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095A - 분전함 - Google Patents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095A
KR20140126095A KR20130044194A KR20130044194A KR20140126095A KR 20140126095 A KR20140126095 A KR 20140126095A KR 20130044194 A KR20130044194 A KR 20130044194A KR 20130044194 A KR20130044194 A KR 20130044194A KR 20140126095 A KR20140126095 A KR 2014012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upport
fuse holder
fixed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근
전윤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3004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095A/ko
Publication of KR2014012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대용량 부하 장비를 수용할 수 있고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양극 동대와 음극 동대를 중첩되지 않게 설치하여 사고 위험 요소를 제거한 분전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전함은,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휴즈 홀더;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질러 고정된 제 1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즈 홀더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휴즈 홀더의 타 측에 연결되는 휴즈 동대; 상기 휴즈 동대와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 2 휴즈 홀더들을 포함하고 각 제 2 휴즈 홀더는 상기 음극 휴즈 동대로부터 전류를 분배받는 휴즈 홀더 배열;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3 지지대에 고정되는 양극 메인 동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전함{CABINET PANEL}
본 발명은 전기를 공급하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분전함은 산업설비 회로 및 건물의 옥내외 회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의 용량에 맞게 배분하는 전로의 인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로 그 내부에 내부 기기(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등)로 구성되어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회로를 주모선으로부터 차단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는 전기조절 장치이다. 설치 장소로는 건물의 옥내외 내벽, 외벽 또는 별도의 방에 설치하고 사고에 대비 수시로 분전함 내부를 점검 유지 관리하고 있다.
종래의 분전함은 대용량 부하를 수용하기에는 휴즈 용량이 부족하고, 내부 작업 공간이 협소하며, 또한 양극 동대와 음극 동대가 동일 위치에 있고 분전함 측면은 비절연 철판을 사용하여 작업시 휴먼 에러로 고장이 수시로 발생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20-0377311(2005.03.1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용량 부하 장비를 수용할 수 있고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양극 동대와 음극 동대를 중첩되지 않게 설치하여 사고 위험 요소를 제거한 분전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전함은,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휴즈 홀더;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질러 고정된 제 1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휴즈 홀더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휴즈 홀더의 타 측에 연결되는 휴즈 동대; 상기 휴즈 동대와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 2 휴즈 홀더들을 포함하고 각 제 2 휴즈 홀더는 상기 음극 휴즈 동대로부터 전류를 분배받는 휴즈 홀더 배열;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3 지지대에 고정되는 양극 메인 동대;를 포함한다.
상기 분전함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와 상기 양극 메인 동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와 상기 양극 메인 동대를 격리하는 격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전함은 상기 제 1, 2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휴즈 홀더 배열을 고정하는 제 3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메인 동대는 두 개이며 각 음극 메인 동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음극 메인 동대에는 평행한 두 개의 제 1 휴즈 홀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제 1 휴즈 홀더에 대해 하나의 휴즈 동대가 연결되어 총 두 개의 휴즈 동대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휴즈 동대의 양 측면에 하나씩의 상기 휴즈 홀더 배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절연체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전함 내부의 휴즈 용량을 증설하여 대용량 통신 장비를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양극 동대와 음극 동대를 분리 설치하여 작업 중 휴먼 에러를 사전에 예방하여 사고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평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전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분전함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1)을 포함하고, 그 프레임(1) 내에 통신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은 철제이다. 프레임(1) 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분전함의 상부로 입출력 케이블이 인입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을 전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로부터 음극 메인 동대(2)가 평행하게 두 개 배치되고, 각 음극 메인 동대(2)의 중간 부분에는 홀 전류 센서(hall current sensor)(8)가 배치된다. 홀 전류 센서(8)는 음극 메인 동대(2)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최대 1200A의 전류 계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음극 메인 동대(2)의 말단부에는 두 개의 대용량 휴즈 홀더(7)가 연결된다. 각 대용량 휴즈 홀더(7) 내에는 대용량의 휴즈가 설치되고, 그 휴즈는 630A 용량의 휴즈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휴즈 홀더(7) 4 개가 평행하게 음극 메인 동대(2)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대용량 휴즈 홀더(7)에 연결되고 그 한 쌍의 대용량 휴즈 홀더(7)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음극 휴즈 동대(3)가 상기 한 쌍의 대용량 휴즈 홀더(7)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두 개의 음극 휴즈 동대(3)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음극 휴즈 동대(3)는 음극 메인 동대(2)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로 분배한다.
