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72A -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 Google Patents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72A
KR20140127072A KR1020130045622A KR20130045622A KR20140127072A KR 20140127072 A KR20140127072 A KR 20140127072A KR 1020130045622 A KR1020130045622 A KR 1020130045622A KR 20130045622 A KR20130045622 A KR 20130045622A KR 20140127072 A KR20140127072 A KR 20140127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ubstrate
electrode
phase modulation
modu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스옵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스옵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스옵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04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072A/ko
Publication of KR2014012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6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ractive optical elements, e.g. prism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과 전후 광의 휘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모듈을 위하여,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제1전극과, 상기 제1기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Phase modulation unit for stereoscopic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tical module for stereoscopic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가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의료영상, 게임, 광고, 교육, 군사 등 여러 분야에서 이러한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해상도 TV가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장래에는 입체로 TV를 시청할 수 있는 입체형 TV의 대중화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은 전극층의 두께가 두꺼워 광이 통과할 때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과 전후 광의 휘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제1전극과, 상기 제1기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은 액티브 에어리어일 수 있다.
상기 제2기판은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4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4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3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3영역은 액티브 에어리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선편광 유닛과, 상기 선편광 유닛을 통과한 광을 다시 편광시킬 수 있는 전술한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을 갖는 제1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얇게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두껍게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통과 전후 광의 휘도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 영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입체 영사 시스템은 프로젝터(300), 스크린(400) 및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 영사 시스템을 통해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시청자는 안경(500)을 착용할 필요도 있다. 프로젝터(300)에서 나온 광은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을 통과하여 스크린(400)에 투사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는 안경(500)을 통해 스크린(400)에 투사된 영상을 봄으로써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의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은 선편광 유닛 및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면하면,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은 제1위상변조 유닛(110), 제2위상변조 유닛(120) 및 선편광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위상변조 유닛(110), 제2위상변조 유닛(120) 및 선편광 유닛(130)에 대하여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되는 광이 통과하는 순서인 선편광 유닛(130), 제2위상변조 유닛(120) 및 제1위상변조 유닛(110) 순으로 설명한다.
선편광 유닛(130)은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되는 광 경로(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편광 유닛(130)은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된 광을 일 방향으로 선편광시키는 선편광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상변조 유닛(120) 및 제1위상변조 유닛(110) 역시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되는 광 경로(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위상변조 유닛(120)과 제1위상변조 유닛(110)은 선편광 유닛(130)을 통과한 광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상변조 유닛(110)은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입사된 광을 시계방향으로 원편광시키거나 그대로 통과시키는 LC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위상변조 유닛(120)은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입사된 광을 반시계방향으로 원편광시키거나 그대로 통과시키는 LC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예컨대, 프로젝터(300)에서 좌안용 이미지 광을 방출할 시, 해당 광은 선편광 유닛(130)을 통과해 선편광될 수 있고, 이후 사전설정된 제1전기적신호가 인가된 제2위상변조 유닛(120)을 통과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원편광되고(특정 방향으로 1/4 파장 위상지연되고) 사전설정된 제2전기적신호가 인가된 제1위상변조 유닛(110)을 통과하면서는 편광의 변화 없이 그대로 통과하여 스크린에 투영될 수 있다. 프로젝터(300)에서 우안용 이미지 광을 방출할 시에는, 해당 광은 선편광 유닛(130)을 통과해 선편광될 수 있고, 이후 사전설정된 제2전기적신호가 인가된 제2위상변조 유닛(120)을 통과하면서 편광의 변화 없이 그대로 통과하고 사전설정된 제1전기적신호가 인가된 제1위상변조 유닛(110)을 통과하면서는 시계방향으로 원편광되어(다른 특정 방향으로 1/4 파장 위상지연되어) 스크린에 투영될 수 있다.
