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353A -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353A
KR20140128353A KR1020147023755A KR20147023755A KR20140128353A KR 20140128353 A KR20140128353 A KR 20140128353A KR 1020147023755 A KR1020147023755 A KR 1020147023755A KR 20147023755 A KR20147023755 A KR 20147023755A KR 20140128353 A KR20140128353 A KR 20140128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elements
controller
communication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928B1 (ko
Inventor
도루 칼린
알리예 오즈게 카야
카이 양
시몬 이유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12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는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것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 APPARATUS FOR WIRELESS SYSTEM CONTROL}
본 출원은, 그의 요지가 참조로서 여기에 완전히 통합되는, 2012년 2월 26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인 미국 가출원 제 61/603361 호에 대해 35 U.S.C. 119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들)은 통신 장비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지만, 그에 독점적인 것은 아니다.
본 섹션에서 본 발명(들)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도울 수 있는 양태들을 도입한다. 따라서, 본 섹션의 진술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판독되어야 하고 종래의 기술에 있거나 종래의 기술에 없는 것에 관한 승인된 사실들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높은 용량의 무선 통신 서비스들은 핫 스팟 트래픽 시나리오들에서 요구된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은 스포츠 경기장들에서, 인기 스포츠 행사들에서, 몰들 또는 비지니스 센터들 또는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무선 서비스를 요구하는 임의의 장소와 같은 붐비는 지역들에서의 일상적 생활에서 접해질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들(예를 들면, 수 천개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비교적 작은 공간(예를 들면, 스타디움의 경우 대략 300m×250m)에 붐빌 수 있고 서비스를 획득하기를 시도하고 및/또는 동시에 서빙될 수 있을 때, 서비스 및/또는 용량의 요구는 매우 심각할 수 있다.
현재 무선 운영자들은 이러한 높은 용량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해결책들의조합을 사용한다: 종래의 매크로-네트워크들, WiFi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들(DAS)은 핫 스팟 트래픽 시나리오들에서 총 이용가능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의 보완으로 사용될 수 있다. DAS는 "긴 안테나 개념"을 통해 커버리지를 개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량에 의하여, DAS 시스템은 여전히 매크로 기지국(BS)의 섹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용량에 대해 한정되고(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큰 트래픽 요구들에 대해 용량을 조절하는데 그의 잠재성을 한정한다. 도 1은 안테나들(35)을 갖는 DAS 시스템을 도시하고, 그의 용량은 코어 네트워크(10)에 의해 공급되는 송수신 기지국(BTS; 20)의 하나(1)의 섹터의 처리량에 대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집중을 갖는 다른 영역들과 같은 트래픽 요구들이 클 수 있는 영역들에서 높은 용량의 제어된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로서,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및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제어기는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어기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요소들은 송신기들, 수신기들, 또는 송수신기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하고;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의 각각의 포트들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다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다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증가된 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증가된 수의 안테나 포트들, 증가된 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다수의 통신 요소들,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으로 렌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제어기는 감소된 수의 통신 요소들, 감소된 수의 안테나 포트들, 감소된 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으로 렌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가 무선 통신 요소의 방사 패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중앙 집중형 제어기일 수 있다. 제어기는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서브 세트들 중에 분산된 제어기의 일부들을 갖는 분산형 제어기일 수 있고, 분산형 제어기의 각각의 부분은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서브세트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서브 세트내 무선 통신 요소들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요소들의 서브세트,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들의 서브세트,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안테나 요소들의 서브세트,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미래 구성 정보를 조정(즉, 설정들, 파라미터들, 상태들 등 중 하나 이상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들은 각각의 서브세트내 무선 통신 요소들에 대한 구성에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정보는, 무선 통신 요소 활성화 상태, 안테나 포트 활성화 상태, 안테나 요소 활성화 상태, 설계 요소 정보, 전력 레벨 설정 정보, 안테나 패턴 설정 정보, 안테나 배향 설정 정보, 및 제 1 무선 통신 요소에 의해 사용시 자원들에 관련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무선 통신 요소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무선 통신 요소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RF) 캐리어 재사용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RF 캐리어 재사용(1), RF 캐리어 재사용(2), RF 캐리어 재사용(3), RF 캐리어 재사용(6), 및 RF 캐리어 재사용(12)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주변 둘레 주위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계층은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인접한 계층들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수직 거리에 의해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전면은 대략 직접 아래로 지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전면은 대략 90°다운틸트를 갖고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안테나들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주변 둘레 주위에서 하나의 계층의 무선 통신 요소들에 대해 수평으로 배열되어 접선 방향으로 정렬되고,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메인 빔은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에 의해 규정된 공간의 내부를 반지름 방향으로 가르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연관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을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복수의 안테나들의 각각의 안테나들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충분한 집중을 갖는 다른 영역들과 같은 트래픽 요구들이 클 수 있는 영역들에서 높은 용량의 제어된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시스템의 사용을 예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다양한 가능한 시스템 아키텍처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3은 단일 제어기 및 프로세서에 의존하여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4는 수 개의 제어기들 및 프로세서들에 의존하여 분산된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5는 완전히 분산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송수신기 구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활성 안테나 어레이(AAA) 구조를 사용하는 안테나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고레벨 블록도.
도 8은 도 3의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 실시예의 제어기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는 일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9는 도 4 및 도 5의 분산된 아키텍처에 연관되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배치 시나리오에 관하여 가능한 무선 시스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이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을 통해 트래픽 상태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방법을 예시를 통해 도시하는 도면들.
도 12는 스타디움에 대응하는 지리적 영역에서 송수신기 배치들의 두 개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스타디움에 대한 예시적인 배치 시나리오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하나의 배치 실시예를 사용하여 스타디움에 대한 커버리지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예시적인 스타디움 배치에 대한 용량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예시적인 스타디움 배치에 대하여 주파수 재사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17은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컴퓨터의 고레벨 블록도.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들로부터, 예로서, 더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가능한 경우 도면들에 공통인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하도록 이용되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수의 변형들,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 놓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각각의 숫자 값 및 범위는 단어 "약" 또는 "대략"이 값 또는 범위의 값에 선행되는 것처럼 대략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되고 도시되는 부분들의 상세들, 재료들, 및 배열들에서 다양한 변경들이 다음의 청구항들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청구항들에서 도면 번호들 및/또는 도면 참조 라벨들의 사용은 청구항들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구된 요지의 하나 이상의 가능한 실시예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사용은 대응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그들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다.
