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371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371A
KR20140124371A KR20147022256A KR20147022256A KR20140124371A KR 20140124371 A KR20140124371 A KR 20140124371A KR 20147022256 A KR20147022256 A KR 20147022256A KR 20147022256 A KR20147022256 A KR 20147022256A KR 20140124371 A KR20140124371 A KR 2014012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water container
water
contain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4012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原水) 용기(2)를 도치(倒置) 상태로 케이스(1)의 하부에 배치하고, 피어싱부(11)에 급수로(4)의 일단부(4b)를 형성하여, 원수 용기(2)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하였다. 연질 용기를 원수 용기(2)에 채용하고, 펌프(4a)의 운전 중에 원수 용기(2)가 대기를 자유롭게 흡입 가능한 흡기로(6)를 구비함으로써, 교환 직후부터 원수 용기(2)를 다 사용할 때까지 펌프(4a)로 강제적으로 퍼 올리는 것을 피하였다. 흡기로(6)의 일단부(6a)를 피어싱부(11)에 형성함으로써, 원수 용기(2)의 개봉 등과 함께 흡기로(6)도 원수 용기(2)와 접속 가능하게 하여,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한 편리성을 유지하였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로부터 저류 탱크로 미리 이송된 물을 음료수로서 주수(注水) 가능한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워터 서버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이나 코크 조작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면, 저류 탱크의 물이 주수로(注水路)로부터 유출되고, 이 유출된 물을 사용자의 컵 등에 부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원수 용기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저류 탱크가 원수 용기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워터 서버는, 다 사용한 원수 용기를 신품으로 교환할 때, 작업자가 무거운 신품의 원수 용기를 높이 들어올리지 않아도 되어, 작업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저류 탱크가 원수 용기보다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의 물을 저류 탱크로 펌프에 의해 퍼 올리는 급수로가 채용되고 있다. 저류 탱크의 수량이 감소하면, 자동적으로 펌프가 작동하여, 저류 탱크가 소정의 수량이 될 때까지 원수 용기의 물이 저류 탱크까지 퍼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원수 용기가 도치(倒置) 상태로 배치되는 워터 서버에서는, 도치 상태로 배치되는 원수 용기의 마개를 상방으로 압입하는 피어싱부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로의 일단부는, 피어싱부에 형성되어 있다. 피어싱부에 의한 마개의 압입은, 원수 용기를 들어올려 피어싱부에 대면서 하강시키는 작업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소정으로 배치한 원수 용기에 대하여 피어싱부를 상승시키는 기구에 의한 것도 있다. 어느 쪽이든, 피어싱부의 찌름으로 원수 용기의 개봉, 및 급수로와의 접속의 양방을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8022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352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것은, 원수 용기, 급수로, 저류 탱크를 밀폐하는 접속 구조이기 때문에, 강성 용기를 원수 용기에 채용하면, 원수 용기의 물을 펌프로 강제적으로 퍼 올리게 되어, 펌프 부담이 커진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로서는, 특허문헌 2의 단락 0021, 002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연질 용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질 용기를 채용한다고 해도, 특허문헌 1과 같이, 도치 상태로 원수 용기가 배치되는 워터 서버의 경우,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원수 용기의 옆둘레 부분이 포개지도록 수축해 가서, 용기구(容器口) 부근까지 원수 용기의 부피가 낮아졌을 때에, 옆둘레 부분의 강성이 대기압보다 우수하여, 펌프 부담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워터 서버의 원수 용기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하면서, 원수 용기를 다 사용할 때까지 펌프 부담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원수 용기를 도치 상태로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하고, 피어싱부에 급수로의 일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원수 용기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한 워터 서버에 있어서,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연질 용기를 