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927A -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927A
KR20140125927A KR1020130043315A KR20130043315A KR20140125927A KR 20140125927 A KR20140125927 A KR 20140125927A KR 1020130043315 A KR1020130043315 A KR 1020130043315A KR 20130043315 A KR20130043315 A KR 20130043315A KR 20140125927 A KR20140125927 A KR 2014012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application module
destination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4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927A/ko
Publication of KR2014012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3/00Real-time site-specific personalized weather information, e.g. now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일측에 제공되되,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자전거의 타측에 제공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되,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ulti service in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자전거는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이동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런데, 종래 자전거는 운전자가 주행시에 현재 주행 상황을 육안으로 판별하면서 주의 주행을 해야하므로, 주행시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행시에 운전자에게 최적화된 주행을 유도하도록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용 제공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의 일측에 제공되되,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자전거의 타측에 제공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되,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와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남은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및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와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우회전 방향 경로와 공사 지점 및 사고 지점과 예상 소모 칼로리량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 장치는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예측된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예측된 우회전 방향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신호를 공급받아, 좌회전 방향 경로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로 진입하기 전에, 좌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좌회전 깜빡임 동작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우회전 깜빡임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포함하고; 자전거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자전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며; 식별 장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에서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상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상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상 관련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식별 장치는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 장치는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에 해당하는 목적 지역의 날씨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식별 장치는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포함하고; 자전거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자전거에 제공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되, 식별 장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에서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면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의 브레이크 장치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식별 장치는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 장치는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공급받아,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제동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식별 장치는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일반적인 제동일 경우 현재 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발광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거나,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급제동일 경우 현재 급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깜빡임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자전거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식별 장치(104)를 포함한다.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전거(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되되, 위성 항법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02a)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가 있고, 위성 항법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하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와이브로(Wibro) 통신 및 와이파이(Wi-Fi) 통신과 와이맥스(Wi-MAX) 통신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규격과 통신을 수행할 수가 있다.
식별 장치(104)는 자전거(미도시)의 타측에 제공되고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통신을 수행하되,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02a)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식별 장치(104)는 자전거(미도시)의 타측에 탈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와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남은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및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와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우회전 방향 경로와 공사 지점 및 사고 지점과 예상 소모 칼로리량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104)는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02a)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예측된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예측된 우회전 방향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신호를 공급받아, 좌회전 방향 경로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로 진입하기 전에, 좌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좌회전 깜빡임 동작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우회전 깜빡임 동작을 수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식별 장치(104)는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02a)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예측된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예측된 우회전 방향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신호를 공급받아, 좌회전 방향 경로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로 100m 이전부터 진입하기 전에, 좌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좌회전 깜빡임 동작 또는 우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우회전 깜빡임 동작을 수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식별 장치(10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동일하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식별 장치(3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306)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중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제공된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02a)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포함한다.
즉,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306)는 자전거(미도시)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자전거(미도시)의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미도시)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의 식별 장치(304)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306)에서 배터리(미도시)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때, 식별 장치(3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3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충전이 필요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식별 장치(304) 및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30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배터리(미도시)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과 동일하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2)와 식별 장치(5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2)는 기상 센터(505)와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즉,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2)는 기상 센터(505)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502b)을 더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식별 장치(504)는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5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식별 장치(504)는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5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에 해당하는 목적 지역의 날씨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5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5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502)와 식별 장치(504) 및 기상 센터(50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과 동일하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702)와 식별 장치(7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702)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708)와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702)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708)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702b)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의 식별 장치(704)는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7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7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7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702)와 식별 장치(704) 