만약 있다면, 다음의 방법 청구항들의 요소들이 각각의 이해를 위해 대응하는 라벨링을 갖고 특정한 순서로 인용될지라도, 그와 다르게 청구항 인용들이 이들 요소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실행하기 위한 특정한 시퀀스를 암시하지 않으면, 이들 요소들은 반드시 특정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되어 기술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다수의 장소들에서 어구 "일 실시예에서"의 출현들은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실시예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반드시 다른 실시예들에 서로 배타적인 개별적이거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인 것도 아니다. 동일한 것이 용어 "구현"에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용어 "연결하다", "연결하는", "연결된", "접속하다", "접속하는", 또는 "접속된"은 본 기술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 또는 에너지가 두 개 이상의 요소들 사이에 전송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후에 개발되는 것을 말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의 요소들의 삽입이 요구되지 않지만 고려된다. 반대로, 용어들 "직접적으로 연결된", "직접적으로 접속된" 등은 이러한 추가의 요소들의 부재를 암시한다.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실시예들이 여기에 제공된다. 제공된 실시예들은 스포츠 경기장들, 스타디움들, 몰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충분한 집중을 갖는 다른 영역들과 같은 트래픽 요구들이 클 수 있는 영역들에서 높은 용량의 제어된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무선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때때로 클라이언트, 사용자 장비, 이동국, 모바일 사용자, 모바일, 가입자, 사용자, 원격국, 액세스 단말, 수신기, 모바일 유닛 등과 유사하게 생각되고 이후 그와 같이 불릴 수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들의 원격 사용자를 기술할 수 있다.
무선 서비스를 예를 들면, 핫스팟들에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해결책들은 용량을 조정하지 않는다. 매크로 네트워크들은 경제적으로 매력적이지 않다.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DAS)은 "더 긴 안테나"를 도입하고, 이는 커버리지를 상당히 개선하지만, 매크로-섹터에 의해 제공된 용량에 대해 여전히 한정된다. WiFI는 트래픽 혼잡 상태들에서 부족하다고 알려졌다. 반대로, 여기에 제공된 원리들 및 교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크기 조정 가능한 용량을 제공하고,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예를 들면, 메트로셀, LightRadioTM 메트로셀, LightRadioTM 스타디움 큐브 등등)는 그의 즉각적인 지리적 근처에 높은 "로컬" 용량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디움의 배치에 대하여, 매트로셀들은 DAS 매크로 섹터와 비교해서 몇 자리수만큼 더 높은 크기의 용량들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메트로셀들과 같은 무선 통신 접속 요소들의 용량은 단순히 안테나 이득들을 증가시킴으로써 제어가능하게 크기가 상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무선 통신 요소"는 송수신기, 메트로셀, 및 LightRadioTM 큐브와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이후 때때로 이들을 언급하고, 다수의 기술 세대들을 거칠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내의 모바일들과 통신하고, 이들 모바일들에 무선 자원들을 제공하는 송수신기를 기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무선 통신 요소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을 실행하는 시스템은 복수의 송수신기들(N 개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송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장착되고,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안테나는 진폭 및 위상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사 패턴을 초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로 실현될 수 있다. 시스템은 커버리지 메트릭, 용량 메트릭 등 또는 그의 몇몇 조합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품질 메트릭을,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을 통해 충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송수신기들 중에서 국부적 또는 전체적 조정을 포함하고, 국부적 조정은 복수의 송수신기들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가 조정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전체적 조정은 복수의 송수신기들이 조정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송수신기들의 서브세트(또는 그룹) 사이의 조정은 송수신기들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송수신기가 송수신기들의 동일한 상기 서브세트에 속하는 다른 송수신기들의 구성에 관한 어느 정도의 인식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기의 구성은 전력 레벨들, 안테나 패턴들, 안테나 배향(예를 들면, 방위각 및/또는 기울기), 및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하는 자원들과 같은 설계 요소들을 말한다. 송수신기들에 걸친 조정은 공통 제어기로부터 중앙 집중 방식으로, 또는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예를 들면, LTE에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기들의 세트에 속하는 송수신기들에 걸친 정보 교환을 통한 분산된 방식으로 행해진다.
송수신기내 및 송수신기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상이한 후속 메커니즘들이 또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무선 주파수(RF) 캐리어의 다수의 형태들이 구현될 수 있다. LTE를 일 예로서 취하면, 10 ㎒ 스펙트럼 대역폭은 RF 캐리어 재사용 1(단 하나의 10 ㎒ RF 캐리어는 시스템에 걸친 재사용 1에 배치된다), 또는 RF 캐리어 재사용 2(두 개의 5㎒ RF 캐리어들은 시스템에 걸친 재사용 2에 배치된다), 또는 RF 캐리어 재사용 3(세 개의 3㎒ RF 캐리어들은 시스템에 걸친 재사용 3에 배치된다), 또는 RF 캐리어 재사용 6(여섯 개의 1.4㎒ RF 캐리어들은 시스템에 걸친 재사용 6에 배치된다)에서 동작될 수 있다.
