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792A -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792A
KR20140122792A KR20130039601A KR20130039601A KR20140122792A KR 20140122792 A KR20140122792 A KR 20140122792A KR 20130039601 A KR20130039601 A KR 20130039601A KR 20130039601 A KR20130039601 A KR 20130039601A KR 20140122792 A KR20140122792 A KR 2014012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port
power
smartphon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6654B1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 세마텍(주) filed Critical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to KR102013003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허브에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스마트폰이 호스트로 동작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에서 USB 포트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일정시간동안 외부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스마트톤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모드가 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호스트 모드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Hub for smart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허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이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의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허브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점점 그 성능이 일반 PC에 못지않게 높아지고 있으며, 차츰 PC 이상의 통신 및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충전과 외부장치(키보드와 마우스, 저장장치 등)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게 되지만, 스마트폰의 USB 포트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연결되어 호스트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을 할 수 없으며, 또한 접속된 외부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스마트폰의 전력소모가 커서 장시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스마트폰이 디바이스로 작용하는 경우에만 충전이 가능할 뿐이지 호스트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허브를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로 다수의 외부장치를 허브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접속할 수 있지만, 이러한 허브도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스마트폰이 호스트로 동작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충전을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허브에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스마트폰이 호스트로 동작하는 경우에 스마트폰에서 USB 포트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일정시간동안 외부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스마트톤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모드가 됨으로써 스마트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호스트 모드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허브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외부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디바이스 포트;
스마트폰이 접속되는 호스트 포트;
상기 호스트 포트의 각 단자들의 연결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
상기 호스트 포트에 전원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스위칭부;
상기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호스트 모드에 의해 상기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 및 상기 전원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허브의 제어방법은,
호스트 포트에 스마트폰이 접속되고,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가 연결되면, 호스트 모드로 설정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과정;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호스트 포트를 통해 스마트폰에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장치가 연결되었있다 할지라도 일정시간동안 데이터 통신이 행해지지 않으면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스마트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호스트 모드에서도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은 물론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로인해 스마트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스마트폰 허브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
도2는 스마트폰 허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 스마트폰 허브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호스트 포트와 스마트폰 포트와의 동작 모드별로 스위칭에 의한 결선 상태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허브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허브(100)에는 키보드(130), 마우스(140), 저장장치 등의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디바이스 포트(101,102)가 구비되고, 스마트폰(120)이 접속되면 충전 또는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호스트 포트(111)가 구비된다.
또한, 디바이스 포트(101,102)에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이에 따라 상기 호스트 포트(111)의 결선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허스트 포트 스위칭부(108)를 제어하는 컨트롤부(103)가 구비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바이스 포트(101,102)에 공급함과 아울러 컨트롤부(103)의 제어를 받는 전원스위칭부(112)를 통해 호스트 포트(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부(103)는 디바이스 포트(101,102)에 외부장치 예를들면 키보드(130)와 마우스(140)가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허브 컨트롤러(104)와, 허브 컨트롤러(104)로부터 외부장치의 접속여부가 확인되면, 호스트 모드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 호스트 컨트롤러(105)와, 호스트 포트(111)에 스마트폰(120)의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슬레이브 컨트롤러(107)와, 호스트 컨트롤러(107)와 슬레이브 컨트롤러(107)의 신호에 의해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108)의 스위칭 상태와 전원 스위칭부(112)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씨피유(10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도1과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바이스 포트(101,102)에 외부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120)이 호스트 포트(111)에 접속되면, 슬레이브 컨트롤러(107)는 스마트폰(120)의 접속여부를 인지하여 씨피유(106)에게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씨피유(106)는 ID 단자를 개방시키고, 또한 D+ 단자와 D-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호스트 스위칭부(108)의 스위치(109,110)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120)을 디바이스 모드 즉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도록 한다.
아울러 씨피유(106)는 전원스위칭부(112)를 제어하여 전원부(113)로부터의 전원이 호스트 포트(111)의 전원단자(+5)를 통해 스마트폰(120)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4(a)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20)의 포트(121)와 허브(100)의 호스트 포트(111) 사이에 연결된 D+ 단자와 D- 단자를 단락시키도록 시피유(106)는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108)를 제어하고, 또한 ID 단자가 개방되도록 씨피유(1060가 호스트 포트(111)를 제어함으로써 디바이스 모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다비이스 포트(101,102)에 외부장치 예를들면 키보드(130)와 마우스(140)가 연결되면, 허브 컨트롤러(104)가 이의 접속여부를 인지하여 호스트 컨트롤러(105)로 확인신호를 제공하면, 상기 호스트 컨트롤러(105)는 호스트 모드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해 씨피유(106)는 도4(b)와 같이 ID 단자를 접지와 연결시켜 로우레벨로 떨어뜨려 단락시킴과 아울러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108)를 제어하여 D+ 단자와 D- 단자를 개방시킴으로써 슬레이브 컨트롤러(107)에 D+ 단자와 D- 단자를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부(103)를 통해 디바이스 포트(101,102)에 접속된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120)이 호스트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씨피유(106)는 전원스위칭부(122)를 제어하여 전원단자(+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데, 이때 스마트폰(120)에는 충전이 되지 않으면서 방전이 이루어지지만 외부장치(130,140)에는 전원부(113)로부터 디바이스 포트(101,102)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스마트폰(12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씨피유(106)는 외부장치(130,140)로부터 설정시간(예를들면 20초)동안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즉 키보드(130)나 마우스(140)를 사용하지 않아 데이터의 통신이 중지되면, 도4(a)와 같이 호스트 포트(111)가 결선되도록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108)를 제어함으로써 충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물론, 외부장치로부터 다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도4(b)와 같이 호스트 포트(111)가 결선되도록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108)를 제어함으로써 호스트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사용자가 직접 모드 스위치(209)를 통해 호스트 모드와 디바이스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모드 스위치(209)를 충전모드로 조작하면, 씨피유(208)는 전원 스위칭부(210)를 제어하여 전원부(2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호스트포트(207)의 전원단자(+5)를 통하여 스마트폰(220)에 제공되도록 함과 아울러 도4(a)와 같이 결선되도록 호스트 포트(207)와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204)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바이스 포트(201,202)에 키보드(230)와 마우스(240) 등의 외부장치를 접속시킨 다음 모드 스위치(209)를 호스트 모드로 조작하면, 씨피유(208)는 전원 스위칭부(210)를 제어하여 전원단자(+5)에 전원공급을 중지시킴과 아울러 도4(b)에서와 같이 결선되도록 호스트 포트(207)와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204)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허브 컨트롤러(203)와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204)에 의해 스마트폰(22)과 외부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 : 허브 101,102 : 디바이스 포트
103 : 컨트롤부 104 : 허브 컨트롤러
105 : 호스트 컨트롤러 106 : 씨피유
107 : 슬레이브 컨트롤러 108 :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
109,110 : 스위치 111 : 호스트 포트
120 : 스마트폰 121 : 스마트폰 포트
130 : 키보드 140 : 마우스

