 콘텐츠 사용자 그룹이 전체 사용자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사용자 y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SKV(x), SKW(i,x)). 이와 마찬가지로, 특정 콘텐츠 x에 대한 감성이 아니라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경우 콘텐츠 x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SKV(y), SKW(i,y)).Here, n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entire emotional vocabulary, and may not include the content user y if the content user group corresponds to the entire user (for example, SKV (x), SKW (i, x) ). Likewise, it may not include content x (for example, SKV (y), SKW (i, y)) when expressing emotion for any content other than emotion for specific content x.

예를 들어, 콘텐츠 a에 대해 콘텐츠 사용자 b는 감성 어휘 [신나는], [우울할 때]를 선택하고, 콘텐츠 사용자 c는 감성 어휘 [신나는], [가을], [발라드]를 선택하며, 각각의 어휘에 대한 가중치를 1로 정의한 경우,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수학식 1]에 따라 콘텐츠 a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b와 c의 감성 어휘 벡터 SKV(a,b), SKV(a,c)를 각각 (1, 1, 0, 0), (1, 0, 1, 1)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성 어휘는 총 4개이며, 느낌([신나는]), 기분([우울할 때]), 상황([가을]) 및 스타일 범주([발라드]) 순서로 나열됨을 전제로 하였다.For example, for content a, content user b selects emotional vocabulary [exciting] and [when depressed], content user c selects emotional vocabulary [exciting], [autumn], [ballad] (A, b) and SKV (a, c) of the content users b and c for the content a according to Equation (1),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weight Can be generated as (1, 1, 0, 0), (1, 0, 1, 1) Here, the total number of emotional vocabulary is four, and it is presumed that they are listed in order of feeling ([exciting]), mood ([when depressed]), situation ([autumn]) and style category ([ballad]).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그룹의 감성 정도를 나타내는 사용자 그룹의 감성 어휘 벡터를 개별 사용자의 감성 어휘 벡터를 조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of the user group representing the degree of emotion of the content user group for the content by combining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of the individual users.

예를 들어, 콘텐츠 사용자 b와 c로 구성된 콘텐츠 사용자 그룹 d를 정의하는 경우,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콘텐츠 a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그룹 d의 감성 어휘 벡터 SKV(a,d)를 SKV(a,b)와 SKV(a,c)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SKV(a,b)와 SKV(a,c)를 합산을 통해 (2, 1, 1, 1)이라는 값을 갖는 감성 어휘 벡터 SKV(a,d)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SKV(a,b)와 SKV(a,c)의 교집합을 고려하는 경우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2, 0, 0, 0)이라는 값을 갖는 SKV(a,d)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defining a content user group d composed of content users b and c, the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converts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SKV (a, d) of the content user group d with respect to the content a to SKV (2, 1, 1, 1) through SKV (a, b) and SKV (a, c) SKV (a, d) can b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considering the intersection of SKV (a, b) and SKV (a, c),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SKV (a, d) having a value of (2, 0, 0, Can be generated.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 그룹의 감성 어휘 벡터의 가중치를 조정하기 위해 정보 검색과 텍스트 마이닝 등의 분야에서 이용하는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apply the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scheme used in fields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and text mining to adjust the weight of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of the content user group for the content have.

TF-IDF는 정보 검색과 텍스트 마이닝에서 이용하는 가중치로서, 여러 문서로 이루어진 문서 집합에서 특정 단어가 특정 문서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에 해당한다.TF-IDF is a weight used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text mining, which is a statistical value that indicates how important a particular word is in a particular document in a document set of documents.

여기에서, 문서는 콘텐츠와 관련하여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문서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댓글 또는 콘텐츠 평가에 해당할 수 있다.Here, the document corresponds to a document including an emotional vocabulary in relation to the content,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comment or a content evaluation.