송수신기들의 더 낮은 밀도는 작은 수의 안테나 요소들(예를 들면, 더 작은 수의 라이트라디오 큐브들)을 갖는, 더 간단한 안테나들에 의존하여, 시스템 배치들의 초기의 스테이지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 높은 밀도의 송수신기들은 더 큰 수의 안테나 요소들(예를 들면, 더 큰 수의 라이트라디오 큐브들)을 갖는 안테나들에 의존하여, 시스템 배치들의 더 진전된 스테이지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송수신기들이 배치될 수 있고, 네트워크에서 주어진 트래픽 활성에 대하여, 송수신기들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세트가 동시에 활성화된다. 더 낮은 용량 요구들에 대하여, 더 넓은 안테나 패턴을 갖는 더 작은 수의 송수신기들은 더 작은 수의 안테나 요소들(예를 들면, 더 작은 수의 라이트라디오 큐브들)을 공급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더 큰 용량 요구들에 대하여, 더 좁은 안테나 패턴을 갖는 더 큰 수의 송수신기들이 더 큰 수의 안테나 요소들(예를 들면, 더 큰 수의 라이트라디오 큐브들)을 공급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주어진 시간에서 요구된 품질 메트릭들을 충족하기 위한 송수신기들 및 안테나 패턴들의 수를 동적으로 및 지능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고 용량 크기 조정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어진 시간에서 활성화되는 송수신기들의 밀도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에 의존하고; 즉, 추가의 송수신기들이 더 많은 트래픽을 갖는 영역들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들은 구역들에 걸쳐 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고밀도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영역들에 대하여, 더 많은 지향식 안테나들은 더 많은 안테나 요소들을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고, 저 밀도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영역들에 대하여, 더 적은 지향식 안테나들이 더 적은 안테나 요소들을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들 사이의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이러한 조정은 송수신기들의 하나의 서브세트에(예를 들면, 국부적 이웃으로) 한정될 수 있거나, 또는 관심 있는 완전한 지리적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의 구현들은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기술된다:
- 중앙 집중형 제어기는 그의 감독하에서 완전한 복수의 송수신기들과 계속적으로 또는 가끔 통신한다. 중앙 집중형 제어기는 그의 감독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시스템 정보는 송수신기들의 근처에서 측정된 트래픽 활성 및/또는 측정된 무선 상태들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앙 집중형 제어기는 지정된 품질 목표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시스템 구성을 모니터링하고, 결정하고, 조정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에서, 주어진 시간 T1에서, 제어기는, 단지 M 개의 송수신기들(여기서 M은 N 이하이다(M<=N))이 T1에서 활성화될 것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자. i번째 송수신기를 "TRX_i"라고 하면, M 개의 송수신기들의 세트는 {TRX_1, TRX_2, TRX_3, ..., TRX_M-1, TRX_M}로서 나타낸다. 또한, 제어기는 시간 T1에서 각각의 활성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이들 파라미터들은 활성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된 방출 전력, 그의 안테나 패턴, 및 특정한 방위각 및 기울기 설정에 의해 기술되는 그의 안테나 패턴의 3차원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패턴은 송수신기의 AAA(활성 안테나 어레이) 안테나의 지정된 수의 안테나 요소들을 공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활성화되는 각각의 안테나 요소의 적절한 진폭 및 위상 값들을 사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TRX_i에 대한 구성은 파라미터들의 지정된 세트{전력_i, 방위각_i, 기울기_i, 수_안테나_요소들_i, 진폭_요소_k, 위상_요소_k}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1 <= k <= 수_안테나_요소들_i이다. 각각의 활성 송수신기의 구성은 또한 제어기에 의해 지정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수행된다. 이는 송수신기들이 그들 자체들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각각의 송수신기에 그의 특정 구성에 관하여 통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동작 및 유지 보수(Q&M) 유닛과 같은 제어 유닛으로부터 완전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재구성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유닛은 이러한 시스템 변경들을 실행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 분산된 중앙 집중형 아키텍처(다음 섹션에서 설명됨)
- 완전 분산형 아키텍처(다음 섹션에서 설명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다양한 가능한 시스템 아키텍처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이다. (도시된 도면에서 4G 송수신기들인) 송수신기들(101, 102)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롱 텀 에볼루션(LTE) 전문 용어에 따라 게이트웨이, 예를 들면, 서비스 게이트웨이(SWG)에 차례로 접속되는 집속된 스위치(601)에 접속된다. 송수신기들(101, 102)은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LTE에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4G 송수신기들인) 송수신기들(201, 202)은 SWG로 직접 접속된다. 송수신기들(201, 202)은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LTE에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4G 송수신기들인) 송수신기들(301, 302)은 이후 SGW로 접속되는 제어기 및 프로세서 유닛(701)으로 접속된다. 제어기 및 프로세서 유닛(701)은 그에 접속되는 송수신기들(301, 302) 중에 자원들의 할당을 조정한다.
송수신기(401)는 다중 표준 송수신기이고(예를 들면, 이는 도시된 도면에서 3G 및 4G 모두와 호환된다), 이는 적절하게 4G 트래픽을 위한 4G SGW로 및 3G 트래픽을 위한 3G 보안 게이트웨이(SeGW)에 접속된다.
송수신기(501)(도시된 도면에서 3G 송수신기)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에 접속되는 3G 보안 게이트웨이(SeGW)에 접속된다. SGSN은 GPRS 네트워크와 인트라넷, X.25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외부 패킷 교환 네트워크들 사이의 인터네트워킹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에 접속된다. 특정한 네트워킹 표준에 대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갖는 송수신기들에 의해 기술되는 동안, 송수신기들은 또한 여기서 무선 통신 요소들이라 불릴 수 있고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신기 및 수신기 기능 모두를 가질 수 있다. 송수신기들(101, 102, 201, 202, 301, 302, 401, 501)은 무선 서비스를 적절한 장착된 사용자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에 제공한다.
도 3은 그의 감독하에서 송수신기들(301 내지 306)의 동작을 조정하는 단일 제어기 및 프로세서(701)에 의존하여 중앙 집중화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이다.
도 4는 수 개의 제어기들 및 프로세서들에 의존하여 분산된 중앙 집중화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이다. 제어기 및 프로세서(701)는 제 1 서브세트의 송수신기들, 즉, 송수신기들(301, 302, 303)의 동작을 조정하고, 반면에 제어기 및 프로세서(702)는 제 2 서브세트의 송수신기들, 즉, 송수신기들(304, 305, 306)의 동작을 조정한다. 제어기들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기들(701, 702) 사이의 다른 조정이 존재할 수 있다.
