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616A -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 Google Patents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616A
KR20140127616A KR20130046183A KR20130046183A KR20140127616A KR 20140127616 A KR20140127616 A KR 20140127616A KR 20130046183 A KR20130046183 A KR 20130046183A KR 20130046183 A KR20130046183 A KR 20130046183A KR 20140127616 A KR20140127616 A KR 2014012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distal end
hollow
insulating cap
spo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건
서덕화
Original Assignee
동희오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희오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희오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6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616A/en
Publication of KR2014012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6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nk of a spot welding gun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ank of a spot welding gun capable of preventing cooling water in a shank from being discharged when a tip is detached, preventing welding defect generated when the shank directly comes in contact with a base material which is an object to be spot welded, and preventing the tip from being detached due to heat expansion of the shank. To this end, the shank of a spot welding gun comprises: a shank which is mounted on an arm of a welding robot and has a hollow so that the center is penetrated; a cooling water passage which is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nk to form the passage of the cooling water; and a tip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tip end of the shank to seal the hollow.

Description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0001] Welding gun mounted on a robot for spot welding [0002]

본 발명은 스폿 용접건의 생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팁 이탈 시 생크 내부의 냉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생크가 스폿용접 대상인 모재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발생하는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크의 열팽창으로 인해 팁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폿 용접건의 생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nk of a spot welding gu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nk of a spot welding gun capable of preventing cooling water from leaking out of the shank when the tip is detached, preventing welding failure caused by direct contact of the shank with the base material, To a shank of a spot welding gun capable of preventing tip detachment due to thermal expansion of a shank.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체공정에 있어서의 용접작업은 스폿(spot)용접, CO2용접 및 미그(MIG)용접 등이 주로 이용되며, 차체의 내부 등 제한된 공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스폿용접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spot welding, CO2 welding, and MIG welding are mainly used for welding work in a vehicle body process, and spot welding is mostly used except for a limited space such as inside of a vehicle body.

이러한 스폿용접은 용접작업을 수행하는 로봇과 이 로봇에 장착된 용접건에 의하여 자동으로 용접이 이루어진다.Such spot weld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robot performing a welding operation and a welding gun mounted on the robot.

스폿용접은 전기로 인한 저항발열을 이용하는 용접으로서 극히 짧은 통전시간 내에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전기저항에 의한 열이 용접건의 전극에 발생하고 이때 전극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로봇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접건으로 이어지는 냉각수관로를 따라 냉각수를 공급하여 전극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게 된다.Spot welding is welding using resistance heat generated by electricity. Heat is generated on the electrode of welding gun due to electric resistance because welding is performed within an extremely short energization time. In this case, it is installed inside the robot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Cooling water is supplied along the cooling water conduit leading to the gun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electrode.

이러한 전극은 용접건의 암에 장착되는 생크(shank)를 통하여 팁으로 유입되어 전극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는데, 실제로 대량의 자동차 생산과정에서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종종 용접불량이 발생하여 전극이 차체 바디에 융착되어 생크에서 팁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Such an electrode flows into the tip through a shank mounted on the arm of the welding gun to cool the heat generated at the electrode. In practice, welding failure often occurs due to a complex cause in a large quantity of automobile production process, So that the tip is separated from the shank.

그리고, 생크에서 팁이 분리된 경우 냉각수 메인배관에 설치된 다이어프램의 작동으로 냉각수 공급은 차단이 되나, 냉각수 관로 내 잔여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용접기나 로봇 및 그 주변의 설비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설비 가동을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When the tip is separated from the shank, the supply of the cooling water is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diaphragm installed in the cooling water main pipe. However, since the residual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water pipe flows out to the outside, it has a serious effect on the welding machine,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must be stopped.

특히, 냉각수 유출시에는 주변설비의 쇼트로 인해 작업자가 감전 등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Especially, when the cooling water flows out,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or is exposed to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due to a short circuit of peripheral equipment.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0106691호(스폿 용접 건, 2004.12.18. 공개)가 있다.Prior art related to this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106691 (Spot Welding, Dec. 18, 2004).