원수 용기에 채용함으로써, 교환 직후부터 펌프로 강제적으로 퍼 올리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펌프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펌프의 운전 중에 원수 용기가 대기를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는 흡기로를 형성함으로써, 퍼 올림이 진행되어 원수 용기가 수축되지 않게 되면, 원수 용기가, 잔수량의 감소에 따른 대기의 자흡(自吸; self-priming)을 흡기로로부터 행한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를 다 사용할 때까지 펌프로 강제적으로 퍼 올리는 일이 없어, 펌프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흡기로의 일단부를 피어싱부에 형성함으로써, 원수 용기의 개봉 등과 함께 흡기로도 원수 용기와 접속되기 때문에,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한 편리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흡기로 내의 대기에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는 살균 장치를 구비하고, 이 살균 장치의 가동과 상기 펌프의 운전이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운전시마다, 흡기로 내에 살균성 기체가 혼재시켜지기 때문에, 흡기로 내, 대기를 흡입한 원수 용기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기로는, 상기 원수 용기 내와 대기 사이에 걸쳐 전체 길이에 걸쳐 항상 개통되어 있는 경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와 흡기로 개폐의 연동이나 대기압에 의한 원수 용기의 수축 검출과 같은 제어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흡기로는, 지면 부근으로부터의 대기 흡수를 피하기 위해서, 원수 용기보다 높은 곳에서 대기에 통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항상 개통으로 하면, 흡기로에는, 원수 용기 내의 최고 수위보다 높게 하기 위한 상행관을 포함하게 된다. 도치 상태의 원수 용기로부터 흡기로에 원수가 유입되고, 상행관 내의 수위는 원수 용기 내와 동일하게 균형을 이룬다. 따라서, 상행관 중, 원수 용기 내와 동일 수위가 되는 곳은, 오래도록 수면이 가까이 있기 때문에, 특히 습기차기 쉬운 부분이 된다. 이 부분을 구리관부로 하면, 구리 자체의 살균 작용에 의해, 관 표면에서의 세균 번식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도치 상태로 배치되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원수 용기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저류 탱크와, 상기 원수 용기의 물을 상기 저류 탱크로 펌프에 의해 퍼 올리는 급수로와, 상기 저류 탱크의 물을 붓기 위한 주수로(注水路)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도치 상태로 배치되는 원수 용기의 마개를 상방으로 압입하는 피어싱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급수로의 일단부가 상기 피어싱부에 형성되어 있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원수 용기가,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연질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의 운전 중에 상기 원수 용기가 대기를 자유롭게 흡입 가능한 흡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로의 일단부가 상기 피어싱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채용에 의해, 원수 용기 교환시의 작업 부담을 억제하면서, 원수 용기를 다 사용할 때까지 펌프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슬라이드대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원수 용기의 수축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흡기관의 작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서버의 일례인 실시형태(이하, 간단히 「이 워터 서버」라고 부름)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의 하부에 도치(倒置) 상태로 배치되는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2)와, 케이스(1)의 원수 용기(2)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저류 탱크(3)와, 원수 용기(2)의 물을 저류 탱크(3)로 펌프(4a)에 의해 퍼 올리는 급수로(4)와, 저류 탱크(3)의 물을 붓기 위한 주수로(注水路; 5)와, 펌프(4a)의 운전 중에 원수 용기(2)가 자유롭게 대기를 흡입 가능한 흡기로(6)와, 흡기로(6) 내의 대기에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는 살균 장치(7)와, 케이스(1)의 하부에 출납 가능한 슬라이드대(8)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는, 원수 용기(2)와 함께 슬라이드대(8)를 출납 가능한 수납 공간을 하부에 가진 세로 배치 머신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의 하부는, 케이스(1)의 지상 높이를 반으로 한 낮은 측의 의미이다. 케이스(1)의 수납 공간은, 슬라이드대(8)의 앞면벽으로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원수 용기(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부분을 가진 연질 용기로 이루어진다. 