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146A -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146A
KR20140124146A KR20130041501A KR20130041501A KR20140124146A KR 20140124146 A KR20140124146 A KR 20140124146A KR 20130041501 A KR20130041501 A KR 20130041501A KR 20130041501 A KR20130041501 A KR 20130041501A KR 20140124146 A KR20140124146 A KR 2014012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data
training
aircraft
cock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486B1 (ko
Inventor
김영중
안성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8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46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the aircraft being a helicop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대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도 2기 편대, 3기 편대 등의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실제 항공기를 모사한 비행 조종기기들과 그 제어 장치를 구비한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비행 조건을 설정하는 교관실 시스템과, 및 상기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교관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관련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실시간 처리하고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은,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에 관한 처리 신호들의 중간 데이터, 최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호출하고, 그 호출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항공기 편대운용 화면으로서 시현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FLIGHT SIMULATOR APPARATUS PROVIDING FORMATION FLIGHT TRANINING FUNCTION}
본 발명은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대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도 2기 편대, 3기 편대 등의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시뮬레이터 장치는 비행 성능 테스트 및 조종사의 모의 비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장치로서, 통상 그 구성은 실제 항공기의 조종실과 동일한 비행 조종기기들과 그 제어 장치를 구비한 조종실 시스템과 그 조종실 시스템에 각종 비행조건 설정 및 비행 지시를 전달하고 그 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교관실 시스템 및 조종실 시스템과 교관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관련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실시간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한국형 다목적 헬리콥터(KUH : Korean Utility Helicopter)와 같은 신규 항공기 장비에 있어서는 조종사들에게 편대운용 훈련을 시킴으로써 새로운 장비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비행시뮬레이터 장치를 이용하여 편대운용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편대를 구성하는 항공기의 대수만큼의 장비(예를 들어, 2기 편대 훈련을 위해서는 2대의 비행시뮬레이터 장치)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대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도 2기 편대, 3기 편대 등의 편대운용 훈련을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실제 항공기를 모사한 비행 조종기기들과 그 제어 장치를 구비한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비행 조건을 설정하는 교관실 시스템과, 및 상기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교관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관련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실시간 처리하고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은,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에 관한 처리 신호들의 중간 데이터, 최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호출하고, 그 호출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항공기 편대운용 화면으로서 시현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비행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상기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비행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조종실 시스템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의 장비로,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저장할 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운용될 비행 훈련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확인된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능력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에 의해 수행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을 상기 조종실 시스템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의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의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의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은 상기 비행 조종기기들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 출력,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비행 가상 환경 데이터 및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과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의 출력,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명령 신호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에 관한 가상 화면을 시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가 수행하는 기능들 중의 일 기능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에 적용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가 수행하는 기능들 중의 일 기능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에 의해 시현되는 일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시뮬레이터 장치(1)는 조종실 시스템(100), 교관실 시스템(200) 및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또한,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은 조종실 시스템(100)을 통하여 편대비행 훈련 수행이 가능하도록 편대운용 화면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 데이터 저장부(304),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편대비행이란 다수의 항공기가 일정한 형태(formation)을 유지하며 비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편대운용 화면이란 조종실 시스템(100)을 통하여 재생되는 모의 편대비행 화면을 지칭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1)는 조종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가상 모의 비행 환경뿐만 아니라 편대비행 중인 다른 항공기의 화면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조종실 시스템(100)에 탑승한 훈련 조종사가 상기 다른 항공기의 전술 동작을 추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훈련(훈련 조종사가 다른 항공기의 동작을 추종하는 훈련 등) 방법을 이용할 경우, 훈련 조종사의 항공기 조종 능력 및 전술 수행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행시뮬레이터 장치(1)는, 실제 비행 훈련에 있어서는 숙달된 조종사(이하, 경우에 따라 교관 조종사라 칭할 경우도 있음)와 훈련 조종사가 편대(예를 들면, 2기 편대 또는 3기 편대 등)를 이뤄 훈련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에 따라 훈련 조종사가 교관 조종사의 항공기 기동 기술 등을 그대로 모방하면서 습득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장비(1)를 통해 편대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이다.
