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200A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200A
KR20140124200A KR20130041655A KR20130041655A KR20140124200A KR 20140124200 A KR20140124200 A KR 20140124200A KR 20130041655 A KR20130041655 A KR 20130041655A KR 20130041655 A KR20130041655 A KR 20130041655A KR 20140124200 A KR20140124200 A KR 2014012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area
item
gui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0429B1 (en
Inventor
정진엽
백롱민
황희
이기혁
유수영
윤종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2013004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29B1/en
Publication of KR2014012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A method for searching object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in a first area, a window which has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in which a preset number of GUI items moved along a corresponding moving path by an operation of moving a user interrupt position for each examination category of an object are displayed at a first position, a pull-down menu and a calendar item for each examination type for setting search and check on a selected examination category are displayed at a second position, and an input window item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check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bject is displayed at a third position; and displaying a window in which a list of content related to an item inputted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Description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0002]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서 수진 유형별 환자 정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atient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for each patient type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전자의무기록(Electro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은 병원 진료 지원 업무 중 의료 기록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EMR 시스템은 신속한 업무 처리와 인력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기록의 신속한 전달과 활용이 가능하고 환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The Electroic Medical Record (EMR) system refers to a system that processes medical records in a computerized manner during the hospital medical support service. The EMR system has the effect of speedy work process, manpower and cost reduction, enabling rapid transfer and utilization of records, and shortening patient waiting time.

이러한 EMR 시스템은 모든 의료 기관의 전자 의료 기록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각 의료 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을 통일하고 시스템 및 서비스의 표준화를 통해 중복 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 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EMR system is a system that integrates and shares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all medical institutions on a network. It unifies medical treatment related data of individual patients managed by each medical institution and reduces redundant investment and waste by standardizing system and service , And to improve the effect of clinical care.

또한, EMR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처방 및 임상 실험, 진료 의사 결정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 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EMR system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long-term management of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as well as prescribing and clinical testing of patients, and decision-making of patients.