중앙 집중화된 아키텍처 실시예들에 의한 실시예들의 동작은 도 8에 관련된 설명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5는 완전히 분산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이다. 이러한 경우, 중앙 집중형 제어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송수신기들은 게이트웨이(SGW)(송수신기들(201, 202, 203)의 예에서와 같이)에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이후 게이트웨이(SGW)(송수신기들(101, 102, 103)의 예에서와 같이)에 접속되는 집속 스위치(601)에 먼저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그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트래픽 용량 및 무선 상태들을 측정하고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예를 들면, 송수신기들 중 메시 접속을 통해) 다른 송수신기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담당한다. 분산된 아키텍처 실시예들의 동작은 도 9와 관련된 기술에서 더욱 상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송수신기 구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고레벨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1)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해 동일한 물리적 안테나들(800)을 사용하고, 임의의 송수신기 "j"는 송신을 위해 사용된 총 NTAj 개의 안테나 포트들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 총 NRAj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갖는다. 송신 및 수신 포트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102)는 송신(801) 및 수신(802)을 위해 상이한 물리적 안테나들을 사용하고, 임의의 송수신기 "j"는 송신을 위해 사용된 총 NTAj 개의 안테나 포트들 및 수신을 위해 사용된 총 NRAj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갖는다. 송신 및 수신 포트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능동 안테나 어레이(AAA) 구조를 사용하는 안테나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고레벨 블록도이다. 임의의 송수신기 "j"의 안테나(800)는 송신을 위한 방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다수의 능동 요소들(NTEj) 및 수신을 위한 방출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다수의 능동 요소들(NREj)을 갖는다. 이들 안테나 요소들은 송신 및 수신 모두에 대해 공통(대각 해싱)일 수 있거나, 또는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수평 해싱)될 수 있거나, 또는 수신을 위해서만 사용(수직 해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중앙 집중화된 아키텍처의 제어기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단계 1에서, 제어기는 그의 감독하에서 N 개의 송수신기들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측정된 트래픽 활성, 자원들 사용량, 및 측정된 무선 상태들과 같은 것 등)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각각의 임의의 송수신기 "j"는 NTAj 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과 NTEj 개의 송신 안테나 요소들 및 NRAj 개의 수신 안테나 포트들과 NREj 개의 수신 안테나 요소들을 갖는다.
각각의 시간 단계(T)에서, T는 시스템 파라미터(T의 시간 증분들)이고, 단계 2에서, 트래픽 상태들 및/또는 무선 상태들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바람직한 시스템 구성을 결정하고, 다음의 동작들이 시스템에서 취해질 수 있는 명령들을 생성한다.
"t"가 현재 시스템 시간이라고 가정하면:
1) 활성화될 N(t)개의 송수신기들을 결정한다, 여기서 N(t)<=N;
측정된 트래픽 용량과 상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요구된 적절한 수의 송수신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종속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특정 용량 범위 내 트래픽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송수신기들의 수는 활성 상태로 놓인다. 이는 송수신기를 활성 상태로부터 비활성 상태로 움직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고, 또는 임의의 특정 송수신기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세트의 트래픽 용량 임계치들{TV1, TV2, TV3, ..., TVN}을 가정하면, 한 세트의 송수신기들(NT1, NT2, NT3, ..., NTN -1)은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NTj는 TVj와 TVj-1 사이의 임의의 트래픽 용량들에 대해 적절한 수의 송수신기들이다. 이러한 맵핑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예측된 성능 레벨들에 기초할 수 있고 및/또는 (이전) 필드 측정들(이용가능한 경우)로부터의 학습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으로서 동일한 형태의 안테나들을 가지면, 62 개의 송수신기들이 동시적으로 1,80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을 실행할 수 있고, 124 개의 송수신기들이 동시에 3,84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을 실행할 수 있음을 가정하자(단일 요소 안테나 경우에 대하여 도 15에 관하여 제공된 예의 도시 및 기술을 참조).
2) 각각의 활성 "j" 개의 송수신기에 대하여:
- 2.a: 송수신기의 안테나의 방위각(j) 및 기울기(j)뿐만 아니라 방출된 전력 레벨(p(j))을 결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기는 현재 트래픽 체적 및 현재 무선 상태들 및 얼마나 많은 송수신기들이 활성인지를 인지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스타디움을 기준으로 취하면, 10㎽만큼 작은 전력 레벨이 사용자들에게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더 많이 손실되는 환경들에서, 일반적으로 빌딩들의 존재와 연관되어, 수백 ㎽만큼 높은 전력 레벨들이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예를 들면, 채널 품질 정보(CQI) 피드백)에 기초하여 그의 기준 전력 레벨을 주어진 상태로 점차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송수신기는 예측된 성능 레벨들에 기초하여 및/또는 (이전) 필드 측정들로부터의 학습에 기초하여 주어진 상태에 대하여 그의 기준 전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되는 스타디움을 기준으로서 취하면,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기들은 도 13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각각의 송수신기의 안테나에 대한 기울기 및 방위각은 그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 송수신기들의 수 개의 계층들(즉, 스타디움의 원주에 평행한 링들)은 일반적인 멀티-콘코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 안테나들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링을 따라 바로 아래(즉, 90° 다운틸트)로 향하여 배치된다;
- 안테나 요소 어레이들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방사상으로 가르키는 송수신기의 메인 빔을 갖고 각각의 링에 대한 접선으로 정렬되고;
- 복수의 송수신기들은 스타디움의 각각의 링으로 팩킹되어 송수신기들의 메인 빔이 자전거 바퀴로 불리는 것과 유사하게 배열될 것이다.
다른 형태들의 배치들에 대하여, 각각의 송수신기의 안테나 배향(즉, 기울기 및 방위각)은 이러한 규칙들이 이용가능한지의 여부를 예측된 성능 레벨들에 기초하여 및/또는 경험에 근거한 규칙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 2.b: "j번째" 송수신기(예를 들면, 대역폭, 통신 채널들 등, 및 유사한 것)에 의해 사용될 자원들을 결정한다.
