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132A -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132A
KR20140123132A KR20130039388A KR20130039388A KR20140123132A KR 20140123132 A KR20140123132 A KR 20140123132A KR 20130039388 A KR20130039388 A KR 20130039388A KR 20130039388 A KR20130039388 A KR 20130039388A KR 20140123132 A KR20140123132 A KR 2014012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unit
generat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2772B1 (en
Inventor
박시준
박정철
노용연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772B1/en
Publication of KR2014012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An ice-making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urified water generating part generating purified water by purifying raw water; an ice generating part generating ice; an ice storing part receiving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ing part, and storing the ice; an auxiliary storing part receiving water from the ice storing part, and storing the water;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purified water generating part or the auxiliary storing part to supply the water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the ice to the ice generating part, wherein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ice generating part to receive the water, which is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ice, as much as a predetermined target amount.

Description

얼음 정수기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정량의 물을 제빙 장치로 공급하여 적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genera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ice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ice production to an ice maker.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제빙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A water purifier commercially available in recent years is generally capable of providing ice to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ice in this way, the ice water purifier must have an ice maker that can make ice inside. In addition, the ice water purifier must have an ice reservoi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ice made by the ice maker. That is, recently, an ice water purifier commercially available has an ice maker that stores ice in an ice reservoir, and provides a user with ice in an ice reservoir when the user requests ice.

그런데 얼음 정수기의 제빙 장치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 정해져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얼음이 제대로 얼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요 이하의 물이 공급되면 얼음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제빙 장치의 작동에 무리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빙 장치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However, ice makers in ice water purifiers usually have the ability to generate ice. Therefore, when more water is supplied than necessary, ice is not frozen properly. In addition, when water below the required amount is supplied, the ice becomes too frozen to cause a problem in operation of the ice mak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ice with the ice mak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정량의 물을 제빙장치로 공급하여 적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genera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ice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to an ice maker.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얼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얼음 저장부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보조 저장부, 및 얼음 생성부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정수 생성부 또는 보조 저장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어부는 얼음 생성부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미리 정해진 목표량만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purified water by generating purified water; an ice producing unit for generating ice; an ice storing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ice generated by the ice produc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supply of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from at least one of the water generating unit and the auxiliary storing unit to the ice producing unit,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ice from the ice producing unit, And supplies the necessary amount of water to a predetermined target amount.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제어부가 얼음 생성부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미리 정해진 목표량만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정량의 물을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여 적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ice water generator to supply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to the ice generator by a predetermined target amount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is supplied to the ice generator to generate appropriate ice Can be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와 냉수 생성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와 냉수 생성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 적용되는 트레이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ce producing sec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in more detail;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ce generating unit and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producing unit and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upply of ice and cold water in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pplied to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수 생성부(110), 얼음 생성부(120), 얼음 저장부(130), 보조 저장부(1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ice to a user. 1,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er generating unit 110, an ice producing unit 120, an ice storing unit 130, an auxiliary stor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1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수 생성부(110)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정수 생성부(110)는 필요에 따라 여러 필터를 포함한다. 일례로 정수 생성부(1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수 생성부(1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을 말한다.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generates an integer by clearing the raw water.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various filters as needed. For example,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may include a line carbon filter, a membrane filter, and a post-carbon filter. Or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may be an electric deionization type filter. Here, the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refers to EDI (Electron Deionization), CEDI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and CDI (Capacitive Deionization).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을 생성한다. 얼음 생성부(120)는 이와 같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정수 생성부(110) 또는 후술할 보조 저장부(14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The ice generator 120 generates ice. The ice producing unit 120 receives water from at least one of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110 or the auxiliary storing unit 140 to generate ice.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 생성부(120)가 생성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이때 얼음 저장부(130)는 잔수(殘水, 얼음이 되지 못한 물)도 함께 공급받아 저장한다. 얼음 저장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까지 얼음을 저장한다.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이를 위해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 이송부(150)를 구비한다. 얼음 이송부(15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스크루(screw)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얼음 저장부(130)는 모터(152)에 의한 얼음 이송부(150)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배출구(154)까지 이송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The ice storage unit 130 receives and stores ice generated by the ice producing unit 120. At this time, the ice storage unit 130 also receives and stores residual water (water that has not become ice). The ice storage unit 130 stores ice until a user requests it. When the user requests it, the ice storage unit 130 supplies ice to the user. For this purpose, the ice storage part 130 includes an ice transfer part 150. The ice transfer part 150 has a screw shap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ice storage unit 130 can transfer the ice to the outlet 154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ce transfer unit 150 by the motor 152 and supply the ice to the user.

