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855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855A
KR20140123855A KR1020130041245A KR20130041245A KR20140123855A KR 20140123855 A KR20140123855 A KR 20140123855A KR 1020130041245 A KR1020130041245 A KR 1020130041245A KR 20130041245 A KR20130041245 A KR 20130041245A KR 20140123855 A KR20140123855 A KR 2014012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terminal
call ser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1525B1 (en
Inventor
최진태
송용원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525B1/en
Publication of KR2014012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8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 terminal therefo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between a terminal recognizing a code and a receiving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which receives a transmitted call using a virtual number stored in the cod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ich extracts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which connects a call between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ceiver information and the receiving terminal to provide the call service; and a database which stores the receiv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a receiver′s telephone number about the receiving terminal.

Description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 terminal for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실시예는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상품 등의 물건에 부착된 코드를 이용하여 두 개의 단말기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 코드를 인식하는 발신 단말기 상에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대신 대표번호 등을 표시하여 차량, 상품 등의 물건의 주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특화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 terminal for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ore specifically, when providing a call service between two terminals using a code attached to an article such as a vehicle or a commodity, a representative number is displayed instead of a telephone number for the called terminal on a calling terminal that recognizes a code, A terminal for the sam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for providing a specialized call service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an owner of a product such as a product.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위급한 상황 또는 비상 시에 연락을 위하여 차량, 가게 등에 개인 연락처(예컨대, 전화번호, 명암 등)를 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해 개인 연락처를 비치하지 않아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가의 제품 등에 분실을 대비해 연락처를 남겨두고 싶어도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개인 연락처를 부착해 놓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편리하게 통화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로 한다.Personal contact information (eg, phone number, brightness, etc.) is provided to a vehicle, a shop, etc. in order to communicate in an emergency or an emergency. In such a case, there is a problem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personal information is not provided du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by causing harm to another person. In addition, even if you want to leave contacts for expensive items such as lost products, you will be prevented from attaching personal contacts due to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nvenient connection of calls.

본 실시예는, 차량, 상품 등의 물건에 부착된 코드를 이용하여 두 개의 단말기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때, 코드를 인식하는 발신 단말기 상에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대신 대표번호 등을 표시하여 차량, 상품 등의 물건의 주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특화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단말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call service is provided between two terminals using a code attached to an article such as a vehicle or a commodity, a representative number is displayed instead of a telephone number for the called terminal on a calling terminal that recognizes a code, A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code that provides a specialized call service so a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an owner of a product such as a product, have.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코드를 인식하는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에 저장된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between a terminal that recognizes a code and a receiver terminal, the apparatus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originated by the user; An information processor for extracting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for providing the call service by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ceiver information;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with respect to the called terminal.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상 코드를 카메라 또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코드의 이미지의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코드에 내장된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호를 발신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de recogni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arget code using a camera or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An acquiring unit for analyzing an area of the image of the code to acquire at least one of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execution information embedded in the cod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for making a cal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virtual number.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 기기에, 대상 코드를 카메라 또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코드 인식과정; 상기 코드의 이미지의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코드에 내장된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과정;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과정;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호를 발신하는 연결과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ode recognition process of recognizing an object code using a camera or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Analyzing an area of the image of the code to acquire at least one of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execution information embedded in the code; A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connection process of transmitti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calling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by using the virtual number is provi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드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때, 코드를 인식하는 발신 단말기 상에서 착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 대신 대표번호 등을 이용함으로써, 발신 단말기 측에서는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빠르고 편하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착신 단말기 측에서는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업 대 기업 또는 기업 대 개인의 사업에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마케팅 및 광고에 대한 사업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us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 representative number or the like is used instead of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on the calling terminal that recognizes the code, so that the calling terminal does not input the number There is an effect that a call can be made quickly and conveniently, and a call service capable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can be provid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business field of marketing and advertisement by providing a code-based communication service to a business to a business or a business to an individual.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부착된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ttached to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a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 및 착신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단말기(110), 네트워크(12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 및 착신 단말기(1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110, a network 120, a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a call receiving terminal 140.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that the call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code includes only the terminal 110, the network 120,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the called terminal 140,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co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