각 음극 휴즈 동대(3)의 측면에는 음극 휴즈 동대(3)와 평행하게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들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들은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으로 배열된다. 즉, 각 음극 휴즈 동대(3)의 측면에 음극 휴즈 동대(3)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를 따라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를 배열하여 설치한다. 복수 개의 휴즈 홀더(9) 각각에 들어가는 휴즈는 30A ~ 160A 용량을 갖고, 음극 휴즈 동대(3)로부터 전류를 분배받는다. 이때 휴즈 홀더(9) 간의 간격은 65mm로서, 기존보다 간격이 확장되었다.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를 이하에서는 휴즈 홀더 배열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 내 구성요소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세 개의 지지대(11-1, 11-2, 11-3)가 설치된다. 첫 번째 지지대(11-1)는 음극 메인 동대(2)의 후면에 설치되어 음극 메인 동대(2)를 고정 및 지지한다. 음극 메인 동대(2)는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첫 번째 지지대(11-1)에 고정된다. 두 번째 지지대(11-2)는 휴즈 홀더 배열(9)의 상단 및 음극 휴즈 동대(3)의 후면에 설치된다. 두 번째 지지대(11-2)는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두 번째 지지대(11-2)에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 휴즈 동대(3)는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상기 두 번째 지지대(11-2)에 고정 설치된다. 세 번째 지지대(11-3)는 휴즈 홀더 배열(9)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11-1, 11-2, 11-3)는 분전함의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프레임(1) 내를 가로지르는 막대 형태로서 동대, 철가류 등을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대(11-1, 11-2, 11-3)는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서로 수직 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메인 동대(2) 및 대용량 휴즈 홀더(8)의 후면에는 격리판(12)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격리판(12)은 사각 형상으로 상기 첫 번째 지지대(11-1)로부터 상기 두 번째 지지대(11-2) 간의 간격만큼의 높이를 갖고 프레임(1)에 고정된다. 격리판(12)은 전면에 설치된 음극 메인 동대(2)와 후면에 설치된 양극 메인 동대(도 1에는 미도시)를 서로 격리하는 것으로, 절연체를 사용한다.
또한, 프레임(1)의 내부면에는 절연체가 부착되어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후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후면부에 하나의 양극 메인 동대(4)를 포함한다. 양극 메인 동대(4)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의 후면에는 각각 그 양극 메인 동대(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1-1, 21-2)가 설치된다. 지지대(21-1, 21-2)는 막대 형태로서 분전함의 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고, 양극 메인 동대(4)는 지지대(21-1, 21-2)에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도 2에 있어서 양극 메인 동대(4)의 아래 부분(2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휴즈 홀더 배열(9)의 후면부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휴즈 홀더 배열(9)은 복수 개의 휴즈 홀더들이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으로 배열된다. 즉, 수직으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를 따라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를 배열하여 설치한다. 복수 개의 휴즈 홀더(9) 내의 휴즈 각각은 30A ~ 160A 용량을 갖는다. 이때 휴즈 홀더(9) 간의 간격은 65mm로서, 기존보다 간격이 확장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의 후면부에 접지 부스바(6)가 프레임(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접지 부스바(6)는 양극 메인 동대(4)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접지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 메인 동대(2) 및 대용량 휴즈 홀더(8)의 후면에는 격리판(12)이 설치된다. 그 격리판(12)은 도 2에 도시된 양극 메인 동대(4)의 후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서 보았을 때 격리판(12)은 사각 형상으로 양극 메인 동대(4)를 지지하는 지지대(21-1)와 지지대(21-2) 간 간격만큼의 높이를 갖는다. 즉, 격리판(12)은 전면에 설치된 음극 메인 동대(2)와 후면에 설치된 양극 메인 동대(4)를 서로 격리하는 것으로, 절연체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의 전면부에는 음극 메인 동대(2)가 설치되고 후면부에는 양극 메인 동대(4)가 설치되며, 음극 메인 동대(2)와 양극 메인 동대(4) 사이에는 격리판(12)이 설치된다. 즉 음극 메인 동대(2)와 양극 메인 동대(4)는 격리판(12)으로 서로 격리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메인 동대(2)의 중간 부분에는 홀 전류 센서(hall current sensor)(8)가 배치된다. 그리고 각 음극 메인 동대(2)의 말단부에는 대용량 휴즈 홀더(7)가 연결된다. 대용량 휴즈 홀더(7) 내에는 대용량의 휴즈가 설치되고, 그 휴즈는 630A 용량의 휴즈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용량 휴즈 홀더(7) 4개가 평행하게 음극 메인 동대(2)의 말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대용량 휴즈 홀더(7)에 연결되고 그 대용량 휴즈 홀더(7)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음극 휴즈 동대(3)가 설치된다. 음극 휴즈 동대(3)는 음극 메인 동대(2)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복수 개의 휴즈 홀더(9), 즉 휴즈 홀더 배열로 분배한다.