보조 저장부(140)는 얼음 저장부(130)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 생성부(120)로부터 잔수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얼음 저장부(130)에 저장된 얼음은 녹아서 물을 생성한다. 보조 저장부(140)는 이와 같은 얼음 저장부(130)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보조 저장부(14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저장부(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반드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receives and stores the water of the ice storage unit 130. The ice storage unit 130 receives residual water from the ice producing unit 120.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130 melts to generate water.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receives and stores the water of the ice storage unit 130.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ce storage unit 130 as shown in FIG.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formed integrally as described later.)

제어부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정수 생성부(110) 또는 보조 저장부(14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때 제어부는 얼음 생성부(120)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미리 정해진 목표량만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때 목표량은 얼음 생성부(120)가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 정해져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물이 공급되면 얼음이 제대로 얼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요 이하의 물이 공급되면 얼음이 너무 강하게 얼어서 후술할 트레이의 작동(회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적절하게 얼음이 얼 수 있는 정도의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required for ice produc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water generating unit 110 or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ce generator 120 to supply the water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ice by a predetermined target amount. At this time, the target amount is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bility of the ice generator 120 to generate ice. The ability of the ice generator 120 to generate ice is usually fixed. Therefore, when more water is supplied than necessary, ice is not frozen properly. Also, when less than necessary water is supplied, the ice is so frozen that the operation (rotation) of the tray to be described later is interrupt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pply of the water to an extent that the ice can be properly frozen to the ice-making unit 12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정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정수를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1 제어와, 보조 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을 보조 저장부(140)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2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한 (또는 공급할) 물의 양에 따라 제1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물의 양을 결정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 for supplying the constants generated by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110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110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To the ice-making unit (120) from the ice-making unit (14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generator 120 through the first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or supplied) to the ice generator 120 through the second control.

이와 같이 제어부는 보조 저장부(140)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을 우선한다. 참고로, 여기서 우선은 시간의 우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양의 우선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시간을 기준으로 본다면 제1 제어를 먼저 행하거나 제2 제어를 먼저 행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양을 기준으로 본다면 우선 제2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물의 양을 정한 다음에 제1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물의 양을 정하여야 한다. 보조 저장부(140)의 물은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공급받는 물이기 때문에 정수 생성부(110)가 생성하는 물보다 온도가 낮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보조 저장부(140)의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것이 냉각의 효율에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을 재순환시키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는 요인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For reference, priority does not mean priority of time but priority of quantity.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may be performed first or the second control may be performed first if the time is regarded as a referenc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first determin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and then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control. Since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water suppli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30,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lower than the water generated in the purified water generation unit 1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first supplied to the ice-producing unit 120 for the cooling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water is recirculated, unnecessary waste of water can be eliminated.

그런데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얼음 생성부(120)로 목표량만큼 물을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제2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한 (또는 공급할) 물의 양이 정해지면 제1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물의 양도 정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표량에서 제2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한 (또는 공급할) 물의 양을 제외하면 제1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물의 양이 정해진다. However, the control unit basically performs control to supply water to the ice generator 120 by the target amount. Accordingly, i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o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determin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through the first control is also determined. More specifically,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control, except for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o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control in the target amount.

