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324A -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324A
KR20140123324A KR1020130040532A KR20130040532A KR20140123324A KR 20140123324 A KR20140123324 A KR 20140123324A KR 1020130040532 A KR1020130040532 A KR 1020130040532A KR 20130040532 A KR20130040532 A KR 20130040532A KR 20140123324 A KR20140123324 A KR 2014012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urbine
blade
generator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케이알
Priority to KR102013004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324A/ko
Publication of KR2014012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내에 가속되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터빈을 설치시 터빈로터가 케이싱 내부유동을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속도의 축류형 터빈이 되며 날개의 코드대 피치의 비가 매우 큰 형상비의 로터가 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주속비에서 회전하며 저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이 발생하게 되어 극수가 많은 발전기가 필요하며 발전기의 무게와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을 극복한다. 즉, 덕트 출구에 터빈 로터가 설치되어 풍가속 입사는 유지하면서 오픈 유동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날개 풍면적은 좁아져 날개 반경이 짧아지면서 초기 기동과 관련되어 좁아진 날개 면적으로 인해 날개 허브 근처의 설치각을 증가시키며 고속회전의 안전성을 위해 날개코드도 허브부근을 증가시켜 양력작용면적을 증가시켜 극수가 적은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고속회전의 비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력이 작은 문제점을 극복하는 덕트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Ventilation Duct Exhaust Energy Capturing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다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변환기술인 덕트 에너지밀도 증강형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 협약과 교토의정서 비준 등 국제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 되면서 화석 연료와 원자력에 의존하는 에너지 공급체계에서 벗어나서 친환경적이고, 고갈되지 않는 대체 에너지인 풍력 발전의 보급이 절실해지고 있다. 풍력 에너지는 자연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로서 유해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이기 때문에 환경문제의 심각성, 화석 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과 맞물려 화석 연료를 대체 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풍력발전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변환기술이다. 약 50년전 현대적 개념의 200㎾급 풍력발전기가 덴마크의 Gedser 해안에 설치된 이후 비약적인 기술진보를 거쳐 ㎿급의 대형풍력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풍력발전은 설치장소의 풍자원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크며 발전기에 따라서도 이용률의 차이가 커 대형 풍력발전기는 인증이 필요로 한다.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기준으로 2㎿급 풍력발전기 1기는 500만평의 산림대체 효과가 있으며, 풍력발전단지 개발시 기초부, 도로 및 중앙제어실을 제외한 나머지 99%는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어 소요면적이 1,335m2/GWh로서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매우 낮다. (석탄;3,642m2/GWh, 태양광; 3,237m2/GW).
그런데 대형 수평축발전기는 상류에 있는 터빈에 의해 발생한 와동이 후류에 설치된 터빈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후류(wake) 효과로 실제로 차지하는 단지면적이 수직축발전기보다는 훨씬 넓게 된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시스템은 회전축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바람방향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식과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식이 있다.
상기 수직 회전축식으로는 잘 알려진 다리우스(Darrieus)식, H자형 수직직선 블레이드, 사보니우스(Savonius) 임펄스식 등이 있으며, 이들 수직축 설계의 장점은 수평축의 경우 필요한 요잉(yawing) 운동장치가 필요치 않다는 점이다.
그러나 수평축식에 비해 일반적으로 에너지변환효율이 떨어지며, 구조물 진동문제의 해결이 숙제로 남아 있다. 또한 수직축은 풍면적 대비 구조물 무게가 수평축에 비해 커서 중대형급 이상은 수평축을 사용하고, 100 ㎾급 이하 도시 적용 환경에서는 소음문제로 인해 회전속도가 낮은 수직축을 많이 사용한다.
풍력 터빈의 공기역학적 동력계수인 Cp는 터빈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축동력과 임펠러에 입사되는 공기동력에너지의 비로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T는 토크(Nm), ω(rad/s)는 각회전수, ρ(kg/㎥)는 공기밀도, U(m/s)는 풍속 및 A(㎡)는 임펠러가 회전하며 통과하는 면적 혹은 터빈의 투영면적이다.
