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32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324A
KR20140121324A KR20130115224A KR20130115224A KR20140121324A KR 20140121324 A KR20140121324 A KR 20140121324A KR 20130115224 A KR20130115224 A KR 20130115224A KR 20130115224 A KR20130115224 A KR 20130115224A KR 20140121324 A KR20140121324 A KR 20140121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uplink
downlink
channel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238B1 (ko
Inventor
최승훈
김영범
지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43,241 priority Critical patent/US9450737B2/en
Priority to CN201480020183.1A priority patent/CN105122716B/zh
Priority to EP14778747.7A priority patent/EP2982057B1/en
Priority to PCT/KR2014/002879 priority patent/WO2014163407A1/en
Publication of KR201401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324A/ko
Priority to US15/269,389 priority patent/US99733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channel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TDD UL-DL 재설정(dynamic TDD UL-DL reconfiguration)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flexible subframe)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때,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해 필요한 채널 정보를 단말이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이라 함) 방식, 혹은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단(일)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SC-FDMA이라 함)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확장성 대역폭(scalable bandwidth)의 지원이다. 그 일례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20/15/10/5/3/1.4 MHz 등의 다양한 대역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서비스 사업자들은 상기 대역폭 중에서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 또한 최대 20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최소 1.4 MHz 대역폭만을 지원하는 것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IMT-Advanced 요구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LTE-Advanced(이하 LTE-A로 간단히 칭함) 시스템에서는 LTE 캐리어들의 결합(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을 통하여 최대 100 MHz 대역폭에 이르는 광대역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LTE 시스템보다 광대역을 필요로 한다. 그와 동시에 LTE 단말들에 대한 후방위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도 중요하여 LTE 단말들도 LTE-A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LTE-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을 LTE 단말이 송신 혹은 수신할 수 있는 대역폭의 서브밴드(subband) 혹은 구성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혹은 셀이라 부름)로 나누고, 소정의 구성반송파를 결합한 후, 각 구성반송파별로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함으로써, 각 구성반송파 별로 기존 LTE 시스템의 송수신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LTE-A 시스템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각 구성반송파 혹은 셀은 단말 관점에서 그 용도나 중요성으로 구분할 때 primary 셀과 secondary 셀로 나뉜다. Primary 셀은 단말 관점에서 하나이며, secondary 셀은 primary 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이다. 현재 LTE-A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단지 primary 셀에서만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은 primary 셀과 secondary 셀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각 구성반송파 별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로 단말에게 알려준다. DCI는 여러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인지 여부 혹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여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다중 입출력 안테나)를 적용하지 않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인 DCI format 1은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로 구성된다.
- 자원 할당 타입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type 0인지 type 1인지 통지한다. Type 0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resource block)이고, RBG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type 0 방식에서의 스케쥴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Type 1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스킴(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코딩레이트를 통지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신규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의 redundancy version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TPC 커맨드(TPC command for PUCCH):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전력제어명령을 통지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 제어 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그런데, TDD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은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소형 기지국이 동적 TDD UL-DL 재설정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매크로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하, 매크로 기지국 단말)이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단말(이하, 소형 기지국 단말)에 주는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매크로 단말의 상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소형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소형 기지국 단말에 대한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해서 상기 소형 기지국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동적 TDD UL-DL 재설정(dynamic TDD UL-DL reconfiguration)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flexible subframe)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소형 기지국이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때, 소형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해 필요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정보 요청 방법은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재설정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 전송 단계, 및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정보 전송 방법은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재설정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스케줄링 정보 수신 단계, 및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적 TDD UL-DL 재설정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을 지원하는 소형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경우, 소형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하향링크 채널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소형 기지국은 정해진 타이밍에서 상기 하향링크 채널 정보를 소형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TDD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운용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TDD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에 따라 운용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에 대한 기지국 동작과 단말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에 대한 기지국 동작과 단말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TDD 통신 시스템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공통의 주파수를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의 송수신을 구분하여 운용한다. LTE TDD에서는 서브프레임별로 상향링크 혹은 하향링크 신호를 구분하여 전송한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트래픽 부하(traffic load)에 따라, 상/하향링크용 서브프레임을 시간영역에서 균등하게 분할하여 운용하거나, 하향링크에 더 많은 서브프레임을 할당하여 운용하거나 혹은 상향링크에 더 많은 서브프레임을 할당하여 운용할 수 있다. LTE에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10개의 서브프레임이 모여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을 구성한다.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0 1 2 3 4 5 6 7 8 9
0 D S U U U D S U U U
1 D S U U D D S U U D
2 D S U D D D S U D D
3 D S U U U D D D D D
4 D S U U D D D D D D
5 D S U D D D D D D D
6 D S U U U D S U U D
[표 1]은 LTE에 정의된 TDD UL-DL 설정(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이라 칭할 수도 있다)을 나타낸다. [표 1]에서 ‘D’는 하향링크 전송용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전송용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DwPTS(Dwo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나타낸다. DwPTS에서는 일반적인 서브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하향링크로 제어정보 전송이 가능하며, 스페셜 서브프레임의 설정 상태에 따라 DwPTS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다. GP는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송상태의 천이를 수용하는 구간으로 네크워크 설정 등에 따라 길이가 정해진다. UpPTS는 상향링크 채널상태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단말의 SRS(Sounding Referfence Signal) 전송 혹은 랜덤 억세스를 위한 단말의 RACH(Random Access Channel) 전송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TDD UL-DL 설정 #6의 경우 서브프레임 #0, #5, #9에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 전송이 가능하고, 서브프레임 #2, #3, #4, #7, #8에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셜 서브프레임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 #1, #6에서는 하항링크 제어정보와 경우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상향링크로는 SRS 혹은 RACH 전송이 가능하다.