도 1에 도시된 '코드'는 2 차원 바코드, 3 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가 적용될 여지가 가장 높다고 여겨지는 QR 코드란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즉, QR 코드는 일반적인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할 수 있다. 참고로, QR 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서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외에 알파벳과 한자 등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농담의 판별이 가능한 색조라면 색상이 들어가도 무관하다. 또한, QR 코드는 다양한 버전(예컨대, 버전 1 내지 버전 40)을 지원하고 있으며, 각 버전마다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정보와 크기가 다르다. 이러한, QR 코드에는 데이터의 표현과 읽기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콰이어트 존, 위치 검출 패턴(분리자 포함), 타이밍 패턴, 정렬 패턴, 포맷 정보, 버전 정보, 데이터 영역(에러 정정 코드 영역 포함) 등의 영역이 나뉘어 있다. 여기서, QR 코드는 차량의 유리 또는 제품 등에 프린팅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티커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 이동체(예컨대, 자동차, 이륜차 등) 및 자전거 등의 제품에 부착될 수 있다.The 'code' shown in FIG. 1 may be a two-dimensional bar code, a three-dimensional bar code, a QR code, or the like. Here, the QR cod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licable to this embodiment, is a two-dimensional bar code in the form of a matrix representing information in a monochrome lattice pattern. That is, the QR code overcomes the capacity limitation of a general bar code, and has a two-dimensional bar code that extends the format and contents, and has vertical and horizontal information, and can store character data in addition to the number. In general, it can be read by a digital camera or a dedicated scanner. For reference, the QR code has a two-dimensional shape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can have more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numbers, character data such as alphabets and Chinese characters can be stored. It is irrelevant if the hue is color-distinguishable. In addition, the QR code supports various versions (for example, versions 1 to 40), and the information and size that can be included in each vers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QR code includes a quiz zone, a position detection pattern (including a separator), a timing pattern, an alignment pattern, format information, version information, and a data area (including an error correction code area) The area is divided. Here, the QR code may be embodied in a form printed on a glass or a product of a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QR code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sticker to be attached to a moving object (e.g., a car, a motorcycle, .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데이터 읽고 쓰기 및 저장, 네트워크, 컨텐츠 사용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10)는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 단말기로서, 구비된 무선통신 처리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120)와 연동하며 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110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the network 120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r a command of the user. The terminal 110 may be a tablet PC,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terminal 110 may be a cloud computing terminal that supports cloud computing that can use services such as data reading, writing, storing, network, and content usage through the network 120. The terminal 1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12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carries out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common to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단말기(110)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코드(2 차원 바코드, 3 차원 바코드, QR 코드 등)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코드(이미지)를 분석하여 가상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에 호를 발신한다. 이때, 단말기(110)는 탑재된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코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코드에 대한 코드정보 및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코드를 수동으로 촬영할 수도 있지만, 탑재된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코드가 인식되면 자동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110 is a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The terminal 110 can capture a code (a two-dimensional barcode, a three-dimensional barcode, a QR code, etc.), extracts a virtual number by analyzing the captured code And makes a cal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using the virtual number. At this time, the terminal 110 photographs the code through the installed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and transmit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and caller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d code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Can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Here, the terminal 110 may photograph the code manually by an operation or a command of the user, but may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code when the code is recognized through the installed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