및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70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7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과 동일하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902)와 식별 장치(9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902)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908)와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902)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908)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902b)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의 식별 장치(904)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906)에서 배터리(미도시)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면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9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동시에,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902)는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9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9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9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902)와 식별 장치(904) 및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90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9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제 6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과 동일하게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2)와 식별 장치(1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도1 및 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2)는 자전거(미도시)의 브레이크 장치(1110)와 통신을 더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2)는 브레이크 장치(1110)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102b)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의 식별 장치(1104)는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1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식별 장치(1104)는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1102b)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공급받아,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제동 상황을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식별 장치(1104)는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일반적인 제동일 경우 현재 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발광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거나,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급제동일 경우 현재 급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깜빡임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식별 장치(1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G-sensor(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일반적인 제동일 경우 현재 제동 상황을 G-sensor(미도시)에서 감지하여 후미 제동등을 일정 시간 동안 발광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거나,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급제동일 경우 현재 급제동 상황을 G-sensor(미도시)에서 감지하여 후미 제동등을 일정 시간 동안 깜빡임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식별 장치(1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 장치(1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발광 부재(미도시) 및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자전거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제동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1102)와 식별 장치(1104) 및 브레이크 장치(11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0)은 자전거(미도시)의 주행시에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자전거의 일측에 제공되되, 위성 항법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자전거의 타측에 제공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되, 상기 자전거의 주행시에 상기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상황을 식별시키는 식별 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와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및 목적지까지의 남은 시간과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및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와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우회전 방향 경로와 공사 지점 및 사고 지점과 예상 소모 칼로리량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자전거의 주행시에 상기 주행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주행 정보의 예측된 좌회전 방향 경로 및 예측된 우회전 방향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좌회전 방향 경로 또는 상기 우회전 방향 경로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좌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좌회전 깜빡임 동작 또는 상기 우회전 방향 경로에 대한 우회전 깜빡임 동작을 수행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상기 자전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상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상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상 관련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기상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기상 정보에 해당하는 목적 지역의 날씨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와 현재 자전거 수리점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의 다른 일측에 제공되되, 상기 자전거에 제공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전거 유지 보수 센터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배터리 충전량 판단 장치에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에 따른 상기 목적지까지의 이동 거리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더 식별시키면서, 상기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전거 유지 보수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 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자전거 충전소의 위치를 표시하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자전거의 브레이크 장치와 통신을 더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동작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모듈의 동작에 의해 출력되는 브레이크 동작 정보의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브레이크 동작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브레이크 동작 상태에 따른 제동 상황을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일반적인 제동일 경우 현재 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발광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거나, 상기 브레이크 동작 상태가 급제동일 경우 현재 급제동 상황을 일정 시간 동안의 깜빡임 동작으로 더 식별시키는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30043315A 2013-04-19 2013-04-19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25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15A KR20140125927A (ko) 2013-04-19 2013-04-19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15A KR20140125927A (ko) 2013-04-19 2013-04-19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27A true KR20140125927A (ko) 2014-10-30

Family

ID=5199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315A KR20140125927A (ko) 2013-04-19 2013-04-19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642A (ko) * 2015-06-26 2018-02-09 시아오미 아이엔씨. 자체균형차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379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이륜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20002632A (ko) *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이고 자전거 주행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01964A (ko) * 2011-06-28 2013-01-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이동경로 및 이동시간에 따른 일기예보 제공 방법
KR20130020468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379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이륜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20002632A (ko) *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이고 자전거 주행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01964A (ko) * 2011-06-28 2013-01-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이동경로 및 이동시간에 따른 일기예보 제공 방법
KR20130020468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642A (ko) * 2015-06-26 2018-02-09 시아오미 아이엔씨. 자체균형차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7051B2 (ja) 移動支援装置、移動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JP5553106B2 (ja) 電力供給制御装置
US2015030481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10291859A1 (en) Driver assist system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raffic signs
JP2006236247A (ja) 規制車線検出装置及び車両用経路推奨装置
KR2012002933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90079259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2087114A (zh) 用于动态地获得路线走向的方法和导航装置
KR101219089B1 (ko) 방향표시수단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거치대
JP2013171502A (ja) 警告装置、警告方法
CN207550378U (zh) 一种智能车把、智能车把通信系统及车辆
KR101647626B1 (ko) 버스 운행 안내 시스템
CN103105715B (zh) 具有投影装置的显示装置
US11348457B2 (en)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KR20140125927A (ko) 자전거용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8066691A (ja) 車載装置、ルート案内システム、及び車載側プログラム
CN103112522B (zh) 具有投影装置的照明装置
CN103105722A (zh) 具有投影装置的交通工具
KR101241610B1 (ko) 최적의 중간탑승 위치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13597401B (zh) 智能连接仪表组
WO2014002194A1 (ja) 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端末
JP6960300B2 (ja) ナビアプリ表示端末、階段警告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203134136U (zh) 一种车载路况信息显示系统
KR20170138838A (ko) 전기 버스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4785892B2 (ja) 安全運転支援情報提供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