결국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는 스크린에 투영될 시 상이한 편광 상태로 투영될 수 있으며, 시청자는 그러한 편광의 차이를 이용하여 좌안에는 좌안용 이미지만 들어오고 우안에는 우안용 이미지만 들어오도록 하는 안경을 착용함으로써, 입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1위상변조 유닛(110), 제2위상변조 유닛(120) 또는 선편광 유닛(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안티리플렉션 글라스(antireflection glass, 115) 또는 안티리플렉션 필름(antireflection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편광 유닛(130) 중 선편광판의 양면에 안티리플렉션 글라스(115)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위상변조 유닛(110) 및 제2위상변조 유닛(120)의 LC패널(111, 121)의 양면에 각각 안티리플렉션글라스(115)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위상변조 유닛(110)만 안티리플렉션 글라스(115) 또는 안티리플렉션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위상변조 유닛(120) 또는 선편광 유닛(130)만 안티리플렉션 글라스(115) 또는 안티리플렉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대해서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다른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1위상변조 유닛(110), 제2위상변조 유닛(120) 또는 선편광 유닛(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티리플렉션 글라스(115) 또는 안티리플렉션 필름을 포함하여,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되어 위상변조 유닛들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를 감소시켜 보다 선명하고 밝은 영상을 스크린(400)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은 중 LC패널을 갖는 어느 하나는 광의 통과 전후 휘도 변화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중 어느 한 LC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시된 LC패널은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중 어느 한 위상변조 유닛에 구비되거나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위상변조 유닛 및/또는 제2위상변조 유닛은 도 3에 도시된 LC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이 제1위상변조 유닛 및 제2위상변조 유닛 이외에 다른 LC패널을 포함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제1위상변조 유닛(1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은 제1기판(1100)과 제1기판(1100)에 배치된 제1전극(1130) 및 제2기판(1200)과 제2기판(1200)에 배치된 제2전극(1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중 LC패널은 제1기판(1100), 제1전극(1130), 제2기판(1200) 및 제2전극(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00)과 제2기판(120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0) 및 제2기판(1200)은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된 광(200)을 통과시키므로 투명할 수 있다. 이때,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된 광(200)은 제1기판(1100)에서 제2기판(1200)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즉, 제1기판(1100) 또는 제2기판(1200) 중 어느 것이 프로젝터(300)에 가깝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1기판(1100) 및 제2기판(1200)은 TFT를 포함하는 TFT기판일 수 있다.
제1전극(1130)은 제1기판(1100) 배치될 수 있고, 제2전극(1140)은 제2기판(1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130) 및 제2전극(1140)은 상호 마주하도록 제1기판(1100) 및 제2기판(120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극(1130) 및 제2전극(114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일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광 투과성 도전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제1기판(1100)과 제1전극(1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제2기판(1200) 및 제2전극(11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제1전극(1130)과 제2전극(1140) 사이에 액정층(130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1100)과 제1전극(1130)은 프로젝터(300)에서 방출된 광(200)이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광(200)은 제1기판(1100)과 제2기판(1200)을 통과하기 전의 휘도와, 통과한 후의 휘도가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전극(113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극의 두께와 저항은 반비례관계이므로 제1전극(1130)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저항이 높아져,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전극(1130)의 두께를 제1기판(1100)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제1기판(1100)은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을 가지고, 제1영역(1110)에 배치된 제1전극(1130)의 두께(1131)와 제2영역(1120)에 배치된 제1전극(1130)의 두께(1132)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은 제1영역(1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컨대,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1100)의 중앙부에 외각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은 이러한 제1영역(1110)을 감싸며 제1기판(1100)의 외각 영역일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의 경계선이 제1기판(1100)을 가로지르도록,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이 분할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은 액티브 에어리어일 수 있다.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광은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을 통과하여 스크린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방출된 광(200)은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중 특히 액티브 에어리어를 통과할 수 있다. 제1영역(1110)과 액티브 에어리어와의 상세한 관계는 후술한다.
