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23A - A cushion device for shoes - Google Patents

A cushion device for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23A
KR20140122023A KR1020130038530A KR20130038530A KR20140122023A KR 20140122023 A KR20140122023 A KR 20140122023A KR 1020130038530 A KR1020130038530 A KR 1020130038530A KR 20130038530 A KR20130038530 A KR 20130038530A KR 20140122023 A KR20140122023 A KR 2014012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eck valve
airbag
rotat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8311B1 (en
Inventor
강용수
Original Assignee
강용수
(주)지엘굿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수, (주)지엘굿라이프 filed Critical 강용수
Priority to KR2013003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311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43B21/28Pneumatic heel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21/285Pneumatic heel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device for sho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cushion device for shoes including a first air bag to support a foot arch part, a second air bag supporting a hindfoot connected to the first air bag by a first air flow path, and a first check valv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ba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device for shoes comprising: an auxiliary check valv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flow path to prevent air filled into the first air bag from flowing backwards toward the second air bag; a second air flow path arranged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bag; and a second check valve having an air discharge path formed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flow path including, on the other side, a pressure adjuster to adjus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Accordingly, the cushion device as configured above can adjust the discharge of air properly to maintain the constant pressure state of air in the air bag to support a foot arch part, and respond timely if the walking speed is changed or the road state such as paved roads and unpaved roads is changed.

Description

신발의 완충장치{A cushion device for shoes}A cushion device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족궁부를 지지하는 제1 에어백과, 후족부를 지지하며 제1 공기유로에 의해 상기 제1 에어백과 연결되는 제2 에어백과, 상기 제2 에어백과 연결되는 제1 체크 밸브가 구비되는 신발의 완충장치로서, 상기 제1 공기유로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에어백에 채워지는 공기가 상기 제2 에어백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체크밸브와; 상기 제1 에어백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공기유로와; 상기 제2 공기유로와 연결되는 일측 내부에는 공기 배출로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체가 구비되는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shoe, comprising a first airbag for supporting a footbath portion, a second airbag for supporting a hind foo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airbag by a first air flow passage, An auxiliary check valv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to prevent backward flow of air filled in the first air bag into the second air bag; A second air passag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bag; A second check valve having a pressure regulating member for regulating an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ss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shoe.

사람의 발바닥 안쪽 면에는 완만하게 패인 족궁이 형성되어 있는데, 발바닥에 형성되는 이러한 족궁 구조에 의해 몸 전체의 체중이 원활하게 지지되며 나아가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적절하게 분산된다. 족궁의 패인 정도 및 그 형상은 개개인마다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신발 업계는 이러한 다양한 족궁 구조가 보행 과정에서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다양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A gai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oles of a human being. The weight of the whole body is smoothly supported by the cervical structure formed on the sole, and the impact generated in the walking process is appropriately dispersed. Since the extent of the footwear and its shape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 footwear industry has proposed a variety of techniques to enable these various footwear structures to fully exercise their functions during the walking process.

신발의 착용감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착용자의 아치 구조를 적절하게 지지해주는 기술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3310호이다. 이 기술은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착용자의 족궁 구조와 접하도록 신축 커버(32)를 구비하되, 신축 커버(32) 내부에는 스프링(34)을 장착하여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수직으로 승, 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축 커버가 착용자의 족궁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들은 족궁 부위에 필요한 부품만을 장착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신발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프링은 그 특성상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복원력이 자연스럽게 저하되는데 이럴 경우 신축 커버가 족궁과 적절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Korean Patent No. 0943310 is 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fit of a shoe and properly supporting the arch structure of a wearer. As shown in Fig. 6, this technique includes a stretchable cover 32 to contact the wearer's footwear structure, and a spring 34 is mounted inside the stretchable cover 32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So that the stretchable cov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wear. This kind of technology has a merit that i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hoe since it is configured to mount only necessary parts for the footwear parts.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the restoring force is naturally lower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elastic cover is not proper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otwear.