조종실 시스템(100)은 실제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들을 모사한 비행 조종기기들과 그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조종사가 비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교관실 시스템(200)은 각종 비행 상황 조건을 설정하고 그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장비이며, 예를 들어 훈련대상항공기의 훈련 시작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 저장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 저장중지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를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의 저장 명령, 편대 비행용 데이터의 선택 명령, 선택된 편대 비행용 데이터의 재생 명령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그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은 조종실 시스템(100) 및 교관실 시스템(200)과의 네트워크 연동이 가능한 서버급의 워크스테이션 단말기를 사양으로 구현되며, 조종실 시스템(100) 및 교관실 시스템(200)의 각각에 대해 공유 메모리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동되어,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과 관련된 지시 및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은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시작 명령 신호,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 신호, 편대 비행용 데이터 목록 제공 요청 신호, 편대 비행용 데이터 재생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 동작들을 수행하고, 그 처리된 결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교관실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조종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현한다.
이를 위해,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 데이터 저장부(304),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 및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는 조종실 시스템(100) 및 교관실 시스템(200)과 공유 메모리 및 네트워크(400)를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두 장치들(100, 200) 간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304)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항공기 편대운용 화면 시현을 위한 입력 데이터, 예를 들면,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시작 또는 중지 명령 신호, 편대 비행용 데이터 목록 제공 요청 신호, 편대 비행용 데이터 재생 명령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고, 그 신호들의 처리에 관한 중간 데이터 및 최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시작 명령에 따라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데이터 저장부(304)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조종실 시스템(100)에 구비된 모의 비행 조종기기의 조작 이벤트 발생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모의 비행 조종기기의 조작 이벤트에 대응하는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비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중지 명령에 따라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04)에 저장하는 동작을 중지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즉,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의 명령 신호 없이도)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데이터 저장부(304)에 저장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조종실 시스템(100)에 탑승한 비행훈련탑승자의 비행이력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행이력정보는 비행훈련탑승자가 조종실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 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비행훈련교관이 교관실 시스템(200)의 인터페이스 장비를 이용하여 입력하거나,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을 통하여 데이터 저장부(304)에 자동으로 축적되는 비행이력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비행이력정보는 어떤 조종사가 특정 훈련항목(예를 들면, 정찰비행, 공중초계비행, 경계비행, 야간경계비행 등)에 대하여 수행한 비행 횟수 및/또는 비행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상기 비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조종실 시스템(100)을 이용할 상기 비행훈련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2).
다음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비행훈련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S103),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해용 데이터로서 데이터 저장부(304)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서의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는 조종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시현될 모의 비행 화면을 구성할 편대 비행용 항공기(예를 들면, 교관 항공기)의 동작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는 비행훈련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 저장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S103), 조종실 시스템(100) 또는 교관실 시스템(200) 중의 하나 이상의 장비로, 상기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예를 들면,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저장할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5). 이에 따라, 조종실 시스템(100) 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은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예를 들면,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 저장할지의 여부를 확정하는 선택 신호를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S101 단계 내지 S105 단계를 포함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의 처리 동작에 따를 경우,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은 소정 수준을 갖는(즉, 특정 비행 훈련 항목에 대한 소정 비행 횟수 및/또는 비행 시간 요건을 충족한) 비행 데이터를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선택 명령 및 편대 비행용 데이터 재생 명령에 따라 조종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의 명령 신호들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304)에 저장되어 있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호출하여 조종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종실 시스템(100)은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의 처리 동작에 의하여 수신된 편대 비행용 데이터의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편대 비행용 항공기(예를 들면, 교관 항공기)의 비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즉,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의 명령 신호 없이도) 조종실 시스템(100)에서 시현가능한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을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을 전송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비행훈련탑승자가 조종실 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 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비행 훈련 교관이 교관실 시스템(200)의 인터페이스 장비를 이용하여 대신 입력한 모의 편대 비행 훈련을 위한 기초 정보를 분석하여, 조종실 시스템(100)을 통하여 수행될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을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01). 예를 들어, 비행 훈련 항목은 조종실 시스템(100)에 탑승한 훈련 조종사가 수행할 정찰비행, 공중초계비행, 경계비행, 야간경계비행 등의 훈련 항목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데이터 저장부(304) 내에,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02).