그런데 이러한 EMR 시스템에서 의료진이 외래, 입원, 응급, 수술장 등 환자별 수진 형태에 따라 정보를 조회하고자 할 때, EMR 상의 메인 화면을 통해 각 진료지원 파트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여 환자번호와 검색기간을 입력 후 검색을 조회해야만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의료진이 자신이 원하는 특정 검사의 결과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해당 검사파트의 화면으로 이동 후 각각의 화면에서 검색을 실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파트의 검사결과를 한 화면에서 비교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하지 않는 상황이다.However, in this EMR system, when a medical staff wants to inquire information according to patient type, such as outpatient, inpatient, emergency, surgical field, etc., the main screen of the medical support part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f the EMR, And then check the search results. That is, in order for the medical staff to inquire the result of the specific examination desired by the medical staff,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arch on each screen after moving to the screen of the inspection part. It also does not support the ability to compare the results of multiple parts on a singl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별 수진 유형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환자를 분류하여 진료 파트별 화면 이동 없이 단일화면 내에서 설정된 조회에 기반한 환자 정보를 지원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supporting patient information based on a query set in a single screen, without moving the screen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의 수진 카테고리별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이 표시되고,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이 표시되고, 제3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 창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 내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comprising: a retrieval step of retrieving, based on a user interrupt position movement operation of each object category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to be moved on the movement route are displayed, a pull-down menu and a calendar item for the retrieval type setting for retrieval query setting of the selected probation category are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Displaying a window displaying an input window item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in a first area, displaying a window in which a content list related to an item input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area is displayed, And displaying eac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수진 카테고리별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의 수진 카테고리별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과,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과, 제3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 창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영역 내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arching for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arch query setting according to a subject category according to a user input value and a user selection input; ,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for each object categories of the objects in the divided first positions, pull-down menus for pull-down types for search query setting of the probe categories select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window for displaying an input window item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at a third position are displayed in a first area and an item input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area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 window in which a related content list is displayed is divided into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은 환자 정보 검색 시 사용자별 특화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정보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인화 설정 기능 호출을 통해 환자 정보 검색 시 마다 매번 조회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지양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만을 한 번에 조회 가능하며, 이로 인해 환자별 진료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ing information specific to each user when retrieving patient information, and also avoids unnecessary operations of setting up a retrieval condition each time patient information is retrieved through calling of the personalization sett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trieve only the desired data at a tim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managing the medical care for each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 내지 도 6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flowchart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to FIG. 6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 examples to whic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s applied. FIG.
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래, 입원, 응급 등 환자별 수진 유형에 따라 검색하고자 하는 환자를 분류하여 진료 파트별 화면 이동 없이 단일화면 내에서 설정된 조회에 기반한 환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진 카테고리별 GUI 아이템을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수진 유형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수진 유형에 대응하는 검색 조회 설정 아이템을 통해 기간, 진료과, 진료의 및 진료실 등의 조건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설정 아이템에 기반한 해당 환자의 수진 카테고리별 정보 검색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환자별 수진 유형에 따른 정보 검색을 수진 파트별 메인 화면으로의 화면 이동 없이도 단일화면 내에서 의료진에게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검사 결과를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검색 조회 설정 아이템을 로그인된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디폴트(default)하여 저장함으로써 환자 정보 검색 시 사용자별 특화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정보 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인화 설정 기능 호출을 통해 환자 정보 검색 시 마다 매번 조회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을 지양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만을 한 번에 조회 가능하며, 이로 인해 환자별 진료 관리의 효율성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at classifies a patient to be searched according to a patient type, such as outpatient, hospitalization, A user inputs a condition of a period, a department, a clinic, and an office through a search inquiry setup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rvice type by selecting a service type to be searched through a GUI item for each service category, By displaying the information search results of each patient category based on the entered setting items, information search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conveniently within a single screen without moving to the main screen of each patient part. Not only the search query setting i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ing information specific to each user when retrieving patient information by storing the default information by classifying the users by the logged-in us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unnecessary informa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trieve only the desired data from a large amount of data at a time, thereby providing a technology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patient care managem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searching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환자)의 수진 카테고리별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한다.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an EMR screen provided through an EMR service serv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moving positions on the movement path in accordance with a user interrupt position moving operation for each object category of the object (patient) In the first area, the window in which the GUI item of the GUI item is display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럽트는, GUI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활성화시키기 위한 싱글 탭(single tap), 클릭(click), GUI 아이템이 위치하는 한 지점을 누르고 떼지 않은 채로 다른 위치까지 끄는 동작의 드래그(drag)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GUI 아이템은, 각각 외래, 입원, 응급, 관심 및 수술장으로 설정되어 표시된 제1 위치 내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한 인터럽트(드래그)를 통해 하나의 메인 영역과 4개의 서브 영역 간 위치 이동되며 상기 메인 영역으로 소정 GUI 아이템을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현재 EMR 화면상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테마를 표시하여 제공한다.Here, the user interrupt may include a single tap for selecting or activating a GUI item, a click of a drag for dragging a point where the GUI item is located, and an operation for dragging the GUI item to another position The GUI item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one main area and four main areas through an interrupt (user dragging) through a user input means within a first position set as an outpatient, hospitalization, emergency, And a theme to be searched on the current EMR screen is displayed and provided by moving a predetermined GUI item to the main area.

112 과정에서는 상기 분할된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이 표시된다.In step 112, a pull-down menu and a calendar item for each search type for search query setting of the selected probe category are displayed in the divided second position.

즉, 상기 메인 영역에 위치하는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진료 정보 컨텐츠에 대한 진료과, 진료의, 오전/오후 및 진료실을 하위 메뉴 리스트로 포인팅을 통해 풀다운 메뉴 박스로부터 노출시켜 어느 하나의 메뉴를 입력받아 관련 컨텐츠 검색 조회 설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료 정보 컨텐츠에 대한 기간 검색 조회 설정은 상기 캘린더 아이템에 표시된 특정 날짜를 사용자 인터럽트(클릭)를 통해 활성화시키거나, 또다른 사용자 인터럽트 즉, 드래그와 같은 제스처를 통해 적어도 이틀 이상의 기간에 해당하는 날짜로 마킹된 영역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That is, the morning, afternoon, and office of the medical care department, the medical care office, and the medical care room for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respiratory category located in the main area are exposed from the pull-down menu box by pointing to the submenu list, Perform content search query setting. At this time, the term search lookup setting for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contents is performed by activating a specific date displayed on the calendar item through a user interrupt (click), or by applying another user interrupt, i.e., a gesture such as drag, By activating the marked area with the date.