또한, 익단속도비라고 불리는 속도계수 λ는 익단회전속도(Vtip)와 입사 풍속과의 비로서 터빈의 종류가 정해지면 일반적으로 최대 동력계수에서의 값이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02
풍력 발전기의 성능은 상기 수학식 1의 동력계수 Cp로 정의되어 진다. Cp란 입력된 유체의 동력에 대해 터빈이 출력하는 동력의 비이다. 결국 에너지 변환효율이라고 볼 수 있다. 베츠(Betz)가 제시한 이상유체유동 이론에 따르면, 수평축 풍력발전기가 낼 수 있는 가장 큰 Cp값은 0.598이며,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경우에 해당하는 다리우스 풍력발전기는 최대 0.4 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이론적인 것이고 실제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 항력식 수직축 풍력발전기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사보니우스 풍력발전기는 블랙웰(Blackwell) 등이 날개 2매의 사보니우스 임펠러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익단 선속비(λ)가 0.8일때 최대 0.2까지 값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 바 있다.
PCT국제특허공개 WO 2005/108783에는 3개의 날개로 구성된 개량된 사보니우스 방식이 개진되어 있다. 또한 항력식 수직축 방식 중 날개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단면을 에어포일을 유지하며 헬리컬 형태로 적층된 다리우스 터빈 방식의 최근 기술은 PCT국제특허공개 WO 2005/010355에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 오카모토(Okamoto) 등은 다리우스 터빈에 사보니우스 터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을 제안하고 연구한 바 있다.
한편, 수직축의 낮은 터빈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입구 및 측면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여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억제하면서 로터 입구 유입속도를 증대시키며 유선의 방향을 상하면으로 이동시켜 터빈로터의 효율을 개선한 제트휠방식의 수직축 터빈 기술은 국내특허등록 제0810990호에 기재되어 있다.
수직축 계통의 터빈은 정격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가이드 베인의 각도를 제어해야 하므로 대형의 경우 이로 인한 부가적 비용이 매우 높다.
또한 수평축터빈은 날개 피치각을 유압 등의 방법으로 능동적으로 실속제어를 실현하지만 공력 하중의 증대로 내구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수직축 터빈은 일반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므로 속도변환이 필요하며, 수평축 터빈에 비해 효율이 절반 수준으로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덕트 내에 가속되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터빈을 설치시 터빈로터가 케이싱 내부유동을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속도의 축류형 터빈이 되며 날개의 코드대 피치의 비가 매우 큰 형상비의 로터가 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주속비에서 회전하며 저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이 발생하게 되어 극수가 많은 발전기가 필요하며 발전기의 무게와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을 극복한다. 즉, 덕트 출구에 터빈 로터가 설치되어 풍가속 입사는 유지하면서 오픈 유동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날개 풍면적은 좁아져 날개 반경이 짧아지면서 초기 기동과 관련되어 좁아진 날개 면적으로 인해 날개 허브 근처의 설치각을 증가시키며 고속회전의 안전성을 위해 날개코드도 허브부근을 증가시켜 양력작용면적을 증가시켜 극수가 적은 발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고속회전의 비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력이 작은 문제점을 극복하는 덕트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산업용 건물 혹은 상업용 건물 공조용 덕트 토출구 부근에서 바람에너지를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덕트 증강형 풍력터빈에 있어서, 공조용 덕트 직경 (Dj)의 약 2~3배의 직경을 갖는 풍력터빈 덕트를 공조용 덕트 직경 (Dj)의 3배 이상의 거리에 설치하여 공조덕트 출구에서 나오는 제트의 정압이 대기압으로 변환된 후 소산되어질 동압만을 덕트 입구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최대 풍에너지가 입사되는 덕트형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축터빈 로터 어셈블리, 발전기 어셈블리, 흡입부 어셈블리, 그리고 설치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발전기 어셈블리는 도8에서와 같이 3B~3D로 구성되는 발전기 케이싱과 발전기를 3A의 고정플렌지를 통해 고정된다. 3E~3N로 구성되는 흡입부 어셈블리는 3E~3G의 암부, 상류플렌지 3N과 하류플렌지 3H,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 3J와 실린더 리브 3K, 흡입부 콘 3L과 콘 리브 3M으로 구성된다. 3P~3R은 흡입부 상류 실린더부로서 이는 상류플렌지 3N을 통해 흡입부 콘부에 연결되며, 이는 다시 하류플렌지 3H를 통해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에 연결된다. 발전기 케이싱은 3E~3G의 암부를 통해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와 결합된다.