만일, 상기 S202 단계에서,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304)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통지를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은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통지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이 때, 비행훈련교관이 교관실 시스템(200)의 인터페이스 장비를 통하여 별도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S202 단계에서,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304)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들 중에 현재의 비행 훈련 탑승자보다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03).
만일, 상기 S203 단계에서,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들 중에 현재의 비행 훈련 탑승자보다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적합한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304)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은 상기 적합한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304)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통지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이 때, 비행훈련교관이 교관실 시스템(2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별도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S203 단계에서, 현재의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들 중에 현재의 비행 훈련 탑승자보다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상기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의 목록(이하,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목록이라 칭함)을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204). 이 경우,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은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목록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목록은 상기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의 해당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목록은 상기 상위 레벨의 우선순위를 가진 조종사의 해당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는 해당 조종사의 능력치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는 조종실 시스템(100) 탑승자 또는 교관실 시스템(200) 탑승자가 인터페이스 기기를 통하여 선택 지정한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조종실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현되도록 지원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에, 조종실 시스템(100)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의 비행 조종기기들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 출력, 데이터 저장부(304)로부터의 비행 가상 환경 데이터 및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과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의 출력,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로부터의 명령 신호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항공기 편대운용을 위한 가상 화면을 시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도 4는 조종실 시스템(100)이 항공기 편대운용을 위한 가상 화면을 시현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조종실 시스템(100)이 특정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그 내부에 포함된 특정 항공기(101)의 위도/경도/방향과 항공기(101)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항공기(101)의 동작을 디스플레이부에 시현하고, 조종실 시스템(100)의 탑승자의 항공기(102)가 예를 들어 모의 비행 조종기기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항공기(101)와의 편대 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조종실 시스템(100)은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의 지원에 따라 여러 비행 훈련 항목마다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축적 저장하고 있고, 각 축적 저장된 비행 훈련 항목마다 우선 순위가 반영된 최적의 편대 비행용 데이터 목록을 비행 훈련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비행 훈련자에게 보다 품질이 높은 편대 비행 훈련용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300)의 제어부(3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302), 데이터 저장부(304),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 및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 간의 데이터 흐름을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교관실 시스템(200)으로부터의 훈련대상항공기의 훈련 시작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 저장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 저장중지 명령, 훈련대상항공기의 비행데이터를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의 저장 명령, 편대 비행용 데이터의 선택 명령, 선택된 편대 비행용 데이터의 재생 명령 등의 명령 신호들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명령 신호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들을 생성 및 스케줄링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 및/또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의 연산동작을 지시하는 제어동작과, 그 결과값을 조종실 시스템(100) 및/또는 교관실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306) 또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308)가 수행하는 각 처리 동작들은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비행시뮬레이터 100: 조종실 시스템
200: 교관실 시스템 300: 비행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302: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304: 데이터 저장부
306: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308: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Claims (8)

  1. 실제 항공기를 모사한 비행 조종기기들과 그 제어 장치를 구비한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비행 조건을 설정하는 교관실 시스템과, 및 상기 조종실 시스템과 상기 교관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관련 데이터를 공유 메모리를 통해 실시간 처리하고 전송하는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로서,
    상기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은,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에 관한 처리 신호들의 중간 데이터, 최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중인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미리결정된 처리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호출하고, 그 호출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를 상기 조종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항공기 편대운용 화면으로서 시현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 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비행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상기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 및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여 편대 비행용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생성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비행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비행 훈련 탑승자가 미리결정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조종실 시스템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의 장비로,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항공기의 비행 데이터를 저장할 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는,
