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013A -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013A
KR20140125013A KR20130042498A KR20130042498A KR20140125013A KR 20140125013 A KR20140125013 A KR 20140125013A KR 20130042498 A KR20130042498 A KR 20130042498A KR 20130042498 A KR20130042498 A KR 20130042498A KR 20140125013 A KR20140125013 A KR 2014012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evice
digital
registration
interwor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상근
김용운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4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013A/en
Publication of KR2014012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0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first digital device with a second digital devi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gital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first digital device includes a step of recognizing the second digital device; a step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interconnection method from the recognized second digital device; and a step of interconnecting the first digital device with the second digit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btained interconnection method.

Description

이종의 디지털 디바이스 간의 상호 연동 방법{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0001]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

본 발명은 이종의 디지털 디바이스 간의 상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 이종의 다양한 디바이스간 네트워킹을 통한 디바이스간 상호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digital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terconnecting devices through networking between various heterogeneous devices.

IT 기술의 집적화 및 소형화를 통해 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한 장치(디바이스)가 소형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 주변을 둘러싼 많은 사물이 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한 소형의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무선 이어폰, 인터넷이 가능한 냉장고, 원격으로 제어되는 에어컨 및 조명 등 수 많은 소형 컴퓨터 개념의 사물이 우리 주변에 존재한다. The integration and miniaturization of IT technology has made devices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computing smaller. This allows a lot of things around us to be small computers that can communicate and compute. For example, there are many small computer concepts around us, including smartphones, tablet PCs, wireless earphones, Internet-enabled refrigerators, remotely controlled air conditioners, and lighting.

한편, 가정에서는 많은 가전 기기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절기(예, 리모콘)가 존재하는데, 디지털 기기가 많아질 수록 원격 조절기의 개수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목적 조절기 등이 제작되고 있으나, 다목적 조절기는 사전에 설정한 정보(또는 기능) 이외의 정보(또는 기능)를 동적으로 추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household appliances in the home, and a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such home appliances exists. However, the number of remote controllers increases as the number of digital devices increases.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multi-purpose controller or the like is manufactured. However, the multi-purpose controll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dynamically add information (or a function) other than the previously set information (or function).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주변 디지털 기기에 대응하는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하면서 주변 디지털 기기와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물의 통신 및 컴퓨팅을 기반으로 하는 이종 디지털 기기간의 상호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dynamically add functions corresponding to peripheral digital devices using a digital device while linking with peripheral digital devices.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digital devices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mputing of obj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제2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제1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은,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연동 방식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연동 방식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linking a first digital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heterogeneous second digital device. The interworking method of the first digital device includes: recognizing the second digital device; Acquiring information on an interworking method from the recognized second digital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digital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interwork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디지털 기기 상호 간 직접 연동 및 간접 연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디지털 기기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 interworking and indirect interwork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digital device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interworking method between digital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digit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물(또는 기계)간 통신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지능통신, M2M(Machine To Machine) 또는 사물간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등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nvironment such as object intelligence communication, Machine To Machine (M2M), or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provide services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objects (or machin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디지털 기기간의 연동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1 is a flowchart showing an interworking procedure between heterogeneous digit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디지털 기기(디바이스)간의 연동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기기1이 디지털 기기2와의 연동을 희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의 연동 절차를 설명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locking procedure between heterogeneous digital devices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interlocking procedure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gital device 1 desires to interwork with the digital device 2. [

먼저 장치 등록 단계가 수행된다(S100). 장치 등록 단계는 디지털 기기2의 정보를 별도의 등록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이다(S110). 여기서 등록 장치는 장치 등록을 위한 별도의 장치로써, 디지털 기기1 및 디지털 기기2 이외의 다른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한편, 장치 등록 단계(S100)는 선택적 단계이다. 장치 등록은 별도의 등록 장치 없이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에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예, 블루투스에서의 기기간 페어링, 전화기 본체에 추가의 무선 전화기를 등록하는 경우 등). 결국, 장치 등록 단계(S100)는 등록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연동하는 경우에 필요한 단계이고, 등록 장치 없이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단계이다. 한편, S110 단계에 의해 등록 장치에 등록되는 정보는 디지털 기기2의 특성 정보 및 기능 정보 등 일 수 있다. 등록 장치에 등록된 정보는 사람이 직접 판독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가 판독하여 처리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가 판독하여 사람이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장치 등록은 디지털 기기2와 등록 장치간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First, a device registration step is performed (S100). The device registration step is a step of registering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in a separate registration device (S110). Here, the registration device is a separate device for device registration, and may be a digital device other tha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registration step S100 is an optional step. Device registration may be done directly between digital device 1 and digital device 2 (eg, pairing between devices in Bluetooth, registering an additional cordless phone in the phone body, etc.) without a separate registration device. As a result, the device registration step (S100) is a step required wh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In the case where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directly operate without the registration device, to be.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by the step S110 may b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fun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can be directly read by the person, or can be read and processed by the device held by the user, or can be read by the device held by the user and displayed in a human readable format.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registra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vi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2 and the registration device, or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user.