즉, 단말기(110)는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0)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단말기(110)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를 포함하는 형태의 자립형(Stand Alone)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terminal 110 is a terminal that performs voice or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network 120, and is a memory for storing a program or protocol for communicating with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via the network 120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the program,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110 is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However,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the terminal 110 transmits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tand-alone device, including a form of a stand-alone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탑재하여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하며,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통해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의 설치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단말기(1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다운로드한 후 인스톨할 수 있으며, 단말기(110)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a service using a code by mounting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 The terminal 110 may operate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by a user's operation or command and recognize the code through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 If the terminal 110 is a smart phone,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can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the application store. If the terminal 110 is a feature phone Feature Phone), it can be operated on a VM (Virtual Machine) downloaded through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한편, 단말기(110)에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이 탑재되는 형태에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단말기(11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단말기(11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단말기(110)에 탑재된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은 단말기(11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110 may be embodied in a form embedded with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installed in the terminal 110. [ Or may be installed in an OS installed in an OS in the terminal 110 by a user's operation or command.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installed in the terminal 110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may be implemented to interoperate with the basic application (e.g., camera application, call application, etc.) installed in the terminal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d can be implemented to operate as an independent function without interlocking with the basic application.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가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단말기(110)에 탑재된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구동한다. 즉, 단말기(110)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구비된 카메라 모듈로 코드를 촬영한다. 이때, 코드는 QR 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QR 코드는 차량의 유리 또는 제품 등에 부착되거나, 프린팅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여기서, QR 코드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연결하기 위한 가상번호, 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정보, 호를 발신하기 위한 실행정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service using a code will be described. The user drives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mounted on the terminal 110. [ That is, the terminal 110 captures a code with a camera module provided using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 At this time, the code is preferably a QR code, and the QR code is attached to a glass, a product, or the like of the vehicle or is implemented in a printed form. Here, the QR code includes data such as a virtual number for connecting with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co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code, and execution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a call.

단말기(110)는 촬영된 코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코드에 내장된 데이터인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실행정보 및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코드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 및 호 발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110)에서 발신하는 호는 일반적인 음성통화인 서킷 방식 또는 VoLTE와 같은 패킷 방식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연결되고, 단말기(110)에서 전송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는 단말기(110)는 별도의 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상번호는 고정된 대표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무작위로 생성되는 랜덤번호일 수도 있다. 이후, 단말기(110)는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호가 연결되거나,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를 통해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110 extracts a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data embedded in the code, using the image of the photographed code, and extracts the code number, And transmit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performs call origination. Here, the call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by using a packet scheme such as a circuit scheme or a VoLTE, which is a general voice call, and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station 110 transmits data using a separate packet communication. Here, the virtual number is preferably a fixed representative nu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andom number randomly gener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After that, th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by using the virtual number, or may be connected to the ARS or the agent through the call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즉, 단말기(110)는 QR 코드를 카메라 또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QR 코드의 이미지의 영역을 분석하여 코드에 내장된 데이터(예컨대,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등)를 변환하는 코드 분석부, 코드에 내장된 데이터 중 가상번호를 획득하는 가상번호 획득부, QR 코드에 대한 코드정보 및 단말기(110)에 대한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 생성부 및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 및 호 발신을 수행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110 includes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QR code using the camera or the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an image area of the QR code and analyzing the image data (e.g.,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 virtual number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virtual number among data embedded in the code, code information for the QR code, caller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110, and the like,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using the virtual number and performing call originatio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단말기(110) 내에서 가상번호를 획득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10)가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부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가상번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as acquiring a virtual number in the terminal 110 using the QR code, the terminal 1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 And obtain a virtu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from the call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in FIG. 1 can be implemented by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corde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such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네트워크(120)는 3G 및 4G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120)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The network 120 is 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using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3G and 4G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 network 120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 LAN (Local Area Network) or a WAN (Wide Area Network),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ong Term Evolution (LTE) and Evolved Packet Core (EPC), and next-generation networks and cloud computing network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코드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와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하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및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이러한 수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기(140)의 사용자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receives a call originated by usi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the virtual number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and call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10 and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valid, the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is extracted. Here,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of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140, And is stored in the memory 140 in advance.

한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 중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110)가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amo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and determines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invalid, the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ARS or the agent .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서킷 방식 또는 패킷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호를 수신하고, 호와는 별도의 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호를 홀딩(Holding)하고,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정보를 획득한다. 즉,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수신된 호를 홀딩하고 획득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 간에 호를 연결한다.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receives a call from the terminal 110 using a circuit scheme or a packet scheme, and receive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using packet communication separate from the call. Here,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holds a cal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and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obtain receiver information. That is,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holds the received call and connects the call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20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included in the obtained receiver information.