상기 임펠러부는,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를 갖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 볼트 체결 구멍이 있는 날개 뿌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 뿌리부는 날개 연결암과 접합된 후 발전기 축과 연결되는 플렌지와 볼트체결되어 상기 발전기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부의 설치각(피치각)은 무차원 반경(R/D)가 0.16에서 0.5로 변하면서 14o에서 0o까지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부의 무차원 코드길이(코드/직경)은 무차원 반경(R/D)가 0.16에서 0.5로 변하면서 0.14에서 0.019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날개 뿌리부의 끝에서 상기 날개부의 끝단으로 가면서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방향으로 전진하는 스윕각을 갖거나 후진하는 스윕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은 기존 풍력발전기보다 단위면적당 에너지밀도가 월등하게 높으며, 덕트 출구에 터빈 로터가 설치되어 풍가속 입사는 유지하면서 오픈 유동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주속비(수학식 2)에서 회전하므로 케이싱 내 설치 수평축터빈 발전기보다 고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이 발생하므로 극수가 적은 발전기가 필요하여 발전기의 무게와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 풍면적은 좁아져 날개 반경이 짧아지면서 초기 기동과 관련되어 좁아진 날개 면적으로 인해 날개 허브 근처의 설치각을 증가시키며 고속회전의 안전성을 위해 날개코드도 허브부근을 증가시켜 양력 작용면적의 증가를 통한 초기 회전력이 커져 초기 기동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형 풍력터빈을 가능한 공조 덕트출구에서 멀리 떨어지게 설치하여 공조덕트 출구에서 나오는 제트의 정압이 대기압으로 변환된 후 소산되어질 동압만을 공조덕트 출구직경보다 큰 덕트입구로 받아들이도록 하여 산업용 건물 혹은 상업용 건물 공조용 덕트 토출구 부근에서 설치되어 바람에너지를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터빈에 의해 공조시스템의 홴 저항이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덕트형 풍력시스템에 따른 덕트 입출구 감속 및 가속 성능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케이싱내 축류형 터빈과 오픈유동 풍력터빈의 비속도 차이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비속도-비직경 코디어선도.
도 3은 도 2의 케이싱내 축류형 터빈의 날개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나타낸 터빈 날개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터빈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터빈 로터 날개의 형상을 기존 오픈유동 풍력터빈 날개의 형상과 비교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터빈을 공조용 덕트 직경의 2.5배의 직경을 갖는 풍력터빈 덕트를 공조용 덕트 직경의 세 배의 거리에 설치했을 경우, 유입되는 유동의 분포와 유속의 분포 그리고 풍력터빈 후류분포에 대한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그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터빈을 공조용 덕트 출구에 설치시 풍력터빈 덕트 입구 사이의 거리에 따른 풍에너지 포집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터빈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터빈 날개의 무차원 반경에 따른 무차원 코드길이와 설치각의 예를 나타낸 도표와 단면 형상 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풍력터빈의 설치시 kWh당 전기가격에 따른 내부 투자수익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증강형 풍력터빈의 설치시 kWh당 전기가격에 따른 투자회수기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의 표 1은 수평식과 수직축터빈이 같은 면적의 재료를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의 풍속 5.6m/s에서의 터빈 효율을 비교한 표로서, 덕트형 수평식 프로펠러 터빈이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덕트형 풍력터빈은 덕트 면적이 넓어 타워에 설치하거나 요잉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적 수평축 터빈이나 수직축터빈에 비해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항목
HAWT VAWT
Propeller Ducted Propeller Darrius Savonius
출력계수(Cpmax) 0.48 1.16 (최소면적기준) 0.37 0.23
직경 11.28m 0.54m 2.89m 0.96m
출력 3.3 kW 0.027 kW 0.22 kW 0.022 kW
여기서, 각 터빈의 출력은 풍속 5.6m/s 기준임.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면서 동일한 출력의 경우 매우 짧은 직경으로도 이론적으로는 발전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장점이 활용되도록 현절비(Chord-to-pitch 비)가 큰 날개를 구현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표면적 증가에 따른 무게증가로 인한 설치 비용의 증가가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타워설치가 필요없는 옥상풍력과 공조풍력에 적용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유동 풍속이 덕트 앞에서 덕트 저항으로 인해 감속이 발생하나 덕트 내부를 통과하면서 다시 덕트출구면적의 감소에 따른 풍속의 가속이 발생하여 도 1과 같은 유선형 덕트의 경우 자유유동 속도대비 약 40%의 속도의 증가가 발생한다.