이와 같은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하려면 보조 저장부(140)가 목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빈번하게 얼음을 요청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얼음은 계속적으로 녹기 때문에) 얼음 저장부(130)는 보조 저장부(140)로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저장부(140)가 목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저장하고 있으면 단순히 보조 저장부(140)의 물을 모두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얼음 생성부(120)에 대한 물의 공급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저장부가 이보다 적은 양만큼 저장하고 있으면 목표량에서 부족한 만큼 제1 제어를 통해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보조 저장부(140)가 목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저장하면 얼음 생성부(120)에 대한 물의 공급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such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The ice storage 130 can supply enough water to the auxiliary storage 140 (except when the user frequently requests ice). Therefore, i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simply supplying all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o the ice-producing unit 120 can also supply the water to the ice- Can be completed. (If the auxiliary storage unit stores a smaller amount than the auxiliary storage unit,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I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store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120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이를 위해 보조 저장부(140)는 최대로 목표량에 대응하는 제1 수위까지 물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물을 저장하는 방법은 다음의 2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로, 보조 저장부(140)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면 (이는 보조 저장부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얼음 저장부(130)가 더 이상 보조 저장부(140)로 물을 공급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둘째로, 보조 저장부(140)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도달하면 제1 수위를 초과하는 물을 보조 저장부(14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이 있다. For this,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preferably stores water up to the first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There are two ways to store water in this way. Firs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reaches the first water level (this can be confirmed by installing a water level senso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the ice storage unit 130 is no long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here is a way not to supply water. Seco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reaches the first water level, water exceeding the first water lev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그리고 보조 저장부(140)는 소정 수위(제2 수위)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저장부(140)의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것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냉각의 효율에 있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적어도 제2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보조 저장부(140)는 보조 저장부(140)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면 (이는 보조 저장부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를 공급받는 방법도 2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maintains a water level higher than a predetermined water level (second water level). The reason why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that cooling efficiency is preferable. In order to maintain at least the second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this can be confirmed by installing a water level senso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And can receive the integer from the unit 110. There are two ways to receive the purified water.

첫째로,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직접적으로 정수를 공급받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실시예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둘째로,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간접적으로 정수를 공급받는 방법이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된 물은 모두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수 생성부(110)의 정수를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면 결과적으로 보조 저장부(14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정수는 얼음 생성부에 의해, 또는 얼음 저장부의 얼음에 의해 냉각된다.) 이와 같이 정수 생성부(110)의 정수를 간접적으로 보조 저장부(140)로 공급할 수 있다. First, the integer is supplied directly from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second embodiment. Second, the integer is indirectly supplied from the integer generating unit 110. As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ll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supplied to the ice storage unit 130. Accordingly, if the purified water of the purified water generating unit 110 is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ing unit 140 as a result. (In this process, the purified water is cooled by the ice producing unit or the ice of the ice storing unit.) Thus, the constant of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110 can be indirectly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ing unit 140.

이하에서 제어부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작동에 대해 상술한다. 먼저 제어부는 정수 생성부(110)의 정수를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아직 보조 저장부(14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다음 얼음 생성부(120)는 공급받은 정수를 얼려서 얼음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과 얼음이 되지 못한 잔수를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한다. 얼음 저장부(13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까지 얼음을 저장한다. 이때 얼음 저장부(130)의 물(잔수나 얼음이 녹은 물)은 보조 저장부(140)로 공급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는 얼음의 생성이 필요할 때 보조 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때 보조 저장부(140)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목표량에 미달하는 경우 제어부는 미달하는 양만큼 정수를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rol unit. Firs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upply the constants of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110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This is because no water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yet. Then, the ice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ice by freezing the supplied purified water. Then, the ice-producing unit 120 supplies ice and ice-free residual water to the ice storage unit 130. The ice storage unit 130 stores ice until a user requests it. At this time, the water (residual water or ice water) of the ice storage unit 130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he control unit then controls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o the ice-making unit 120 when it is necessary to generate ice. In this case, wh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to the ice-producing unit 120 is less than the target amoun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ce-making unit 120 to supply the constant from the constant- .