그리고, 음극 휴즈 동대(3)와 평행하게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들이 수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들은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으로 배열된다. 즉, 음극 휴즈 동대(3)와 평행하게 수직으로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를 따라 복수 개의 휴즈 홀더(9)를 배열하여 설치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 내 전면부의 구성요소들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막대 형태의 세 개의 지지대(11-1, 11-2, 11-3)가 설치되는데, 도 3의 측면도에서는 사각형으로 표시된다. 첫 번째 지지대(11-1)는 음극 메인 동대(2)의 후면에 설치되어 음극 메인 동대(2)를 고정 및 지지한다. 두 번째 지지대(11-2)는 휴즈 홀더 배열(9)의 상단에 그리고 음극 휴즈 동대(3)의 후면에 설치된다. 두 번째 지지대(11-2)는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두 번째 지지대(11-2)에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 휴즈 동대(3)는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상기 두 번째 지지대(11-2)에 고정 설치된다. 세 번째 지지대(11-3)는 휴즈 홀더 배열(9)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휴즈 홀더 배열(9)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대(11-1, 11-2, 11-3)는 분전함의 프레임(1)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 메인 동대(4)의 상단 부분과 하단 부분에는 각각 그 양극 메인 동대(4)를 지지하기 위한 막대 형태의 지지대(21-1, 21-2)가 설치되는데, 도 3의 측면도에서는 막대 평태이므로 사각형으로 표시된다. 지지대(21-1, 21-2)는 막대 형태로서 분전함의 프레임(1)을 가로질러 고정 설치되고, 양극 메인 동대(4)는 지지대(21-1, 21-2)에 너트/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전면부에서 음극 메인 동대(2)를 지지하는 첫 번째 지지대(11-1)와 후면부에서 양극 메인 동대(4)를 지지하는 첫 번째 지지대(21-1)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즉 같은 수평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의 두 번째 지지대(11-2)와 후면부에서 양극 메인 동대(4)를 지지하는 두 번째 지지대(21-2) 역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평단면도로서 상부에서 내려다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의 전면부에는 두 개의 음극 메인 동대(2)가 설치되고 후면부에는 한 개의 양극 메인 동대(4)가 설치되며, 음극 메인 동대(2)와 양극 메인 동대(4) 사이에는 격리판(12)이 설치된다. 즉 음극 메인 동대(2)와 양극 메인 동대(4)는 격리판(12)으로 서로 격리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 메인 동대(2)와 양극 메인 동대(4)는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프레임 2 : 음극 메인 동대
4 : 양극 메인 동대 3 : 휴즈 동대
7 : 대용량 휴즈 홀더 8 : 홀 전류 센서
9 : 휴즈 홀더 배열 11, 21 : 지지대
12 : 격리판

Claims (6)

  1.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휴즈 홀더;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질러 고정된 제 1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휴즈 홀더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휴즈 홀더의 타 측에 연결되는 휴즈 동대;
    상기 휴즈 동대와 평행하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 2 휴즈 홀더들을 포함하고 각 제 2 휴즈 홀더는 상기 음극 휴즈 동대로부터 전류를 분배받는 휴즈 홀더 배열;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3 지지대에 고정되는 양극 메인 동대;를 포함하는 분전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와 상기 양극 메인 동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극 메인 동대와 상기 양극 메인 동대를 격리하는 격리판;을 더 포함하는 분전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휴즈 홀더 배열을 고정하는 제 3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분전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메인 동대는 두 개이며 각 음극 메인 동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음극 메인 동대에는 평행한 두 개의 제 1 휴즈 홀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 1 휴즈 홀더에 대해 하나의 휴즈 동대가 연결되어 총 두 개의 휴즈 동대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휴즈 동대의 양 측면에 하나씩의 상기 휴즈 홀더 배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는 절연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KR20130044194A 2013-04-22 2013-04-22 분전함 KR20140126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194A KR20140126095A (ko) 2013-04-22 2013-04-22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194A KR20140126095A (ko) 2013-04-22 2013-04-22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95A true KR20140126095A (ko) 2014-10-30

Family

ID=5199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194A KR20140126095A (ko) 2013-04-22 2013-04-22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4804B2 (en) 2016-03-07 2021-04-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Hybrid concealment method: combination of frequency and time domain packet loss concealment in audio code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4804B2 (en) 2016-03-07 2021-04-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Hybrid concealment method: combination of frequency and time domain packet loss concealment in audio code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46505U (zh) 一种具有良好散热性能的低压柜
CN106972357A (zh) 一种箱式固定高压开关柜
CN103701048A (zh) 低压开关柜柜体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CN206697985U (zh) 一种充电桩的交流输入模块
KR20140126095A (ko) 분전함
KR101296603B1 (ko) 경사각 지지 부재가 적용된 내진 배전반
CN208209296U (zh) 一种具有多个可插拔模块的有源滤波柜
CN208796753U (zh) 一种母线式电流互感器
CN104617510A (zh) 具有漏电报警功能的低压抽出式开关柜
CN204927819U (zh) 一种采用四角形接线的750kV HGIS布置结构
CN211701003U (zh) 一种大型变压器安装开关柜
CN210273142U (zh) 一种室内高低压配电柜用增高底座
KR20160049936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배전반용 변류기 고정장치
CN203415832U (zh) 一种光伏直流配电柜的断路器布置结构
CN203351958U (zh) 通用型返排梁
CN107978973A (zh) 一种hxgh1-10型环网开关柜
CN215119739U (zh) 一种悬挂式配电柜安装座
CN205304030U (zh) 一种大电流低压开关柜
CN203135257U (zh) 一种便于拆装的配电箱
KR200437857Y1 (ko) 변전실 프레임 구조
CN217545280U (zh) 一种电气元件安装架
CN210669248U (zh) 预装式变电站
CN210693029U (zh) 开关柜垂直零线火线转接结构
CN202602127U (zh) 组合式电气设备集成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