114 과정에서는 상기 분할된 제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창 아이템이 표시된다.In step 114, an input window item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an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displayed in the divided position.

이때, 상기 식별정보는 환자검색을 위한 환자이름, 환자별 할당된 번호를 포함하고, 해당 환자의 내원 여부에 따라 액티브(active) 혹은 액티브 범위를 체킹하여 조회 설정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patient name for patient search, a number assigned to each patient, and an active or active range can be checked according to whether the patient is visiting or not.

이후, 116 과정에서는 제1 영역 내 제1, 2 및 3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한다.Thereafter, in step 116, a window in which a content list related to the item input 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in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respectively,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즉, 상기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된 GUI 아이템에 따라 상기 GUI 아이템과 관련된 수진 카테고리의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내 제2 및 제3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및 제3 영역에 표시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GUI item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the corresponding content list of the susume category related to the GUI item is displayed in the second and third areas corresponding to the items input at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in the first area Display.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110 ~ 116 과정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steps 110 to 1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EMR 화면(200)의 제1 영역(210) 제1 위치(212)에 수진 카테고리(외래, 입원, 응급, 관심, 수술장)별 GUI 아이템(21, 22, 23, 24, 25)이 각각 표시되고, 하나의 메인 영역(21)에 표시된 외래 GUI 아이템(21)에 따라 현재 EMR 화면(2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외래에 관한 테마를 기반으로 표시됨을 가이드한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to whic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FIG. 2, a first area 210 of a first area 210 of an entire EMR screen 200 GUI items 21, 22, 23, 24, and 25 are displayed in the position 212 in the main area 21 for each foreign object category, The content provided on the current EMR screen 200 is displayed based on the theme related to the outpatient,

이때, 상기 제1 영역(210)의 제1 위치(212)에 표시되는 외래, 입원, 응급, 관심, 수술장으로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21-1, 22, 23, 24, 25)은, 수진 카테고리별 서로 다른 컬러와 매칭되어 표시되고, 입체적 도형 구조 내 수진 카테고리별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고, 특정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GUI 아이템이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GUI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럽트(예컨대, 드래그)에 따라 위치된 영역(메인영역(21-1) 혹은 서브영역(22, 23, 24, 25))으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메인영역(21-1) 혹은 서브영역(22, 23, 24, 25))까지의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메인영역(21-1) 혹은 서브영역(22, 23, 24, 25))에 기설정된 크기로 배치되어 표시된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21-1, 22, 23, 24, and 25 displayed in the first position 212 of the first area 210 as outpatient, hospital, emergency, , Corresponding icons are displayed for each suicide category in the three-dimensional graphic structure, and when a GUI it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ategory is selected through a user interrupt, the selected GUI item is displayed as a user interrupt (The main area 21-1 or the sub areas 22, 23, 24, 25) to be moved from the area (the main area 21-1 or the sub areas 22, 23, 24, 25) (Main area 21-1 or sub areas 22, 23, 24, 25) to be moved and drawn out on a path from the main area 21 to the main area 21, 23, 24, 25).

또한, 전체 EMR 화면(200)의 제2 위치(214)에 상기 제1 위치(212)에서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 즉, 메인영역(21_1)에 위치된 "외래" 수진 카테고리 GUI 아이템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27) 및 캘린더 아이템(26)이 표시되며, 상기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27) 및 캘린더 아이템(26)을 통해 외래/입원/응급 등 환자별 수진 타입에 따라 진료과, 진료의, 오전/오후, 진료실, 진료 기간 등의 다양한 진료 정보별 조회 조건을 추가한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retrieval query setting for the retrieval query category selected in the first position 212 in the second position 214 of the entire EMR screen 200, that is, the "foreign" A pull-down menu 27 and a calendar item 26 are displayed. The pull-down menu 27 and the calendar item 26 are used to display a patient-specific diagnosis type such as outpatient / inpatient / , You should add the conditions of inquiry according to various medical information such as the medical department, the doctor's office, the morning / afternoon, the office, and the medical examination period.