한편,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조 저장부(140)는 얼음 저장부(1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저장부(14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녹아서 작아진 얼음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얼음도 공급받으면 보조 저장부(14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얼음 생성부(12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물의 양을 250ml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보조 저장부(140)의 제1 수위가 250ml에 대응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보조 저장부(140)가 제1 수위를 유지하고 있으면 보조 저장부(140)의 물을 전부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것으로 목표량만큼의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저장부(140)에 얼음도 저장되어 있으면 보조 저장부(140)의 수위가 250ml로 감지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되는 물은 250ml보다 적을 수 있다. 1,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ce storage unit 130 in this embodiment. Therefore,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can be supplied with ice, which is melted and reduced as shown in FIG. However, if ice is supplied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water suitable for generating ice in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250 ml.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corresponds to 250 ml. In this case, i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maintains the first water level, all of the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supplied to the ice-producing unit 120 so that the water of the target amount is supplied to the ice- . However, even if ice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 is detected as 250 m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may be less than 250 ml.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보조 저장부(1401)를 얼음 저장부(130)와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변형예의 경우 보조 저장부(1401)가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 보조 저장부는 물을 저장하는 일종의 탱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경우 보조 저장부(1401)가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물만 공급받는다. 참고로, 본 변형예에서 제1 수위를 초과하는 물은 2방 밸브(14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ce storage unit 130 as shown i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is separat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30 in this modification. (In this modifica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y be a kind of tank for storing water.) Accordingly, in this modified example, only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ice storage unit 130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For reference, in this modification, water exceeding the first water leve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wo-way valve 1402.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16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 생성부(160)는 얼음 생성부(120)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매우 낮은 온도를 가진다. 따라서 얼음 생성부(120)의 낮은 온도를 이용하면 냉각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냉수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for generating cold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cold water generator 160 generates cold water using the cold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120. The ice-producing portion 120 has a very low temperature because it generates ice. Therefore, by using the low temperature of the ice generator 120, cold water can be generated even if no separate facility for cooling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냉수 생성부(160)가 생성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 저장부(170)는 얼음 저장부(130)와 구별되게 냉수를 저장한다. 즉,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가 생성한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은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되고, 냉수 생성부(160)가 생성한 냉수는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된다.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ld water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stores cold water separately from the ice storage unit 130. 1, the ice (including the remaining water)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upplied to the ice storage unit 130, and the ice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or 160 The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그런데 냉수 생성부(160)는 냉수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정수 생성부(110) 또는 냉수 저장부(17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공급을 위한 제어도 제어부가 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얼음 저장부(130)의 물은 다시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될 수 있고, 냉수 저장부(170)의 물은 다시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얼음 저장부(130)의 물이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되거나, 냉수 저장부(170)의 물이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되지는 않는다.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receives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cold water from at least one of the water generating unit 110 and the cold water storing unit 170. The control unit also performs control for such supply.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in the ice storage part 130 may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part 120, and the water in the cold water storing part 170 may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part 160 again.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in the ice storage part 130 is not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part 160 or the water in the cold water storing part 170 is not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part 120.

이하에서 도 3를 참조하여 얼음 생성부(120)에 대해 보다 상술한다.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트레이(126), 냉매가 흐르고 트레이(126)의 상측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디(122), 및 냉매가 흐르고 바디(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트레이(126)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는 핑거(124)를 구비한다. 얼음 생성부(120)는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물을 냉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매가 흐르는 핑거(124)가 트레이(126)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면 핑거(124)에 얼음이 생성되어 매달린다. 이와 같이 얼음이 생성되면 트레이(126)는 회전을 통해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을 외부로 배출한다. Hereinafter, the ice-making sec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ce-making section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in more detail. 3, the ice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tray 126 for storing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a body 122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nd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ay 126, And has fingers 124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body 122 to be immers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tray 126. [ The ice-making unit 120 cools water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hrough heat exchange.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nger 124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is immers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tray 126, ice is generated in the finger 124 and hangs. When ice is generated in this manner, the tray 126 discharges ice (including residual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rotation.