도시하는 원수 용기(2)는, 대기압에 의해 옆둘레 부분(2a)이 포개지도록 변형시켜져 도치 상태인 채로 부피가 수축될 수 있는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저류 탱크(3)는, 저류수의 온도를 조정하는 탱크로 되어 있다. 도시하는 저류 탱크(3)는, 저류수를 열교환기(9)로 냉각하는 냉수 탱크(3a)와, 저류수를 히터(10)로 가열하는 온수 탱크(3b)와, 이류로(移流路; 3c)로 이루어진다. 급수로(4)에 의해 퍼 올려진 원수는, 냉수 탱크(3a)에 보내지고, 냉수 탱크(3a)의 상부의 물이 이류로(3c)를 통해 온수 탱크(3b)에 흐르도록 되어 있다. 저류 탱크(3)에 연결되는 주수로(5)도, 냉수 탱크(3a)에 연결되는 냉수계와, 온수 탱크(3b)에 연결되는 온수계의 독립 2계통으로 이루어진다. 주수로(5)의 냉수계 또는 온수계와 저류 탱크(3)의 경계가 되는 밸브(도시 생략)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되면, 냉수계 또는 온수계로부터 냉수 탱크(3a)의 하부의 물 또는 온수 탱크(3b)의 상부의 물이 유출되고, 이 유출된 물을 컵 등에 부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냉수 탱크(3a) 내에는, 급수로(4)로부터 유출된 물의 하강을 방해하는 배플판이 설치되어 있다. 저류 탱크(3)는,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의 한쪽만으로 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대(8)는, 케이스(1)에 대한 정확한 위치 결정을 도모하기 위해서, 케이스(1)의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대(8)는, 수평 일직선으로 출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대(8)는, 케이스(1)와 독립된 대차(臺車)로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대(8)에는, 케이스(1)의 하부에 도치 상태로 배치되는 원수 용기(2)의 마개(2b)를 상방으로 압입하는 피어싱부(11)가 부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로부터 명백하듯이, 케이스(1) 밖으로 나온 슬라이드대(8)의 피어싱부(11)의 상방으로부터 도치 상태의 원수 용기(2)를 슬라이드대(8)에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용기(2)의 용기구(容器口; 2c)는, 상하 방향으로 향한 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드대(8)는, 용기구(2c)를 삽입 가능한 접속구(接續口; 8a)를 갖고 있다. 용기구(2c) 부근은, 슬라이드대(8)의 받침 시트(8b)에 의해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도치 상태의 원수 용기(2)의 용기구(2c)를 접속구(8a)에 삽입하면, 접속구(8a) 내부로 돌출하고 있는 피어싱부(11)가 마개(2b)의 중앙부에 닿도록 되어 있다. 이 삽입으로 원수 용기(2)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마개(2b)의 중앙부가 피어싱부(11)에 의해 상방으로 압입되어, 용기구(2c)가 개봉된다. 이 개봉 후, 원수 용기(2)가 받침 시트(8b)에 앉도록 되어 있다. 원수 용기(2)는, 받침 시트(8b)의 지지에 의해, 다 사용할 때까지 도치 상태로 유지된다. 압입된 마개(2b)의 중앙부는, 원수 용기(2) 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피어싱부(11)의 선단에 끼이고, 마개(2b)의 나머지 부분은, 원수 용기(2)의 용기구(2c) 쪽에 붙어 있다. 도시하는 피어싱부(11)는, 고정식의 것을 예시하였으나, 특허문헌 1과 같이 가동식의 피어싱부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로(4)의 일단부(4b), 흡기로(6)의 일단부(6a)는, 각각 피어싱부(11)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어싱부(11)는, 내부에서 급수로(4)와 흡기로(6)로 분할되어 있다. 슬라이드대(8)에는, 일단부(4b)에 통하고 있는 조인트부(4c), 일단부(6a)에 통하고 있는 조인트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4c, 6b)에는, 각각 이음관(4d, 6c)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음관(4d, 6c)은, 슬라이드대(8)의 출납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한 변형성을 갖고 있다. 이음관(4d, 6c)의 타단은, 각각 양수관(4e)의 일단, 상행관(6d)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음관(4d, 6c)의 추종 변형성에 의해, 슬라이드대(8)의 출납을 허용하는 급수로(4), 흡기로(6)로 되어 있다. 예컨대, 이음관(4d, 6c)에는, 슬라이드대(8)의 출납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관, 가요성을 가진 플렉시블관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수관(4e)은, 냉수 탱크(3a)보다 높은 곳에 이르고 있다. 급수로(4)는, 냉수 탱크(3a) 내의 소정의 상한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타단부(4f)를 갖고 있다. 펌프(4a)는, 양수관(4e)의 도중에 편입되어 있다. 펌프(4a)에는, 예컨대, 플런저 펌프나, 기어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급수로(4)는, 펌프(4a)에 의해 원수 용기(2)의 물을 퍼 올리고, 타단부(4f)로부터, 냉수 탱크(3a)에 샤워 형상, 또는 액적 형상으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펌프(4a)의 운전은, 냉수 탱크(3a) 내의 수위가 소정 이하가 된 것을 수위 센서가 검출한 경우에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상행관(6d)의 타단은, 에어 챔버(6e)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로(6)의 타단부(6f)는, 케이스(1)의 내부에서 대기에 통하고 있는 에어 챔버(6e)의 대기 흡수구로 되어 있다. 