착용자의 족궁을 보강, 지지하는 구조의 다른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3975호이며 대략적인 구성이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신발의 깔창(100) 일측에는 아치 형상부(12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다양한 공간부를 형성하되, 공기 유로를 이용하여 각 공간부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출입하는 공기에 의해 아치 형상부(121)가 착용자의 족궁에 밀착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기술과 그 작동 방식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신발 창의 자체 탄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어느 정도의 내구성이 담보되는 장점은 기대된다. 하지만, 신발 창의 자체 탄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공기 압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구성에는 출입하는 공기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개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for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footwear of the wearer is Korean Patent No. 1103975,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thereof is shown in Fig. In this technique, an arch-shaped portion 121 is formed at one side of an insole 100 of a shoe, and a variety of space portions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nsole 100. The air- )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ootwea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and its oper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the elasticity of the shoe window itself, unlike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part such as a spring, a certain degree of durability is assured. However, in order to utilize the elasticity of the shoe window itself, a certain degree of air pressure is required. In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interpose a means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air entering and exit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33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3975호Korean Patent No. 0943310, Korean Patent No. 110397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출입하는 공기의 압력을 인위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람마다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족궁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신발의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ck absorber for a footwear which can appropriately cope with a footwear having a different shape for each person by artificially adjusting the pressure of air entering and exiting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족궁부를 지지하는 제1 에어백(10)과, 후족부를 지지하며 제1 공기유로(30)에 의해 상기 제1 에어백(10)과 연결되는 제2 에어백(20)과, 상기 제2 에어백(20)과 연결되는 제1 체크 밸브(42)가 구비되는 신발의 완충장치로서, 상기 제1 공기유로(3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에어백(10)에 채워지는 공기가 상기 제2 에어백(2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체크밸브(32)와; 상기 제1 에어백(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공기유로(50)와; 상기 제2 공기유로(50)와 연결되는 일측 내부에는 공기 배출로(12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로(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체(140)가 구비되는 제2 체크밸브(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irbag device comprising a first airbag (10) for supporting a footbath, a second airbag (10) supporting the rear foot, A shoe cushioning device comprising an airbag (20) and a first check valve (42) connected to the second airbag (20), wherein the first airbag An auxiliary check valve 32 for preventing air to be filled in the second air bag 20 from flowing back to the second air bag 20; A second air passage (5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bag (10); An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formed at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50 and a pressure regulator 1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A second check valve 100 provided with the check valve 100;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technical features.

상기 제2 체크밸브(100)의 압력 조절체(140) 상면에는 상기 압력 조절체(14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다각면체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로(122)와 연통되는 안치홈(126)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by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of the second check valve 100 and a polygonal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mounted to an orifice groove (126) formed in the air outlet passage (122) and communicated with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상기 공기 배출로(122)에는 탄성수단(160)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수단(16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로(122)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개폐수단(170)이 구비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160 and the elastic means 16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상기 압력 조절체(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각면체의 각 면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of the polyhedron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14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상기 압력 조절체(140)는, 중앙에 관통공(141)이 형성되는 다각면체부(142)와, 하부의 구비되는 삽입단(148)이 상기 다각면체부(142)의 관통공(141)에 삽입되는 회전체부(146)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체부(146)의 상면에는 회전체부(146)와 결합된 다각면체부(14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regulator 140 includes a polygonal body 142 having a through hole 1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insertion end 148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41 of the polygonal body 142, And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olygonal body portion 142 coupled with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at a predetermined ang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

상기 몸체(120)의 안치홈(126)에는 걸림단(129)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부(146)의 삽입단(148) 단부에는 상기 걸림단(129)에 강제 결합되는 걸림고리(149)가 구비될 수 있다.A latching end 129 is provided in the seat groove 126 of the body 120 and a latching ring 14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end 148 of the rotating body 146 forci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end 129. [ May be provided.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means may be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rotating unit may be formed as a protruding end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or unit 146.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unit 146.