이하에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얼음 생성부(120)와 냉수 생성부(160)에 대해 보다 상술한다. 도 4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와 냉수 생성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와 냉수 생성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트레이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생성부(120)는 U자 형상의 바디(122)와, 바디(1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핑거(1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냉수 생성부(160)는 바디(122)에 인접한 유로(도 4의 화살표 참조)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로는 U자 형상의 바디(122)에 고정된 플레이트(162)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로를 따라 물이 흐르면 바디(122)와 핑거(124)의 낮은 온도로 인해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 생성부(160)는 얼음 생성부(120)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한다.Hereinafter, the ice generator 120 and the cold water generator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generator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viewed from abov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and the cold water generator of FIG. 1. 4 and 5, the ice-maker 120 includes a U-shaped body 122 and a pair of U-shaped bodies 12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122 And has a plurality of fingers 124 extending therethrough. As shown in FIG. 4,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includes a flow path (see arrows in FIG. 4) adjacent to the body 122. More specifically, the flow path may be formed along the plate 162 fixed to the U-shaped body 122. When water flows along the flow path, water can be cooled by the low temperature of the body 122 and the fingers 124. In this way,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generates cold water by using the cold heat of the ice producing unit 120.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얼음과 냉수의 공급에 대해 보다 상술한다.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가 생성한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은 얼음 저장부(130)로, 그리고 냉수 생성부(160)가 생성한 냉수는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공급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126)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1 위치(A), 얼음이 배출되는 제2 위치(B), 그리고 냉수가 배출되는 제3 위치(C)에 위치한다. Hereinafter, the supply of ice and cold w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supply of ice and cold water in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including the remaining water) generated by the ice producing unit 120 is transferred to the ice storage unit 130, and the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is transferr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 In order to provide such a supply, the tray 126 is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 where ice is produced, a second position B where ice is discharged, and a third position C where cold water is discharged .

제1 위치(A)는 트레이(126)로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위치이다. 즉, 제1 위치(A)에서 얼음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얼음이 생성되면 트레이(126)는 제2 위치(B)로 회전한다. 제2 위치(B)는 트레이(126)의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을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하는 위치이다. 제2 위치(B)에서 보다 확실하게 얼음을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하기 위해 트레이(126)에 가이드(12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128)는 얼음 저장부(130)와 냉수 저장부(170)를 구획하는 칸막이(132)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osition A is a position where water is supplied to the tray 126 and stored. That is, ice is generated at the first position (A). When ice is generated in this manner, the tray 126 rotates to the second position B. [ The second position B is a position for supplying ice (including residual water) of the tray 126 to the ice storage unit 130. The guide 128 may be formed in the tray 126 to more reliably supply the ice to the ice storage part 130 at the second position B. [ At this time, the guide 128 preferably extends to the partition 132 for partitioning the ice storage unit 130 and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마지막으로 제3 위치(C)는 냉수 생성부(160)로부터 냉수를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 생성부(160)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냉수 저장부(170)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냉수는 냉수 생성부(160)에서 냉수 저장부(170)로 그대로 낙하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낙하 경로에 트레이(126)가 위치하면 냉수의 공급이 가로막힐 염려가 있다. 따라서 냉수를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할 때 트레이(126)는 제3 위치(C)로 회전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가이드(128)는 트레이(126)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트레이(126)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하면 트레이(126)가 제1 위치(A) 또는 제2 위치(B)에서 제3 위치(C)로 회전할 때 가이드(128)가 칸막이(132)에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Lastly, the third position C is a position necessary to supply the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In this embodiment, the cold water generator 160 is located above the cold water reservoir 17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old water may be directly dropped from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160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However, when the tray 126 is positioned in such a fall path, the supply of cold water may be interrupted. Accordingly, when the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storage unit 170, the tray 126 needs to be rotated to the third position C. For reference, the guide 128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tray 126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y 126 rotates. Rotation in this way can prevent the guide 128 from being caught in the partition 132 when the tray 126 rotates from the first position A or the second position B to the third position C. [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 생성부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와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7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owever,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generator. For reference, the same (or significa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gnificant)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정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정수를 정수 생성부(210)로부터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하는 제1 제어와,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을 보조 저장부(1401)로부터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정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정수를 바로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는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의 양에 따라 제1 제어를 통해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할 물의 양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얼음 생성부(120)로 물을 공급할 때 (제1 제어를 행하기 전에)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의 양을 우선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first control for supplying the integer generated by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210 from the integer generating unit 210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and the first control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to the auxiliary storage To the ice generator 120 from the ice maker 1401.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oes not directly supply the constants generated by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210 to the ice generating unit 120 but supplies the constants to the auxiliary storing unit 140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through the first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gives priority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when supplying water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before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2 제어를 통해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을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한다. 따라서 목표량에서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의 양을 뺀 만큼을 정수 생성부(210)로부터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한 다음에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을 모두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면, 제어부는 얼음 생성부(120)로 목표량만큼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을 미리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한 다음에, 목표량에서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되었던 물의 양을 뺀 만큼을 정수 생성부(210)로부터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하고, 보조 저장부(1401)에 저장된 물을 다시 얼음 생성부(120)로 공급하더라도, 제어부는 얼음 생성부(120)로 목표량만큼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supplies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to the ice generator 120 through the second control. Accordingly, after the amount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from the target amount is supplied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210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all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is supplied to the ice- 120, the control unit can supply water of the target amount to the ice-producing unit 120. Or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is supplied to the ice generator 120 in advance and t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is subtracted from the target amount, The control unit may supply water to the ice producing unit 120 at a target amount even if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ing unit 1401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unit 120 again.