본 발명은 생크의 선단을 밀폐시켜 상기 생크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부 이탈 시 상기 생크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gun mounted on a robot for spot welding capable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cooling water circulating inside the shank when the tip portion of the shank is closed by closing the tip of the shank,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크의 선단에서 팁부가 이탈할 시 상기 생크의 선단에 절연부가 구비되어 상기 생크의 선단으로 인한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ding gun mounted on a spot welding robot capable of preventing welding failure due to the tip of the shank by providing an insulating portion at the tip of the shank when the tip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ip of the shank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용접로봇의 암에 장착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생크와, 상기 생크의 중공에 구비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수관로와, 상기 생크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절연캡 및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에 결합되는 팁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robot comprising a shank mounted on an arm of a welding robot and having a hollow formed in a center thereof, a cooling water condui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nk to form a flow path for cooling water, And a tip portion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상기 생크는,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nk is characterized by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is reduced.

상기 생크는,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요홈이 구비된다.The shank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상기 절연캡은,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sulating cap is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상기 절연캡은, 상기 생크의 말단부에서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The insulating cap is coupled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at the distal end of the shank is inserted into the hollow.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절연캡의 전단부에 상기 생크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The insulating cap has a flange form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cap to cover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상기 절연캡은,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생크의 내측 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더 구비된다.The insulating cap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hank in which the hollow is formed, and a fixing portion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at a rear end of the insulation cap.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생크의 말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돌출 형성된다.In the insulating cap, a thread line corresponding to a thread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생크의 선단을 밀폐시켜 상기 생크의 선단에 결합되는 팁부 이탈 시 상기 생크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aling the tip of the shank and preventing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shank from leaking when the tip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ip of the shank.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생크의 선단에서 팁부가 이탈할 시 상기 생크의 선단에 절연부가 구비되어 상기 생크의 선단으로 인한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effect of preventing welding failure due to tip of the shank by providing an insulating portion at the tip of the shank when the tip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tip of the shank.

도 1은, 스폿용접용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절연캡을 도시한 사시도.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생크의 말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제2실시예에 따른 절연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스폿용접시 종래의 생크와 본 발명에 따른 생크의 온도를 비교한 도면.
1 schematically shows a robot for spot weldin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in FIG. 3.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comparing the temperatures of a conventional shank and a sh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spot welding; Fig.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스폿용접용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절연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생크의 말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스폿용접시 종래의 생크와 본 발명에 따른 생크의 온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sulation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ulation ca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ulating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spot welding. Fig. Of the sh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5, a welding gun mounted on a robot for spot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용접로봇(1)의 암(10)에 장착되며, 내부에는 중공(21)이 형성되는 생크(20)와, 상기 생크(20)의 중공(21)에 구비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수관로(30)와,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21)을 밀폐하는 절연캡(50) 및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에 결합되는 팁부(40)를 포함한다.A shank 20 mounted on the arm 10 of the welding robot 1 and having a hollow 21 formed therein and a cooling water supply pipe 21 provided in the hollow 21 of the shank 20 for forming a flow path of cooling water, An insulating cap 50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shank 20 to seal the hollow 21 and a tip 4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상기 용접로봇(1)은 복수의 관절로 연결되는 암(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부와 각종 센서에 의해 차체에 스폿용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elding robot 1 is provided with an arm 1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joints. The welding robot 1 performs spot welding on the vehicle body by a control unit and various sensors. Since this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상기 생크(20)는 내부에 상기 중공(21)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hollow (21) is formed in the shank (20)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can flow.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는 상기 팁부(40)가 결합되고, 상기 용접로봇(1)의 암(10)에는 말단부에 팁부(40)가 결합된 생크(20)가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장착되어 스폿용접 대상물이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서로 마주하는 상기 생크(20)가 상기 대상물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팁부(40)가 대상물의 외면에 접촉되면 전기를 통전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게 된다.The tip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the shank 20 having the tip portion 40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10 of the welding robot 1 is paired When the spot welding object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 shank 20 facing each oth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bject. When the tip portion 4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object,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perform spot welding.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생크(20)와 팁부(40)는 발열되는데, 상기 중공(21)에서 상기 냉각수관로(30)에 의해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생크(20)와 팁부(40)를 냉각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generate heat. Cool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hollow 21 to the cooling water conduit 30 to cool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

그러나, 상기 팁부(40)는 대상물을 용접하고 난 후 상기 생크(20)가 다시 원위치 됨에 따라 생크(20)의 말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생크(20)와 함께 원위치 되어야 하는데, 상기 팁부(40)가 대상물에 융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However, the tip portion 40 must be repositioned with the shank 20 while being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s the shank 20 is repositioned after the object is welded. The tip portion 40 May be welded to the object.