TF(단어 빈도수, term frequency)는 특정 단어가 문서 내에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에 해당하며, 이 값이 높을수록 문서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단어가 문서 집합 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경우, 특정 단어가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 값을 DF(문서 빈도수, document frequency)라고 하며, 이 값의 역수를 IDF(inverse document frequence)라고 한다. TF-IDF는 TF와 IDF를 곱한 값이다.TF (word frequency, term frequency) is a value that indicates how often a particular word appears in the document. The higher the value, the more important it is in the document. However, if a particular word is frequently used in a document se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mportance is low because a particular word is common. This value is called DF (document frequency) document frequence). TF-IDF is the product of TF and IDF.

예를 들어, 감성 어휘 [신나는]이 감성 관련 메타데이터에서 10,000번 등장하고, [신나는]이 총 1,000개의 문서 또는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감성 어휘 [신나는]에 대한 가중치는 10,000 / 1,000 = 10에 해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n emotional vocabulary [exciting] appears 10,000 times in emotion related metadata, and [exciting] is included in a total of 1,000 documents or contents, the weight for emotional vocabulary [exciting] is 10,000 / 1,000 = 10 .

송수신부(240)는 감성 텍스트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에서 결정된 감성 어휘 및 콘텐츠 정보를 외부로 송신한다.The transceiver 240 receives emotional text and content information or transmits emotional vocabulary and content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to the outside.

보다 구체적으로, 송수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Text)는 어휘(word)를 포함하는 완성된 형태의 텍스트에 해당하거나, 어휘 그 자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검색 텍스트는 사용자의 기분, 사용자의 상황, 콘텐츠의 느낌 및 콘텐츠의 스타일과 같은 감성 관련 어휘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0 can receive sentence text indicating the emo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Here, the text corresponds to the text of the finished form including the word, or may correspond to the vocabulary itself. The content retrieval text may also include emotion related vocabularies such as the user's mood, the user's situation, the feel of the content, and the style of the content.

감성 텍스트는 [비오는 날 듣고 싶은 슬픈 노래]와 같이 [비오는 날]이라는 상황과 [슬픈]이라는 콘텐츠의 느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듣고 싶은] 또는 [노래]와 같이 콘텐츠의 형식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Emotional texts can include a [rainy day] situation and a feeling of [sad] content, such as [a sad song that wants to hear a rainy day]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감성 텍스트의 크기를 특정 크기 이하로 제한하고, 입력되는 감성 텍스트의 포맷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240)는 입력되는 감성 텍스트의 크기를 10자 이내로 제한할 수 있고, 명사만을 입력하도록 제한하여 [비가 오는]과 같은 형용사는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포맷을 제한함으로써 감성 어휘 결정과 관련된 유의어 판단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ceiver 240 may restrict the size of the emotional text input from the user to a specific size or less, and limit the format of the emotional text to be input.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may restrict the size of the emotional text to be input to 10 characters or less, and may restrict the input of nouns, thereby disallowing adjectives such as [rain]. By restricting the formattin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etermination of the thesaurus associated with the emotional lexical decision.

송수신부(240)는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에서 결정된 감성 어휘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감성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40 can transmit the emotion vocabulary determined by the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to the outside, and can receive emotional contents related thereto.

송수신부(240)는 감성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평가 또는 감성 어휘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 장치(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120)에 결정된 감성 어휘를 송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성 콘텐츠를 수신하며, 감성 콘텐츠 사용 후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 변화를 나타내는 감성 어휘를 콘텐츠 제공 서버(12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can transmit the emotion evaluation of the user or the emotional vocabulary to the external to the emotional contents. For example, the computer execution device 110 transmits the determined emotional vocabulary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receives the corresponding emotional content, and transmits the emotional vocabulary representing the user's emotional change to the content after using the emotional content, To the providing server 120.

감성 어휘 추출부(250)는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성 텍스트로부터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한다.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ion unit 250 extracts the emotion related vocabulary from the emotional text received from the content user.

감성 어휘 추출부(250)는 K-Structure 기법, PMI-IR(Pointwise Mutual Information-Information Retrieval) 기법, 시멘틱 웹, 감성 어휘 온톨로지 등을 이용하여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or 250 may extract emotion related vocabulary using K-structure, PMI-IR, semantic web,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추출부(250)는 수신된 감성 텍스트에서 콘텐츠명, 아티스트명, 장르 등을 제외하고 단위 어휘별로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ion unit 250 may extract a vocabulary per unit vocabulary except for a content name, an artist name, a genre, and the like in the received emotional text.