한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에서 수신한 호는 단말기(110)가 인식한 코드 내에 포함된 가상번호를 이용한 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B로부터 기 저장된 가상번호를 추출하거나,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에서 생성된 가상번호를 단말기(110)가 수신하여 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번호는 고정된 대표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무작위로 생성되는 랜덤번호일 수도 있다.The call received by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may be a call using a virtual number included in a code recognized by the terminal 1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the virtual number generated by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originate a call. Here, the virtual number is preferably a fixed representative nu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andom number randomly gener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추출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 간에 호를 연결한다. 여기서,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통신사로부터 회선을 임대하여 사설화한 교환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착신 단말기(140)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단말기(110)로부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환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40) 간에 호가 연결되도록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단말기(110) 측에서는 가상번호를 통해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된 것으로 표시된다.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connects with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included in the extracted recipient information and connects the call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via the network. Here,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n exchange in which a line is rented from a communication company and private. That is, after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140 via the network 120, the call service switching apparatus 130 converts the call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110 into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And provides a call service so that a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Therefore, on the terminal 110 side, it is displayed as being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140 through a virtual number.

한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착신 단말기(140)의 사용자로부터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코드생성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번호 및 코드정보 등의 데이터가 삽입된 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를 착신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이 때,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구비된 데이터베이스(240)에 코드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 가상번호 및 코드정보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40)의 사용자는 수신된 코드를 차량의 유리 또는 제품 등에 부착하거나 프린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de generation request signal for using a call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the call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generates a virtual number and code information (For example, a QR code) into which the data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de to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At this time,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stores the user information,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the like requesting code generation in the database 240 provided. Here,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40 can attach or print the received code to a glass, a product, or the like of the vehicle.

착신 단말기(14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140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the network 120 in accordance with a key operation or a command of the user, and is a tablet PC, a laptop, a personal computer (PC)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기(140)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와 연결되고,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단말기(110)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performs a call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10 via the network 120. [

착신 단말기(140)는 코드가 부착된 차량 또는 제품 등의 소유자의 단말기로서, 착신 단말기(140)는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코드생성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하며,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부터 코드생성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가상번호 및 코드정보 등의 데이터가 삽입된 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수신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40)의 사용자는 수신된 코드를 차량의 유리 또는 제품 등에 부착하거나 프린팅할 수 있다.The terminating terminal 140 is a terminal of the owner of a vehicle or a product to which a code is attached.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transmits a code generation request signal for using the call service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E.g., a QR code) into which data such as virtual number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generation request signal is inserted from the providing apparatus 130. [ Here,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40 can attach or print the received code to a glass, a product, or the like of the vehicle.

착신 단말기(140)는 단말기(110)가 코드를 인식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길 원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140)는 네트워크(120) 및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를 동작에 따라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단말기(110)의 호를 착신하는 단말기를 말한다.When the terminal 110 wants to receive a call service with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by recognizing the code,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may operate the network 120 and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Refers to a terminal that receives a call of a terminal 110 originated by using a virtual number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not leaked.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통신부(210), 코드정보 처리부(220), 통화 연결 처리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가 통신부(210), 코드정보 처리부(220), 통화 연결 처리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and a database 240.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includes on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and the database 240.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it by modification.

통신부(210)는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40)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단말기(110)로부터 코드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와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서킷 방식 또는 패킷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110)로부터 호를 수신하고, 호와는 별도의 패킷 통신을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performs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terminal 11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40. The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call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110 us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and caller information and a virtual number. Here,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call from the terminal 110 using a circuit scheme or a packet scheme, and receive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using packet communication separate from the call.

코드정보 처리부(220)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코드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호를 홀딩하고,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extracts the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240. Here,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holds the cal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extracts the receiver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 중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 요청신호를 데이터베이스(240)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수신자 정보 요청신호 즉, 코드정보와 매칭되는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및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며, 이러한 수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기(140)의 사용자 조작 또는 입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40)에 기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amo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valid, transmits a receiv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to the database 240, and extracts the receiv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at is, the receiver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240. Here,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of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140, And is stored in the memory 140 in advance.