공기 운동에너지는 풍속의 삼승에 비례하므로 이로 인한 단위면적당 에너지밀도는 표 2(덕트 입출구 공기 에너지 밀도)와 같이 계산되며, 이로부터 덕트출구에 설치된 터빈 로터가 터빈 면적에 비해 가장 유리함을 알 수가 있다.

자유유동 덕트입구 덕트출구
Energy Density
(Watts/m2)
2,090 620 5,840
덕트 내에 가속되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풍력터빈을 설치시 덕트 내부에 설치하는 발명이 많이 존재하나, 이를 위해서는 터빈로터가 케이싱이 있는 내부유동을 통과하는 축류형 터빈이 되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픈 유동의 비속도와는 다른 상대적으로 낮은 비속도(
Figure pat00003
)를 갖게 된다. 일반적인 형상은 도 3에 나타난 그림과 같이 날개의 코드대 피치의 비가 매우 큰 뚱뚱한 형상비의 로터설계가 필요하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속비(수학식 2)에서 회전하므로 기존 수평축터빈 발전기보다 저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이 발생하므로 극수가 많은 발전기가 필요하여 발전기의 무게와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축터빈 로터 어셈블리, 발전기 어셈블리, 흡입부 어셈블리, 그리고 설치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발전기 어셈블리는 도8에서와 같이 3B~3C로 구성되는 발전기 케이싱과 발전기를 3A의 고정플렌지를 통해 고정된다. 3D~3N로 구성되는 흡입부 어셈블리는 3E~3F의 암부, 상류플렌지 3N과 하류플렌지 3H,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 3J와 실린더 리브 3K, 흡입부 콘 3L과 콘 리브 3M으로 구성된다. 3P~3R은 흡입부 상류 실린더부로서 이는 상류플렌지 3N을 통해 흡입부 콘부에 연결되며, 이는 다시 하류플렌지 3H를 통해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에 연결된다. 발전기 케이싱은 3D~3F의 암부를 통해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와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는,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를 갖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 볼트 체결 구멍이 있는 날개 뿌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 뿌리부는 날개 연결암과 접합된 후 발전기 축과 연결되는 플렌지와 볼트체결되어 상기 발전기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부의 설치각(피치각)은 무차원 반경(R/D)가 0.16에서 0.5로 변하면서 14o에서 0o까지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부의 무차원 코드길이(코드/직경)은 무차원 반경(R/D)가 0.16에서 0.5로 변하면서 0.14에서 0.019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는, 상기 날개 뿌리부의 끝에서 상기 날개부의 끝단으로 가면서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방향으로 전진하는 스윕각을 갖거나 후진하는 스윕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업용 혹은 상업용 건물 공조용 직경 1m의 토출 덕트가 상시적으로 단면 평균속도 11m/s의 배출이 있는 경우에 상기 발명의 덕트 증강형 터빈 (직경 1.5m)을 설치시, 약 520W의 전기에너지의 상시 발전이 가능하며 이로부터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kWh당 전기가격에 따른 IRR(내부 투자수익률)을 도 11과 같이 회수기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계산은 직경 1.5m의 로터가 11m/s의 풍속에서 500W를 생산하는 성능을 갖는 터빈이 상기 덕트 증강형 풍력터빈의 설치가격 기준으로 얻어진 바, $0.2/kwh의 전기료를 기준으로 약 20%의 IRR 그리고 약 5년의 회수기간이 얻어지며 전기가격이 증가하면서 회수기간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1 : 수평축터빈 로터 어셈블리 2 : 발전기 어셈블리
3 : 흡입부 어셈블리 3A1: 볼트
3A : 발전기 고정 플렌지 3B : 발전기 앞판 케이싱
3C : 발전기 케이싱 Cap
3D, 3E, 3F : 발전기 흡입부 암 3G : 흡입부 플렌지 1
3H : 흡입부 플렌지 2 3J : 흡입부 실린더부
3K : 흡입부 실린더 리브 3L : 흡입부 콘
3M : 흡입부 콘 리브 3N : 흡입부 가이드 플렌지 2
3P : 흡입부 가이드 3Q,: 흡입부 가이드 플렌지 1
3R : 흡입부 밴드 리브 4 : 설치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

Claims (2)