TDD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혹은 상향링크 신호 전송이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서만 허용되므로,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제어채널, 스케쥴링되는 데이터채널, 그리고 데이터채널에 대응되는 HARQ ACK/NACK 채널 등 상호 관계에 있는 상/하향링크 물리채널들 사이의 구체적인 타이밍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먼저 LTE TDD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물리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상/하향링크 타이밍 관계는 다음과 같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서브프레임 n-k에 전송된 PDSCH를 수신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n에 상기 PDSCH에 대한 상향링크 HARQ ACK/NACK 전송을 한다. 이 때 상기 k는 집합 K의 구성원소로서, K는 [표 2]에 정의된 바와 같다.
UL-DL
Configuration
Subframe n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9, 8,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표 3]은, 각 TDD UL-DL 설정에서 PDSCH가 각각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 혹은 스페셜 서브프레임(S) n에서 전송될 때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HARQ ACK/NACK이 어느 서프프레임에서 전송되는지를 상기 [표 2]의 정의에 따라 다시 정리한 것이다.
Subframe n
UL-DL
Configuration
0 1 2 3 4 5 6 7 8 9
0 D S U U U D S U U U
4 6 4 6
1 D S U U D D S U U D
7 6 4 7 6 4
2 D S U D D D S U D D
7 6 4 8 7 6 4 8
3 D S U U U D D D D D
4 11 7 6 6 5 5
4 D S U U D D D D D D
12 11 8 7 7 6 5 4
5 D S U D D D D D D D
12 11 9 8 7 6 5 4 13
6 D S U U U D S U U D
7 7 7 7 5
도 1은 일반적인 TDD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운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상기 기술된 [표 3]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도 1은, [표 3]의 TDD UL-DL 설정 #6에서 PDSCH가 각각의 하향링크 혹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에 전송될 때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HARQ ACK/NACK이 어느 서프프레임에 전송되는지를 상기 [표 3]의 정의에 따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0에 기지국이 전송한 PDSCH(101)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HARQ ACK/NACK은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7에 단말이 전송한다(103). 이 때 상기 PDSCH(10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는 상기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PDCCH를 통해 전송된다. 또 다른 예로,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9에 기지국이 전송한 PDSCH(105)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HARQ ACK/NACK은 라디오 프레임 i+1의 서브프레임 #4에 단말이 전송한다(107). 마찬가지로 상기 PDSCH(105)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는 상기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PDCCH를 통해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는 데이터 재전송시점이 고정되지 않은 비동기(a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지국이 전송한 HARQ 초기 전송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피드백 받은 경우, 기지국은 다음 번 HARQ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시점을 스케줄링 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한다. 단말은 HARQ 동작을 위해 수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 오류로 판단된 HARQ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을 한 후, 다음번 HARQ 재전송 데이터와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의 수신 버퍼 용량을 일정 한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TDD UL-DL 설정별로 최대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 개수를 [표 4]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하나의 HARQ 프로세스는 시간영역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매핑된다.
TDD UL/DL configuration Maximum number of HARQ processes
0 4
1 7
2 10
3 9
4 12
5 15
6 6
상기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단말은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0에 기지국이 전송한 PDSCH(101)를 디코딩하여 오류라고 판단되면 HARQ NACK을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7에 전송(103)한다. 기지국은 상기 HARQ NACK을 수신하면 상기 PDSCH(101)에 대한 재전송 데이터를 PDSCH(109)로 구성하여 PDCCH와 함께 전송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상기 [표 4]의 정의에 따라 TDD UL-DL 설정 #6의 최대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 개수가 6 개인 것을 반영하여, 상기 재전송 데이터가 라디오 프레임 i+1의 서브프레임 #1에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초기전송 PDSCH(101)와 재전송 PDSCH(109) 사이에 총 6개의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111, 112, 113, 114, 115, 116) 존재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 와 달리 상향링크 HARQ는 데이터 전송시점이 고정된 동기(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이에 선행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 그리고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물리채널인 PHICH(Physical Hybrid Indicator Channel)의 상/하향링크 타이밍 관계가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DCCH 혹은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PHICH를 수신하면, 서브프레임 n+k에 상기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PUSCH를 통해 전송한다. 이 때 상기 k는 [표 5]에 정의된 바와 같다.
TDD UL/DL
Configuration
DL subframe number n
0 1 2 3 4 5 6 7 8 9
0 4 6 4 6
1 6 4 6 4
2 4 4
3 4 4 4
4 4 4
5 4
6 7 7 7 7 5
그리고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HARQ ACK/NACK을 운반하는 PHICH를 수신하면, 상기 PHICH는 서브프레임 i-k에 단말이 전송한 PUSCH에 대응된다. 이 때 상기 k는 [표 6]에 정의된 바와 같다.