흡기로(6)의 타단부(6f)에는, 대기 중의 먼지, 냄새, 세균과 같은 오염물을 정화하기 위해서 통과시키는 필터, 예컨대 활성탄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로(6)는, 원수 용기(2)의 원수 수용실 내와 대기를 연통(連通)시키기 위한 경로이므로, 일단부(6a)로부터, 조인트부(6b)와, 이음관(6c)과, 상행관(6d)과, 에어 챔버(6e)의 타단부(6f)까지가 된다. 이 흡기로(6)는, 원수 용기(2) 내와 대기 사이에 걸쳐 항상 개통되어 있는 경로로 되어 있다. 흡기로(6) 내, 저류 탱크(3) 내가 항상 대기압이 되기 때문에, 상행관(6d) 내의 수위는, 원수 용기(2) 내와 동일한 수위로 균형을 이룬다. 도 1의 원수 용기(2), 도 5의 이점 쇄선으로 그린 원수 용기(2)는, 원수 용기(2)의 교환 후, 퍼 올림이 실시되지 않고 원수 용기(2) 내, 급수로(4) 내, 흡기로(6) 내의 수위가 정상 상태가 되었을 때, 즉, 케이스(1)의 하부에서 도치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원수 용기(2) 내와 흡기로(6) 내의 수위가 가장 높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위(WL1)를 도 5 중에 나타낸다. 또한, 원수 용기(2)를 다 사용할 때의 원수 용기(2) 내의 수위(WL2)도 도 5 중에 나타낸다. 이 수위(WL2)는, 피어싱부(11)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로(4)의 일단부(4b)의 개구에 있어서의 최저 고도에 상당한다. 도시예에서는, 피어싱부(11)의 상단부에 끼인 마개(2b)가 낙하했을 때에 일단부(4b)의 개구를 막는 일이 없도록 일단부(4b)의 개구 전부를 원수 용기(2)로부터 분리하고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2)의 다 사용 상태를 정규로 정할 때에, 약간의 잔수를 허용하고 있다. 일단부(4b)의 개구를 용기구(2c)와 동일 고도로 형성하면, 실질적으로 잔수가 없는 상태를 원수 용기의 다 사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원수 용기(2)가 흡기로(6)로부터 대기를 흡기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2)를 다 사용할 때까지 흡기로(6) 내로부터 물 웅덩이가 없어지지만, 흡기로(6)의 고도(WL1) 이하의 수몰 범위는 습기차기 쉽다. 이 범위에서는, 세균 번식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기로(6) 중, 원수 용기(2) 내와 동일 수위가 되는 부분은, 고도(WL1-WL2)의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행관(6d)에 포함되어 있다. 이 상행관(6d)의 WL1-WL2의 부분은, 구리관부로 되어 있다. 이 부분은, 원수 용기(2)의 자흡(自吸; self-priming)이 시작될 때까지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수면이 가까이 있는 곳이므로, 특히 습기차기 쉽다. 구리 자체가 갖는 살균 작용에 의해, 이 부분의 관 표면에서의 세균 번식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행관(6d)을 도 1에 도시한 살균 장치(7)와의 접속부까지 구리관으로 구성하면, 보다 세균 번식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살균 장치(7)는, 흡기로(6) 중, 원수 용기(2) 내와 동일 수위가 되는 곳보다 높은 곳의 대기에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도록 되어 있다.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는 형태는, 흡기로(6) 내에서 살균성 기체를 생성하는 형태, 흡기로(6) 외부로부터 살균성 기체를 흡기로(6)에 공급하는 형태, 흡기로(6)의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살균 장치(7)로서,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 발생 장치를 채용하면, 살균성 기체를 보급하는 수고가 없다. 예컨대, 오존 발생 장치로서, 받아들인 대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화학 반응식의 것, 받아들인 대기에 방전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는 무성 방전 방식의 것, 코로나 방전 방식의 것, 몇 가지의 방전 방식을 조합한 복합 방전 방식의 것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도시하는 살균 장치(7)는, 에어 챔버(6e) 내의 대기에도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도록 되어 있다. 에어 챔버(6e) 내에는, 받아들인 대기가 살균성 기체와 혼합되어 체류하도록 지체 회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 챔버(6e) 내에서 대기 중의 세균을 감소시키고, 또한 에어 챔버(6e)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저류 탱크(3)의 상한 수위보다 높은 곳에는, 공기 도입관(12)이 접속되어 있다. 공기 도입관(12)은, 상행관(6d) 및 에어 챔버(6e)에 항상 통하고 있다. 저류 탱크(3)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저류 탱크(3)는, 대기압의 에어 챔버(6e) 내로부터, 공기 도입관(12)을 통해 에어 챔버(6e) 내에서 체류한 살균성 기체 혼입의 대기를 흡입할 수 있다.