본 발명은 족궁 부위를 지지하는 에어백 내부의 공기가 일정한 압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의 배출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에어백이 족궁 부위를 항상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irbag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bath at all time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egree of air discharge so that the air inside the airbag supporting the footbath area can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완충장치에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인위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속보, 완보 등과 같이 보행의 정도가 달라지거나, 또는 포장도로, 비포장 도로 등과 같이 지면의 상태가 달라지는 경우에 완충장치가 시기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shock absorber, so that the degree of walking, such as breaking, combo, or the like changes, or when the state of the ground changes, such as pavement roads and unpaved roads, Allowing the device to respond in a timely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창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제2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에 있어 제2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6은 종래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종래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window provided with a shock absorber for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check valve in a shock absorber for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sectional configuration view of a second check valve in a shock absorber for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Figures 4A to 4C is another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check valve in the shock absorber for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operational constructional view of a second check valve in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conventional shock absorber for shoes.
Fig. 7 is a schematic other schematic view of a shock absorber for a conventional shoe; Fig.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완충장치가 구비되는 창(1)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제1 에어백(10) 및 제2 에어백(20)과, 상기 제1 에어백(10)과 제2 에어백(20) 상호 간을 연결하는 제1 공기유로(30)와, 상기 제1 에어백(10) 및 제2 에어백(20) 각각에 장착되는 제1 체크밸브(42) 및 제2 체크밸브(100), 그리고 상기 제1 공기유로(30)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 체크밸브(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window 1 with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window 1 with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heck valve 42 and a second check valve 42 mounted on the first airbag 10 and the second airbag 20, respectively, for connecting the first airbag 20 and the second airbag 20, (100), and an auxiliary check valve (3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30).

상기 제1 에어백(10)은 착용자의 족궁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창(1)의 족궁 부위에 배치되며, 족궁과의 원활한 밀착을 위해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창(1)의 좌측에 위치하는 내측 부위가 외측 부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에어백(20)은 착용자의 후족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창(1)의 후족 부위에 배치되며, 제1 에어백(10)과 달리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좌, 우 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irbag 10 is disposed at the footwalk portion of the window 1 a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footbath portion of the wearer and has an inner side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window 1 It is preferable that the reg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region. The second airbag 20 is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window 1 as a portion supporting the rear portion of the wearer and is preferably made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the figure unlike the first airbag 10 .

상기 제1 공기유로(30)는 제1 에어백(10)과 제2 에어백(2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보행 과정에서 착지 순서에 따라 제2 에어백(20)에 채워진 공기를 순차적으로 제1 에어백(1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보조 체크밸브(32)는 제1 공기유로(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공기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제1 에어백(10)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일정 압력을 유지하게 되며 후술할 제2 체크밸브(100)를 통해서만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air passage 30 connects the first airbag 10 and the second airbag 20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second airbag 20 is sequentially 1 to the airbag 10. The auxiliary check valve 3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30 to prevent backward flow of air mov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Accordingly, the first airbag 10 maintains a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supplied air, and air can be discharged only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체크밸브(42)는 제2 에어백(20)에 착용자의 체중이 집중되어 제2 에어백(20)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빠져 나가면 해당 공간에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분이다. 즉, 착지 과정에서 후족 부위가 지면에 접하게 되면서 제2 에어백(20)이 체중에 의해 압축되면 제2 에어백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제1 공기유로(30)를 따라 제1 에어백(10)으로 이동하게 되고, 뒤이어 체중이 전족 부위로 이동하면 제1 체크밸브(42)가 작동하면서 외부 공기가 제2 에어백 내부로 채워지고 이에 따라 제2 에어백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어 다음 착지 과정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체크밸브(42)의 일측은 창(1)의 외부와 연통되며 그 타측은 공기 주입로(40)에 의해 제2 에어백(2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heck valve 42 induces the external air to flow naturally into the corresponding space when the weight of the wearer is concentrated on the second airbag 20 and air that has been filled in the second airbag 20 escapes Section. That is,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airbag 20 is pressed by the body weight while the rear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landing process, the air filled in the second airbag is moved to the first airbag 10 along the first airbag 30 When the body weight is moved to the front part, the first check valve 42 is operated to fill the inside of the second airbag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the second airbag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next landing process is prepared. One side of the first check valve 42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bag 20 by the air injection path 40.