TDD UL/DL
Configuration
DL subframe number i
0 1 2 3 4 5 6 7 8 9
0 7 4 7 4
1 4 6 4 6
2 6 6
3 6 6 6
4 6 6
5 6
6 6 4 7 4 6
도 2는 일반적인 TDD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의 다른 운용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TDD UL-DL 설정 #1의 경우 PDCCH 혹은 PHICH가 각각의 하향링크 혹은 스페셜 서브프레임에 전송될 때 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PUSCH가 어느 서프프레임에 전송되는지, 그리고 다시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PHICH가 어느 서브프레임에 전송되는지를 상기 [표 5]과 [표 6]의 정의에 따라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1에 기지국이 전송한 PDCCH 혹은 PHICH(201)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PUSCH는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7에 단말이 전송한다(203).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PHICH를 라디오 프레임 i+1의 서브프레임 #1에 단말에게 전송한다(205). 또 다른 예로, 라디오 프레임 i의 서브프레임 #6에 기지국이 전송한 PDCCH 혹은 PHICH(207)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PUSCH는 라디오 프레임 i+1의 서브프레임 #2에 단말이 전송한다(209).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PHICH를 라디오 프레임 i+1의 서브프레임 #6에 단말에게 전송한다(211).
LTE TDD 시스템에서는 PUSCH 전송 관련하여,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PDCCH 혹은 PHICH의 하향링크 전송이 특정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의 최소 송/수신 프로세싱 타임을 보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TDD UL-DL 설정 #1의 경우 서브프레임 #0, #5에서는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 혹은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PHICH 가 하향링크로 전송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TDD 시스템에서 TDD UL-DL 설정이 정해진 이후에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특정 시점의 특정 기지국에서 상향링크 전송보다는 하향링크 전송이 더 많은 데이터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TDD UL-DL 설정을 변경하는 것 대신에 특정 기지국에서 상하향 링크의 데이터 요구 용량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동적 TDD UL-DL 재설정 혹은 동적 서브프레임(flexible subframe)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동적 TDD UL-DL 재설정(dynamic TDD UL-DL reconfiguration)은 시스템 정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날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날링, 물리 계층(PHY) 시그날링 중에 하나를 택하여 기지국내에 모든 단말 혹은 특정 단말에게 현재 설정되어 있는 TDD UL-DL 설정 외에 다른 TDD UL-DL 설정을 전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동적 서브프레임(flexible subframe)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 존재해야만 하는 보호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항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앞에 존재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시간축 상으로 연속적으로 인접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동적 서브프레임이 할당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 또는 동적 서브프레임에 따라 운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때 도 301 내지 304는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11내지 313은 동적 서브프레임을 TDD UL-DL 설정 #1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1 내지 도 304에 대해 설명하는 경우,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은 복수 개,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며, 도 301에서는 n-1 및 n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이 도시되며, 도 302에서는 n+1 및 n+2 인덱서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이 도시되었음을 가정하도록 한다.
우선, 도 301 내지 304를 참조하면, 기지국내의 TDD UL-DL 설정은 n-1 및 n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에 대해서는 #3(301)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하향 링크의 데이터 요구 용량에 따른 기지국의 판단에 따라 TDD UL-DL 설정은 n+1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부터 #4(302)로 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상위 계층 시그날링(예를 들어, RRC 시그날링), MAC 시그날링, 물리 계층(PHY) 시그날링 중 하나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TDD UL-DL 설정 #3(301)에서는 상향 서브프레임(303)이었던 서브프레임 #4가 n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부터 TDD UL-DL 설정 #4로 재설정되면서, 하향서브프레임(304)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TDD UL-DL 설정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4를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하며, 소형기지국은 TDD UL-DL 재설정을 통해 상기 서브프레임 #4를 하향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1내지 313을 참조하면, 기지국내의 TDD UL-DL 설정은 #1(311)으로 설정되어 있다. TDD UL-DL 설정 #1의 한 라디오 프레임에서 두 개의 동적 서브프레임을 운용하는 경우, 312, 31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 중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인접한 서브프레임인 312, 313이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운용된다. 다시 말해, 서브프레임 #3과 #8이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3(312), 서브프레임 #8(313)의 서브프레임은 UF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즉, 동적인(flexible) 상향링크(Uplink) 서브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구현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운용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별도의 정보 또는 시그널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정보 또는 시그널링 없이,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운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자체적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TDD UL-DL 설정 #1(311)에서는 상향 서브프레임(312, 313)인 서브프레임이 소형기지국에서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하면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매크로 기지국은 TDD UL-DL 설정 #1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서브프레임 #3을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하며, 소형기지국은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을 통해 상기 서브프레임 #3을 하향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 때 도 4는 TDD 시스템에서 여러 기지국들이 혼재하며, 여러 기지국들이 동일한 TDD UL-DL 설정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특정 기지국에서 TDD UL-DL 재설정 혹은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401을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기지국이 해당 상향 서브프레임을 원래대로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하고, 인근에 위치에 있는 소형 기지국이 동적 TDD UL-DL 재설정 혹은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해당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경우, 소형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소형 기지국 단말은 인근에서 매크로 기지국 또는 다른 소형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매크로 기지국 단말 또는 다른 소형 기지국 단말로부터 간섭을 받게 된다(402, 403). 도면에서 간섭을 받는 모습을 interference로 지시된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411을 참조하면, 특정 소형 기지국이 동적 TDD UL-DL 재설정 혹은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소형 기지국 단말이 간섭을 받지 않고, 하향링크 수신을 할 수 있도록,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이 상기 상향 서브프레임에서의 상향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안을 통해 매크로 단말과 소형 기지국 단말은 특정 소형 기직국 단말의 하향 데이터 수신에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412, 413)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특정 소형 기지국은 상향 서브프레임을 (마크로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 없이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 전송을 위해 사용할 때 상기 상향 서브프레임의 채널 상황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채널 상황과는 다르게 된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에서는 모든 기지국이 하향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형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상기 소형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하며, 소형 기지국 단말이 소형 기지국에 채널 정보를 알리기 위한 방안이 필요로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5를 참고하여, TDD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이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소형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하향링크 채널 정보를 소형 기지국 단말이 전송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 기지국이 동적 TDD UL-DL 재설정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에서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상기 도 4에서처럼 매크로 기지국과 다른 소형 기지국들의 간섭 제어를 통하여 인접 매크로 기지국이나 소형 기지국에서의 상향 링크 전송은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TDD UL-DL 재설정시를 위해 각각의 