이 때, 상기 생크(20)의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가 상기 팁부(40)가 생크(20)의 말단부에서 이탈함에 따라 누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은 상기 절연캡(50)을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shank 20 may leak as the tip portion 40 is detach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In the welding gun mounted on the spot weld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blem is solved by providing the insulating cap (50).

상기 생크(20)는 내부에서 그 말단부까지 이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중공(21)이 형성되며,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에 상기 팁부(40)가 결합된다.The shank 20 has a hollow 21 formed therein so as to extend from the inside to the distal end thereof. The tip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그리고,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와 팁부(40) 사이에는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절연캡(50)이 구비된다.An insulating cap 50 is insert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the tip 40 to be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여기에서,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은 그 직경이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된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is provided in a tapered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이에 따라, 상기 생크(20)에 상기 팁부(4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과 상기 팁부(40)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하여 통전은 가능하고 열 전달율은 저하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tip portion 40 to the shank 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상기 팁부(40)를 결합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면 상기 생크(20)와 팁부(40)가 발열되는데 이들의 열팽창에 의해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서 팁부(40)가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팁부(40)와 생크(20)의 말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 또는 냉각수가 팽창하여 상기 부에서 팁부(40)가 이탈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상기 팁부(40)가 이탈시 상기 절연캡(50)이 생크(20)의 중공(21)을 밀폐하여 냉각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ip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spot welding is performed,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generate heat.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at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Or the cooling water may expand in a space between the tip portion 40 and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to cause the tip portion 40 to detach from the portion. The insulation cap 50 seals the hollow 21 of the shank 20 to prevent leakage of the cooling water.

그리고,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에는, 상기 중공(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요홈(23)이 더 구비된다.The shank 20 further includes a groove 2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21.

또한,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와 상기 팁부(4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기체들이 스폿용접시 열에 의해 팽창할 때 상기 요홈(23)을 통하여 기체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되어 상기 생크(20)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팁부(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gas, which may exist in the spac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the tip 40, expands due to heat during spot welding, the gas can escape through the groove 2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p portion 4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은,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상기 절연캡(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gun mounted on the robot for spot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cap (50) is further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절연캡(50)의 일실시예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서 상기 절연캡(50)의 후단부가 상기 중공(21)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상기 절연캡(50)은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된다.2 through 5, the insulative cap 5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5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 at a distal end of the shank 20, The insulating cap 50 is coupl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즉, 상기 절연캡(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중공(21)에서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insulating cap 5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ank 2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hank 20, thereby preventing the cooling water from leaking from the hollow 21.

이와 같이, 상기 절연캡(50)이 생크(20)의 말단부 외면이 아니라, 상기 중공(21)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와 팁부(40) 사이의 통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The insulating cap 5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21 rat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20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

상기 절연캡(50)의 전단부에는 상기 생크(20)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플랜지(51)를 형성한다.A flange 51 covering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ulating cap 50.

상기 중공(21)에 상기 절연캡(50) 삽입 시, 상기 플랜지(51)는 절연캡(50)이 중공(21)에 삽입되는 길이를 한정하며, 특히, 상기 생크(20)의 말단부가 스폿용접 대상물, 즉 모재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불량을 방지하게 된다.The flange 51 defines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cap 50 inserted into the hollow 21 when the insulation cap 5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 That is,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ereby preventing welding failure.

상기 절연캡(50)은, 상기 중공(21)이 형성되는 생크(20)의 내측 벽면에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캡(50)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턱(22)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52)가 더 구비된다.The insulating cap 50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protrusion 22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hank 20 in which the hollow 21 is formed, And a fixing portion 52 which can be locked and fixed.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중공(21)에 절연캡(50)의 후단을 삽입하면,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상기 플랜지(51)가 걸리면서 절연캡(50)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게 되고, 상기 고정부(52)가 중공(21)에 형성되는 걸림턱(22)에 걸림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공(21) 내부에서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중공(21)으로부터 상기 절연캡(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5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 the flange 51 is caught by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thereby limiting the depth at which the insulating cap 50 is inserted And the fixing part 52 is fastened to the latching protrusion 22 formed on the hollow 21 so that the insulation cap 50 is separated from the hollow 21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cooling water in the hollow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캡(50)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절연캡(50)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생크(20)의 말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24)에 대응되는 나사선(53)이 돌출 형성된다.5,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sulating cap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50, a screw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24 are protruded.