살균 장치(7)의 가동 제어는, 펌프(4a)의 운전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동 제어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펌프(4a)의 운전 ON/OFF와, 살균 장치(7)의 가동 ON/OFF가 동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살균 장치(7)는, 타이머, 살균성 기체의 농도 검출 등을 이용한 소정의 프로그램 제어로 펌프(4a)의 운전과 독립적으로 가동하도록 하여, 살균성 기체의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원수 용기(2)의 교환시]
먼저,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부에 슬라이드대(8)가 압입된 상태로부터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대(8)를 인출하여 원수 용기(2)를 노출시켜, 사용이 끝난 원수 용기(2)를 슬라이드대(8)로부터 취출한다. 다음으로, 원수가 충전된 미개봉의 원수 용기(2)를 용기구(2c)가 하향인 상태로 슬라이드대(8)의 상방으로 운반하고, 거기로부터 원수 용기(2)를 하강시키면, 피어싱부(11)에 의해 원수 용기(2)가 개봉되고, 급수로(4) 및 흡기로(6)가 원수 용기(2)에 접속된다. 이 작업에 있어서, 원수가 충전된 미개봉의 원수 용기(2)는, 케이스(1)의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드대(8)의 높이까지 운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미개봉의 원수 용기(2)를 들어올리는 높이가 낮아져, 작업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접속 후, 원수 용기(2)의 물은, 급수로(4) 뿐만 아니라, 원수 용기(2) 내와 대기 사이에 걸쳐 항상 개통된 흡기로(6)에도 유입된다. 슬라이드대(8)를 밀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용기(2)를 케이스(1)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워터 서버의 초기 준비 동작]
도 1의 상태로부터 펌프(4a)의 운전 ON 조작이 이루어지면, 원수 용기(2)로부터 저류 탱크(3)로의 퍼 올림이 개시된다. 저류 탱크(3) 내가 소정의 상한 수위가 되면, 펌프(4a)의 운전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퍼 올리는 중, 저류 탱크(3) 내의 수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저류 탱크(3) 내의 공기는, 공기 도입관(12)을 통해 에어 챔버(6e)에 이르고, 타단부(6f)로부터 배기된다. 원수 용기(2) 내의 잔수량이 감소하여, 점차로 수축하는 원수 용기(2)의 부피가 낮아져 간다. 원수 용기(2)가 수축하여 용적이 감소하는 동안에는, 펌프(4a)로 원수 용기(2)의 물을 강제적으로 퍼 올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펌프(4a)의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펌프(4a)의 운전 중에는 살균 장치(7)도 가동되기 때문에, 상행관(6d) 내, 에어 챔버(6e) 내에 있어서의 살균성 기체의 양이 증가한다. 원수 용기(2)의 부피가 낮아짐에 따라, 대기압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원수 용기(2) 내의 수위는 WL1로부터 낮아지고, 대기압이 작용하는 상행관(6d) 내의 수면의 수위도 낮아진다. 저류 탱크(3)가 소정의 상한 수위가 되면, 펌프(4a)의 운전이 정지되고, 살균 장치(7)도 정지된다. 또한, 저류 탱크(3)의 온도 조절 기능[열교환기(9), 히터(10)]이 자동적으로 ON이 된다. 한편, 교환 후, 최초로 저류 탱크(3)를 소정의 상한 수위로 하기 위한 퍼 올림량은, 원수 용기(2)의 원수 충전량보다 충분히 작아, 원수 용기(2)의 수축이 용이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최초의 퍼 올림시에 원수 용기(2)가 흡기로(6)로부터 흡기하는 일은 없고, 상행관(6d) 이후의 하류 영역을 향하는 기류의 발생은 기대할 수 없다.