상기 제2 체크밸브(100)는 제1 에어백(10)에 채워져 있는 공기의 일부를 일정 양만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1 에어백(10) 내부가 항상 일정한 양의 공기(일정 공기압을 유지)로 채워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제2 체크밸브(100)는 제1 에어백(10)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따른 제2 체크밸브의 개략적인 일 구성이 도 2 및 도 3 각각에 개시되어 있다.The second check valve 100 discharges a part of the air filled in the first airbag 10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airbag 10 is always filled with a constant amount of air .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heck valve 1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airbag 10,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 체크밸브(100)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에 장착되는 압력 조절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는 탄성수단(160) 및 개폐수단(170)가 장착되며, 이에 부가하여 회전 가이드(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check valve 100 includes a body 120 and a pressure regulator 140 mounted on the body 120. The body 120 has elastic means (160)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170), and in addition, a rotation guide (18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몸체(120)의 일측 내부에는 공기 배출로(122)가 형성되며 그 타측 공간에는 안치홈(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배출로(122)는 제1 에어백(10)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던 공기의 일부가 빠져 나가는 통로로서 제1 에어백(10)과 연결되는데, 공기 배출로(122)는 제2 공기유로(50)에 매개되어 제1 에어백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기유로(50)가 매개되는 경우에는, 제2 공기유로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도면과 같이 공기 배출로의 일측 단부 부위에 삽입단(12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An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body 120 and an air groove 126 is formed in the other side space.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bag 10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air filled in the first air bag 10 escapes.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air passage 5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irbag.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air passage 50 is mediated, an insertion end 121 may be further formed at one end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for easy coupling with the second air passage.

상기 안치홈(126)은 후술할 압력 조절체(140)가 안치되는 부분이며, 공기 배출로(12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안치홈(126)의 일측 부위는 공기 배출로(122)의 단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125는 조절 눈금으로서 압력 조절체(140)의 회전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ir groove 126 is a portion where a pressure regulator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placed and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moving along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finally discharg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126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end of the air discharge path 122. Reference numeral 125 denotes a configuration which can be added to precisely control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140 as a regulating graduation.

상기 압력 조절체(140)는 착용자의 족궁 형상에 따라 제1 에어백(10)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는 공기의 양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 조절체(140)의 하부에는 다각면체가 구비되고, 압력 조절체(140)의 상면에는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상기 다각면체는 몸체(120)의 안치홈(126)에 장착되는 부분이며, 상기 회전수단은 외력을 가하여 압력 조절체를 의도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The pressure regulator 140 is for maintaining the amount of air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irbag 10 at a predetermined level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twear of the wear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ase where a polyhedron is provided below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and a rota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The polygonal cross-section is a portion to be mounted to the catch groove 126 of the body 120, and the rotating means is means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pressure regulating body by an intended angle.

특히, 상기 회전수단은 도면과 같이 압력 조절체의 상면 중앙 부위에 요홈(147)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홈(147)은 압력 조절체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드라이버, 동전 같은 회전 도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개시된 것과 같이 ㅡ 자 형상은 물론 삽입되는 도구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 또는 * 와 같이 여러 다양한 형상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the rotating means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147)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or as shown in the figure. The grooves 147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such as + or *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ool to be inserted as well as the shape of the groove, as disclosed as a portion into which the end of the rotary tool such as a screwdriver or a coin is inserted for easy rotation of the pressure- Bu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variety of shapes.

또한, 회전수단은 요홈 형상이 아니라 돌출단 또는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도 4a 내지 도 4c 각각에 개시되어 있다. 즉, 압력 조절체의 상면 중앙 부위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되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단(242)으로 이루어지거나, 압력 조절체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단(242)은 개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수단이 복수 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도 4b와 같이 복수 개의 홈(246)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c와 같이 복수 개의 홈(248)이 연속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rotating means may be formed not of a groove but of a protruding end or a plurality of grooves, and a specific structure thereof is disclosed in each of Figs. 4A to 4C. That is,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may have a protruding end 242 protru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otruding end 242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In the case where the rotating means is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as shown in FIG. 4B, the plurality of grooves 24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grooves 248 may be continuously formed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체(140)는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달리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각면체부(142)와 회전체부(146)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압력 조절체(140)가 다각면체부(142)와 회전체부(146)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압력 조절체가 이 같이 분리되는 경우에 전술한 회전수단은 회전체부에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but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polygonal body portion 142 and the rotary body portion 146 as shown in the drawings. A case in which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is divided into the polyhedral body portion 142 and the rotary body portion 14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obvious that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rotating means must b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portion.