    (a)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서 운용될 비행 훈련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확인된 비행 훈련 항목에 대응하는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가 상기 조종실 시스템에 탑승한 비행 훈련 탑승자의 비행 능력 레벨보다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에 의해 수행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에 의해 수행된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을 상기 조종실 시스템 또는 상기 교관실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의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의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 또는 비행 시간 중의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에 관한 세부 목록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비행 능력을 가진 탑승자의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훈련 항목에 관한 비행 횟수와 비행 시간을 평균화한 특정 식별 정보는 문자 또는 숫자 또는 기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실 시스템은 상기 비행 조종기기들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 출력,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의 비행 가상 환경 데이터 및 항공기의 위도/경도/방향과 항공기의 자세에 관한 정보의 출력, 상기 편대 비행용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명령 신호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항공기 편대운용 동작에 관한 가상 화면을 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KR1020130041501A 2013-04-16 2013-04-16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KR10146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501A KR101461486B1 (ko) 2013-04-16 2013-04-16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501A KR101461486B1 (ko) 2013-04-16 2013-04-16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146A true KR20140124146A (ko) 2014-10-24
KR101461486B1 KR101461486B1 (ko) 2014-11-18

Family

ID=5199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501A KR101461486B1 (ko) 2013-04-16 2013-04-16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819A (ko)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한국미디어테크 모의훈련용 영상시연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05B1 (ko) 2018-03-07 2020-01-08 국방과학연구소 항공 전투기동 측정 포드 통합점검을 위한 이동형 점검 장비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6511B1 (ko) 2020-04-09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미디어테크 모의훈련용 영상 혼합 방법
KR102310108B1 (ko) 2021-04-14 2021-10-08 주식회사 한국미디어테크 영상 혼합을 위한 필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578B2 (ja) * 1989-03-23 1997-08-25 三菱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編隊飛行模擬方式
KR100958372B1 (ko) * 2003-02-25 2010-05-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비행 시뮬레이션 호스트 시스템
KR100958374B1 (ko) * 2008-08-07 2010-05-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가상 레이더 동작 수행이 가능한 비행시뮬레터 장치
KR101082874B1 (ko) * 2009-11-06 2011-11-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비행 시뮬레이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819A (ko) 2015-09-08 2017-03-16 주식회사 한국미디어테크 모의훈련용 영상시연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486B1 (ko)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7315A1 (en) Flight instructing method and device, and aerial vehicle
US8170976B2 (en) Assessing student performance and providing instructional mentoring
US9099009B2 (en) Performance-based simulation system for an aircraft
AU2012321038B2 (en) Portable device to control simulated aircraft in air traffic control training system
US8616884B1 (e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system for an aircraft
US20100092926A1 (en) Flight crew training system
AU2012321039B2 (en) Portable device to manage and control an Air Traffic Control training system
KR101461486B1 (ko) 편대운용 훈련 수행이 가능한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US20170069218A1 (en) L-v-c operating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raining/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10207091A1 (en) Compact multi-aircraft configurable flight simulator
US118939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idence-based training of aircraft operators
EP3417440A1 (en) A simulation server capable of configuring events of a lesson plan through interactions with a computing device
Whitehurst et al. The effect of experiential education on pilots' VFR into IMC decision-making
KR101396292B1 (ko) 전장 상황과 동일한 비행 환경을 구현하는 비행 시뮬레이터 장치
KR101717759B1 (ko) 비행장 관제와 비행기 조종 훈련용 통합 시뮬레이터
US11216146B2 (en) Mid-fidelity simulation approach and method for flight crew training and evaluation
JP2001100628A (ja) 飛行訓練装置
CN116469294A (zh) 飞行模拟与空管模拟交互装置、联合训练系统及方法
JP2010020106A (ja) 訓練シナリオ作成支援装置
Shashidhara et al. Development of a Full Mission Simulator for Pilot Training of Fighter Aircraft.
KR101751257B1 (ko) 항공기 조종 훈련 자가 학습을 위한 항공기 시뮬레이터 제공 시스템
KR101440503B1 (ko) 위성영상 기반의 교관석 화면을 제공하는 비행시뮬레이터 장치
US20210082290A1 (en) Determining an airport for landing an aircraft
KR102186862B1 (ko) 비행 시뮬레이션 방법
Thomas et al. Development of training scenarios in the flight training device for flight courses at Embry-Riddle Aeronautical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