예를 들어, 수신된 감성 텍스트는 [비오는 날 듣고 싶은 슬픈 노래]인 경우, 감성 어휘 추출부(250)는 콘텐츠의 장르와 관련된 [듣고 싶은], [노래]를 제거하고, [비오는 날], [슬픈]과 같은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received emotional text is [a sad song that wants to listen to a rainy day], 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or 250 removes [desired to hear], [song] related to the genre of the content, You can extract emotion related vocabulary such as [sad].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260)는 감성 어휘 목록과 감성 관련 어휘 목록을 포함하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를 저장한다. 감성 어휘 온톨로지에 포함된 감성 어휘 목록과 감성 관련 어휘 목록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5a 내지 도면 6b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260 stores an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including a sensible vocabulary list and a sensibility-related vocabulary list. The emotional vocabulary list and the sensibility related vocabulary list included in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may include the contents of FIGS. 5A to 6B as described above.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260)는 콘텐츠의 일반 정보(예를 들어, 장르, 명칭, 제작자 등)과 감성 어휘 벡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리스트을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260 may store a content list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e.g., genre, name, producer, etc.) of content and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260)는 감성 어휘와, 감성 어휘 벡터 및 감성 콘텐츠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260 may include a content-emotional mapping table that stores emotional vocabulary, and mapping information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and emotional contents.

콘텐츠-감성 매핑 테이블은 특정 감성 어휘 벡터를 기준으로 이에 상응하는 감성 어휘들과 감성 콘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감성 콘텐츠를 추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감성 어휘에 대해 계산된 감성 어휘 벡터를 기초로 이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검색 및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table may include 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emotional vocabulary vector and emotional content information. In recommending emotional contents to a user, the emotional vocabulary may be classified into emotional vocabulary, Can be used to search and provide corresponding content based on a vector.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감성 어휘와 감성 콘텐츠를 매칭한다.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matches the emotional vocabulary with the sensibl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콘텐츠-감성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선택된 감성 어휘와 감성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 감성 어휘 매칭부는 감성 어휘의 계산된 감성 어휘 벡터와 같은 값을 가지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매칭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may match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ed with the emotion vocabulary based o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table.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can search for and match contents having the same value as the calculated emotional vocabulary vector of the emotional vocabulary.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감성 어휘 벡터간의 유사도를 결정하여 감성 어휘와 콘텐츠를 매칭할 수 있다.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can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and match the emotional vocabulary with the contents.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결정된 감성 어휘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감성 어휘 온톨로지를 통해 느낌 범주, 스타일 범주, 기분 범주 및 상황 범주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 즉,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선택된 감성 어휘와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선택된 감성 어휘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검색은 감성 어휘 벡터간의 유사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includes an emotional vocabulary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otion category, the style category, the mood category, and the context category through the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That is,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may search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by connecting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to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Here, the content search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에서 생성된 감성 어휘 벡터와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콘텐츠 각각의 감성 어휘 벡터 간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사도는 감성 어휘 벡터들 간의 기하 거리(Euclidean Distance), 코사인 계수(Cosine Coefficient) 등과 같은 유사도 계산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코사인 계수는 하기의 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can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generated by the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of the contents i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Here, the degree of similarity may be calculated by a similarity calculation method such as an Euclidean distance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a cosine coefficient, and the like, and the cosine coefficient may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θ: 감성 어휘 벡터간의 각도θ: Angle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sim(x,j) : 콘텐츠 x에 대한 감성 어휘 벡터 SKV(x)와 사용자 j의 감성 어휘 벡터 SKV(j) 간의 코사인 계수 유사도sim (x, j): cosine coefficient similarity between emotional lexical vector SKV (x) for content x and emotional lexical vector SKV (j)

SKV(x) : 콘텐츠 x에 대한 전체 사용자의 감성 정도를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SKV (x):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indicating the degree of emotion of the entire user with respect to the content x