그리고 전체 EMR 화면(200)의 제3 위치(216)에 해당 환자의 식별정보 검색을 위한 환자이름, 환자번호 입력창이 표시되고, 제3 위치(216)에 28영역에 마킹된 Active 범위, 전체 및 Active 체킹 여부에 따라 환자 검색 범위를 보다 상세 가능하다.The patient name and patient number input window for retrieving the pati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third position 216 of the entire EMR screen 200 and the Active range, The patient search range can be more detailed depending on whether the patient is active or not.

더불어, 상기 제1 영역(210)과 다른 제2 영역(218), 제3 영역(220)이 상기 제1 영역(210) 인접하여 위치되어 상기 제1 영역(210) 내 각 위치(212, 214, 216)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218 and the third region 220,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210, ar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region 210 and are located at angular positions 212 and 214 , 216) to display a list of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item.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환자 정보 검색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체 EMR 화면(200)의 제2 위치(214)에 마킹된 "설정(29)" 버튼을 통해 사용자별 환자 검색의 개인화 설정 기능이 제공되어 기본 설정 조건 설정이 가능하다. In the meantime, the patient information search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ersonalization setting function of user-specific patient search through the "setting 29" button marked in the second position 214 of the entire EMR screen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basic setting conditions can be set.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도 3의 310 팝업 창이 일측에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팝업 창(310)에서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진료 정보 컨텐츠에 대한 진료과, 진료의, 오전/오후 및 진료실을 풀다운 메뉴 박스를 통해 선택/활성화하여 "저장"으로 마킹된 312 버튼을 통해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디폴트(default)되어 사용자별로 저장된다. 이후 해당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면 디폴트된 활성화 항목을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한다.3, a pop-up window 310 of FIG. 3 is created on one side, and a medical care information about the medical care inform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edical care category in the generated pop-up window 310, The morning / afternoon of the visit, the clinic is defaulted according to the user account logged in via the login interface via the 312 button marked "Save" by selecting / activating via the pull down menu box, and stored for each user. Then, when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the default activation item is called and displaye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설정"버튼을 통해 사용자별 환자 검색의 개인화 설정 기능은 환자의 내원 여부를 의미하는 Active 상태 환자를 제2 영역(412)에 해당 Active 환자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시에 검색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검색 기능 확장으로 환자 나이, 진단, 수술 등 다양한 조건 검색 설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as shown in FIG. 4, the personalization setting function of the patient search for each us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tting"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a content list for the active patient at the same time as the search function 412. The search function expansion allows sett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patient age, diagnosis, and surgery.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검색 설정 기능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0)에서 활성화되어 표시된 아이템들에 따라 제2 영역(512)에는 진료 대기 환자와 진료 완료 목록을 분리하여 진료 환자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형태의 환자 목록 혹은 카드뷰(card view, 혹은 썸네일) 형태의 환자 목록 표시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리스트 형태의 경우 해당 환자의 바이타(vital) 및 중요 검사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5 (a), the patient search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in accordance with items activat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area 510, The patient can be identified by separating the list, and the patient list in the form of a list or a patient list in the form of a card view (thumbnail)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5 (b).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list form, it is possible to confirm vital and important test results of the patient.

마지막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514)에서 설정된 아이템들에 따라 제2 영역(516)에서는 기설정된 메뉴바 항목에 따른 응급 환자의 항목별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5 (c), according to the items set in the first area 514, the situation of each emergency item of the emergency patien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menu bar item is intuitively set in the second area 516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grasp.