먼저, 상기 다각면체부(142)는 후술할 탄성수단(160)와 연계되거나, 또는 회전 가이드(180)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회전 가이드(180)와 연계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다각면체부(142)의 외측에는 일정 높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면(143)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면체부(142)는 적어도 4각면체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각면체를 형성함에 있어 중심으로부터의 각 면에 이르는 거리 각각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a, b, c . . 각각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인데, 이에 따른 작동 구성은 후술한다.The polyhedron 142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means 16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include a portion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guide 180 when the rotation guide 180 is further provided. to be. A plurality of surfaces 143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olyhedral body portion 142, and a through hole 14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Preferably, the polyhedral body portion 142 is formed of at least a quadrangular pyramid body. In forming the polyhedron body, distances from the center to the respective surfaces are prefer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a, b, c. .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m is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회전체부(146)는 다각면체부(142)를 몸체(120)의 안치홈(126)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회전체부(146)의 하부에는 삽입단(1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단(148)이 다각면체부의 관통공(141)에 삽입되면서 회전체부(146)와 다각면체부(142)는 일체화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는 일체화의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삽입단(148)의 절개부(도면부호 미도시)와 관통공(141)의 수직 격벽(도면부호 미도시)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일체화 구성의 단지 일례일 뿐이다. 상기 절개부는 삽입단이 관통공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오므려지고 다시 복원되며, 상기 수직 격벽은 절개부가 형성되는 삽입단의 용이한 삽입을 가이드한다.The rotatable body portion 146 is a portion that rotates the polygonal body portion 142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polygonal body portion 142 is mounted on the inside groove 126 of the body 120. The rotatable body part 146 and the polygonal body part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the insertion end 148 into the through hole 141 of the polyhedral body part, They are integrated and rotated together. In the drawing, a cutout (not shown) of the insertion end 148 and a vertical partition (not shown) of the through-hole 141 are disclosed as additional components of the integration, but this is merely one example of various integrated configurations . The incised portion is caught and restored by an external force acting to allow the insertion en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guides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end in which the incisio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은 압력 조절체(140)와 몸체(120) 상호 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하여, 회전체부의 삽입단(148) 단부에 걸림돌기(149)을 형성하고, 몸체(120)의 안치홈(126)에는 이에 대응하는 걸림단(129)을 형성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삽입단(148) 단부가 삽입공(128)으로 삽입되면 걸림돌기(149)가 걸림단(129)에 밀착됨으로써 압력 조절체(140)는 몸체(120)에 장착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걸림돌기 및 걸림단과 같은 구체적인 결합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locking protrusion 14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end 148 of the rotatable body 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14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148 of the body cavity 120 of the body 120 for tight coupling between the pressure regulator 140 and the body 120. [ 126 does not exclude the case of forming the latching end 129 corresponding thereto. When the end of the insertion end 14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8, the locking protrusion 149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end 129, so that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is attached to the body 120. However, the specific coupling structure such as the above-described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case.

상기 탄성수단(160)은 공기 배출로(122)의 내부 공간에 안치되며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170)은 공기 배출로(122)를 개폐하는 부분으로서 탄성수단(160)의 일측에 위치한다. 개폐수단의 형상은 공기 배출로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공기 배출로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면 개폐수단은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ans 16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discharge path 122 and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spr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elastic means 160 as a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The shap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ir discharge path,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formed in a ball shape if the air discharge passage has a circular shape in section.

탄성수단(160)의 타측에는 회전 가이드(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수단(160)이 압축 및 복원 작용을 통해 압력 조절체(140)의 회전을 가이드 하듯이, 상기 회전 가이드(180)는 압력 조절체(140)의 회전을 의도하는 만큼 더욱 정밀하게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회전 가이드(180)는 탄성수단(160)을 기준으로 개폐수단(17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그 단부는 압력 조절체(140)의 다각면체를 이루는 특정 면(143)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가이드(180)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탄성수단과의 용이한 결합 여부, 그리고 다각면체를 이루는 면과의 용이한 접촉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rotation guide 18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means 160. As the elastic means 160 guides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through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actions, the rotation guide 180 guides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more precisely to b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guide 18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with respect to the elastic means 160 and th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surface 143 forming the polygonal shape of the pressure regulator 140 . The specific shape of the rotation guide 18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determine whether the rotation guide 180 is easily coupled with the elastic means and whether it is easily contacted with the surface forming the polyhedron.