SKV(j) :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j의 감성 정도를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
SKV (j):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representing the degree of emotion of user j for arbitrary contents

예를 들어, 콘텐츠 a, b의 감성 어휘 벡터가 각각 (3, 0, 4, 0), (4, 0, 3, 0) 인 경우, 감성 어휘 벡터간의 유사도 각도는 cos-1 ((3*4+4*3) / (5*5)) = 18.2도로 결정될 수 있다. 기 설정된 특정 기준에 따라(예를 들어, 유사도 각도가 20도 이내 인 경우),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콘텐츠 a와 b를 유사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of contents a and b are (3,0,4,0) and (4,0,3,0) respectively, the similarity angle between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is cos -1 ((3 * 4 + 4 * 3) / (5 * 5)) = 18.2.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can judge that the contents a and b are simila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pecific criterion (for example, when the similarity degree is within 20 degrees).

제어부(280)는 콘텐츠 감성 어휘 선택부(210), 사용자 감성 어휘 선택부(220),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 송수신부(240), 감성 어휘 추출부(250), 감성 어휘 성질 데이터 베이스(260) 및 감성 어휘 매칭부(27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80 includes a content emotional lexicon selecting unit 210, a user emotional lexical selecting unit 220, a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a transceiver 240, an emotional lexical extractor 250,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and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

도 3은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110)에서 수행하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er execution apparatus 11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감성 어휘 제시부(210)는 감성 어휘를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S310).Referring to FIG. 3, the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10 classifies and presents the emotional vocabulary into a feeling category, a situation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S310).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제시된 각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한다(S320).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ng unit 220 selects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each of the presented categories (S320).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선택부(22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를 대분류 범주로 제공하고, 제공된 대분류 범주들 중 하나의 대분류 범주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분류 범주에 속하는 중분류 범주 어휘들을 제1 서브 감성 어휘로 제공하고, 제공된 제1 서브 감성 어휘들 중 하나의 제1 서브 감성 어휘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 서브 감성 어휘와 연관되고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unit 220 provides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in a large category category, and when one of the large category categories is selected, the small category category belonging to the selected large category category Providing vocabularies in a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and when a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of one of the provid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ies is selected, the emotional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first sub- It can be provided with emotional vocabularies.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한다(S330).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 word (S33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사용자 감성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determine the user emotion by combining at least a part belonging to a mood category, a situation category, a feeling category, and a style category.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선택된 감성 어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ensory vocabulary vector by giving a weight to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도 4는 도 1에 있는 컴퓨터 실행 장치(110)에서 수행하는 감성 어휘 분류 방법을 사용하는 콘텐츠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computer execution apparatus 110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송수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텍스트를 수신한다(S410). 예를 들어, 송수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감성에 맞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감성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ransceiver 240 receives emotional text indicating a user emotion from the user (S410). For example, the transceiver 240 may receive emotional text for retrieving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s emotions from the user.

송수신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감성 텍스트를 수신하기 위해 감성 텍스트의 입력을 프로프팅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240 may prompt the input of emotional text to receive emotional text from a user.

감성 어휘 추출부(250)는 송수신부(240)를 통해 수신한 감성 텍스트로부터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한다(S420).The emotional vocabulary extraction unit 250 extracts emotion related vocabulary from the sensible text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40 (S420).