송신기 당 사용가능한 대역폭은 전달될 필요가 있는 트래픽의 양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총 이용가능한 대역폭(완전 캐리어 재사용) 또는 단지 총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일 부분(부분적인 캐리어 재사용)은 "i번째" 송수신기에 할당될 수 있다. 이는 한 세트의 임계치들에 대해 측정된 트래픽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124 개의 송수신기들에 의한 두 개의 가능한 배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주파수 재사용(1) 배치는 3,840 개의 128kbps 비디오 세션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고, 주파수 재사용(2) 배치는 4,800 개의 128kbps 비디오 세션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트래픽 요구가 4000 개보다 적은 128kbps 비디오 접속들(예를 들면, 3840개의 128 kbps 비디오 접속들이 요구됨)이 요구되는 경우, 캐리어 재사용(1) 배치는 가능하다. 그러나, 트래픽 요구가 4000 개보다 많은 128 kbps 비디오 접속들(예를 들면, 4800개의 128 kbps 비디오 접속들이 요구됨)이 요구되는 경우, 캐리어 재사용(2) 배치가 트래픽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2.c: 송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TAj(t)) 및 송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TEj(t))를 활성화하고;
- 2.d: 송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RAj(t)) 및 송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REj(t))를 활성화하고; 및
- 2.e: 각각의 활성 안테나 요소 "k"에 대하여, 진폭 α(k,t) 및 위상 φ(k,t)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NTAj(t), NTEj(t), NRAj(t), NREj(t), 또한 각각의 안테나 요소에 대한 α(k,t) 및 φ(k,t)는 한 세트의 트래픽 용량 임계치들{TH1, TH2, TH3, ..., THM}에 대하여 현재 측정된 트래픽 용량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THi와 THi+1 사이의 임의의 트래픽 용량들에 대하여, NTAj(t) = NTAj(t,i), NTEj(t) = NTEj(t,i), NRAj(t) = NRAj(t,i), NREj(t) = NREj(t,i)이고, 각각의 안테나 요소 "k"에 대하여, α(k,t) = α(k,t,i) 및 φ(k,t) = φ(k,t,i)이다.
안테나 구성은 예측된 성능 레벨들에 기초하여 및/또는 (이전) 필드 측정들(이용가능한 경우)로부터의 학습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NTAj(t) = 2), 및 두 개의 수신 안테나 포트들(NRAj(t) = 2)은 62 개의 활성 송수신기들의 각각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다. 안테나마다 하나의 활성 요소(NTEj(t) = 1, NREj(t) = 1)에 의해, 1,800 개의 128kbps 동시 비디오 접속들이 실행될 수 있고, 안테나마다 네 개의 활성 요소들(NTEj(t) = 4, NREj(t) = 4)에 의해, 2,400 개의 128kbps 동시 비디오 접속들이 실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두 개(2)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NTAj(t) = 2), 및 두 개(2) 수신 안테나 포트들(NRAj(t) = 2)은 124 개의 활성 송수신기들의 각각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다. 안테나마다 하나의 활성 요소(NTEj(t) = 1, NREj(t) = 1)에 의해, 3,840 개의 128kbps 동시적인 비디오 접속들이 실행될 수 있고, 안테나마다 네 개의 활성 요소들(NTEj(t) = 4, NREj(t) = 4)에 의해, 4,800 개의 128kbps 동시적인 비디오 접속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트래픽 요구가 2,000개보다 적은 128kbps 비디오 접속들이 요구되는(예를 들면, 1,800 개의 128kbps 접속들이 요구되는) 경우, 각각의 송수신기에 두 개의 송신/수신 안테나 포트들이 장착되고, 각각의 안테나가 단일의 활성 요소를 갖는, 62 개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배치로 충분하다. 그러나, 트래픽 요구가 더 크고, 2,000 개보다 큰 128kbps 비디오 접속들을 요구하는(예를 들면, 2,400 개까지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이 요구되는) 경우, 각각의 송수신기에 두 개의 송신/수신 안테나 포트들이 장착되고, 각각의 안테나가 네 개의 활성 요소들을 갖는 62 개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배치가 요구된다. 이어서, 트래픽 요구들이 2,40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과 3,84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 사이인 경우, 각각의 송수신기에 두 개의 송신/수신 안테나 포트들이 장착되고, 각각의 안테나가 단일의 요소를 갖는, 124 개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배치가 필요하다. 트래픽 요구들이 3,84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과 4,800 개의 128kbps 비디오 접속들 사이인 경우, 각각의 송수신기에 두 개의 송신/수신 안테나 포트들이 장착되고, 각각의 안테나가 네 개의 활성 요소들을 갖는, 124 개의 송수신기들을 갖는 배치가 요구된다.
각각의 안테나 요소의 진폭 및 위상은 또한 빔을 전기적으로 조정하고 원하는 빔 형태들을 생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시스템은 단계 1로 다시 이동하기 전에 다음 시간 윈도 "T" 동안 이러한 구성에서 머물 것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5의 분산된 아키텍처에 연관되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단계(1)에서, 각각의 송수신기는 그의 로컬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측정된 트래픽 활성, 자원 사용량, 측정된 무선 상태들, 등 및 그와 유사한 것)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송수신기들은 이용가능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교환한다. 각각의 임의의 송수신기 "j"는 NTAj 개의 송신 안테나 포트들 및 NTEj 개의 송신 안테나 요소들과 NRAj 개의 수신 안테나 포트들 및 NREj 개의 수신 안테나 요소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시간 단계(T)에서, 여기서 T는 시스템 파라미터(T의 시간 증분들)이고, 단계 2에서, 알려진 트래픽 및 무선 상태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송수신기는 활성/비활성 상태 및 그의 자신의 구성을 결정한다:
"t"가 현재 시스템 시간이라 가정하면:
1) 각각의 활성 "j" 개의 송수신기에 대하여:
- 방출된 전력 레벨 p(j), 방위각(j) 및 기울기(j)를 결정하고;
- "j번째" 송수신기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자원들(예를 들면, 대역폭, 통신 채널들 등 및 유사한 것)을 결정하고;
- 송신 안테나 포트들의 세트(NTAj(t)) 및 송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TEj(t))를 활성화하고;
- 수신 안테나 포트들의 세트(NRAj(t)) 및 수신 안테나 요소들의 세트(NREj(t))를 활성화하고; 및
- 각각의 활성 안테나 요소 "k"에 대하여, 진폭(α(k,t)) 및 위상(φ(k,t))을 결정한다.
시스템은 단계(1)로 다시 이동하기 전에 다음 시간 윈도 "T" 동안 이러한 구성에 머물 것이다.