개폐수단(170)을 포함하여 탄성수단(160)이 안치되는 부분, 또는 만일 여기에 회전 가이드(180)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여 안치되는 부분인 공기 배출로(122)는 그 단면적이 통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탄성수단(160)이 위치하는 부위의 단면적과 제2 공기유로(50)와 연결되는 부위의 단면적을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개폐수단(170)이 공기 배출로의 일측 부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수단(160)의 복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기 배출로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개폐수단(170)의 형상 및 작동을 고려하면 그 경계 부위는 직각으로 단차져 형성되는 것보다 완만한 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 air outlet passage 122, in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and including the elastic guide 160 if the rotary guide 180 is further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where the elastic means 160 is located and the 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stably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assag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60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shape and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gentle arc shape than that formed at a right angle.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구성을 첨부된 도 5 및 전술한 관련 구성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 상술할 작동구성은 압력 조절체가 다각면체부와 회전체부로 분리 구성되며, 회전체부의 상면에는 도 2와 같은 요홈이 구비되며, 탄성수단의 타측에는 회전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The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related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operatio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is divided into a polyhedron part and a rotator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or part is provided with the groove as shown in FIG. 2, and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a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on guide .

먼저, 착용자가 자신의 아치 형상을 고려하여 제1 에어백(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배출시키고자 하는 공기의 양은 제2 체크밸브(100)의 요홈(147)에 드라이버 단부를 삽입하여 압력 조절체(140)를 조절 눈금(125)의 특정 값까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압력 조절체(140)를 강제 회전시키면, 다각면체부(142)의 특정 면과 수직한 상태로 접촉하고 있던 회전 가이드(180)의 단부 부위가 점차 다각면체부(142)의 특정 모서리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 배출로(122)를 따라 뒤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뒤이어 회전 가이드(180)의 단부 부위가 다각면체부의 특정 모서리를 지나 인접한 특정 면으로 이동하여 다시 수직하게 접하게 되면 회전 가이드(180)는 탄성수단(160)의 복원력에 의해 일정한 힘으로 다각면체부(142)의 특정 면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보행 준비가 완료된다.First, the wearer adjust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bag 10 in consideration of his / her arch shape. The amount of air to be discharged can be simply adjusted by inserting the driver end into the groove 147 of the second check valve 100 and rotating the pressure regulator 140 to a specified value of the regulating gradual 125 . When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is forcibly rotated, the end portion of the rotation guide 18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surface of the polyhedral body portion 142 in a vertical state, gradually moves toward the specific edge of the polyhedral body portion 142 And is pushed back along the air discharge path 122. [ When the end portion of the rotation guide 180 passes over a specific edge of the polyhedron portion and moves to the adjacent specific surface to be vertically contacted again, the rotation guide 18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forc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60 142), the walking preparation is completed.

보행이 시작되어 신발이 지면에 착지되면 착용자의 체중이 후족 부위에 집중되고, 이에 따라 제2 에어백(20) 내부 공간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제1 공기유로(30)를 따라 제1 에어백(10)으로 이동하여 제1 에어백 내부 공간을 채운다. 착지 과정이 연속되어 착용자의 체중이 전족 부위로 이동하면, 제1 체크밸브(42)가 작동하여 외부 공기를 제2 에어백(20) 내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시켜 다음 착지 과정을 준비한다. 이 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제2 에어백(20)에서 제1 에어백(10)으로 빠져 나간 양이다.The user's body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wearer's body and the air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second airbag 20 is guided along the first airbag 30 to the first airbag 10, To fill the first airbag inner space. When the weight of the wearer moves to the forefoot, the first check valve 42 is actuated to naturally flow the outside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airbag 20 to prepare for the next landing process.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 this process is the amount of air that has escaped from the second airbag 20 to the first airbag 10.

착지 과정이 반복되면 제1 에어백(10)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공기의 양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에어백(10)이 팽창하여 착용자의 아치 형상에 밀착한다. 일단 제1 에어백(10)이 팽창하여 착용자의 아치 형상에 밀착하게 되면, 연속하는 착지 과정에 따라 제1 에어백에 유입되는 공기는 잉여분이 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만큼 제1 에어백(10)에 이미 채워져 있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야 한다. 즉, 제1 에어백(10) 내부 공간의 잉여 공기는 도 4의 점선과 같이 제2 체크밸브(100)의 개폐수단(170)을 밀어내면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제1 에어백(10)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공기만이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When the landing process is repeated, the amount of air to be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irbag 10 is increased, so that the first airbag 10 expands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rch shape of the wearer. Once the first airbag 10 is inflat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rch shape of the weare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bag as a continuous landing process becomes an excess, The already filled air must escape to the outside. That is, surplus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irbag 10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push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170 of the second check valve 100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4, Only a certain amount of air is always filled in the inside.

