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93A -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93A
KR20140122093A KR20130038750A KR20130038750A KR20140122093A KR 20140122093 A KR20140122093 A KR 20140122093A KR 20130038750 A KR20130038750 A KR 20130038750A KR 20130038750 A KR20130038750 A KR 20130038750A KR 20140122093 A KR20140122093 A KR 2014012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omfort
evaluating
item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태
제해성
김진욱
유용흠
정승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3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093A/ko
Publication of KR2014012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특히 초고층의 주거 건축물의 주거 공간계획과 쾌적한 환경 확보를 위한 주거공간의 설계수준 및 주거 환경의 질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에 관한 것으로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평가지표저장단계;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부에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연산부에 의해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단계; 상기 평가의 결과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결과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 주거공간의 쾌적성(거주성) 확보 평가지표 및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초고층 주거공간의 객관적 평가를 가능케 하고, 초고층 주거공간 설계에 있어 초기 단계에서 쾌적성을 평가 분석할 수 있어 건축가로 하여금 보다 나은 환경을 설계하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ASSESSMENT APPARATUS OF LIVING QUALITY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 LIVING SPA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특히 초고층의 주거 공간계획과 쾌적한 환경 확보를 위한 주거공간의 설계수준 및 주거 환경의 질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주거 건축물의 건설 경향을 살펴보면 1990년 후반부터 중동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초고층 주거 건축물 건립이 급증하고 있으며, 건설기술의 발달과 복합화로 초고층 주거 건축물 시장이 급격하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초고층 고밀 주거의 확산으로 60층의 경계를 넘어섰고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100층 이상의 주거 복합 초고층건물이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고층 주거복합빌딩의 주거 쾌적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초고층 주거 복합빌딩에서 적정한 주거 공간계획과 쾌적한 환경 확보를 위해서는 주거공간의 설계수준을 평가 할 수 있고, 주거 환경의 질적 수준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평가 방법 및 이를 보다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3305호(2009년 4월 2일 공개)에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환경부하 평가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건축물에 대한 쾌적성 평가 장치 또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층 건물, 특히 주거와 업무의 복합적인 주거공간에 대하여 초고층 건물의 시공 전의 설계단계 또는 시공 후의 감리단계 등에 있어서 주거공간의 쾌적성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측정하여 주거 환경의 질적 개선을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를 이용한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은,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저장하는 평가지표저장단계;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연산부에 의해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단계; 및 상기 평가의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가항목은, 편리성 항목; 즐거움 항목; 건강성 항목; 및 지속가능성 항목; 을 포함한다.
상기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는,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저장하는 평가지표저장부;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부; 및 상기 평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에 따라, 초고층 주거공간의 쾌적성(거주성) 확보 평가지표 및 프로그램 개발로 인한 초고층 주거공간의 객관적 평가를 가능케 한다.
둘째, 본 발명의 평가방법에 따라, 초고층 주거공간 설계에 있어 초기 단계에서 쾌적성을 평가 분석할 수 있어 건축가로 하여금 보다 나은 환경을 설계하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건물의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의 평가지표를 나타낸 표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의 세부지표에 대한 평가내용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프로그램 결과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건물의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른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100)는 평가지표저장부(110), 입력부(120), 쾌적성평가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평가지표저장부(110)는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저장한다.
입력부(120)는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쾌적성평가부(130)는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쾌적성을 평가하고, 출력부(140)는 평가 결과를 출력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복합건물의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다른 초고층 복합건물의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의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나타낸 표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은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는 평가지표저장단계(S10),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부에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단계(S20),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연산부에 의해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단계(S30), 상기 평가의 결과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결과출력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입력단계는 정량적 평가단계이고, 상기 쾌적성평가단계는 정성적 평가단계에 해당된다.
먼저 평가지표저장부(110)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저장한다(S210). 쾌적성평가를 위하여 편리성 항목, 즐거움 항목, 건강성 항목, 안정성 항목 및 지속가능성 항목을 포함하는 총 5가지의 평가항목이 구비된다. 각각의 평가항목은 다시 평가지표로 나뉘고 각각의 평가지표는 다시 세부지표로 나뉜다.
먼저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리상 항목은 수평수직이동의 용이성, 거주자에 의한 조명/온도/습도조절, 공용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Barrier Free상태 평가지표를 포함한다.
즐거움 항목은 Privacy 확보의 용이성 및 소음에 의한 차음성능 평가지표를 포함하며, 건강 항목은 일조 및 채광, 통풍/자연환기/공기순환상태 평가지표를 포함한다. 안정성 항목은 지진, 풍하중에 대한 안정성 및 외부인출입제한의 적정성 평가지표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 항목은 신재생에너지이용 및 유지관리 비용의 적정성 평가지표를 포함한다.