제어기에 의해 결정되는 구성 정보는 무선 통신 요소 활성화 상태, 안테나 포트 활성화 상태, 안테나 요소 활성화 상태, 설계 요소 정보, 전력 레벨 설정 정보, 안테나 패턴 설정 정보, 안테나 배향 설정 정보, 및 제 1 무선 통신 요소에 의해 사용시 자원들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이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그의 구성을 적응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른 예들이 다음의 내용에 기술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배치 시나리오에 관하여 가능한 시스템 상태를 도시한다. 시스템은 6 개의 송수신기들(301, 302, 303, 304, 305, 306)을 포함한다. 송수신기들은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예를 들면, 송수신기들로 둘러싸인 공간)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 개의 송수신기들(301, 303, 305)이 활성화되고, 동시에 다른 세 개의 송신기들(302, 304, 306)이 비활성으로 남는다. 빔 패턴들이 구성 및 형태에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빔 패턴들은 각각의 송수신기에 대해 송신(수직 파선으로 표시됨) 및 수신에 대해 도시된다. 송수신기에 대한 송신을 위한 빔 패턴들은 수직 파선들로 표시되고, 송수신기에 대한 수신을 위한 빔 패턴들은 벽돌형 패턴으로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가능한 안테나 실현을 또한 도시한다. 송수신기(301)는 송신을 위한 하나의 안테나 포트 및 수신을 위한 두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비하고, 이는 송신을 위한 하나의 활성 안테나 요소(도 10에서 수평 해싱으로 표시됨) 및 수신을 위한 두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도 10에서 수직 해싱으로 표시됨)을 사용한다. 송수신기(303)는 송신을 위한 두 개의 안테나 포트들 및 수신을 위한 두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비하고, 이는 송신을 위한 두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수평 해싱) 및 수신을 위한 두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수직 해싱)을 사용한다. 송수신기(305)는 송신을 위한 네 개의 안테나 포트들 및 수신을 위한 두 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구비하고, 이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공통인 네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도 10에서 대각 해싱으로 표시됨) 및 단지 송신만을 위한 네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수평 해싱)을 사용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이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걸쳐 변화하는 트래픽 상태들에 대해 조정하는 방법을 예로서 도시한다.
도 11a는 도 11b 및 도 11c에 또한 도시된 시스템 배치에서 사용된 송수신기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송신 및 수신 모두에 대해 사용된 네 개의 안테나들(네 개의 송신기 안테나 포트들 및 네 개의 수신기 안테나 포트들을 제공하는) 및 송신과 수신 모두에 사용된 16 개의 활성 안테나 요소들(대각 해싱으로 표시된 박스들)을 구비한다.
도 11b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활성인 송수신기들의 각각은 전체 서비스 영역을 지나는 트래픽 밀도(D)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갖는다. 또한,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을 서빙할 수 있는 아홉 개의 송수신기들(301 내지 309) 중에서, 단지 여섯 개의 송수신기들(301 내지 306)이 활성 상태에 있고;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을 서빙할 수 있는 나머지 송수신기들은 비활성 상태에 있다. 또한, 무선 서비스의 바람직한 레벨을 활성 송수신기들에 제공하기 위하여, 단지 두 개의 안테나들이 활성이고 단지 두 개의 안테나 요소들이 피드된다.
도 11c는 도 11b로부터 변경된 시스템 상태들에 따른 트래픽 밀도에 대해 조정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고려중인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트래픽 밀도는 지리적 영역의 일부분들에서 D로부터 2D까지(즉, 도 11b에서보다 두 배 이상의 트래픽) 및 D로부터 4D까지(즉, 도 11b에서보다 네 배 이상의 트래픽) 급증했다. 그 결과, 모든 아홉 개의 송수신기들(301 내지 309)은 활성 상태로 설정된다. 송수신기들(301, 302, 303, 305)은 트래픽 밀도가 D인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부분들을 여전히 서빙하고, 그들은 서비스의 상기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안테나들 및 두 개의 안테나 요소들에 여전히 의존한다. 송수신기들(304, 307, 308)은 트래픽 밀도가 2D인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다른 부분들을 서빙한다. 이는 트래픽 밀도가 도 11b에서 D일 때, 송수신기(304) 단독으로 이전에 서빙되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부분이다. 여기서, 세 개의 활성 송수신기들(308, 304, 307)의 각각은 두 개의 안테나들 및 여덟 개의 안테나 요소들에 의존하고, 이는, 예를 들면, 더 좁은 빔 패턴들을 생성함으로써, 더 양호한 간섭 관리를 위해 지능적으로 피드된다.
유사하게는, 송수신기(306)가 도 11b에서 트래픽 밀도가 D인 영역을 이전에 서빙했지만, 트래픽 밀도가 4D로 급증하는, 도 11c의 트래픽 추정하에서 동일한 영역을 단독으로 서빙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지 않을 것이다. 송수신기들(306, 309) 모두는 여기서 활성이고, 증가하는 트래픽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각각은 네 개의 안테나들 및 16 개의 안테나 요소들에 의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그들은, 예를 들면, 더 좁은 빔 패턴들을 생성함으로써, 간섭을 지능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기술들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의 다수의 스트림들을 지원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활성화되는 통신 요소들의 수는 증가될 수 있고, 몇몇 경우들에서, 안테나 요소들의 수는 증가될 것이 예측되는 동안, 다른 경우들에서, 안테나 요소들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감소(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더 넓은 안테나 패턴을 초래)할 수 있다. 통신 요소들의 수가 감소될 때, 유사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안테나 요소들의 수에서 대응하는 감소가 없을 수 있고, 몇몇 무선 통신 요소들이 안테나 요소들의 그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몇몇 다른 무선 통신 요소들은 안테나 요소들의 그들의 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그들의 안테나 요소들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설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에 기술된 상이한 상태들에 따라 완화될 수 있다.