본 실시예의 경우 정수 생성부(210)가 보조 저장부(1401)로 바로 정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보조 저장부(1401)의 수위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저장부(1401)의 수위가 제1 수위에 미달하는 경우 제1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정수 생성부(210)로부터 바로 정수를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하면 된다. 또한 보조 저장부(1401)의 수위가 제2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도 정수 생성부(210)로부터 바로 정수를 보조 저장부(1401)로 공급하면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ger generating unit 210 directly supplies the purified water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Therefore,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can be easily maintained. 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is lower than the first water level, the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210 until the first water level is reached. Also, when the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the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1401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210.

실시예 3Example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얼음 정수기에 적용되는 트레이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 생성부로 목표량만큼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얼음 정수기와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applied to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generator by the target amount. For reference, the same (or significant)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gnificant) par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제어부가 얼음 생성부(120)로 목표량만큼 물을 공급하기 위해 트레이(126)에 배출 구멍(129)을 형성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술하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126)는 트레이(126)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 구멍(129)을 구비한다. 여기서 배출 구멍(129)은 트레이(126)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구멍(129)은 트레이(126)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목표량에 대응되는 수위를 나타내는 지점까지 이격된다.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ms a discharge hole 129 in the tray 126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generator 120 by a target amount. 8, in this embodiment, the tray 126 has a discharge hole 129 for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ray 126.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Here, the discharge hole 129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tray 126.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hole 129 is spaced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tray 126 to a point representing a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moun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배출 구멍(129)으로 물이 배출된다는 것은 곧 트레이(126)에 목표량만큼의 물이 저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이와 같은 점을 이용한다. 즉, 제어부는 배출 구멍(129)으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까지 얼음 생성부(120)의 트레이(126)로 물을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참고로, 물이 배출 구멍(129)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은 배출 구멍(129)의 하측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us,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of water into the discharge hole 129 may mean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tray 126.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uses this point. 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to the tray 126 of the ice producing unit 120 until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29. For reference,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29 by confirming the water level sensor o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hole 129.

110: 정수 생성부 120: 얼음 생성부
122: 바디 124: 핑거
126: 트레이 130: 얼음 저장부
140: 보조 저장부 150: 얼음 이송부
160: 냉수 생성부 170: 냉수 저장부
110: constant generating unit 120: ice generating unit
122: body 124: finger
126: tray 130: ice storage unit
140: auxiliary storage unit 150: ice transfer unit
160: cold water generator 170: cold water reservoir

Claims (17)