제1전극(1130)은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배치되며, 제2영역(1120)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1132)(이하 제2두께)가 제1영역(1110)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1131)(이하 제1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110)이 액티브 에어리어면, 제1전극(1130)의 제1두께(1131)를 제2두께(1132)보다 얇게 하여, 제1전극(1130)을 통과 전후 광의 휘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130)의 제2두께(1132)를 제1두께(1131)보다 두껍게 하여, 제1전극(1130)의 전체적인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전극(1130)의 전체적인 저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에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를 절감하거나 최소한 종래와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전극(1130)의 두께만을 차등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제2전극(1140)의 두께도 차등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제2기판(1200)은 제3영역(1210)과 제4영역(1220)을 포함하고, 제4영역(1220)은 제3영역(12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여기서 제2기판(1200)의 제3영역(1210)은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에 대응하고, 제2기판(1200)의 제4영역(1220)은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기판(1200)의 제3영역(1210)과 제4영역(1220)은 전술한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전극(1140)은 제3영역(1210)에 제4영역(1220)에 배치되며, 제4영역(1220)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1142)(이하 제4두께)가 제3영역(1210)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1141)(이하 제3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제2전극(1140)의 제3두께(1141)는 제1전극(1130)의 제1두께(1131)에 대응하고, 제2전극(1140)의 제4두께(1142)는 제1전극(1130)의 제2두께(1132)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1140)의 제3두께(1141)와 제4두께(1142)는 전술한 제1전극(1130)의 제1두께(1131)와 제2두께(113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영역(1110)과, 제1영역(1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1120)을 갖는 제1기판(1100)을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1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에어리어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120)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1132)가 제1영역(1110)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1131)보다 두껍게 제1전극(1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을 갖는 제1기판(1100)을 준비하는 단계는 각 실시예에서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하고, 제1전극(1130)을 형성하는 단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전극(1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영영에 전극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두께(1131)가 일정하게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두께(1132)가 일정하게 전극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전극(1130)은 제1두께(1131)보다 두꺼운 제2두께(113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전극(1130)은 기존 전극층 위에 전극층을 더 형성하므로 층이 질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물질을 전극층으로 사용하므로, 제1전극(1130)은 층이 없고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극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ITO 전극물질을 제1기판(1100)에 스퍼터링으로 증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극층 형성방법은 스퍼터링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전극(1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1120)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얇게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에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두께가 제2두께(1132)로 일정하게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에 두께가 제1두께(1131)로 일정하게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각각 전극층을 형성하여 제1전극(1130)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전극(1130)은 제1두께(1131)보다 두꺼운 제2두께(1132)를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1전극(11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영역(1110)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영역(1110)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두껍게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에 두께가 제1두께(1131)로 일정하게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기판(1100)의 제2영역(1120)에 두께가 제2두께(1132)로 일정하게 전극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기판(1100)의 제1영역(1110)과 제2영역(1120)에 각각 전극층을 형성하여 제1전극(1130)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전극(1130)은 제1두께(1131)보다 두꺼운 제2두께(1132)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제조방법은 제1전극(1130)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전극(1140)을 형성하는 방법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 제조방법들에 따르면, 용이하고 빠르게 두께가 다른 제1전극(11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10)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을 포함하는, 입체 영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 영사 시스템은 프로젝터(300),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 및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입체 영사 시스템은 스크린(400)이나 시청자가 착용하는 안경(500)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 영사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10)을 구비하여, 스크린에 투사된 광의 휘도가 높아, 선명한 이미지를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에서 휘도가 감소되지 않아, 적정한 휘도를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가 필요치 않다. 그리고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100)에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100: 입체영항용 위상변조 유닛
110: 제1위상변조 유닛 120: 제2위상변조 유닛
130: 선편광 유닛 1100: 제1기판
1110: 제1영역 1120: 제2영역
1130: 제1전극 1131: 제1두께
1132: 제2두께 1140: 제2전극
1141: 제3두께 1142: 제4두께
1200: 제2기판 1210: 제3영역
1220: 제4영역

Claims (9)

  1.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을 갖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의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제1전극;
    상기 제1기판에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과 마주하는 제2전극;
    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은 액티브 에어리어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제3영역과, 상기 제3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4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4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4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3영역에 배치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 액티브 에어리어인,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5.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선편광 유닛; 및
    상기 선편광 유닛을 통과한 광을 다시 편광시킬 수 있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을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6.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영역을 갖는 제1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더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얇게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전극층보다 두껍게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2영역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제조방법.
KR1020130045622A 2013-04-24 2013-04-24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KR20140127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22A KR20140127072A (ko) 2013-04-24 2013-04-24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22A KR20140127072A (ko) 2013-04-24 2013-04-24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2A true KR20140127072A (ko) 2014-11-03

Family

ID=52451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22A KR20140127072A (ko) 2013-04-24 2013-04-24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0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461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7515340B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TWI414846B (zh)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KR2016009215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9057909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device
US11002983B2 (en) Switching parallax barr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on a blocking region and a transmitting region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772500B2 (en) Double-layered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apparatus
US20140049706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GB2486935A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lenticular lens for preventing 3D crosstalk
KR20150092424A (ko) 표시 장치
US8730576B2 (en) Microretarder film
US9967552B2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panel
TWI467245B (zh) 顯示裝置及液晶透鏡
KR20150048528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US9134541B2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active switchable retarder
US9081198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stereo display device
US9983445B2 (en) Liquid crystal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liquid crystal lens panel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US9104063B2 (en) 3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127072A (ko) 입체영상용 위상변조 유닛,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광학 모듈
KR101851627B1 (ko) 렌티큘러 어레이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54746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JP4275589B2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50072175A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30017887A (ko) 위상 지연 값을 서로 상쇄하도록 배치된 기판을 구비한 액티브 리타더를 사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