연동 방식 등록 단계가 수행된다(S200). 연동 방식은 디지털 기기2와 연동하기 위한 방식이다. S200 단계에 의해 등록되는 연동 방식 정보는 디지털기기2와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방식, 연동을 통하여 디지털기기2가 제공하는 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동 방식 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표시 방식 등을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동 방식 등록 단계(S200)는 선택적 단계이다. 즉, 등록 장치(또는 원격 정보 기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연동하는 경우에 필요한 단계이고, 등록 장치(또는 원격 정보 기기) 없이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단계이다. 한편, 연동 방식 정보는 등록 장치에 등록되거나 별도의 원격 정보 기기에 등록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2가 자신의 연동 방식 정보를 등록 장치에 등록(S210)하거나 원격 정보 기기에 등록(S220)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정보 기기는 디지털 기기2의 개입 없이 디지털 기기2의 특성 정보에 의거하여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 정보를 자신에게 직접 등록할 수 있다(S230).An interlocking method registration step is performed (S200). The interlocking method is a method for interloc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e linking method information registered in step S200 includes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method for interloc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and a function provided by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interlocking. In addition, the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e or the like that is displayed to the user as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link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0) is an optional step. That is, this is a step required wh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or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and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are directly linked It is an unnecessary step. On the other hand, the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may b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or may be registered in a separate remote information device. The digital device 2 can register its own linking method information in the registration device (S210) or register it in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S220). In addition,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can directly register the linkage method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to itself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without intervention of the digital device 2 (S230).

장치 인식 단계가 수행된다(S300). 장치 인식 단계는 연동하고자 하는 대상디지털 기기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은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서로 직접적으로 인식하는 방법(S310)과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1이 디지털 기기2를 인식하는 방법(S320)을 포함한다. 상호 직접 인식 방법(S310)은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의 유/무선 통신을 통한 인식 방법, 바코드(1차원, 2차원 바코드 포함)를 이용한 광학적 인식 방법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무선 인식 방법을 포함한다. 등록 장치를 통한 장치 인식 방법(S320)은 디지털 기기1이 등록 장치를 통한 검색에 의해 디지털 기기2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한편, 등록 장치를 통한 장치 인식 방법(S320)은 장치 등록 단계(S100)가 선행되어야 하고, 디지털 기기1이 등록 장치를 통한 질의 및 검색 등을 통하여 등록된 디지털 기기2를 인식한다.The device recognition step is performed (S300). The device recognizing step is a step of recognizing a target digital device to be linked. A method of recognizing a device includes a method (S310)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directly recognize each other and a method (S320)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recognizes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The mutual direct recognition method (S310) includes a recognition method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an optical recognition method using a barcode (including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barcode) And a recognition method. The device recognition method (S320)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is a method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recognizes the digital device 2 by searching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recognition method (S320)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should precede the device registration step (S100), and the digital device 1 recognizes the registered digital device 2 through inquiry and search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연동 방식 획득 단계가 수행된다(S400).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간의 연동을 위해서는 해당 기기 간의 연동 방식을 획득하여야 한다. 연동 방식을 획득하는 방법은 디지털 기기1이 디지털 기기2로부터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을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방법(S410), 디지털 기기1이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을 획득하는 방법(S420) 및 디지털 기기1이 원격 정보 기기를 통해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을 획득하는 방법(S430)을 포함한다. 연동 방식 획득 단계(S420, S430)는 연동 방식 등록 단계(S200)에서 등록 장치 또는 원격 정보 기기에 등록된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S400 단계에서 획득되는 연동 방식 정보는 디지털 기기2와의 연동을 위한 유/무선 통신 과정, 연동을 위한 기능 설정 및 연동을 위한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S400 단계에서 획득되는 연동 방식 정보는 사람에게 보여지는 표시 방식 등을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2로부터 직접적으로 획득하는 방법(S410)은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지털 기기2로부터 연동 방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등록 장치를 통해 획득하는 방법(S420)은 연동 방식 등록 단계(S200)가 선행되어야 하고, 등록 장치로부터 등록된 연동 방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원격 정보 기기를 통해 획득하는 방법(S430)은 디지털 기기1이 장치 인식 단계(S300)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 기기2의 정보를 이용해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 정보를 원격 정보 기기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을 통해 원격 정보 기기로부터 디지털 기기2의 연동 방식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An interlocking mode acquisition step is performed (S400). In order to interoperate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an interworking method between the devices must be obtained. The method of acquiring the interlocking method includes a method (S410) of directly acquiring the linking method of the digital device 2 from the digital device 2, a method of acquiring the linking method of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S420) and a method for the digital device 1 to acquire an interworking mode of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S430). The interworking mode acquisition step (S420, S430) is a step of acquiring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device or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in the interlocking mode registration step (S200). The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acquired in step S400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for interloc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a function setting for interlocking, and detailed information for interlocking. In addition, the interworking method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4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ethod or the like to be displayed to a person, if necessary. A method of directly acquiring from the digital device 2 (S410) is a method of acquiring the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device 2 us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 The method of acquiring through the registering device (S420) is a method in which the interlock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0) must precede and the registered interworking method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registering device. The method of acquiring through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S430) uses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acquired through the device recognition step (S300) of the digital device 1 to request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of the linkage method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To acquire the interworking mod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2 from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via the network.