한편, 코드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 중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통화 연결 처리부(230)를 통해 단말기(110)가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code information is not valid by analyzing the code information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through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ARS or agent.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추출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110)로부터 발신된 호를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performs an operation of connecting the call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110 to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based on the recipi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240.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단말기(110)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발신된 호는 단말기(110)가 인식한 코드 내에 포함된 가상번호를 이용한 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기 저장된 가상번호를 추출하거나, 통화 연결 처리부(230)에서 생성된 가상번호를 수신하여 호를 발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번호는 고정된 대표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무작위로 생성되는 랜덤번호일 수도 있다.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call originated from the terminal 110. [ Here, the originated call is preferably a call using a virtual number included in a code recognized by the terminal 1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all number may b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240, ), And may originate a call. Here, the virtual number is preferably a fixed representative nu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andom number randomly gener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추출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 간에 호를 연결한다. 여기서,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통신사로부터 회선을 임대하여 사설화한 교환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착신 단말기(140)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단말기(110)로부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환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40) 간에 호가 연결되도록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단말기(110) 측에서는 가상번호를 통해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된 것으로 표시된다.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connects with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included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database 240 and transmits a call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via the network Connect. Here,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an exchange in which a line is rented from a communication company and private. That is, after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140 via the network 120,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converts the call originating from the terminal 110 using the virtual number into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provides a call service so that a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40. Therefore, on the terminal 110 side, it is displayed as being connected to the called terminal 140 through a virtual number.

한편, 도 2에서 코드정보 처리부(220) 및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 실시예의 구현에 있어서, 정보 처리부와 같이 코드정보 처리부(220) 및 통화 연결 처리부(230)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자립형(Stand Alone) 모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2,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are implemented as separate apparatuses. However,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ual embodiment,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and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Stand Alone) module including all of the processing units 230 as shown in FIG.

또한, 통화 연결 처리부(230)는 코드정보 처리부(220)에서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코드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110)가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0 determines that the c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is invalid,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causes the terminal 110 to be connected to the ARS or the agent.

데이터베이스(24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The database 240 refers to a general data structure implemented in a storage space (hard disk or memory) of a computer system using a database management program (DBMS). The database 240 can search (extract), delete, edit, It is a type of data storage that can be freely performed. It is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or Gemston A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such as Orion and O2 and an XML Native Database such as Excelon, Tamino and Sekaiju, It can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 and has the appropriate fields or elements to achieve its fun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는 착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기 설정된 가상번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화 연결 처리부(230)에서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번호를 생성하거나 단말기(110) 내에서 인식한 코드에 저장된 가상번호를 추출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40)는 가상번호를 제외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The database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ores recipient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a called party, and the like of the called terminal. Here, the recipient informa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predetermined virtual numb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0 may generate a virtu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or may generate a virtu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 the terminal 110 In the case of extracting the stored virtual number, the database 240 stores the receiver information excluding the virtual number.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112)을 실행하고(S310), 이동체(예컨대, 자동차, 이륜차 등) 및 자전거 등의 제품에 부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를 인식한다. The terminal 110 executes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12 by a user's operation or command in step S310 and transmits a code (for example, a QR code) attached to a product such as a mobile object .