즉, 상기 중공(21) 중 생크(20)의 말단부 내측면에는 나사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캡(50) 중 상기 중공(21)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홈(24)에 대응되는 나사선(53)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캡(50)을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thread groove 24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20 of the hollow 21,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cap 50,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 A thread 53 is projected. Accordingly, the insulating cap 5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nk 20 by fastening screws.

본 발명은, 상기 생크(20)로부터 상기 팁부(40)가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용접로봇(1)이 계속하여 스폿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생크(20)가 아닌 상기 절연캡(50)이 스폿용접을 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외면에 접촉되는데, 전기의 통전을 이용하는 스폿용접의 특성 상 상기 생크(20)로부터 팁부(40)가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절연캡(50)으로 인하여 전기의 통전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welding robot 1 continues the spot welding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tip portion 40 is detached from the shank 20, the insulating cap 50, not the shank 20, In the state in which the tip portion 40 is detached from the shank 20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spot welding using electric current,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insulator 50 due to the insulation cap 50 It becomes impossible to prevent welding defects.

도 6은, 스폿용접시 종래의 생크(20)와 본 발명에 따른 생크(20)의 온도를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하여 비교한 도면이다.Fig. 6 is a chart comparing the temperatures of the conventional shank 20 and the shan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during spot welding.

도 6의 (a)는 종래의 생크(20)를 이용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고 난 후의 팁부(40)와 스폿용접의 대상물인 모재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크(20)를 이용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고 난 후의 팁부(40)와 스폿용접의 대상물인 모재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6 (a) is a view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tip portion 40 after the spot welding is performed using the conventional shank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which is an object of spot welding. FIG. 6 (b) The temperature of the tip portion 40 after the spot welding is performed using the shan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which is an object of spot welding.

도 6의 (a)와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폿용접을 하기 전의 종래의 팁부(40)와 본 발명에 따른 팁부(40)의 온도는 16.1℃로 모두 동일하였다.6 (a) and 6 (b), the temperature of the conventional tip portion 40 before spot welding and the tip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all the same at 16.1 캜.

스폿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난 후의 종래의 팁부(40) 온도는 21.3℃로 스폿용접을 수행하기 전보다 약 5.2℃가 상승하였고, 본 발명의 팁부(40) 온도는 21.6℃로 스폿용접을 수행하기 전보다 약 5.5℃가 상승하였다.The conventional tip portion 40 temperature after performing the spot welding operation rose to about 5.2 캜 before the spot welding was performed at 21.3 캜 and the temperature of the tip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21.6 캜 before the spot welding was performed Lt; / RTI >

즉, 스폿용접을 수행하고 난 후의 종래의 팁부(40)와 본 발명에 따른 팁부(40)의 온도 차이는 약 0.3℃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생크(20)는 상기 절연캡(50)에 의해 중공(21)이 폐쇄되어 상기 팁부(40)까지 냉각수가 유입되지 않더라도 냉각효과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tip portion 40 after the spot welding is performed and the tip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0.3 占 폚, and the shan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by the insulating cap 50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oling effect even if the hollow 21 is closed and the cooling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tip portion 40.

그리고, 종래의 팁부(40)를 이용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고 나서 측정한 모재의 온도는 103.8℃이고, 본 발명에 따른 팁부(40)를 이용하여 스폿용접을 수행하고 나서 측정한 모재의 온도는 111.5℃로써, 스폿용접의 대상물인 모재의 온도 또한 그 차이가 7.7℃로서 미미하였고, 이 정도의 차이는 스폿용접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미미한 온도차임을 알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measured after performing the spot welding using the conventional tip portion 40 is 103.8 캜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measured after performing the spot welding using the tip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which is an object of spot welding, was also insignificant at 7.7 ° C at 111.5 ° C, and this difference was found to be a small temperature difference that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 spot welding.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생크(20) 및 팁부(40)를 이용한 스폿용접 방식에 대비하여 동일한 냉각효율 및 스폿용접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생크(20)의 말단부에서 생크(20)에 결합되어 중공(21)을 밀폐하는 절연캡(5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팁부(40) 이탈 시 상기 생크(20) 내부의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어 용접기나 로봇 및 그 주변의 설비 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작업자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welding gun mounted on the robot for spot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ame cooling efficiency and spot welding quality in comparison with the spot weld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shank 20 and the tip portion 40 And an insulating cap 50 which is coupled to the shank 20 at the distal end of the shank 20 and seals the hollow 21 is provided so that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shank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or the like of a worker from leaking to a welder, a robot and facilities around the robot,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팁부(40)가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절연캡(50)이 통전을 차단하여 스폿용접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팁부(40)가 이탈하였음을 신속히 감지할 수 있고, 용접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tip portion 40 is detached, the insulation cap 50 is cut off from the current supply to prevent spot weld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at the tip portion 40 is detached, There is also an effect.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limita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용접로봇
10 : 암
20 : 생크
21 : 중공
22 : 걸림턱
23 : 요홈
24 : 나사홈
30 : 냉각수관로
40 : 팁부
50 : 절연캡
51 : 플랜지
52 : 고정부
53 : 나사선
1: welding robot
10: Cancer
20: Shank
21: hollow
22: hanging jaw
23: Groove
24: screw groove
30: Cooling water pipe
40: Tip
50: Insulation cap
51: Flange
52:
53: thread