TDD UL-DL 설정에 따른 모든 하향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서브프레임 셋을 구분하여 단말에게 상위 신호로 사전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TDD UL-DL 재설정시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모든 서브프레임들은 (가령 2개의 서브프레임 셋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2개의 서브프레임 셋 중 한 개의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인접한 소형 기지국들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소형 기지국들로부터의 하향 링크 간섭을 포함하고 있는 채널 정보를 알 수 있는 방안 즉, 소형 기지국 단말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채널 정보를 측정하고, 채널 측정 정보를 상기 소형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501 내지 503에서 소형 기지국의 TDD UL-DL 설정이 #1에서 #2로 재설정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각 TDD UL-DL 설정에서 같은 무늬를 갖는 서브프레임들은 하나의 상향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무늬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은 상향 HARQ 프로세스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03에서 매크로 기지국이나 특정 소형 기지국들은 서브프레임 #3을 상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형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3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
한편, UL-DL 재설정을 통한 UL-DL 설정 #2에서 서브프레임 #3은 상향 HARQ 프로세스가 구성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 #3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업링크 그랜트(UL grant)(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 이하 동일하다)가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UL grant에 포함된 CQI 요청 필드(CQI request field)를 ON시켜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한다. 이 때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3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3,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3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3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UL-DL 설정 #2에서 정의되어 있는UL HARQ 타이밍을 기반으로 서브프레임 #7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11 내지 513에서는 소형 기지국의 TDD UL-DL 설정이 #1에서 #4로 재설정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도 513에서 매크로 기지국이나 특정 소형 기지국들은 서브프레임 #4를 상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형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4를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
한편, UL-DL 재설정을 통한 UL-DL 설정 #4에서 서브프레임 #4는 상향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이다.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는 서브프레임에서, 단말에게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로써,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이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상기 UL grant에 CQI request field를 ON시켜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4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4,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4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4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정보 요청에 대한 채널 정보 전송은 상기 서브프레임 # 4를 기준으로 4서브프레임 이후에 나타나는 가장 가까운 상향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2에서 채널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상기 가장 가까운 상향 서브프레임 #2는 하향 서브프레임 #8과 상향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향 서브프레임 #8에서도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와 하향 서브프레임 #8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동시에 전송이 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단말 동작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로써, 단말은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와 하향 서브프레임 #8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에 대한 동시 수신을 기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 아무 전송을 하지 않는다. 즉,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의 채널 정보 전송을 생략(또는, 무시)할 수 있다 .
두 번째로써, 단말은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우선화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 서브프레임 #4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세 번째로써, 단말은 서브프레임 #8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우선화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 서브프레임 #8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네 번째로써, 단말은 서브프레임 #8과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들을 모두 유효한 것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단말은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 서브프레임 #8과 서브프레임 #4에 대한 채널 정보를 다중화 하여 전송한다. 다중화 하는 순서는 낮은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갖는 것부터 순서대로 다중화 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 #4에서의 채널 정보, 다음으로 서브프레임 #8에서의 채널 정보를 순서대로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다만, 서브프레임 인데스에 기반하여 다중화하는 것은 일 실시예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다중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써, 상기 서브프레임 #4의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상기 서브 프레임 #4이후에,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가장 가까운 하향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8에서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8에서 상기 UL grant를 전송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 #8을 위한 채널 정보와 구분하기 위해, 멀티 클러스터(multi-cluster)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상기 서브프레임 #4의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4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4,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4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4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상기 UL-DL 설정 #2에서 정의되어 있는UL HARQ 타이밍을 기반으로 다음 번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multi-cluster로 전송한다. 상기 multi-cluster로 전송한다는 것은 전송 가능한 두 개의 cluster에서 한 개의 cluster를 상기 서브프레임 #3의 채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세 번째로써,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이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이 상기 UL grant에 CQI request field를 ON시켜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한다는 것은 상기의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기지국의 채널정보 요청에 대한 단말의 채널 정보 전송이 모든 UL-DL 설정에서 항상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 #2(universal uplink subframe)에서 채널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상기 첫 번째 방법과 차이가 있다. 단말은 상기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4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4,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4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4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네 번째로써,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이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이 상기 UL grant에 CQI request field를 ON시켜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한다는 것은 상기의 첫 번째, 세 번째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채널정보 요청에 대한 단말의 채널 정보 전송이 UL-DL 재설정을 통한 UL-DL 설정 #4에서 정의되어 있는 DL HARQ 타이밍 즉, PDCCH(혹은 PDSCH)에 대한 PUCCH 전송 타이밍에 따라 정의되어 있는 타이밍에 따라 수행된다. 즉, PDCCH(혹은 PDSCH) 전송 타이밍은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PUCCH 전송 타이밍은 상기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에 의한 PUSCH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상기 서브프레임 #4에서 전송되면, UL-DL 설정 #4의 서브프레임 #4에서 정의되어 있는 DL HARQ 타이밍에 따라 상향 서브프레임 #2에서 채널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점에서 상기 첫 번째, 세번째 방법과 차이가 있다. 이 때,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4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4,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4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4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TDD UL-DL 재설정(dynamic TDD UL-DL reconfiguration)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에 대한 기지국 동작 순서 및 단말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들이다.