  1. 산업용 건물 혹은 상업용 건물 공조용 덕트 토출구 부근에서 바람에너지를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덕트 증강형 풍력터빈에 있어서, 공조용 덕트 직경의 약 2~3배의 직경을 갖는 풍력터빈 덕트를 공조용 덕트 직경의 3배 이상의 거리에 설치하여 공조덕트 출구에서 나오는 제트의 정압이 대기압으로 변환된 후 소산되어질 동압만을 덕트 입구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최대 풍에너지가 입사되는 덕트형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수평축터빈 로터 어셈블리, 발전기 어셈블리, 흡입부 어셈블리, 그리고 고정 타워가 필요없는 설치를 위한 프레임 어셈블리로 구성되며, 발전기 어셈블리는 발전기 케이싱과 발전기를 고정플렌지를 통해 고정되며, 흡입부 어셈블리는 암부, 상류플렌지와 하류플렌지, 상류 및 하류 흡입부 실린더부와 실린더 리브, 흡입부 콘 혹은 유선형 리듀서부와 리브로 구성되며, 로터 어셈블리는 단면이 에어포일 형태를 갖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가운데 부분에 볼트 체결 구멍이 있는 날개 뿌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 뿌리부는 날개 연결암과 접합된 후 발전기 축과 연결되는 플렌지와 볼트 체결되어 상기 발전기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증강형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로터 어셈블리의 터빈 로터는 흡입부 어셈블리 덕트 출구에 설치되어 풍가속 입사는 유지하면서 오픈 유동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주속비에서 회전하므로 케이싱 내 설치 수평축터빈 발전기보다 고회전수에서 정격출력이 발생하므로 극수가 적은 발전기가 필요하여, 날개 풍 입사면적은 좁아져 날개 반경이 짧아지면서 원활한 초기 기동을 위해 상기 임펠러 날개의 설치각(피치각)은 무차원 반경(R/D) 0.1~0.2 (날개허부)에서는 약 10o ~ 20o 에서 0.5(날개끝)로 변하면서 0o가량으로 변화하며, 허브 부근의 무차원 현절비 (코드/피치)도 약 30% 이상으로 증가시켜 양력 작용면적의 증가를 통한 초기 회전력이 커지는 동시에 높은 주속비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축 로터 블레이드.
KR1020130040532A 2013-04-12 2013-04-12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KR20140123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32A KR20140123324A (ko) 2013-04-12 2013-04-12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32A KR20140123324A (ko) 2013-04-12 2013-04-12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324A true KR20140123324A (ko) 2014-10-22

Family

ID=519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532A KR20140123324A (ko) 2013-04-12 2013-04-12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3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8387A (zh) * 2021-12-16 2022-05-17 严强 一种压缩气体管道发电装置
CN114810229A (zh) * 2022-04-28 2022-07-29 苏州西热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烟气动能回收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8387A (zh) * 2021-12-16 2022-05-17 严强 一种压缩气体管道发电装置
CN114810229A (zh) * 2022-04-28 2022-07-29 苏州西热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烟气动能回收系统及方法
CN114810229B (zh) * 2022-04-28 2024-03-15 苏州西热节能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烟气动能回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990B1 (ko) 제트 휠 방식의 수직축 터빈을 채용한 풍력발전시스템
EP1095216B1 (en) Wind turbine
US9046075B2 (en) Wind turbine generator
CN101008376A (zh) 活叶减阻型旋翼式风力发电机组
Cho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deflector integrated cross axis wind turbine
Didane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a unique dual-rotor Savonius-type counter-rotating wind turbine
CN101368544A (zh) 组合式共轴垂直轴风力发电机
KR101071240B1 (ko) 풍속 증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물 옥상형 풍력 발전시스템
CN106640533A (zh) 自适应变桨的垂直轴风力发电机驱动装置及风力风电机
RU2355910C2 (ru) Ветр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AU2008235238B2 (en) Wind wheel
CN211008949U (zh) 一种风电叶片降噪后缘结构
CN101749179A (zh) 一种用于垂直轴风力发电机的整流增速塔
KR20140123324A (ko) 공조용 수평축 풍력발전시스템
CN108119299B (zh) 风动发电机
Chandrashekhar et al. Design of small scale vertical axis wind turbine
CN201103511Y (zh) 一种可变桨风轮
Asif et al. Parametric study of turbine mounted on train for electricity generation
CN116745518A (zh) 能够设置于移动体的风力发电装置
RU2310090C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90051669A (ko) 풍력발전용 집풍형 풍차
CN210239906U (zh) 一种垂直轴风力节能发电机
CN203248313U (zh) 一种新型的风力发电机
CN203051001U (zh) 多机联合风力发电机
KR20110130578A (ko) 소음 저감형 풍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