상기 각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지표에 대한 내용은 도 2와 같다.
수평수직이동의 용이성 평가지표는 건물내부의 수평 또는 수직이동에 관한 것으로서 복도공간의 수평동선, 층간이동, 세대 간 이동, 공용공간의 각 주호간의 이동, 세대의 접근성, 출입용이성에 대한 평가를 한다.
거주자에 의한 조명/온도/습도조절 평가지표는 조명, 온도, 습도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거주자 스스로 조명, 온도, 습도조절이 용이한지에 대한 평가를 한다.
공용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 평가지표는 공용공간과 각 주호가 잘 연계되어 있는가에 관한 것으로서 공용공간의 유지 및 정비, 여가활동 공간의 제공, 단지 내 네트워크 시스템, 공용공간과 각 주호 간 연계의 용이성, 세대 내 층고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를 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Barrier Free 상태 평가지표는 노약자, 유아의 안전 및 공용복도, 엘리베이터의 유효 폭에 관한 평가에 관한 것이다.
Privacy 확보의 용이성 평가지표는 개인의 사생활 보호에 관한 것으로서 옥외의 시선으로부터 사생활 유지여부, 이웃과의 사생활 유지상태, 거주민 사생활보호, 저층세대의 사생활보호, 출입구 공유 세대 수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를 한다.
소음에 의한 차음성능 평가지표는 실내 및 실외 소음에 관한 것으로서 층간 소음의 차단성능, 배경소음의 적정성, 외부소음에 대한 실내이용 소음의 적정성, 세대 간 경계벽 차음성능 벽/바닥판/개구부의 차음성능에 대해 평가를 한다. 최근에 아파트 층간소음이 원인이 되어 이웃 간의 불화로 발전하고 급기야 범죄로까지 이어져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일조 및 채광 평가지표는 낮 시간대의 일조 및 저녁 시간대의 조명에 관한 것으로서 채광을 위한 창의 위치, 크기, 일조시간, 실내조도, 조명기구의 배치에 대한 평가를 한다.
통풍/자연환기/공기순환상태 평가지표는 공조에 관한 것으로서 CO2 가스의 모니터링, 친환경 자재의 사용, 공기정화시스템, 통풍, 환기에 대한 평가를 한다.
지진, 풍하중에 대한 안정성 평가지표는 지진에 대한 안정성 비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긴급 비상승강기 활용성, 긴급구조차량 및 인력의 접근 용이성에 대한 평가를 한다.
외부인출입제한의 적정성 평가지표는 외부 방문객에 대한 제한 및 보안에 관한 것으로서 방범장치, 경비인력, 감시카메라, 안정경보 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한다.
신재생에너지이용 평가지표는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것으로서 풍력, 지열, 태양광, 바이오 가스의 활용비율, 자연 순환형 설계 여부에 대한 평가를 한다.
유지관리 비용의 적정성 평가지표는 건물의 유지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제품을 사용하는지, 절전 시스템의 유무, 구성요소의 사용연한, 단열성능, 수선계획 등에 대한 평가를 한다.
다음으로 정보입력부(120)는 선정된 세부지표에 대한 건축 기본정보를 입력받으며(S220), 쾌적성평가부(130)는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연산부에 의해 쾌적성을 평가한다(S230).
여기서, 건축 기본정보의 입력은 평가방법에 따라 입력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세부지표에 대한 평가방법으로는 도 4와 같이 매우적정, 적정, 보통, 미흡, 매우미흡의 5단계로 평가되며, 다수의 전문가들이 평가를 한다.
그리고, 출력부(140)는 상기 쾌적성평가단계(S230)에서 평가된 각 세부지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한다(S240). 각 세부지표에 대한 5단계의 평가에 대응하는 점수를 부가하여 세부지표에 대한 합과 평균을 산출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세부지표, 평가지표에 대한 점수의 합과 평균을 산출하여 평가항목에 대한 평균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평가결과는 평가자 또는 일반인이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그래프 또는 도식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에 관한 평가지표를 토대로 하여 주거공간의 쾌적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결과는 초기 설계단계에서 여러 가지 설계안에 따른 쾌적성 평가결과 또는 도시화된 자료로 제공될 것이며 이렇게 제공된 평가결과에 의해 보다 쾌적한 주거공간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상술한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코드)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 110 : 평가지표저장부,
120 : 입력부, 130 : 쾌적성평가부,
140 : 출력부

Claims (5)

  1.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를 이용한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방법에 있어서,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저장하는 평가지표저장단계;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단계;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연산부에 의해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단계; 및
    상기 평가의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항목은,
    편리성 항목; 즐거움 항목; 건강성 항목; 및 지속가능성 항목; 을 포함하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로서,
    상기 편리성 항목은,
    수평수징이동의 용이성; 거주자에 의한 조명ㅇ온도ㅇ습도 조절; 공용공간과 각 주호의 연계;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Barrier Free 상태; 를 포함하고,
    상기 즐거움 항목은,
    Privacy 확보의 용이성; 및 소음에 대한 차음성능; 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성 항목은,
    일조와 채광; 및 통풍ㅇ자연환기ㅇ공기순환상태;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성 항목은,
    지진, 풍하중에 대한 안전성; 및 외부인출입제한의 적정성; 을 포함하고,
    상기 지속가능성 항목은,
    신재생에너지이용; 및 유지관리 비용의 적정성; 을 포함하는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주거공간의 쾌적성 평가항목 또는 상기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저장하는 평가지표저장부;
    상기 평가지표 판단을 위한 건축 기본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입력부;
    상기 입력된 건축 기본정보를 기초로 쾌적성을 평가하는 쾌적성평가부; 및
    상기 평가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장치.