우선, 도 6a을 참조하여 먼저 기지국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 601에서 기지국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TDD UL-DL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새로운 TDD UL-DL 설정을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TDD UL-DL 설정에 대한 재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RRC 시그날링, MAC 시그날링, PHY 시그날링 중 하나를 통해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 602에서 기지국은 재설정 이전에는 상향 서브프레임이었지만, 재설정 이후 하향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n에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서브프레임 n에서 맵핑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603에서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UL grant에 포함된 CQI 요청 필드(CQI request field)를 ON시켜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604에서 기지국은 새로운 UL-DL 설정에서 정의된 UL HARQ 타이밍에 따른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단계 602에서 서브프레임 n에 맵핑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605에서 기지국은 본 발명의 상기한 도 5에서 제안하는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n의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전송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첫 번째 및 세 번째 방법은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UL grant를 전송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n 서브프레임 이후에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가장 가까운 하향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 606에서 기지국은 본 발명의 도 5에서 제안하는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첫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나타나는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대해 정의된 UL HARQ 타이밍에 따라 멀티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세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universal uplink subframe)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단말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611에서 단말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TDD UL-DL 설정을 변경하는 새로운 TDD UL-DL 설정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TDD UL-DL 설정에 대한 재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RRC 시그날링, MAC 시그날링, PHY 시그날링 중 하나를 통해서 단말에게 수신될 수 있다.
단계 612에서 단말은 재설정 이전에는 상향 서브프레임이었지만, 재설정 이후 하향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n에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서브프레임 n에서 맵핑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613에서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단말은 UL grant에 포함된 CQI 요청 필드(CQI request field)가 ON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채널 정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정보 요청 후 또는 요청 전에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n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n,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n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n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614에서 단말은 새로운 UL-DL 설정에서 정의된 UL HARQ 타이밍에 따른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612에서 서브프레임 n에 맵핑된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615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상기한 도 5에서 제안하는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n의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수신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첫 번째 및 세 번째 방법은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UL grant를 수신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n 서브프레임 이후에 UL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가장 가까운 하향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것이다.
채널 정보 요청 후 또는 요청 전에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n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n,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n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n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 616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도 5에서 제안하는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방법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간략히 설명하면, 첫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나타나는 가장 가까운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대해 정의된 UL HARQ 타이밍에 따라 멀티 클러스터에 기반하여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세 번째 방법은 상기 UL grant가 전송된 서브프레임(universal uplink subframe)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flexible subframe)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통해 TDD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이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이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소형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하향링크 채널 정보를 소형 기지국 단말이 전송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는 소형 기지국이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에서 상향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할 때, 상기 도 4에서처럼 매크로 기지국과 다른 소형 기지국들의 간섭 제어를 통하여 인접 매크로 기지국이나 소형 기지국에서의 상향 링크 전송은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는 인접한 소형 기지국들이 존재한다면, 해당 소형 기지국들로부터의 하향 링크 간섭을 포함하고 있는 채널 정보를 알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702 내지 705에서 소형 기지국의 TDD UL-DL 설정은 #1이며, 서브프레임 #3과 #8을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운용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TDD UL-DL 설정 #1(701)에서 동일한 무늬를 갖는 서브프레임들은 하나의 상향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무늬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은 상향 HARQ 프로세스가 없는 서브프레임들이다.
매크로 기지국이나 특정 소형 기지국들은 서브프레임 #3과 #8을 상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소형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3과 #8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널 정보 전송을 위해 제안하는 방법은 만일 소형 기지국이 라디오 프레임 n의 서브프레임 #3(702)와 #8(703)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한다면, 그 다음 라디오 프레임인 라디오 프레임 n+1의 서브프레임 #3(704)와 #8(705)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TDD UL-DL 설정 #1(701)에서 원래 상향 서브프레임 #3(702)와 하나의 UL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하향 서브프레임 #9는 상향 서브프레임 #3(702)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함에 따라 더 이상 서브프레임 #3과 하나의 UL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디오 프레임 n의 서브프레임 #3(702)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된다면, 단말은 그 다음 라디오 프레임인 라디오 프레임 n+1의 서브프레임 #3(704)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라디오 프레임 n의 서브프레임 #3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3,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3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3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DD UL-DL 설정 #1(701)에서 원래 상향 서브프레임 #8(703)과 하나의 UL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하향 서브프레임 #4는 서브프레임 #8(703)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함에 따라 더 이상 서브프레임 #8과 하나의 UL HARQ 프로세스를 구성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라디오 프레임 n의 상기 서브프레임 #8(703)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가 전송된다면, 단말은 그 다음 라디오 프레임인 라디오 프레임 n+1의 서브프레임 #8(705)에서 채널 정보를 포함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라디오 프레임 n의 서브프레임 #8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8,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8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8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향 데이터는 채널 정보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 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해 두 개의 라디오 프레임마다 한 개의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을 통해 상향 서브프레임을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가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을 통한 채널 정보 전송에 대한 기지국 동작과 단말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들이다.