공기 배출로(122)를 이동하여 몸체(120)의 안치홈(126)으로 빠져 나온 공기는 안치홈(126)과 압력 조절체(140) 사이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는 비록 안치홈과 압력 조절체 사이에 틈을 명시적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몸체의 안치홈과 압력 조절체 사이 공간을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ath 122 and escapes into the recess groove 126 of the body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at groove 126 and the pressure regulator 140. Although a gap is not explicitly indicated between the mounting groove and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it can be easily realized by appropriately forming the space between the mounting groove of the body and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do.

보행 과정에서 제1 에어백(10)이 아치에 잘 밀착되지 않는 경우(제2 체크밸브(100)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과도한 경우), 또는 이와 반대로 보행 과정에서 제1 에어백(10)이 아치를 과하게 압박하는 경우(제2 체크밸브(100)를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이 과소한 경우)에는 제2 체크밸브(100)를 통한 배출 공기의 압력 조절이 잘못된 것이므로 최초 압력 조철체를 통해 배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이를 다시 조절하면 된다.If the first airbag 1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arch during the gait process (when the amount of air escaping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is excessive), or vice versa, When the arch is excessively pressed (when the amount of air escaping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is too small), the pressure of the exhaust air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is incorrectly adjusted. This can be adjusted just as if the amount of exhaust air was regulated.

즉, 보행 과정에서 제1 에어백(10)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공기의 양을 어느 정도까지 유지할지 여부는 제2 체크밸브(100)를 통해 1 보행당 공기를 어느 정도까지 배출시킬지와 관련되어 있다. 제2 체크밸브(100)를 통해 1 보행당 빠져 나가는 공기의 양은 탄성수단(160)의 길이에 의존하며(탄성수단이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존), 탄성수단(160)의 길이는 회전 가이드(180) 단부가 중심으로부터 각 면에 이르는 거리가 상이한 다각면체부(142)의 어떠한 면과 접하고 있는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아치가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단지 회전체부(146)를 인위적으로 적당히 회전시키는 것에 당초 의도하는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o what extent the amount of air to be filled in the space inside the first airbag 10 during the walking process is related to how much air is to be discharged per walk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 The amount of air escaping per walk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100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resilient means 160 and is dependent on the resilient force acting on the resilient means, Depends on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respective surfaces is in contact with any surface of the polygonal section 142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Therefore, even if the arch of the wearer is formed in any shap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ccomplish the object originally intended to artificially rotate the rotator portion 146 proper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added features.

1 ; 창 10 : 제1 에어백
20 : 제2 에어백 30 : 제1 공기유로
32 : 보조 체크밸브 42 : 제1 체크밸브
100 : 제2 체크밸브 120 : 몸체 140 : 압력 조절체 160 : 탄성수단
170 : 개폐수단 180 : 회전 가이드
One ; Window 10: First airbag
20: second air bag 30: first air passage
32: Auxiliary check valve 42: First check valve
100: second check valve 120: body 140: pressure regulator 160: elastic means
170: opening / closing means 180: rotation guide

Claims (9)