한편,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영역에 표시된 리스트 형태의 환자 목록 혹은 썸네일 형태의 환자 목록은 컨텐츠 표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오브젝트별 상태정보가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 혹은 썸네일(thumb nail)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상기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은, 해당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반한 진료레벨(응급, 내원, 외래, 일반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tient list or the thumbnail-shaped patient list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shown in FIG. 5 (b) is displayed on the content display guide interface through a plurality of object- The items set in the menu bar ar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edical care level (emergency, on-arrival, outpatient, general, etc.) based on the patient's condi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썸네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이미지를 포함한 식별정보와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 필드별로 표시되어 제2 영역(610)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612 윈도우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된 썸네일(60)은 제2 영역(611) 내에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되고, 상기 기설정된 영역 일측에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추가 상세 데이터가 확장된 크기에 대응되게 추가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썸네일(60)이 표시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된 일측(612)에 상기 제2 영역(610)에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썸네일들은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되어 릴레이 표시된다.
6,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of the patient and the individual care service data are display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in the second area 610 by the predetermined area field, and the thumbnail The selected thumbnail 60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second area 611 as in the case of the 612 window, and the selected thumbnail 60 is displayed on the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area, Additional detailed data is additionally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size and at least two or more thumbnail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610 on one side 612 of the selected thumbnail 60 are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displayed, And the relay is display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Hereinabove, a method for searching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700)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FIG. 7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ing apparatus 700.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10), 인터럽트 감지부(712), 제어부(714), 컨텐츠 실행부(716) 및 저장부(71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bje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710, an interrupt detection unit 712, a control unit 714, a content execution unit 716, (718).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10)은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수진 카테고리별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user interface unit 710 provides an interface for searching and setting 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user input values and user selection inputs.

상기 제어부(714)는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의 수진 카테고리별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과,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과, 제3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 창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영역 내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714 has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for each object categories of the object at the divided first position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for each object type A pull-down menu and a calendar item, and a window in which an input window item for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quiry of an object at a third position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A window in which a list of contents related to an item input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region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each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egion.

이때,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은, 수진 카테고리별 서로 다른 컬러와 매칭되어 표시되고, 입체적 도형 구조 내 수진 카테고리별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GUI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GUI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위치된 영역으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까지의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로 배치되어 표시된다.At this time,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displayed at the first position are displayed by matching with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subject categories, corresponding icon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ubject categories in the three-dimensional graphic form structure, The selected GUI item is drawn out on the route from the positioned area to the moved area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user interrupt, and is arrang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in the moving area to be moved.

또한, 상기 제어부(714)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되는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 및 캘린터 아이템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활성화된 항목에 대하여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디폴트(default)하여 사용자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면 디폴트된 활성화 항목을 호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14 controls the pull-down menu for the search query setting and the calendar item displayed in the second posi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ogin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item activ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to display the default activation item when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and display the default activation item.

그리고 상기 제어부(714)는 컨텐츠 실행부를 통해 다수의 오브젝트별 상태정보가 상기 제2 영역의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 혹은 썸네일(thumb nail)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포함한 식별정보와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 필드별로 표시되어 제2 영역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은 제2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상기 기설정된 영역 일측에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추가 상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714 controls the content execution unit to display a plurality of status information for each object in a list or thumbnail list according to the items set in the menu bar of the second are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and the individual care service data are displayed for each predetermined field in the second area so as to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when one of the displayed thumbnails is selected, the selected thumbnail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nd further detailed data on the individual care service data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area.

더하여, 상기 제어부(714)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이 표시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된 일측에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썸네일들은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되어 릴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714 expands the selected thumbnail to a preset size, and controls at least two thumbnails displayed on one side to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ed as a relay.

상기 인터럽트 감지부(712)는 제어부(714)의 제어 하에 상기 수진 카테고리별 GUI 아이템이 표시된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되는 GUI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인터럽트 및 상기 사용자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 영역을 판별한다.The interrupt detection unit 712 detects a user interrupt for a GUI item that is moved on the corresponding movement path according to a user interrupt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in which the GUI item for each suspect category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14, And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user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상기 컨텐츠 실행부(716)는 제어부(714)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된 GUI 아이템에 따라 상기 GUI 아이템과 관련된 수진 카테고리의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내 제2 및 제3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및 제3 영역에 표시한다.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14, the content execution unit 716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list of the suspect category related to the GUI item to the first and second loca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displays them in the second and third areas corresponding to the item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전자의무기록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based objec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7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12: 인터럽트 감지부
714: 제어부 716: 컨텐츠 실행부
718: 저장부
710: User interface unit 712: Interrupt detection unit
714: control unit 716:
718:

Claims (15)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의 수진 카테고리별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이 표시되고,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이 표시되고, 제3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 창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 내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A method of searching for an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to be moved on the movement route ar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a user interrupt position movement operation of each object category of the divided first position, The pull-down menu and the calendar item for the retrieval query setting of the object are displayed, and the window for displaying the input window item f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is displayed at the third position, In a region,
And displaying a window in which a content list related to an item input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area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bjec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은,
수진 카테고리별 서로 다른 컬러와 매칭되어 표시되고, 입체적 도형 구조 내 수진 카테고리별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고, 특정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GUI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GUI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위치된 영역으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까지의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로 배치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When the corresponding GUI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ategory is selected, the selected GUI item is selected from the area positioned according to the user interruption Wherein the moving object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in a moving area to be drawn out on a route to a moving area to be moved and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된 GUI 아이템에 따라 상기 GUI 아이템과 관련된 수진 카테고리의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내 제2 및 제3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및 제3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list of the suspect category related to the GUI item in the second and third areas in correspondence with the items input at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in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he GUI item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되는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 및 캘린터 아이템에 대한 활성화 항목은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디폴트(default)되어 사용자별로 저장되고 해당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면 디폴트된 활성화 항목을 호출하여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down menu for the probe type and the activation item for the calendar item for search query setting of the probe category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are defaulted according to the user account logged in through the login interface And when the corresponding user account is logged in, the default activated item is called and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컨텐츠 표시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오브젝트별 상태정보가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 혹은 썸네일(thumb nail)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comprises:
A method for searching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object-bas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 content display guide interface in a listing or a thumbnail list for each item set in the menu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은,
해당 오브젝트의 상태정보에 기반한 진료레벨에 따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bject inform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a medical care level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obje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은,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포함한 식별정보와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 필드별로 표시되어 상기 제2 영역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은 제2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상기 기설정된 영역 일측에 상기 확장된 크기에 대응되게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추가 상세 데이터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6. The apparatus of claim 5,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of an object and individual service service data are displayed for each preset area in the second area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when one of the displayed thumbnails is selected, the selected thumbnail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the additional detailed data on the individual service data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size on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썸네일이 표시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된 일측에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썸네일들은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되어 릴레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lected thumbnail is expanded to a preset size, and the displayed at least two thumbnails are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relayed.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수진 카테고리별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위치에 오브젝트의 수진 카테고리별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과, 제2 위치에 선택된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및 캘린더 아이템과, 제3 위치에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조회 설정을 위한 식별정보 타입별 입력 창 아이템이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영역 내 각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과 관련된 컨텐츠 리스트가 표시되는 윈도우를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과 제3 영역 각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object information searching apparatus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arching and setting search categories according to a user input value and a user selection input;
And a pull-down menu for a search type setting for search query setting of a search category selected at a second position, menu and a calendar item, and a window in which an input window item for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ype for setting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is set in a third position,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and is displayed at each position in the first area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a window in which a list of contents related to the input item is displayed, in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수진 카테고리별 GUI 아이템이 표시된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서 사용자 인터럽트 위치 이동 동작에 따라 해당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되는 GUI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인터럽트 및 상기 사용자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된 영역을 판별하는 인터럽트 감지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영역에 표시된 GUI 아이템에 따라 상기 GUI 아이템과 관련된 수진 카테고리의 해당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영역 내 제2 및 제3 위치에서 입력된 아이템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및 제3 영역에 표시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user interrupt for a GUI item that is moved on the corresponding movement path in accordance with a user interrupt position movement operation in each divided area in which the GUI item for each defense category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 area where the user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An interrupt detection unit,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list of the susume category related to the GUI item according to the GUI item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corresponding to the item input at the second and third positions in the first area, And a content execution unit for displaying the object information in the are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수의 GUI 아이템은,
수진 카테고리별 서로 다른 컬러와 매칭되어 표시되고, 입체적 도형 구조 내 수진 카테고리별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수진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GUI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GUI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위치된 영역으로부터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까지의 경로 상에서 슬라이딩 인출되어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로 배치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predetermined number of GUI items displayed in the first position are displayed in a first position,
A GUI ic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ategory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and the selected GUI item is displayed in a user interruption Wherein the 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in a moving area to be moved and drawn on a route from the area to be moved to a moving area to be mo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위치에 표시되는 수진 카테고리의 검색 조회 설정을 위한 수진 타입별 풀다운 메뉴 및 캘린터 아이템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활성화된 항목에 대하여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따라 디폴트(default)하여 사용자별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면 디폴트된 활성화 항목을 호출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A pull-down menu for a search type for search query setting and a default item for a calendar item displayed in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a user account logged in through a login interface for an item activa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to display the default activated item when the user account is logged in, and to display the default activated i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부를 통해 다수의 오브젝트별 상태정보가 상기 제2 영역의 메뉴바에 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 혹은 썸네일(thumb nail)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object stat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r thumbnailed according to the items set in the menu bar of the second area through the content execution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에 대하여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포함한 식별정보와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 필드별로 표시되어 제2 영역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썸네일 중 어느 하나의 썸네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썸네일은 제2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상기 기설정된 영역 일측에 개별 진료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추가 상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of the object and the individual care service data are displayed for each of the predetermined areas in the second area by the predetermined area field with respect to the thumbnail, and when any one of the displayed thumbnails is selected, Wherein the thumbnail is expanded 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second area so that additional detailed data on individual service data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predetermined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썸네일이 표시된 기설정된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된 일측에 상기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썸네일들은 기설정된 크기로 축소되어 릴레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lected at least two thumbnails to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displayed in a relay on one side of the displayed selected thumbnail.
KR20130041655A 2013-04-16 2013-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KR101480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655A KR101480429B1 (en) 2013-04-16 2013-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655A KR101480429B1 (en) 2013-04-16 2013-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00A true KR20140124200A (en) 2014-10-24
KR101480429B1 KR101480429B1 (en) 2015-01-13