우선, 도 8a를 참조하여 먼저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801에서 기지국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TDD UL-DL 설정의 동적 서브프레임(UL flexible subframe)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동적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날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날링, 물리 계층(PHY) 시그날링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 802에서 기지국은 동적 서브프레임 n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는지를 판단한다. 동적 서브프레임 n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면, 단계 803에서 기지국은 본 발명의 도 7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서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계 804에서 본 발명의 도 7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른 그 다음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n에서 상기 이전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802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n을 원래 대로 상향 전송에 사용한다면, 동적 서브프레임 n에 대한 하향 채널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도 8b를 참조하여 단말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811에서 단말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TDD UL-DL 설정의 동적 서브프레임(UL flexible subframe)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동적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날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날링, 물리 계층(PHY) 시그날링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 812에서 단말은 동적 서브프레임 n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는지를 판단한다. 동적 서브프레임 n을 하향 전송에 사용하면, 단계 813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도 7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서 서브프레임 n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UL grant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채널 정보 요청 후 또는 요청 전에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간섭 측정시 서브프레임 n에서만 상기 간섭을 측정한다. 즉, 간섭 측정시 다른 서브프레임들(예를 들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또 다른 UL-DL 재설정 후에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n, 또는 같은 서브프레임 셋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 또는 같은 CSI 프로세스에 속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간섭과 평균화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예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이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 또 다른 UL-DL 재설정이 없는 경우, 즉 UL-DL 설정이 유지되는 경우는 다음 라디오 프레임에서의 서브프레임 #n에서 간섭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평균화한다 또는 같이 처리된다라는 의미는 단말 내부에서 간섭량을 계산하는 하나의 같은 필터에 입력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단말은 일반적인 하향 서브프레임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들) 외에 다른 UL-DL 재설정에 대한 시그날링이 있을 때, 상기 서브프레임 #n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의 간섭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단계 814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도 7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른 그 다음 인덱스를 가지는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n에서 상기 이전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n에 대한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단계 811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n을 원래 대로 상향 전송에 사용한다면, 동적 서브프레임 n에 대한 하향 채널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필요가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PDCCH 블록(905), PDSCH 블록(916), PHICH 블록(924), 다중화기(915)로 구성되는 송신부와 PUSCH 블록(930), PUCCH 블록(939), 역다중화기(949)로 구성되는 수신부와 제어부(901), 스케쥴러(903)로 구성된다. 송신부에서 PDCCH 블록(905)은 DCI 형성기(907), 채널코딩부(909), 레이트매칭기(911), 변조기(913)를 구비하고, PDSCH 블록(916)은 데이터버퍼(917), 채널코딩부(919), 레이트매칭기(921), 변조기(923)를 구비하며, PHICH 블록(924)은 HARQ ACK/NACK 생성기(925), PHICH 형성기(927), 변조기(929)를 구비한다. 수신부에서 PUSCH블록(930)은 복조기(937), 역레이트매칭기(935), 채널디코딩부(933), 데이터 획득부(931)를 구비하고, PUCCH블록은 복조기(947), 역레이트매칭기(945), 채널디코딩부(943), ACK/NACK 혹은 CQI 획득부(941)를 구비한다.
제어부(901)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 양, 시스템 내에 가용한 리소스 양 등을 참고하여 스케쥴러(903), PDSCH 블록(916)으로 알려준다.
PDCCH블록(905)은 스케쥴러(903)의 제어를 받아 DCI를 구성한 후(907), DCI는 채널코딩부(909)에서 오류정정능력이 부가된 다음, 레이트매칭기(911)에서 실제 매핑될 리소스 양에 맞춰 레이트매칭된 후, 변조기(913)에서 변조된 다음, 다중화기(915)에서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된다.
PDSCH 블록(916)은 스케쥴러(903)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 버퍼(917)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채널코딩부(919)에서 오류정정능력이 부가된 다음, 레이트매칭기(921)에서 실제 매핑될 리소스 양에 맞춰 레이트매칭된 후, 변조기(923)에서 변조된 다음, 다중화기(915)에서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된다.
PHICH 블록(924)은 스케쥴러(903)의 제어를 받아 HARQ ACK/NACK 생성기(925)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PUSCH에 대한 HARQ ACK/NACK을 생성한다. 상기 HARQ ACK/NACK은 PHICH 구성기(927)를 통해서 PHICH 채널 구조에 맞게 구성되고, 변조기(929)에서 변조된 다음, 다중화기(915)에서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된다.
그리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들은 OFDM 신호로 생성되어 생성되어 단말에게 전송된다.
PUSCH 블록(930)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역다중화기(949)를 통해 PUSCH신호를 분리한 후, 복조기(937)에서 복조한 다음, 역레이트매칭부(935)에서 레이트매칭 이전 심볼들을 재구성한 후, 채널디코딩부(933)에서 디코딩하며, 데이터 획득부(931)에서 PUSCH 데이트를 획득한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931)는 디코딩 결과에 대한 오류여부를 스케쥴러(903)로 통지하여 하향링크 HARQ ACK/NACK 생성을 조정하며, 디코딩 결과에 대한 오류여부를 반송파 결합 및 타이밍 제어부(901)로 인가하여 하향링크 HARQ ACK/NACK 전송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한다.