연동 단계가 수행된다(S500). 연동 단계는 디지털 기기1이 S40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연동 방식 정보에 기반하여 디지털 기기2와 상호 연동하는 단계이다. 디지털 기기2와의 연동 방법은 디지털 기기1이 디지털 기기2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10), 디지털 기기1이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간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21, S522) 및 디지털 기기1이 원격 정보 기기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간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31, S532)를 포함한다. 디지털 기기2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10)은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가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이다.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간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21, S522)은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1과 디지털 기기2 간의 상호 연동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기기2와의 연동을 원하는 디지털 기기1은 S400 단계를 통해 획득한 연동 방식에 기반하여 연동 요청을 등록 장치로 보낸다(S521). 연동 요청을 수신한 등록 장치는 디지털 기기2로 수신한 연동 요청을 전달한다(S522). 그리고 디지털 기기2는 수신한 연동 요청을 수행한다.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연동하는 방법(S521, S522)은 디지털 기기1,2와 등록 장치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한편, 원격 정보 기기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간접적으로 연동하는 방법(S531, S532)은 등록 장치를 통해 디지털 기기2와 연동하는 방법(S521, S522)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방법이다.An interlocking step is performed (S500). The interlocking step is a step of interact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based on the interlocking method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igital device 1 through step S400. The method of interloc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includes a method (S510)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directly interlocks with the digital device 2 (S510), a method (S521, S522)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indirectly cooperates with the digital device 2 via the registration device, And a method (S531, S532) for indirectly lin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The method of directly interloc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S510) is a method in which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directly operate using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 A method (S521, S522) of indirectly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is a method of processing a request for mutual interoperation between the digital device 1 and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Specifically, the digital device 1 desiring to interoperate with the digital device 2 sends an interlocking request to the registering device based on the interlocking method acquired in step S400 (S521). Upon receiving the interworking request, the registration device delivers the interworking request received by the digital device 2 (S522). The digital device 2 performs the received interworking request. A method (S521, S522) of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assumes that the digital devices 1,2 and the registration device are interconnected through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methods (S531, S532) of indirectly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mote information device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s (S521, S522) of interworking with the digital device 2 through the registr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기기(예, 디지털 기기1)를 이용해 주변 디지털 기기(예, 디지털 기기2)에 대응하는 기능을 동적으로 설치하여 디지털 기기간 상호 연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digital device (for example, the digital device 2) can be dynamically installed using a digital device (e.g., digital device 1)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S100: 장치 등록 단계 S200: 연동 방식 등록 단계
S300: 장치 인식 단계 S400: 연동 방식 획득 단계
S500: 연동 단계
S100: Device registration step S200: Interlock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300: Device recognition step S400: Interlocking method acquisition step
S500: Interlocking step

Claims (1)

이종의 제2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제1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2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 연동 방식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연동 방식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지털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디지털 디바이스의 연동 방법.
A method of interworking a first digital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heterogeneous second digital device,
Recognizing the second digital device;
Acquiring information on an interworking method from the recognized second digital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the second digital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interworking method
And a second digital device.
KR20130042498A 2013-04-17 2013-04-17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KR201401250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98A KR20140125013A (en) 2013-04-17 2013-04-17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498A KR20140125013A (en) 2013-04-17 2013-04-17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013A true KR20140125013A (en) 2014-10-28

Family

ID=519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498A KR20140125013A (en) 2013-04-17 2013-04-17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01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436B1 (en) 2015-10-23 2016-06-21 이요훈 IP network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chat application software system
KR101632550B1 (en) 2015-10-20 2016-06-22 이요훈 IP network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chat application softwar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550B1 (en) 2015-10-20 2016-06-22 이요훈 IP network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chat application software system
KR101632436B1 (en) 2015-10-23 2016-06-21 이요훈 IP network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chat application softwar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8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real time status and controlling of transmitting devices
US11646012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er
US11284122B2 (en)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EP3474523B1 (en) Pairing a mobile terminal with a wireless device
KR102060661B1 (en) Method and divece for communication
KR1023077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US10013874B2 (en) Interaction detection wearable control device
CN111937351A (en) Method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a server through a hub and electronic device
US11265363B2 (en) IOT interaction system
KR2019010186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nected device functionality and for operating a connected device via an alternate object
US20180322774A1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and gateway
US1077215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8801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using social links
US202001963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1840381B1 (en) Multi-device interlock control system
KR20140125013A (en)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US11553214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910031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20180057919A (en) System and method to registration of wearable device
US9578479B2 (en) Smart device resource combi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5046736A (en) System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signal provision, terminal device,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signal, method for requesting remote control signal, program for remote control signal provision and program for terminal device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KR20150066917A (en) Remote cooperation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US11863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me appliance
US202303622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iot control information sha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