감성 어휘 선택부(220) 어휘 추출부(240)에서 추출한 감성 관련 어휘를 감성 어휘와 각각 매칭한다(S430).The sensibility vocabulary selection unit 220 matches the sensibility related vocabulary extracted by the vocabulary extraction unit 240 with the sensible vocabulary (S430).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매칭된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한다(S440).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user emotion based on the matched emotional vocabulary (S440).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는 선택된 감성 어휘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30 may generate a sensory vocabulary vector by weighting each of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감성 콘텐츠 제공 서버(120)는 결정된 감성 어휘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하여 콘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The emotional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may connect to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emotional vocabulary to a user.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결정된 감성 어휘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소셜 웹 마이닝을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 벡터를 포함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다(S450).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may link the determined emotional vocabulary to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contain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determined through social web mining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S450 ).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사용자 감성 결정부(230)에서 생성된 감성 어휘 벡터와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감성 콘텐츠 각각의 감성 어휘 벡터 간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can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 generated by the user emotion deciding unit 230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vectors of the emotional contents i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일 실시예에서, 감성 어휘 매칭부(270)는 콘텐츠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콘텐츠부터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70 may arrange content in order from contents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송수신부(240)는 감성 어휘 매칭부(270)에서 정렬한 콘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0 can provide the contents sorted by the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270 to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ceiver 240 can receive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and provide it to the user.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 감성 어휘 분류 시스템
110 : 컴퓨터 실행 장치
120 : 콘텐츠 제공 서버
130 : 메타데이터
210 : 감성 어휘 제시부
220 : 감성 어휘 선택부
230 : 사용자 감성 결정부
240 : 송수신부
250 : 감성 어휘 추출부
260 :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
270 : 감성 어휘 매칭부
280 : 제어부
100: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110:
120: Content providing server
130: Metadata
210: Emotional vocabulary presentation unit
220: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part
230: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240: Transmitting /
250: emotional vocabulary extraction unit
260: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270: emotional vocabulary matching unit
280:

Claims (11)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 (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단계;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A Sensitiv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about the content,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nd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category including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feeling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property of the content creator or content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users Style Category);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context category, feel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And determining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어휘를 상기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단계는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상기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 관련 구문에서 추출된 감성 어휘 그룹을 대표하는 중분류 범주 어휘 각각을 해당 범주의 제1 서브 감성 어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제1 서브 감성 어휘들 중 하나의 제1 서브 감성 어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서브 감성 어휘와 연관되고 상기 소셜 마이닝을 통해 수집된 감성 어휘들을 제2 서브 감성 어휘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lassifying and presenting the emotional vocabulary into the mood category, the situation category, the feeling category,
Providing each of the category category vocabulary representing the emotional vocabulary group extracted from the sentence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related phrase collected through the social mining as the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And
If one of the provid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ies is selected, providing emotional vocabularie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first sub-emotional vocabulary and collected through the social mining to second sub-emotional vocabularies Including computer executable emotional vocabulary classification meth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 각각에 대한 감성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들을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user emotion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selected one or more emotional vocabularies
Determining emotional values for each of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And
And generating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representing user emo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al valu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소셜 웹 마이닝을 통해 감성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를 기초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를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an emotion value through social web mining for at least one content that includes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An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representing user emotions for the content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al value and linking the content to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감성 어휘 벡터와 상기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콘텐츠 각각의 감성 어휘 벡터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oupling the content to a content-
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generated emotional vocabulary vector and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of each of the contents i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And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emo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in the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성 텍스트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감성 관련 어휘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Extracting emotion-related vocabulary from emotional text received from a content user;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 situation category including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content category in which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Matching with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later emotions and opinions and a property of a content creator or content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users step; And
And determining user emotion based on the match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어휘를 상기 각각의 범위에 포함된 감성 어휘들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성 어휘 온톨로지(Ontology)를 이용하여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matching the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extracted vocabulary is the same as the emotional vocabularies included in the respective ranges; And
And if it is not the same, judging similarity using an emotional vocabulary ontology (Ontology).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감성 어휘 제시부;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감성 어휘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사용자 감성 결정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
A Sensitiv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about the content,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nd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category including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feeling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property of the content creator or content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users Style Category);
An emotional vocabulary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situation category, feeling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And a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성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감성 어휘 각각에 대한 감성 수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감성 수치들을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 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user emo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emotion values for each of the selected emotional vocabulary, and generates an emotional vocabulary vector indicating the emo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rmined emotional values.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소셜 웹 마이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포함하는 콘텐츠-감성 매핑 데이터베이스;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감성 텍스트에서 감성 관련 어휘를 추출하는 감성 어휘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감성 관련 어휘를 상기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와 매칭하는 감성 어휘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content-emotional mapping database contain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selected via social web mining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ntent;
An emotional vocabulary extractor for extracting emotional related vocabulary from emotional text received from a content user; And
And an emotional lexical matching unit for matching the extracted emotion related vocabulary with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mood category, the context category, the feel category, and the style category.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사용자의 감정 및 의견을 나타내는 감성 어휘(Sensitivity Keyword)를,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하기 전의 기분 상태를 포함하는 기분 범주(Mood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범주(Situation Category), 사용자가 콘텐츠를 체험한 후의 감정과 의견을 포함하는 느낌 범주(Feeling Category) 및 콘텐츠 제작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콘텐츠의 속성(Property)을 포함하는 스타일 범주(Style Category)로 각각 분류하여 제시하는 기능;
상기 제시된 기분 범주, 상황 범주, 느낌 범주 및 스타일 범주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선택하는 기능;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감성 어휘를 기초로 사용자 감성을 결정하는 기능을 기록한 기록매체.
A Sensitivity Keyword indicating the feeling and opinion of the content user about the content, a mood category including the mood state before the user experiences the content, and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A category including a feeling category including feelings and opinions after the user has experienced the content, and a style category including a property of the content creator or content defined by at least one or more users Style Category);
Selecting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belonging to the presented mood category, context category, feel category and style category; And
And determining a user emotion based on the selected at least one emotional vocabulary.
KR1020130048647A 2013-04-30 2013-04-30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1525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647A KR101525400B1 (en) 2013-04-30 2013-04-30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647A KR101525400B1 (en) 2013-04-30 2013-04-30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33A true KR20140129833A (en) 2014-11-07
KR101525400B1 KR101525400B1 (en) 2015-06-09