[이 워터 서버로부터의 주수시]
저류 탱크(3)가 소정의 상한 수위의 상태로부터 저류 탱크(3)[냉수 탱크(3a) 또는 온수 탱크(3b)]의 물을 주수로(5)로부터 부으면, 저류 탱크(3) 내의 수위[냉수 탱크(3a) 내의 수위에 일치]가 내려가고, 에어 챔버(6e)로부터 살균성 기체 혼입의 대기가 저류 탱크(3)의 상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저류 탱크(3)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흡기로(6) 내에 원수가 고여 있는 한, 상행관(6d) 이후의 하류 영역에서는, 대기의 흐름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저류 탱크(3)로의 보급 동작]
주수로(5)로부터의 주수가 반복되어, 저류 탱크(3) 내의 수위가 소정의 하한 수위가 된 것을 수위 센서가 검지하면, 펌프(4a)가 상기 소정의 상한 수위가 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운전된다.
[원수 용기(2)의 자흡 개시 시기]
상기 보급 동작이 반복되어, 원수 용기(2)의 수축이 커지면, 복잡하게 굴곡된 옆둘레 부분(2a)의 강성이 대기압보다 우수하여, 부피의 저하가 정지된다. 이때를 도 5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원수 용기(2)의 부피는, 일반적으로, 미개봉시로부터 1/3 이하로 되어 있다. 이때 이후, 원수 용기(2) 내의 잔수량이 감소함에 따라, 원수 용기(2) 내의 부압화를 해소하는 방향의 균형 작용이 얻어진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2)는, 대기에 통하고 있는 흡기로(6)로부터 자발 흡입을 행하게 된다.
[펌프(4a) 운전 중의 원수 용기(2)의 자흡시]
도 6은, 도 5일 때보다 후에 상기 보급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원수 용기(2)의 자흡에 의해, 원수 용기(2)의 용적이 감소하지 않아도 원수 용기(2) 내외가 대기압에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펌프(4a)에 의한 강제적인 퍼 올림이 발생하지 않아, 펌프(4a)의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펌프(4a)의 운전 중에 원수 용기(2)가 흡기로(6)로부터 대기를 흡입하는 경우, 저류 탱크(3) 내로부터 공기 도입관(12)을 거쳐 상행관(6d)에 이르는 살균성 기체 혼입의 대기와, 에어 챔버(6e)로부터 상행관(6d)에 이르는 살균성 기체 혼입의 대기가 섞여 상행관(6d)을 하강하고, 그 하강 도중에, 또한 살균 장치(7)에 의해 살균성 기체가 혼재시켜지기 때문에, 고농도의 살균성 기체 혼입의 대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원수 용기(2) 내나, 습기차기 쉬운 상행관(6d) 이후의 하류 영역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4a)의 운전시에 원수 용기(2) 내에 흡입된 대기의 기포는, 원수 용기(2) 내를 상승하여, 용기 내의 공간에 고인다. 한편, 상승 중인 기포가 급수로(4)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면, 퍼 올림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로(4)의 일단부(4b)와, 흡기로(6)의 일단부(6a)가 피어싱부(11)의 정반대의 개소에서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면, 기포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펌프(4a) 정지 중의 원수 용기(2)의 자흡시]
도 1에 도시한 펌프(4a)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라도, 원수 용기(2) 내를 부압화하는 방향의 물리 변화, 예컨대 분위기 온도의 변동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저류 탱크(3) 내, 에어 챔버(6e) 내로부터 대기가 흡입되는 점은 동일하지만, 살균 장치(7)가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살균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원수 용기(2)의 다 사용시]
원수 용기(2) 내의 수위가 도 5 중의 WL2가 되면, 정규의 다 사용 상태가 된다. 이 워터 서버는, 다 사용된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이 검지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펌프(4a)의 운전, 살균 장치(7)의 가동을 타이머 제어로 소정 시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소정 시간 동안, 흡기로(6) 내로부터 원수 용기(2)를 거쳐 급수로(4)로부터 저류 탱크(3), 에어 챔버(6e)에 이르는 순환로에, 살균 기체 혼입의 대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들 순환로 내의 살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검지에 의해, 원수 용기(2)의 교환을 재촉하는 통지, 예컨대 램프 점등이 이루어지도록도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기초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컨대, 대기압에 의한 원수 용기의 수축의 유무는, 펌프 부하, 잔수량과 같은 파라미터와 상관성을 갖기 때문에, 적절하게 센서나 펌프 운전 이력을 이용하여 흡기로의 개폐 밸브의 제어와 펌프의 운전 제어의 연동을 도모하여, 필요할 때에만 흡기로가 원수 용기와 대기에 연통하여, 원수 용기가 자유롭게 대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해서, 위생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케이스 2: 원수 용기
2a: 옆둘레 부분 2b: 마개
2c: 용기구 3: 저류 탱크
3a: 냉수 탱크 3b: 온수 탱크
3c: 이류로 4: 급수로
4a: 펌프 4b: 일단부
4c: 조인트부 4d: 이음관
4e: 양수관 4f: 타단부