Family

ID=5199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655A KR101480429B1 (en) 2013-04-16 2013-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24B1 (en) * 2021-04-01 2021-12-06 이지케어텍(주)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optimizing performance after patient sel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326B1 (en) 2021-04-01 2021-11-19 이지케어텍(주)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viewing information of multiple patients at the same ti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28B1 (en) * 2004-04-16 2006-07-24 이노범 A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clinic and the way thereof
KR20060101673A (en)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메디컬익스프레스 Method for information-management of hospital
JP2010015193A (en) * 2008-06-30 2010-01-21 Fujitsu Ltd Clinic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linic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30014225A (en) * 2011-07-29 2013-02-07 김진만 Interactiv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for hospit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24B1 (en) * 2021-04-01 2021-12-06 이지케어텍(주)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optimizing performance after patient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29B1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105B2 (en) MEDICAL REPORT SYSTEM, MEDICAL REPORT VIEW DEVICE, MEDICAL REPORT PROGRAM, AND MEDICAL REPORT SYSTEM OPERATING METHOD
JP5362307B2 (en) Drag and drop control device, method, program, and computer terminal
JP5377144B2 (en) Single choice clinical informatics
US201101291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of retinal changes
KR1014689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JP5389445B2 (en) Display by decision making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20070165049A1 (en)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results review
JP2009238038A (en) Medical report system, medical report browse device, medical report program, and method of browsing medical report
US20090132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s software tool customization and interaction
US20120066000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with external context
JP2019096346A (en) Conference support system, conferen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20100179390A1 (en) Collaborative tabletop for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US2009017800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orkflow management in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US20110074585A1 (en) Patient tracking system
US10061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utput window
US20200159372A1 (en) Pinned bar apparatus and methods
KR1014804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JP2017033518A (en) Device, method, system and program
JP2016157320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4804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data record writing based emr system
JP7109910B2 (en) Image interpretation report creation support device and image interpretation report creation support method
US20160188815A1 (en) Medical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service
CA3083090A1 (en) Medical examination suppor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thereof
KR201400952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st result based emr system
JP6992492B2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