단말기(110)는 인식된 QR 코드를 분석하여 QR 코드에 내장된 데이터인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실행정보 및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코드정보 및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 및 호 발신을 수행한다(S320). 여기서, 가상번호는 고정된 대표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무작위로 생성되는 랜덤번호일 수도 있다.The terminal 110 analyzes the recognized QR code and extracts a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execution information, which are data embedded in the QR code, and extracts the code information and the caller information using the extracted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virtual number Transmit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performs call origination (S320). Here, the virtual number is preferably a fixed representative nu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andom number randomly gener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S33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40)에 기 저장된 정보로서,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및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extracts the receiver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240 (S330).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and extracts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Here, the receiv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240, and includes user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r terminal 140,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receiver.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추출된 수신자 정보 중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하고(S340, S35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환하여(S360)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370).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connects the calling terminal 140 with the called party's telephone number among the extracted recipient information at steps S340 and S350 and the call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transmits the virtual number In operation S370, the call is converted into a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in operation S360,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via the network 120 in operation S37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7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steps S310 to S370 are sequentially executed.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such as by changing the order described in FIG. 3 or by executing one or more of steps S310 through S370 in parall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부착된 코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call service using a code attached to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0)는 차량의 소유주에게 발신하기 위한 발신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통화 서비스 제공서버(130)는 차량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해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QR 코드 인식서버'를 포함하며, 착신 단말기(140)는 차량의 소유주의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terminal 110 includes a 'smartphone' of a calling user for making a call to the owner of the vehicle, and the call service providing server 130 provides a call service through a QR code attached to the vehicle Quot; QR code recognition server " for receiving the call,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smartphone of the owner of the vehicle.

차량 소유주는 비상 시에 연락을 위해 차량의 앞유리 또는 소정의 위치에 QR 코드를 부착한다. The owner of the vehicle attaches a QR code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or to a predetermined location for emergency contact.

차량이동, 주차문제, 사고처리 등의 이유로 발신 사용자가 차량의 소유주에게 발신할 경우, 발신 사용자는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 코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코드에 내장된 데이터인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등을 추출한다. 단말기(110)는 추출된 코드정보 및 착신 단말기(140)의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로 전송하고,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발신한다.When a calling user makes a call to the owner of the vehicle for reasons such as vehicle movement, parking problem, accident handling, etc., the calling user recognizes the QR code attached to the vehicle using the terminal 110 and uses the image of the recognized QR code And extracts a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data embedded in the code. The terminal 110 transmits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extracted code information and caller information of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d transmits a call using the virtual number.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소유주에 대한 수신자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수신자 정보는 착신 단말기(140)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및 전화번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analyzes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and obtains receiver information about the owner of the vehicle. Here, the recipien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for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40)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연결하고, 착신 단말기(140)와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단말기(110)로부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환하여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40) 간에 호가 연결되도록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connects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and the network 120 us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and connects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and the call receiving terminal 140 via the network 120 , And converts the call originated by using the virtual number from the terminal 110 into the telephone number includ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to provide a call service so that a cal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한편,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130)는 착신 단말기(140)와 연결되지 않거나,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코드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단말기(110)가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30 may connect the terminal 110 to the ARS or the agent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code information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terminating terminal 140 or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어, 발신 단말기 측에서는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빠르고 편하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착신 단말기 측에서는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a service field using code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nd a phone call quickly and comfortably without inputting a number on the calling terminal side. O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is protected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generates the effect of providing a call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110: 단말기 112: 코드인식 애플리케이션
120: 네트워크 130: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140: 착신 단말기
210: 통신부 220: 코드정보 처리부
230: 통화 연결 처리부 240: 데이터베이스
110: Terminal 112: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120: network 130:
140: incoming terminal
210: communication unit 220: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0: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240: database

Claims (8)