도 12는 스타디움에 대응하는 지리적 영역에서 송수신기 배치들의 두 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면의 좌측상의 배치는 송수신기들의 더 낮은 밀도에 대응하고(이러한 예에서 62 개의 송수신기들), 반면에 도면의 우측상의 배치는 송수신기들의 더 높은 밀도에 대응한다(이러한 예에서 124 개의 송수신기들). 송수신기들은 도 10에서 점들로 표현된다. 도시된 두 개의 배치 경우들에서, 복수의 송수신기들이 다수의 계층들로 배치되고(이러한 예에서 세 개의 계층들), 계층들은 스타디움의 둘레에 평행한 링들이고, 각각의 계층은 스타디움의 상이한 콘코스들에 로컬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계층들의 수 및 송수신기들의 수는 상이한 배치 시나리오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라 스타디움에 대한 예시적인 배치 시나리오의 도시이다. 송수신기들의 수 개의 계층들(스타디움의 둘레에 평행한 링들)은 일반적인 다수의 콘코스 스타디움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의 안테나들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각의 링을 따라 바로 아래쪽으로 마주하여(즉, 90°다운틸트) 배치된다. 요소 어레이들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링에 접선으로 정렬되고, 메인 빔의 방향은 안테나의 위치를 스타디움의 중앙에 연결하는 세그먼트를 따라 가르키는 안테나 방출 패턴(즉, 방사상으로)에 의해 생성된다. 송수신기들은 휠(wheel)이라고 불리는 유사한 스타디움의 각각의 링으로 패킹된다.
요소 어레이들은 이러한 방식(도 11을 참조)으로 배열된 둘레에 접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그들이 또한 다른 형태들일 수 있지만, 이러한 어레이들을 직사각형들로서 생각할 수 있다). 수 개의 빔들은 요소들의 어레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빔들의 수 및 그들의 형태들은 어레이들이 피드되는 방식으로 결정되지만, 항상 메인 빔이 존재한다. 어레이들의 요소들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전면은 바로 아래를 향하지만, 결과의 빔은 아직 임의의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어레이의 메인 빔은 반경으로 조정되고; 즉, 메인 빔의 주축의 평면은 어레이의 중심을 지리적 영역(예를 들면, 스타디움)의 중심에 연결하는 반경의 평면과 교차할 것이다. "예시적인 안테나 배치"를 도시하는 도 11에서, 및 또한 "커버리지 예"를 도시하는 도 14에서, "지면" 위의 결과적인 풋프린트는 결과적인 방출 패턴의 커버리지 풋프린트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원리들에 따른 하나의 배치 실시예를 사용하는 스타디움에 대한 커버리지 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송수신기들 안테나들의 방출 패턴으로부터 송수신기들 위치들(1410) 및 결과적인 풋프린트(1420)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방출 패턴에 의해 생성된 메인 빔의 방향은 반경을 따라 향한다.
도 15는 예시적인 스타디움 배치에 대한 용량 예를 도시한다. 히스토그램들은 하나 또는 네 개의 요소들을 사용하는 안테나들을 갖는, 도 14에서와 같이 배치된 62 개 및 124 개 메트로 셀들이 제공될 수 있는 동시적인 128 kbps 비디오 접속들의 수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예시적인 스타디움 배치의 주파수 재사용 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주파수 재사용(1) 및 주파수 재사용(2)을 갖는 도 14와 같이 배치된 62 개의 메트로셀들로 달성 가능한 용량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서 주파수 재사용(2) 전개를 위한 무선 상태들의 강화는 메트로셀들에 의해 제공된 빔들에 대한 증가된 SINR을 보여주는 도 16의 두 개의 커버리지 맵들을 대조함으로써 명백해진다. 이는 이러한 경우에 대하여 주파수 재사용(2) 배치로 더 높은 용량을 달성을 기초로 한다.
RF 캐리어 재사용은 RF 캐리어 재사용 N 일 수 있고, N은 이론적으로 임의의 정수일 수 있다. 실제 옵션들은 현재 10㎒ 스펙트럼에 대하여 LTE에서 N=1(1×10㎒), 2(2×5㎒), 3(3×3㎒), 6(6×1.4㎒)로 이용가능성을 제한한다. LTE 5㎒ 스펙트럼에 대하여, 단지 N=1(1×5㎒) 및 N=3(3×1.4㎒)만이 현재 가능하다. LTE 20㎒ 스펙트럼에 대하여, 현재 이용가능한 옵션들은 단지 N=1(1×20㎒), N=2(2×10㎒), N=4(4×5㎒), N=6(6×3㎒), 및 12(12×1.4㎒)이다.
도 17은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컴퓨터의 고레벨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700)는 프로세서 요소(702)(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PU) 및/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704)(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등)를 포함한다. 컴퓨터(700)는 또한 협력 모듈/프로세서(705) 및/또는 다수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들(706)(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디스플레이, 스피커, 등과 같은), 입력 포트, 출력 포트, 수신기, 송신기, 및 저장 장치(예를 들면, 테이프 드라이브, 플로피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될 수 있고(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상의 소프트웨어의 구현을 통해) 및/또는 하드웨어에서 실행될 수 있다(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및/또는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 동등물들을 사용하여)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될 수 있고(예를 들면, 특수 목적 컴퓨터를 실행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통해)) 및/또는 하드웨어에서 실행(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하드웨어 동등물들을 사용하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프로세스(705)는 여기에 논의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704)로 로딩되고 프로세서(7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협력 프로세스(705)(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포함하는)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면, RAM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드라이브 또는 디스켓, 등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컴퓨터(700)가 여기에 기술된 기능 요소들 및/또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 요소들의 부분들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범용 아키텍처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컴퓨터(700)는 무선 통신 요소의 일부, 송수신기, 송신기들, 수신기, 제어기, 사용자 디바이스, 임의의 셀룰러 네트워크 요소들, SGW, PGW, 집속 스위치, SeGW, SGSN, GGSN, 무선 통신 요소 또는 그의 일부, 송신기, 수신기, 송수신기, 제어기 등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범용 아키텍처 및 기능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방법들과 같이 여기에 논의된 단계들의 일부는, 예를 들면, 다수의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와 협력하는 회로와 같이 하드웨어 내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요소들의 부분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실행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때, 컴퓨터 명령들은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 및/또는 기술들이 실시되거나 또는 그와 달리 제공되도록 컴퓨터의 동작을 적응시킨다. 발명의 방법들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들은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미디어에 제공되고, 방송에서 데이터 스트림 또는 다른 신호 포함 매체를 통해 송신되고, 및/또는 명령들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들을 통합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이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이들 교시들을 여전히 통합하는 많은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특정한 장치 및/또는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모든 관점들에서 생각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서 기술 및 도면들에 의해서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청구항들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은 그들의 범위내에 수용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숙련자는 다수의 상기 기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이 프로그램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여기서, 몇몇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하고 명령들의 머신 실행가능하거나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되고, 상기 명령들은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또는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여기에 기술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들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단순히 예시한다. 따라서,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그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장치들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인용된 모든 예들은 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기술을 진보시키기 위해 발명자(들)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교육학적인 목적들을 위해서만 분명히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상태들에 대한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을 인용하는 여기서의 모든 진술들, 및 그의 특정 예들은 그의 동등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서들"이라고 명명된 임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수의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관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의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의 명시적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말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제한 없이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및/또는 주문형의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단지 개념적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 작용을 통해, 또는 수동으로도 실행될 수 있고, 특정 기술은 문맥으로부터 더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구현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여기서 임의의 블록들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들을 나타낸다는 것을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는, 임의의 플로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천이도들,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아니든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그와 같이 실행될 수 있는 다수의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01, 102 : 송수신기 601: 집속 스위치