족궁부를 지지하는 제1 에어백(10)과, 후족부를 지지하며 제1 공기유로(30)에 의해 상기 제1 에어백(10)과 연결되는 제2 에어백(20)과, 상기 제2 에어백(20)과 연결되는 제1 체크 밸브(42)가 구비되는 신발의 완충장치로서,
상기 제1 공기유로(3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에어백(10)에 채워지는 공기가 상기 제2 에어백(2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체크밸브(32)와;
상기 제1 에어백(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공기유로(50)와;
상기 제2 공기유로(50)와 연결되는 일측 내부에는 공기 배출로(12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로(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체(140)가 구비되는 제2 체크밸브(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A second airbag 20 that supports the hind foot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bag 10 by a first air flow passage 30 and a second airbag 20 that supports the horseshoe portion, And a first check valve (42) connected to the first check valve (42)
An auxiliary check valve 3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30 to prevent the air filled in the first air bag 10 from flowing back to the second air bag 20;
A second air passage (5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airbag (10);
An air discharge passage 122 is formed at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assage 50 and a pressure regulator 14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A second check valve 100 provided with the check valve 100;
Wherein the sho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밸브(100)의 압력 조절체(140) 상면에는 상기 압력 조절체(14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다각면체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배출로(122)와 연통되는 안치홈(126)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by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140 of the second check valve 100 and a polygonal memb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mounted to an orifice groove (126) formed in the air outlet passage (122) and communicated with the air discharge passage (1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로(122)에는 탄성수단(160)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수단(160)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 배출로(122)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개폐수단(1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discharge path 12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160 and the elastic means 16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70 for opening or closing the air discharge path 122. Footwear shock absor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각면체의 각 면은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surfaces of the polyhedron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14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cen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체(140)는, 중앙에 관통공(141)이 형성되는 다각면체부(142)와, 하부의 구비되는 삽입단(148)이 상기 다각면체부(142)의 관통공(141)에 삽입되는 회전체부(146)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체부(146)의 상면에는 회전체부(146)와 결합된 다각면체부(14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ssure regulator 140 includes a polygonal body 142 having a through hole 1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 insertion end 148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41 of the polygonal body 142, And a rotating body portion 146 inserted into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polygonal body portion 142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at a predetermined angle. Footwear shock absorb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안치홈(126)에는 걸림단(129)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부(146)의 삽입단(148) 단부에는 상기 걸림단(129)에 강제 결합되는 걸림고리(14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latching end 129 is provided in the seat groove 126 of the body 120 and a latching ring 149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end 148 of the rotating body 146 forcibly engaged with the latching end 129. [ Wherein the sho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홈(1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a groove (147)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or (14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단(2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a protruding end (24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부(146)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완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means i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an outer side edge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146).
KR20130038530A 2013-04-09 2013-04-09 A cushion device for shoes KR101508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530A KR101508311B1 (en) 2013-04-09 2013-04-09 A cushion device for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530A KR101508311B1 (en) 2013-04-09 2013-04-09 A cushion device for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23A true KR20140122023A (en) 2014-10-17
KR101508311B1 KR101508311B1 (en) 2015-04-06

Family

ID=5199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530A KR101508311B1 (en) 2013-04-09 2013-04-09 A cushion device for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3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701A (en) * 2017-03-08 2018-09-26 Welters Co Ltd Airbag device with pressure regulat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1606A (en) * 2021-11-05 2022-01-21 重庆宸足康科技有限公司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ssage physical therapy functional insole based on magnetic therapy vibr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025Y1 (en) 1997-11-21 2000-02-01 조남석 The breathing shoes
KR200196729Y1 (en) * 2000-03-31 2000-09-15 주식회사이앤오코리아 Impact suction means of shoes
KR20090130635A (en) * 2008-06-16 2009-12-24 흐신 호 흐신 엔터프라이스 코., 엘티디. Intelligent air cushion structure
KR101226783B1 (en) 2011-08-19 2013-02-07 최현수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0701A (en) * 2017-03-08 2018-09-26 Welters Co Ltd Airbag device with pressure regulating function
GB2560701B (en) * 2017-03-08 2019-09-04 Welters Co Ltd A sho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311B1 (en)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9205B (en) There is the article of footwear of adaptability fluid system
US6085444A (en) Ventilated footwear
EP3202277A1 (en) Sole of shoe having partially adjustable height depending on inclination
CN109152442B (en) Sole structure with customizable bladder network
JP2006334395A (en) Footwear sole
US9788601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flow transfer in shoes
CA2732900A1 (en) A shoe heel support device
KR101508311B1 (en) A cushion device for shoes
US20180020769A1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CN101431912B (en) Cushioning member
KR20080088331A (en) The shoes having a heel having the other elastic force and abrasion resistance
JP2021019980A (en) Air cushion device of shoes having cushioning and relaxation effect
KR101226783B1 (en)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KR19980058063U (en) Cushion shoe sole
KR200365883Y1 (en) shoes with ventilation structure
KR200455513Y1 (en) Midsole of shoe for active walking
KR20190067613A (en) Cushion means for ked
CN210870098U (en) Sole adapted to foot shape change
KR100594805B1 (en) Mid-sole for shoes adjustable balance of the sole of foot
US11839261B2 (en) Shock-absorbing heel having shock absorber and attached to high heel
KR200239041Y1 (en) shoe having impact absorption power and pushing function
KR200376973Y1 (en) A funtional shoes with a flow cushion
JP6522275B2 (en) Sole device with cushioning function
KR19990022769U (en) Shoe sole with variable height
KR200365768Y1 (en) Air-circulation type foot comfort fo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