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15A -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 Google Patents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15A
KR20140122015A KR20130038502A KR20130038502A KR20140122015A KR 20140122015 A KR20140122015 A KR 20140122015A KR 20130038502 A KR20130038502 A KR 20130038502A KR 20130038502 A KR20130038502 A KR 20130038502A KR 20140122015 A KR20140122015 A KR 20140122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noise
mat
absorb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양진
Original Assignee
(주)코리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콘건설 filed Critical (주)코리콘건설
Priority to KR20130038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015A/ko
Publication of KR2014012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복층건물에서 소형 절구나 칼도마 등을 사용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 또는 완화 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탄성이 있는 바닥재층과, 상기 바닥재층 상부의 충격흡수층,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층 상부의 진동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진동 흡수층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의 충격 진동소음의 흡수완화용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Noise and vibration absorbing mat for kitchen appliances}
본 발명은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 또는 완화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복층건물에서 소형 절구나 칼도마 등을 사용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 또는 완화 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일반적인 주거 형태는 아파트나 공동주택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등에서 거주하고 생활하는 이들에게는 공동주택 등이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불편을 겪거나 불편을 경험하여 왔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쾌적성과 관련된 사항으로 바닥이나 벽체의 충격으로 인해 이웃으로 전해지는 진동이나 소음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 등은 아파트나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의 특성상 바닥면은 인간이 접하여 생활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상, 하층 간 어떠한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소음 등은 조용한 밤에는 이웃해 거주하는 자들에게는 매우 큰 불마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 원인은 설계나 시공 상의 원인에 기인할 수도 있지만, 거주자의 생활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들 진동이나 소음에 따라 거주하는 이웃들 간에 갈등으로 비화되는 경우도 있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과 스트레스를 주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충간 소음 중에는 아이들이 거실이나 주방 또는 방안에서 뛸 때 나오는 충격이나 진동 소음이 있을 수 있고, 또한 이웃을 배려치 못한 운동기구 등에서 나오는 충격이나 소음이 있을 것이나, 주방 용구를 주방이나 거실에서 사용 시, 예를 들어 마늘을 빻기 위해 절구통을 사용하거나 칼도마를 사용할 때의 충격이나 진동 소음도 무시할 수 없으며 이들 소음 등은 그 사용의 빈번함으로 거의 매일 바닥이나 벽체를 통해 인접지대로 전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충격 소음이나 진동 소음을 줄이거나 방음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는데,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1998-072061호에서는 매트가 깔려져 있는 바닥 면에 충격이 미치지 못하도록 보의 내부에는 비교적 적은 두께의 높이를 가지고 층상의 구조로 형성되는 고탄력 완충부재를 형성하여 매트에 작용하는 충격이 매트 내부에서 완전히 소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음 매트를 공개한 바 있다. 상기 공개 특허는 상, 하의 고탄력 스펀지 내부에 마블과 발포 고무를 내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매트를 매직테이프를 사용해 연속 부착을 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과는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공개특허 제 10-2003-66834호에서는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을 공개하고 있는데, 상기 발명은 바닥재에 에어쿠션 층을 형성하여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엠보싱 타입의 공기층을 가지는 캡슐시트와, 상기 캡슐시트 양측 면에 PE폼을 접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과는 다른 발명으로 판단된다.
한편, 공개특허 제 10-2011-121984호에서는 쿠션매트를 공개하면서 상부보호층, 제1발포층, 제2발포층, 공기포섭발포층으로 구성하며 단열효과와 내구성 및 쿠션성, 완충, 방음효과를 기대하고 있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와는 별도의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관련 선행기술들로는 3차원 메쉬 원단을 포함하는 충격흡수용 매트를 공개하고 있는 공개특허 제 10-2012-122230호,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의 흡수용 층간차음제를 공개하고 있는 공개특허 제 10-2010-21165호, 소음 및 진동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등록특허 제 10-539645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실내에서 사용하는 주방기구, 예를 들어 실내용 절구나 칼도마 등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이나 진동을 인접지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충격소음이나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시키기 위한 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성이 있는 바닥재층과, 상기 바닥재 상부의 충격흡수재층, 그리고 상부의 진동흡수재층으로 구성되며 상부층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주방기구의 충격진동 소음의 흡수완화용 매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바닥재의 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격흡수재층은 엠보시트, 스펀지, 바람직하게는 고탄력스펀지, 스티로폼, 폴리에틸렌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부 층인 진동흡수재층으로는 고무 또는 발포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재층과 진동흡수재층은 하나 이상이 층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부층의 홀은 주방용 절구가 반 정도 들어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 공동주택 등이 실내에서 사용하는 주방기구, 특히 가정용 절구나 칼도마 등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충격음이나 진동음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 파손우려가 없어서 경제적이며 가정 내에서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하기 용이한 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매트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매트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매트(10)의 사시도로써, 하부층인 바닥재층(11)과, 그 상부의 충격흡수재층(12), 그리고 상부의 진동흡수재층(13)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의 바닥재층(11)은 탄성이 있는 재질의 재료면에 사용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고무를 사용하여 거실이나 주방의 바닥 면과의 마찰력을 좋게 하도록 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고무의 하부 측에는 돌기부가 있는 고무를 사용해 바닥으로부터 들어내기가 쉽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재층(11)의 상부로는 충격흡수재층(12)이 구성되는데, 상기 충격흡수재층(12)의 재료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사용 가능하나, 엠보시트, 스펀지, 스티로폼, 폴리에틸렌 홈에서 선택되는 종이 상을 사용한다. 도면에서는 충격흡수재층(12)이 2개의 층으로 도시되었으나 1개의 층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충격흡수재층(12)의 상부로는 진동흡수재층(13)이 구성되는데 상기 진동흡수재층(13)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사용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고무를 사용한다. 도면에서도 상기 진동흡수재층(13)이 2개의 층으로 도시되었으나 1개의 층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매트(10)의 상부 쪽에는 홀(15)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15)은 가정용 절구(20, 도 2참조)가 반 정도 끼워질 수 있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매트(10)를 사용할 때는 도 2에서와 같이 절구(20)를 사용할 경우 매트(10) 상부 측의 홀(15)에 절구(20)를 끼워 사용하면 되는데, 상부층인 진동흡수층(13)이 고무 재질로 되어 있어서 절구(20)가 홀(15)에 끼워지면 고무의 탄성으로 절구(20)는 홀(15) 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하기가 편리해지고, 절구질을 하게 되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해, 상부의 고무재질인 진동흡수층(13)에서 진동을 흡수하고 충격으로 인한 소음은 하부의 충격흡수층(12)에서 흡수하게 되며, 이 경우 바닥재층(12)에 돌기부가 있거나 별도의 고무지지대가 고정 설치되면 충격음 등이 직접 거실 바닥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요엥 따른 충격이나 진동소음이 흡수 완화되어 인접층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매트(10)의 상부에 칼도마(30)를 올려놓고 사용할 때의 도면으로써 사용 시는 상기와 같다.
10 : 매트. 11 : 바닥재층. 12 : 충격흡수층. 13 : 진동흡수층. 15 : 홀.
20 : 절구. 30 : 칼도마.