PUCCH 블록(930)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역다중화기(949)를 통해 PUCCH신호를 분리한 후, 이를 복조기(947)에서 복조한 다음, 채널디코딩부(933)에서 디코딩하며, 상향링크 ACK/NACK 혹은 CQI 획득부(941)에서 상향링크 ACK/NACK 혹은 CQI를 획득한다. 상기 획득한 상향링크 CQI는 스케쥴러(903)로 인가되어 PDSCH의 전송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이 때, 소형 기지국의 서브프레임 운용 장치에서, 제어부는 TDD UL-DL 설정을 재설정하거나 상향 서브프레임을 동적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901)는 매크로 기지국에서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한다. 이 때 제어부는 소형 기지국의 단말에서 수신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채널 정보를 분석하여, 이후의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901)는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901)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901)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PUCCH 블록(1005), PUSCH 블록(1016), 다중화기(1015)로 구성되는 송신부와 PHICH 블록(1024), PDSCH 블록(1030), PDCCH 블록(1039), 역다중화기(1049)로 구성되는 수신부와 제어부(1001)로 구성된다. 송신부에서 PUCCH 블록(1005)은 UCI 형성기(1007), 채널코딩부(1009), 변조기(1013)를 구비하고, PUSCH 블록(1016)은 데이터버퍼(1018), 채널코딩부(1019), 레이트매칭기(1021), 변조기(1023)를 구비한다. 수신부에서 PHICH 블록(1024)은 HARQ ACK/NACK 획득기(1025), 변조기(1029)를 구비하고, PDSCH블록(1030)은 복조기(1037), 역레이트매칭기(1035), 채널디코딩부(1033), 데이터 획득부(1031)를 구비하고, PDCCH블록(1039)은 복조기(1047), 역레이트매칭기(1045), 채널디코딩부(1043), DCI 획득부(1041)를 구비한다.
제어부(1001)는 기지국로부터 수신한 DCI로부터 동적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지를 결정하고 비주기 채널 정보 측정을 할 수 있도록 PUCCH 블록(1005), PUSCH 블록(1016), PHICH 블록(1024), PDSCH블록(1030), PDCCH블록(1039)으로 알려준다. 상기 비주기 채널 정보 측정과 전송방법은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방법을 따른다.
PUCCH블록(1005)은 제어부(1001)의 제어를 받아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로 HARQ ACK/NACK 혹은 본 발명에 따른 CQI를 구성한 후(1007), UCI는 채널코딩부(1009)에서 오류정정능력이 부가되고, 변조기(1013)에서 변조된 다음, 다중화기(1015)에서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된다.
PUSCH 블록(1016)은 데이터 버퍼(1018)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채널코딩부(1019)에서 오류정정능력이 부가된 다음, 레이트매칭기(1021)에서 실제 매핑될 리소스 양에 맞춰 레이트매칭된 후, 변조기(1023)에서 변조된 다음, 다중화기(1015)에서 다른 신호들과 다중화된다.
그리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들은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로 생성되어 기지국에게 전송된다.
PHICH 블록(1024)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역다중화기(1049)를 통해 PHICH신호를 분리한 후, 복조기(1029)에서 복조된 다음, HARQ ACK/NACK 획득부(1025)에서 PUSCH에 대한 HARQ ACK/NACK 여부를 획득한다.
PDSCH 블록(1030)은 본 발명에 따라 동적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역다중화기(1049)를 통해 PDSCH 신호를 분리한 후, 복조기(1037)에서 복조한 다음, 역레이트매칭부(1035)에서 레이트매칭 이전 심볼들을 재구성한 후, 채널디코딩부(1033)에서 디코딩하며, 데이터 획득부(1031)에서 PDSCH 데이트를 획득한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1031)는 디코딩 결과에 대한 오류여부를 PUCCH 블록(1005)로 통지하여 상향링크 HARQ ACK/NACK 생성을 조정한다.
PDCCH 블록(1039)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역다중화기(1049)를 통해 PDCCH 신호를 분리한 후, 이를 복조기(1047)에서 복조한 다음, 채널디코딩부(1033)에서 디코딩하며, DCI 획득부(1041)에서 DCI를 획득한다.
이 때 소형 기지국의 단말에서, 제어부는 매크로 단말에게는 상향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하기 위해 비주기 채널 정보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비주기 채널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는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제어부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8)

  1.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정보 요청 방법에 있어서,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재설정 정보 전송 단계;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 전송 단계; 및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모든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수신 단계는,
    복수 개의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의 클러스터를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정보 전송 단계는,
    시스템 정보, 상위 계층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재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채널 품질 정보 요청 필드를 on 시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요청 방법.
  9.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재설정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스케줄링 정보 수신 단계; 및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모든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전송 단계는,
    복수 개의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의 클러스터를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 이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전송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정보 수신 단계는,
    시스템 정보, 상위 계층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재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수신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에 포함된 채널 품질 정보 요청 필드가 on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채널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수신 방법.