정수와 얼음을 제공하는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원수를 정수하여 상기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상기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상기 얼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의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보조 저장부; 및
상기 얼음 생성부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상기 정수 생성부 또는 상기 보조 저장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미리 정해진 목표량만큼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 An ice water purifier for providing purified water and ice,
An integ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nteger by integrating a raw number;
An ice producing unit for generating the ice;
An ice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toring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water of the ice storage unit;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ce generator to supply water required for the generation of ice from at least one of the constant generating section and the auxiliary storage s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ce generator to supply water necessary for generating ice to the ice generator by a predetermined target amou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는 제1 제어와, 상기 보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보조 저장부로부터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는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control for supplying an integer generated by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to the ice producing unit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ing unit from the auxiliary storing unit to the ice producing unit Is perform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를 통해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한 또는 공급할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를 통해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할 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through the first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o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through the second contro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량에서 상기 제2 제어를 통해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한 또는 공급할 물의 양을 제외한 양을 상기 제1 제어를 통해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할 물의 양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through the second control, exclud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a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ce producing unit through the first contr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수를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보조 저장부로 공급하는 제1 제어와, 상기 보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보조 저장부로부터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는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for supplying the constant generated by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from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to the ice producing unit from the auxiliary storing unit Is perform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제어를 통해 상기 보조 저장부로 공급할 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through the first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량에서 상기 보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제외한 양을 상기 제1 제어를 통해 상기 보조 저장부로 공급할 물의 양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through the first control amount, exclud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at the target amount.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최대로 제1 수위까지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수위는 상기 목표량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stores water to a maximum water level, and the first water level corresponds to the target amou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제1 수위를 초과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discharges the water exceeding the first water level to the outsid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최소로 제2 수위까지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2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part stores water to a second water level at a minimum, an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second water level, water is supplied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constant water generation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ce storag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얼음과 함께 얼음이 되지 않은 잔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reservoir is supplied with unfrozen water together with ice from the ice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generator includes a tray for storing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의 내부와 상기 트레이의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트레이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까지 상기 얼음 생성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ra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tray and the outside of the tray. The discharge hol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tray, and the controller discharges water from the discharge hol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ce-making unit to supply water to the ice-mak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의 냉열을 이용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와 상기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공급받아 상기 얼음 저장부와 구별되게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생성부로 냉수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상기 정수 생성부 또는 상기 냉수 저장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ld water generator for generating cold water using the cold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and a cold water reservoir for storing the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or separately from the ice reservoi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to supply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cold water from at least one of the constant generating unit and the cold water storing uni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의 생성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트레이, 냉매가 흐르고 상기 트레이의 상측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디, 및 냉매가 흐르고 상기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레이에 저장된 물에 침지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ice generating unit includes a tray for storing water required for generating ice, a body having a coolant flowing thereon and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ay, and a fing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through the coolant and immersed in water stored in the tray The ice water purifier comprising: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바디에 인접한 유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유로를 따라 물을 흘려보내 냉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has a channel adjacent to the body and flows water along the channel to generate cold water.
KR1020130039388A 2013-04-10 2013-04-10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162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388A KR102162772B1 (en) 2013-04-10 2013-04-10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388A KR102162772B1 (en) 2013-04-10 2013-04-10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32A true KR20140123132A (en) 2014-10-22
KR102162772B1 KR102162772B1 (en) 2020-10-07

Family

ID=5199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388A KR102162772B1 (en) 2013-04-10 2013-04-10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7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8A (en) 2017-02-17 2018-08-2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Ice mak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717A (en) * 2008-04-22 2009-10-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090111716A (en) * 2008-04-22 2009-10-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00002848A (en) * 2008-06-30 2010-01-07 김수진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58160Y1 (en) * 2009-05-07 2012-01-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120105186A (en) * 2011-03-15 2012-09-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m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d water and ice using the same
KR20130016571A (en) * 2011-08-08 2013-02-18 (주)교원엘앤씨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717A (en) * 2008-04-22 2009-10-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090111716A (en) * 2008-04-22 2009-10-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00002848A (en) * 2008-06-30 2010-01-07 김수진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58160Y1 (en) * 2009-05-07 2012-01-20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Water purifier with ice maker
KR20120105186A (en) * 2011-03-15 2012-09-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Ice ma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ld water and ice using the same
KR20130016571A (en) * 2011-08-08 2013-02-18 (주)교원엘앤씨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8A (en) 2017-02-17 2018-08-2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772B1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0995151B1 (en) Transparent ice making device
KR20130017803A (en) Ice making unit
KR20090111716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50015562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0998198B1 (en) Water circuration type transparent ice making device
KR101001297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40123132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1443984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20105662A (en) Ice and cold water maker and making method
JP4972507B2 (en) Automatic ice machine
KR20140144575A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EP3908793B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KR101948001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170139B1 (en)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31207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1948000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20130013517A (en) Ice container with improved drainage function
KR10226238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storage unit
KR102232975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ce making device
KR10224320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102267108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KR102603491B1 (en) Cooling apparatus for ice maker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US11867444B2 (en) Drainless clear ice maker for recycling water used to make clear ice
KR20150114162A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