Family

ID=5245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647A KR101525400B1 (en) 2013-04-30 2013-04-30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40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14A (en) 2018-09-11 2020-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otion classif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emotion classifying apparatus
KR20220088161A (en) * 2020-12-18 2022-06-27 (주)알에프캠프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s mental state by considering the external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behavior, and computer program
CN115796158A (en) * 2023-02-07 2023-03-14 中国传媒大学 Emotion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9574A (en) * 2000-09-26 2002-04-05 Tsutaya Online:Kk Content search system and coll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content search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714A (en) 2018-09-11 2020-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motion classify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emotion classifying apparatus
KR20220088161A (en) * 2020-12-18 2022-06-27 (주)알에프캠프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s mental state by considering the external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behavior, and computer program
CN115796158A (en) * 2023-02-07 2023-03-14 中国传媒大学 Emotion dictionary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400B1 (en)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ammad et al. Using hashtags to capture fine emotion categories from tweets
US9830404B2 (en) Analyzing language dependency structures
Finn et al. Learning to classify documents according to genre
KR100775585B1 (en)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about character message and system thereof
KR101330158B1 (en) Method for analyzing text emotion index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40108311A1 (en) Information por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of
Lima et al. Automatic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messages
US10002127B2 (en) Connecting people based on content and relational distance
WO20090876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ranking product reviews according to review helpfulness
KR1017132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sychology status information from writing
KR20130055748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f contents
Jeon et al. Hashtag recommendation based on user tweet and hashtag classification on twitter
Schedl Ameliorating music recommendation: Integrating music content, music context, and user context for improved music retrieval and recommendation
Hyung et al. Utilizing context-relevant keywords extracted from a large collection of user-generated documents for music discovery
US20130346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urposeful sharing environment
KR101712291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a user-customized famous place based on opinion mining and Method of the Same
Lee et al. Discovering underlying sensations of human emotions based on social media
KR101652433B1 (en) Behavioral advertis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otion that are acquired based on the extracted topics from SNS document
Yao et al. Online deception detection refueled by real world data collection
KR101525400B1 (en) Computer-executable sensibility keyword classification method and computer-executab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JP6446987B2 (en) Video selection device, video selection method, video selection program, feature amount generation device, feature amount generation method, and feature amount generation program
Sintsova et al. Semi-supervised method for multi-category emotion recognition in tweets
KR20200043687A (en) Providing Method for music based on personalization and servic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928074B1 (en) Server and method for content providing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KR1015424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user pre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