KR20130038750A 2013-04-09 2013-04-09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2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50A KR20140122093A (ko) 2013-04-09 2013-04-09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50A KR20140122093A (ko) 2013-04-09 2013-04-09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93A true KR20140122093A (ko) 2014-10-17

Family

ID=5199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750A KR20140122093A (ko) 2013-04-09 2013-04-09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0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30A (ko) 2015-03-25 2016-10-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역사 내 환경관리방법
CN116467788A (zh) * 2023-05-10 2023-07-21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无障碍环境建设管理方法及系统
CN116542560A (zh) * 2023-05-06 2023-08-04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基于多源数据融合的社区适老性评价方法及系统
CN117474178A (zh) * 2023-12-25 2024-01-30 深圳市上融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空间管理优化系统及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30A (ko) 2015-03-25 2016-10-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역사 내 환경관리방법
CN116542560A (zh) * 2023-05-06 2023-08-04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基于多源数据融合的社区适老性评价方法及系统
CN116542560B (zh) * 2023-05-06 2024-01-09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基于多源数据融合的社区适老性评价方法及系统
CN116467788A (zh) * 2023-05-10 2023-07-21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无障碍环境建设管理方法及系统
CN116467788B (zh) * 2023-05-10 2023-11-21 悉地(苏州)勘察设计顾问有限公司 一种无障碍环境建设管理方法及系统
CN117474178A (zh) * 2023-12-25 2024-01-30 深圳市上融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空间管理优化系统及方法
CN117474178B (zh) * 2023-12-25 2024-04-12 深圳市上融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空间管理优化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lker et al. How does air conditioning become ‘needed’? A case study of routes, rationales and dynamics
Hatvani-Kovacs et al. Drivers and barriers to heat stress resilience
Pan et al. Challenges for energy and carbon modeling of high-rise buildings: The case of public housing in Hong Kong
Habibi Smart innovation systems for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EQ)
KR20140122093A (ko) 초고층복합건물 주거공간 쾌적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Asfour Learning from the past: Temporary housing criteria in conflict areas with reference to thermal comfort
Oliveira et al. Impact of unoccupied flats on the thermal discomfort and energy demand: Case of a multi-residential building
Maleki et al.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Hamida et al.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adaptively reused buildings: case study of an office building in Saudi Arabia
Pushkar et al. Using shearing layer concept to evaluate green rating systems
Baiz et al.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sustainable high-rise building in city of Erbil
Abdollahzadeh et al.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mprovement of student dormitories in Tehran, Iran
Sanni-Anibire et al. Residential satisfaction of vertical urban settlements in Hong Kong
Sajan Design implications for multi-owned properties from a household survey
Enab et al. Exploring an Architectural Paradigm for the 15-minute city planning model: Towards reforming gaps of services in Nablus
Bretherton Christchurch's high performance rebuild
Park Development of a holistic approach to integrate fire safety performance with building design
Amaripadath et al. Design optimization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to improve summer thermal comfort in warming climates
Ravichandran et al. A numerical simulation-based method to predict floor wise distribution of cooling loads in Indian residences using Tukey hone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Yu et al. BIM coverage in demand response management: A pilot study in campus buildings
Zhang et al. Assessing the renovation of existing residential buildings regarding environmental efficiency
Persily et al. Residential carbon monoxide exposure due to indoor generator operation: effects of source location and emission rate
Amaripadath et al. Multi-criteria thermal resilience certification scheme for indoor built environments during heat waves
Kalluri et al. Toward Responsible Design of Low-Carbon Buildings: From Concept to Engineering
Sheta et al. Labor camps in Dubai: implications of courtyard regulations on daylight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