Claims (7)

용접로봇의 암에 장착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생크;
상기 생크의 중공에 구비되어 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수관로;
상기 생크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을 밀폐하는 절연캡; 및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에 결합되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A shank mounted on the arm of the welding robot and having a hollow through the center;
A cooling water conduit provided in the hollow of the shank to form a flow path of the cooling water;
An insulating cap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shank to seal the hollow; And
And a tip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ferably,
Wherein the shank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is reduc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크는,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요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ferably,
And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hank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생크의 말단부에서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상기 생크의 말단부 외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cap comprises:
And a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at the distal end of the shank is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Wherein the shank is coupled to cover an outer surface of a distal end of the shank.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절연캡의 전단부에 상기 생크의 말단부를 커버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insulating cap comprises:
And a flange covering a distal end of the shank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insulating ca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생크의 내측 벽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턱에 걸림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ulating cap comprises:
And a secur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hank for forming the hollow and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engaging jaw at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Welding gu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은,
상기 절연캡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생크의 말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대응되는 나사선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용 로봇에 장착되는 용접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sulating cap comprises:
Wherein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a thread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a distal end of the shank is protruded from an outer surface of a rear end of the insulating cap.
KR20130046183A 2013-04-25 2013-04-25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KR201401276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183A KR20140127616A (en) 2013-04-25 2013-04-25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183A KR20140127616A (en) 2013-04-25 2013-04-25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616A true KR20140127616A (en) 2014-11-04

Family

ID=5245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183A KR20140127616A (en) 2013-04-25 2013-04-25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6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579B1 (en) * 2023-12-18 2024-03-18 주식회사 피엠씨 Spot welder welding rod assembly that improves coolant lea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579B1 (en) * 2023-12-18 2024-03-18 주식회사 피엠씨 Spot welder welding rod assembly that improves coolant lea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2519A1 (en) Welding joint and welding method for same, welding device, welding joint, resin pipe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KR101696872B1 (en) Plasma gun device for plasma spray system and plasma spray spr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CA2952548C (en) Forming system and forming method
CN105849522A (en) Pipe fittings allowing non-destructive pressure testing of integrity of seals
US20150245414A1 (en) Connector for a fluid line
KR20140127616A (en)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CN104439662A (en) Electrode structure for plasma cutting torches
JP2007098467A (en) Welding equipment and welding method for projection nut
KR20140127614A (en)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KR20140127613A (en)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CN112976592A (en) Electric hot melting pipe fitting device with water pipeline and electric hot melting welding method with water pipeline
CN105799636A (en) Sealing structure between gas generator shell and igniter
KR20140127615A (en) Welding gun for spot welding robot
JP3141006U (en) Water cooling device for gas shield nozzle for gas shielded arc welding
CN102513668A (en) Welding gun head for inner hole of sharp quenching heat exchanger
KR101553217B1 (en) Stud welding apparatus
KR101037654B1 (en) Electric heat fusion type synthetic resin pipe
JP2013128943A (en) Plasma torch
KR200484970Y1 (en) Welding torch cable
KR200472544Y1 (en) A Cooling Device For Welding
CN216672574U (en) Connecting structure of cable accessory and cable metal sheath
CN218964313U (en) Automatic TIG (tungsten inert gas) welding device suitable for various grooves
CN204524516U (en) The welding gun of automobile reparation
CN114188897A (en) Cable accessory and cable metal sheath processing method
KR102198969B1 (en) Plasma torch with protruding front electrode protec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