Claims (4)

  1. 탄성이 있는 바닥재층과, 상기 바닥재층 상부의 충격흡수층,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층 상부의 진동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진동 흡수층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의 충격 진동소음의 흡수완화용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층은 고무재질이고, 상기 충격흡수층은 엠보시트, 스펀지, 스티로폼, 폴리에틸렌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진동흡수층은 고무 또는 발포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의 충격 진동소음의 흡수완화용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 층의 하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거나 4개 이상의 고무지지대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의 충격 진동소음의 흡수완화용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가정용 절구의 1/3~2/3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기구의 충격 진동소음의 흡수완화용매트.
KR20130038502A 2013-04-09 2013-04-09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KR20140122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502A KR20140122015A (ko) 2013-04-09 2013-04-09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502A KR20140122015A (ko) 2013-04-09 2013-04-09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15A true KR20140122015A (ko) 2014-10-17

Family

ID=5199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502A KR20140122015A (ko) 2013-04-09 2013-04-09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0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95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백조씽크 방음방진 기능을 갖는 싱크볼
KR20220117619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기림엔지니어링 상업용 주방 천장에 설치되는 흡음 및 난반사방지용 패널
KR102520965B1 (ko) * 2022-12-09 2023-04-13 주식회사 백조씽크 방음형 싱크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95A (ko) * 2018-06-26 2020-01-06 주식회사 백조씽크 방음방진 기능을 갖는 싱크볼
KR20220117619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기림엔지니어링 상업용 주방 천장에 설치되는 흡음 및 난반사방지용 패널
KR102520965B1 (ko) * 2022-12-09 2023-04-13 주식회사 백조씽크 방음형 싱크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589525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KR101109629B1 (ko) 쿠션매트
KR101308380B1 (ko) 바닥용 완충재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101656794B1 (ko)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62268B1 (ko) 다층건물의 중공층을 갖는 충격음 차단구조
KR20140122015A (ko) 주방기구의 충격진동소음 흡수완화용 매트
KR20060021933A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플로팅 플로어 시스템
KR200491913Y1 (ko) 공기순환 구조를 갖는 조립식 안전매트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0724123B1 (ko)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KR20030091625A (ko) 차음시트
KR200472109Y1 (ko) 공기층이 형성된 층간소음방지용 쿠션시트
KR100763410B1 (ko) 층간 소음방지체의 적층구조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160023353A (ko) 소음저감용 매트
KR20130109669A (ko) 편백나무성분이 함유된 방음매트
KR10082588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90010400U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재
KR20160002430U (ko) 층간 소음 방지재
KR100995605B1 (ko) 소음저감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