Claims (4)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외부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디바이스 포트;
    스마트폰이 접속되는 호스트 포트;
    상기 호스트 포트의 각 단자들의 연결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
    상기 호스트 포트에 전원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스위칭부;
    상기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가 접속되면, 호스트 모드에 의해 상기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 및 상기 전원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의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허브 컨트롤러;
    상기 허브 컨트롤러로부터 외부장치의 접속여부가 확인되면, 호스트 모드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 호스트 컨트롤러;
    상기 호스트 포트에 스마트폰의 접속여부를 확인하는 슬레이브 컨트롤러;
    상기 호스트 컨트롤러와 슬레이브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와 전원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씨피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허브.
  3.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
    외부장치가 접속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디바이스 포트;
    스마트폰이 접속되는 호스트 포트;
    상기 호스트 포트의 각 단자들의 연결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
    상기 호스트 포트에 전원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상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스위칭부;
    상기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의 접속여부가 확인되면, 그에 대한 접속신호를 발생하여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를 통해 호스트 포트에 제공하는 허브 컨트롤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상기 호스트 포트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 및 상기 전원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는 씨피유;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허브.
  4. 스마트폰용 허브에 있어서,
    호스트 포트에 스마트폰이 접속되고, 디바이스 포트에 외부장치가 연결되면, 호스트 모드로 설정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과정;
    설정된 시간동안 외부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충전모드로 설정되어 호스트 포트를 통해 스마트폰에 충전전원을 제공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허브의 제어방법.

KR1020130039601A 2013-04-11 2013-04-11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KR10146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01A KR101466654B1 (ko) 2013-04-11 2013-04-11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01A KR101466654B1 (ko) 2013-04-11 2013-04-11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792A true KR20140122792A (ko) 2014-10-21
KR101466654B1 KR101466654B1 (ko) 2014-11-28

Family

ID=5199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01A KR101466654B1 (ko) 2013-04-11 2013-04-11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6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8972A (ja) *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Usbハ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7613A1 (en) * 2002-08-15 2004-02-26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Portable data entry device with a detachable host pda
CN1302294C (zh) * 2003-09-26 2007-02-28 中国科学院空间科学与应用研究中心 适于雷电和近地大气电环境监测用恒速旋转倒装式电场仪
KR100848403B1 (ko) * 2006-12-15 2008-07-25 (주)블루버드 소프트 호스트 장치의 연결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 장치
KR101200985B1 (ko) * 2010-10-19 2012-11-13 김기원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8972A (ja) * 2015-05-26 2016-12-22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Usbハ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654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6321C2 (ru) Контракты управления питанием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042801B2 (en) System for detecting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50145468A1 (en) Device and chip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user terminal
WO2018072209A1 (zh) 充电方法及电子设备
KR20130142312A (ko)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080270809A1 (en) I/O port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2750248A (zh) 一种usb设备工作模式切换方法及usb设备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0177A (ko) 역방향 충전 기기, 역방향 충전 전류의 조절 방법 및 장치
CN111602313A (zh) 用于无线充电和有线数据传输的系统和方法
CN107885683B (zh) 一种终端及终端的电流测试方法
CN112269086A (zh) 充电线缆的识别方法、装置、充电线缆及可读存储介质
JP2010009208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機器
CN110492575B (zh) 用于手持设备的快速充电系统及方法、手持设备
CN107329520B (zh) 移动终端的usb接口连接方法、设备及系统
US8463978B2 (en) Computer with ability to charge electronic device in power off state and USB interface module thereof
JP5935195B2 (ja) 電気エネルギー制御モジュール、装置、及びデバイス
KR102371501B1 (ko)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3351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466654B1 (ko) 스마트폰용 허브 및 그 제어방법
CN113451669A (zh) 充电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40347279A1 (en) Keyboard device with switchable connection path and its switching method
EP2988391B1 (en) Mobile power supply terminal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for
WO2015151169A1 (ja) 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