701, 702 : 제어기 704 : 메모리

Claims (14)

  1.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로서,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및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상기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복수의 안테나 포트들의 각각의 안테나 포트들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의 변경을 결정할 때, 상기 제어기는 다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다수의 안테나 포트들,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요소의 방출 패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요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의 서브세트,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포트들의 서브세트,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안테나 요소들의 서브 세트, 또는 그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미래 구성 정보를 상기 서브세트에서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에 대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제 1 무선 통신 요소에 의해 사용시 무선 통신 요소 활성화 상태, 안테나 포트 활성화 상태, 안테나 요소 활성화 상태, 설계 요소 정보, 전력 레벨 설정 정보, 안테나 패턴 설정 정보, 안테나 배향 설정 정보, 및 자원들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은 상기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주변 둘레 주위의 하나 이상의 계층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계층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인접한 계층들의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은 수직 거리에 의해 분리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전면은 대략 90° 다운틸트를 갖고 배치되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은 상기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주변 둘레 주위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하나의 계층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접선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무선 통신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메인 빔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에 의해 규정된 공간의 내부로 반경을 따라 가르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2. 프로세서 및 연관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요소들의 각각의 요소들이 상기 관심 있는 지리적 영역의 트래픽 밀도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각의 무선 통신 요소의 복수의 안테나의 각각의 안테나들이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147023755A 2012-02-26 2013-02-26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22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3361P 2012-02-26 2012-02-26
US61/603,361 2012-02-26
US13/539,303 US9191956B2 (en) 2012-02-26 2012-06-30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system control to enable provision of high capacity in areas with high concentration of wireless user devices
US13/539,303 2012-06-30
PCT/US2013/027707 WO2013126923A2 (en) 2012-02-26 2013-02-26 Method & apparatus for wireless system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353A true KR20140128353A (ko) 2014-11-05
KR101622928B1 KR101622928B1 (ko) 2016-05-20

Family

ID=490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755A KR101622928B1 (ko) 2012-02-26 2013-02-26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1956B2 (ko)
EP (1) EP2817998A2 (ko)
JP (1) JP5977376B2 (ko)
KR (1) KR101622928B1 (ko)
CN (1) CN104247490B (ko)
WO (1) WO20131269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8599B1 (en) 2014-02-21 2020-10-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Joint optimiz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and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844065B2 (en) 2015-06-30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the reach of a message beacon device
JP6644660B2 (ja) * 2016-09-28 2020-02-12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基地局、移動体、管理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9174753A1 (en) * 2018-03-16 2019-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operation control
US11363678B2 (en) 2019-08-16 2022-06-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Self-optimization of mobile networks using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4052379A4 (en) * 2019-11-02 2023-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RADIO STRIPS AND ASSOCIATED CONTROL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335B1 (en) 2000-08-09 2002-06-04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load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cylindrical antenna array
US20050250503A1 (en) * 2004-05-05 2005-11-10 Cutrer David M Wireless networks frequency reuse distance reduction
KR100663414B1 (ko) * 2004-07-12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홈 랜 시스템 및 장치
EP2120493A1 (en) * 2008-03-19 2009-11-1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chanism for automated re-configuration of an access network element
US8428653B2 (en) 2008-03-31 2013-04-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Hot-spot wireless access exploiting shadowing diversity of distributed antennas
JP5256955B2 (ja) 2008-09-12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制御方法、通信特性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EP2540116A4 (en) 2010-02-24 2015-06-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IN A BASE STATION WITH SEVERAL ANTEN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7490A (zh) 2014-12-24
US9191956B2 (en) 2015-11-17
WO2013126923A3 (en) 2013-10-17
US20130225216A1 (en) 2013-08-29
CN104247490B (zh) 2018-03-27
JP2015508272A (ja) 2015-03-16
JP5977376B2 (ja) 2016-08-24
KR101622928B1 (ko) 2016-05-20
WO2013126923A2 (en) 2013-08-29
EP2817998A2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928B1 (ko) 무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485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03454B2 (en) Base station and radio unit for creating overlaid sectors with carrier aggregation
TWI489806B (zh) 用於使用主動天線陣列的虛擬扇區化之設備及方法
EP2679058B1 (en) Configuring power distribution within cooperation areas of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BRPI0912432B1 (pt) Método para selecionar e sistema de transmissão que seleciona um melhor feixe de transmissão a partir de um nó de acesso para um receptor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e sistema de comunicação
KR201900318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10603B1 (ko)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사용자 안테나 빔형성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6095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and beamforming
EP3462761B1 (en) Antenna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tenna system
US10797762B1 (en) Beamforming in massive MIMO networks
US20220191711A1 (en) Dynamic radio architecture beam pattern control
US11558093B1 (en) Dynamic beam pattern control using device velocity
US110702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a wireless network
US107856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throughput of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Yunas et al. Cell planning for outdo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in dense urban areas
US11791868B2 (en) Enhanc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with beamwidth selection and beamsteering
US20240114391A1 (en) Managing a baseband network policy
US11956766B2 (en) Hybrid beamforming
US11349532B1 (en) Utilizing SPR to manage user devices served by MU-MIMO groups
US10686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antenna serving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US12004010B2 (en) Managing a core network policy
US20230354288A1 (en) Dynamic cell shaping using load information on transmitted beam patterns
US112454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230199563A1 (en) Managing a core network poli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