5: 주수로 6: 흡기로
6a: 일단부 6b: 조인트부
6c: 이음관 6d: 상행관
6e: 에어 챔버 6f: 타단부
7: 살균 장치 8: 슬라이드대
8a: 접속구 8b: 받침 시트
9: 열교환기 10: 히터
11: 피어싱부 12: 공기 도입관

Claims (3)

  1. 워터 서버로서,
    케이스(1)의 하부에 도치(倒置) 상태로 배치되는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2)와,
    상기 케이스(1)의 상기 원수 용기(2)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는 저류 탱크(3)와,
    상기 원수 용기(2)의 물을 펌프(4a)를 이용하여 상기 저류 탱크(3)로 퍼 올리는 급수로(4)와,
    상기 저류 탱크(3)의 물을 붓기 위한 주수로(注水路; 5)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도치 상태로 배치되는 원수 용기(2)의 마개(2b)를 상방으로 압입하는 피어싱부(11)
    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로(4)의 일단부(4b)는 상기 피어싱부(11)에 형성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원수 용기(2)는 잔수량(殘水量)의 감소에 따라 대기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부분(2a)을 갖는 연질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4a)의 운전 중에 상기 원수 용기(2)가 대기를 자유롭게 흡입할 수 있는 흡기로(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기로(6)의 일단부(6a)는 상기 피어싱부(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6) 내의 대기에 살균성 기체를 혼재시키는 살균 장치(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장치(7)의 가동과 상기 펌프(4a)의 운전은 연동되는 것인 워터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로(6)는 상기 원수 용기(2) 내와 대기 사이에 걸쳐 항상 개통되어 있는 경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수 용기(2) 내와 동일 수위가 되는 구리관부(6d)를 포함하는 것인 워터 서버.
KR20147022256A 2012-02-14 2012-07-03 워터 서버 KR201401243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9210 2012-02-14
JP2012029210A JP5529186B2 (ja) 2012-02-14 2012-02-14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2/066969 WO2013121599A1 (ja) 2012-02-14 2012-07-03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371A true KR20140124371A (ko) 2014-10-24

Family

ID=4898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2256A KR20140124371A (ko) 2012-02-14 2012-07-03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27957B2 (ko)
EP (1) EP2816004B1 (ko)
JP (1) JP5529186B2 (ko)
KR (1) KR20140124371A (ko)
CN (1) CN104114476A (ko)
TW (1) TW201332877A (ko)
WO (1) WO2013121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9607A1 (en) * 2013-11-14 2015-05-14 MTN Products, Inc Energy saving hot tank for water cooler
JP5583296B1 (ja) * 2014-04-15 2014-09-0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6085521A (ja) * 2014-10-23 2016-05-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サイネージ付ウォーターサーバー及び顧客管理装置
US11292706B2 (en) * 2014-12-30 2022-04-05 Edward Showalt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ods
US20160362285A1 (en) * 2015-06-09 2016-12-15 George Yui Bottom-loading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hot water sanitizing features
CN105117815A (zh) * 2015-07-09 2015-12-02 西安科技大学 基于无线网络的智能送水管理系统
EP3436395A1 (en) * 2016-04-01 2019-02-06 TRUE KEG S.r.l. A system for dispensing water, and water container to be used in such system
EP3722251A1 (en) * 2019-04-12 2020-10-14 Societe Anonyme des Eaux Minerales d'Evian Et en Abrege "S.A.E.M.E" Liquid dispenser
EP3722252A1 (en) * 2019-04-12 2020-10-14 Societe Anonyme des Eaux Minerales d'Evian Et en Abrege "S.A.E.M.E" System for dispensing liquid
US11814279B1 (en) * 2022-06-10 2023-11-14 Quench Usa, Inc. Water dispensing line recirc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634A (en) * 1976-03-16 1977-06-21 Osborn David R Bottled water transfer device
US4958747A (en) * 1988-08-15 1990-09-25 Sheets Kerney T Bottled water dispenser