코드를 인식하는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에 저장된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수신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정보, 식별정보, 제품정보,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between a terminal that recognizes a code and a terminating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cod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receiving a call originated by using a virtual number stored in the code;
An information processor for extracting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for providing the call service by connecting a cal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receiver information;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ed party to the called terminal
Where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수신자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코드정보 처리부; 및
상기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발신한 상기 단말기 간에 호를 연결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code information processor for analyzing the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nd extracting the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And
The call conn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to the called terminal us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ipient information, connecting the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that originated the call using the virtual number, A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Wherein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ompris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정보 처리부는,
상기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수신자 정보 요청신호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수신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database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vali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o the data base by analyzing the cod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de information is valid And extracting the call ser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 처리부는,
상기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코드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가 ARS 또는 상담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l connection proces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de information is valid by analyzing the code information, and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not valid,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RS or the ag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에 따른 발신자 전화번호, 애플리케이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A caller tele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terminal, and appl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번호는,
고정된 대표번호 및 상기 코드정보에 기초하여 무작위로 생성되는 랜덤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ed representative number, and a random number randomly gener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대상 코드를 카메라 또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상기 코드의 이미지의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코드에 내장된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호를 발신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arget code using a camera or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An acquiring unit for analyzing an area of the image of the code to acquire at least one of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execution information embedded in the cod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And
And a conn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for making a cal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virtual number,
And a second terminal.
데이터 처리 기기에,
대상 코드를 카메라 또는 코드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코드 인식과정;
상기 코드의 이미지의 영역을 분석하여 상기 코드에 내장된 가상번호, 코드정보 및 실행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과정;
상기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과정; 및
상기 통화 서비스 요청신호를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서비스 제공장치에 호를 발신하는 연결과정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 code recognition process of recognizing a target code using a camera or a code recognition application;
Analyzing an area of the image of the code to acquire at least one of virtual number, code information, and execution information embedded in the code;
A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all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And
A connection procedure for transmitting the call service request signa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for making a call to the c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virtual numb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rogram.
KR1020130041245A 2013-04-15 2013-04-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KR102091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245A KR102091525B1 (en) 2013-04-15 2013-04-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245A KR102091525B1 (en) 2013-04-15 2013-04-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855A true KR20140123855A (en) 2014-10-23
KR102091525B1 KR102091525B1 (en) 2020-03-20

Family

ID=5199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245A KR102091525B1 (en) 2013-04-15 2013-04-15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5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0762A (en) * 2020-05-19 2020-10-20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89A (en)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limiting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in mobile terminal
KR20070025719A (en) * 2005-09-05 2007-03-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ystem and method of number protection for mobile recipient privacy protection
KR20080046005A (en) * 2006-11-21 2008-05-26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 notify service
KR20100132148A (en) * 2009-06-09 2010-1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umber portability service
KR20120140581A (en) * 2011-06-21 2012-12-31 홍순기 Virtual phone number service system and ma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89A (en) * 2004-12-23 200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limiting 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in mobile terminal
KR20070025719A (en) * 2005-09-05 2007-03-0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ystem and method of number protection for mobile recipient privacy protection
KR20080046005A (en) * 2006-11-21 2008-05-26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 notify service
KR20100132148A (en) * 2009-06-09 2010-12-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umber portability service
KR20120140581A (en) * 2011-06-21 2012-12-31 홍순기 Virtual phone number service system and ma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0762A (en) * 2020-05-19 2020-10-20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800762B (en) * 2020-05-19 2023-12-08 汉海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525B1 (en)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75451B (e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for positioning image
CN103729902B (en) Work attendance is registered method, work attendance register method, attendance record terminal and work attendance server
CN103957506B (en) Anti-theft tracking of mobile phon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MSI detections and recognition of face
CN108540755B (en)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5447939B (en) A kind of parking lot safety-pro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WO2009140028A3 (en) Data access based on content of image recorded by a mobile device
CN108596636B (en) Anti-counterfeit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WO20160297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sim cards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049090B1 (en)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US90258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assisted identification of mobile phone users
CN106713246B (en) A kind of detectio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that the application program page is kidnapped
KR20140123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 Service Using Code and Terminal Theref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CN106778441A (en) A kind of graph image intelligent identifying system and its recognition methods
KR20190014223A (en) Qr cod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N103051791A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CN106792512A (en) A kind of infrared identification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being applied to mobile terminal
CN103854349B (en) Movable-type intelligent based on Text reg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come to visit register system
Wu A QR Code-Based on-Street Parking Fee Payment Mechanism
CN108320030A (en) Automobile intelligent service system
JP5702343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04751096A (en) Rapid two-dimension code identification design and achievement method through IP (Internet Protocol) camera
JP2005038102A (en) Point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CN104754104B (en) Information number recognition methods and device
KR20120081448A (en) Smart tagging apparatus based in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location aware method thereof
CN218587199U (en) Friend or foe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