  17.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요청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모든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 개의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의 클러스터를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설정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타이밍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4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모든 TDD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서브프레임 이후에 최초 도래하는 상향링크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의 클러스터를 통해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HAQR 프로세스의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의 채널 정보 요청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미리 정의된 상향링크 HARQ 타이밍에 따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30115224A 2013-04-03 2013-09-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19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43,241 US9450737B2 (en) 2013-04-03 2014-04-0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480020183.1A CN105122716B (zh) 2013-04-03 2014-04-03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传输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EP14778747.7A EP2982057B1 (en) 2013-04-03 2014-04-0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4/002879 WO2014163407A1 (en) 2013-04-03 2014-04-0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5/269,389 US9973320B2 (en) 2013-04-03 2016-09-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50 2013-04-03
KR20130036550 2013-04-03
KR20130049184 2013-05-02
KR1020130049184 2013-05-02
KR20130070464 2013-06-19
KR1020130070464 2013-06-19
KR1020130088081 2013-07-25
KR1020130088081A KR20140121319A (ko) 2013-04-03 2013-07-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324A true KR20140121324A (ko) 2014-10-15
KR102197238B1 KR102197238B1 (ko) 2021-01-04

Family

ID=519929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81A KR20140121319A (ko) 2013-04-03 2013-07-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130115224A KR102197238B1 (ko) 2013-04-03 2013-09-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81A KR20140121319A (ko) 2013-04-03 2013-07-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50737B2 (ko)
EP (1) EP2982057B1 (ko)
KR (2) KR20140121319A (ko)
CN (1) CN105122716B (ko)
WO (1) WO20141634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575A (ko) * 2016-08-10 2019-03-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및 관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2184B2 (en) * 2013-08-09 2019-08-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WO2015134907A1 (en) * 2014-03-06 2015-09-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ull duplex operation in wireless systems
CN113437978A (zh) * 2015-01-26 2021-09-24 Lg 电子株式会社 用于收发广播信号的装置和方法
JP2018509080A (ja) * 2015-02-16 2018-03-29 富士通株式会社 チャネル状態測定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10342012B2 (en) 2015-03-15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814058B2 (en) 2015-05-15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Scaled symbols for a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US9992790B2 (en) *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US9814056B2 (en) * 2015-08-24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of wireless links with overriding link priority
US10631329B2 (en) * 2016-08-12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Non-coherent joint transmission techniques
CN107888312B (zh) * 2016-09-30 2019-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的方法及设备
US11528631B2 (en) * 2019-11-20 2022-12-13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overall interfer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875A1 (en) * 2009-01-27 2012-05-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odifying a transmission frame
US20120263057A1 (en) * 2011-04-12 201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ubframe and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2167431A1 (en) * 2011-06-09 2012-12-13 Renesas Mobile Corporation Interference control in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2933C (zh) * 2005-11-30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上行不连续发送dtx参数的方法
CN101521563A (zh) * 2008-02-25 2009-09-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分同步码分多址接入多载波系统中确认时延的配置方法
US7990919B2 (en) 2008-03-20 2011-08-02 Apple Inc. Techniques for reducing communication erro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741693B (zh) * 2008-11-10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mac实体的分配方法
CN101902811B (zh) * 2009-05-26 2013-02-13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
KR20120010645A (ko) * 2010-07-22 2012-02-06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CN102378192A (zh) * 2010-08-17 2012-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共存干扰避免方法及装置
CN103155672A (zh) * 2010-10-05 2013-06-12 诺基亚西门子网络公司 信道状态信息测量和报告
SG191891A1 (en) * 2011-01-07 2013-08-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feedback for multi-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perations
US9025478B2 (en) * 2011-08-16 2015-05-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elf-interference ha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EP2590336A1 (en) * 2011-11-07 2013-05-08 Panasonic Corporation Precoding matrix set quality measurement and reporting
JP6000275B2 (ja) * 2011-11-07 2016-09-2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US9781002B2 (en) * 2011-12-19 2017-10-03 Lg Electronics Inc.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188797A (zh) * 2011-12-28 2013-07-0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改变tdd上下行配置的方法
US9521669B2 (en) * 2012-04-16 2016-12-13 Blackberry Limited HARQ for dynamic change of the TDD UL/DL configuration in LTE TDD systems
EP2946608B1 (en) * 2013-01-17 2017-11-29 Sun Patent Trust Dynamic tdd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using dci
WO2014110782A1 (en) * 2013-01-18 2014-07-24 Broadcom Corporation Cell clustering based configuration of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875A1 (en) * 2009-01-27 2012-05-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odifying a transmission frame
US20120263057A1 (en) * 2011-04-12 201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ubframe and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2167431A1 (en) * 2011-06-09 2012-12-13 Renesas Mobile Corporation Interference control in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575A (ko) * 2016-08-10 2019-03-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및 관련 장치
US11528685B2 (en) 2016-08-10 2022-1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0737B2 (en) 2016-09-20
KR102197238B1 (ko) 2021-01-04
KR20140121319A (ko) 2014-10-15
US20140301252A1 (en) 2014-10-09
US9973320B2 (en) 2018-05-15
CN105122716B (zh) 2019-02-19
WO2014163407A1 (en) 2014-10-09
EP2982057A1 (en) 2016-02-10
EP2982057B1 (en) 2020-03-11
US20170005774A1 (en) 2017-01-05
EP2982057A4 (en) 2016-10-26
CN105122716A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38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US11576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subframe and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 system
US112336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resource sensing in NR V2X resource allocation
KR1021972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84453B1 (ko)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50371B1 (ko)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tdd 통신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을 정의하는 방법
EP2712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lurality of cells in communication system
US10205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depending on UE capability in intra-cell carrier aggregation system
KR10182074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359788B1 (ko)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CN105453684B (zh) 在蜂窝移动通信系统中用于请求调度的方法和设备
KR20120133982A (ko)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54896A (ko) 시분할 이중화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 송수신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602444A (zh) 调度请求资源配置
CN105580471A (zh) 用户终端、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US20150282138A1 (en) Soft buffer size determination method for dual connectivity
KR201600022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상향링크 전송타이밍 결정방법
KR102233094B1 (ko) 주파수 집적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20117924A (ko) 상향링크 제어 채널 자원의 확정 방법 및 장치
KR201500128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소프트 버퍼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