US5111966A (en) * 1990-05-18 1992-05-12 Kelco Water Engineering, Inc. Water dispenser
US5577638A (en) * 1995-02-21 1996-11-26 Takagawa; Nobuyuki Bottom pouring pot
US5716113A (en) 1996-10-15 1998-02-10 Plourde; Donald G. Sliding shelf for beverage dispensing machine
FR2785600A1 (fr) 1998-11-09 2000-05-12 Dietal Sa Ensemble refroidisseur pour appareil distributeur de boisson
FR2785601B1 (fr) * 1998-11-09 2001-06-08 Dieau Distributeur autonome par gravite de boisson fraiche en gobelet a partir d'une bonbonne a orifice percutable
US7175054B2 (en) * 1998-12-23 2007-02-13 S.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refrigerated water cooler reservoir
CN2407692Y (zh) * 1999-09-09 2000-11-29 李万红 软包装饮水器
JP2001153523A (ja)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US8366920B2 (en) * 2002-06-17 2013-02-05 S.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CN2675580Y (zh) * 2003-08-21 2005-02-02 葛云震 一种下装瓶饮水机
DE602005008329D1 (de) * 2004-10-06 2008-09-04 Cosmo Life Kk Kartusche für Getränkespender und Stützvorrichtung dafür
JP2006341915A (ja) * 2005-06-10 2006-12-21 Ohnit Co Ltd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7669738B1 (en) * 2005-07-07 2010-03-02 Byers Thomas L Water transfer system for a bottled water dispenser
CN101848854B (zh) 2008-08-27 2014-02-19 株式会社宇宙生命 饮料分配器
JP4253036B1 (ja) * 2008-08-27 2009-04-08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00116847A1 (en) * 2008-11-07 2010-05-13 Design By Pari, Llc Under-counter water cooler appliance
JP2010143600A (ja) * 2008-12-17 2010-07-01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JP2010173679A (ja) * 2009-01-29 2010-08-12 Noritz Corp ウォータサーバ
JP4317262B1 (ja) * 2009-03-30 2009-08-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
US8356731B2 (en) * 2009-09-09 2013-01-22 Mtn Products Inc Energy saving baffle for water cooler
JP4802299B1 (ja) 2011-04-12 2011-10-26 株式会社オーケンウォーター 給水ボトルの交換容易な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2574593B1 (en) * 2011-09-28 2013-11-13 Scandinavian Innovation Group Oy Sterilization system for a water-intake finger and an air space of a bottle for a water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6004A4 (en) 2015-10-28
US20150083250A1 (en) 2015-03-26
JP2013166560A (ja) 2013-08-29
WO2013121599A1 (ja) 2013-08-22
US9327957B2 (en) 2016-05-03
CN104114476A (zh) 2014-10-22
EP2816004A1 (en) 2014-12-24
EP2816004B1 (en) 2016-10-05
TW201332877A (zh) 2013-08-16
JP5529186B2 (ja)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4371A (ko) 워터 서버
KR101065816B1 (ko) 음료 디스펜서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907242B1 (ko) 워터 서버
EP1236605A3 (en) Refueling shutoff valve and vent system for fuel tanks
US20150048116A1 (en) Water server
EP1980181A3 (en) Improvements in liquid haeting vessels
JP4253036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TWI624632B (zh) 開飲機
TWI680096B (zh) 開飲機
EP2505728A2 (en) Water storage tank and bidet having the same
WO2016008388A1 (zh) 空气提升泵送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流体容器和冲茶机
CN104703909A (zh) 饮水机
JP2009248984A (ja) 飲料水用サーバー及びその飲料水用サーバーに用いる貯水タンク用の排気手段
JP4317259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184099B1 (ko) 음료수 공급기
JP3141319U (ja) 攪拌式貯湯装置
JP4859850B2 (ja) 飲料水用サーバー
KR20080001577U (ko) 가압기체용해장치
JP2005160756A (ja) 電気湯沸かし器
JP2012121613A (ja) 殺菌空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