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088A -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 Google Patents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088A
KR20140121088A KR1020130037291A KR20130037291A KR20140121088A KR 20140121088 A KR20140121088 A KR 20140121088A KR 1020130037291 A KR1020130037291 A KR 1020130037291A KR 20130037291 A KR20130037291 A KR 20130037291A KR 20140121088 A KR20140121088 A KR 2014012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endoplasmic reticulum
transmembrane
acid sequence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2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덕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088A/en
Publication of KR2014012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amphibi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4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n ER retention signal such as a C-terminal HDEL moti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h935 and a use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novel protein h935; and to a use of the novel protein using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endoplasmic reticulum (ER) shape retaining function and a ER stress control function.

Description

신규한 소포체 막투과성 단백질{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The novel envelope membrane permeable protein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본 발명은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 h935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신규 단백질 h935; 및 이의 소포체 형태 유지 기능 및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 조절 기능과 관련된 분자적 메커니즘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h935 and uses thereof, more particularly to a novel protein h935; And to the use of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its elastomeric and ER stress control functions.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는 모든 진핵세포에서 발견되는 세포소기관의 하나로 소포세관(tubule), 소포(vesicle), 시스터나(cisterna)가 그물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포체는 단백질을 만들어서 세포 곳곳에 전달한다.(원핵세포는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소포체 역시 가지고 있지 않다.) 소포체의 기본 구조 및 구성은 비록 핵막의 연장(내막계(Endomembrane System))이지만 일반적인 세포막과 비슷하다. 소포체는 세포막의 일부가 될 단백질(막횡단 수용체 나 막내부 단백질)을 비롯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될 단백질(즉 소화 효소, 칼슘 흡착, 글리코겐과 스테로이드 또는 고분자물질의 합성/저장 등)의 합성, 단백질 2차 구조 형성, 수송이 이루어지는 곳이다The endoplasmic reticulum (ER) is one of the organelles found in all eukaryotic cells, and consists of a network of tubules, vesicles, and cisterna.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made up of proteins and is delivered to the cells (the prokaryotes do not have any organelles, so they do not have any endoplasmic reticulum). The basic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the extension of the nuclear membrane (endomembrane system) Similar to normal cell membranes.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composed of proteins (transmembrane receptors or intracellular proteins) to be part of cell membranes, synthesis of proteins to be secreted out of cells (ie digestive enzymes, calcium absorption, synthesis / storage of glycogen and steroids or macromolecules) Structure formation, transport

소포체(ER, endoplasmic reticulum)의 내강은 번역 후 변형과 단백질의 폴딩을 위해 특수화된 세포적 환경으로서, 핵막으로부터 뻗어 나와 가지를 친 것 같은 막성분의 구조로서 리보좀이 붙어있는 조면소포체와 리보좀이 없는 활면소포체의 두 종류가 있다. 세포 내 단백질의 약 1/3이 조면소포체에서 mRNA에서 단백질로 번역 후 수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즉 폴딩 (folding)과 조립 (assembly), 당화(glycosylation),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 등의 과정을 통해 활성 형태를 띠는 단백질 구조가 된다. 또한 활면소포체는 지질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장소이며 칼슘 저장소로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The lumen of the ER (endoplasmic reticulum) is a specialized cellular environment for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nd folding of proteins. It is a structure of membrane components that stretches out from the nuclear membrane and is branched. It has a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ith a ribosome attached, There are two types of reticulate endoplasmic reticulum.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intracellular proteins result in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from the mRNA to protei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folding and assembly), glycosylation, disulfide bond The protein structure becomes an active form. It is also the synthesis site of lipid and steroid hormon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by calcium reservoir.

소포체는 단백질 가공촉진 및 시스터나라고 불리는 생성된 단백질의 저장낭의 수송을 포함한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새로 만들어진 1차구조의 단백질의 2,3차 구조의 형성은 단백질 이황화 이성질화효소(PDI,Protein disulfide isomerase), Hsc70 족, 칼넥신, 칼레티큘린이나 peptidylpropyl isomerase family과 같은 소포체 단백질에 의해 행해진다. 올바르게 형성된 단백질만이 조면소포체에서 골지체로 운반될 수 있다The endoplasmic reticulum plays a number of roles, including protein processing facilitation and transport of the resulting protein reservoirs called sisters. The formation of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newly formed primary structure protein is carried out by an endoplasmic reticulum protein such as protein disulfide isomerase (PDI), Hsc70 family, calexin, calreticulin, or peptidylpropyl isomerase family . Only correctly formed proteins can be transported from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Golgi

바이러스나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특정한 세포 분화, 혹은 각종 비생물적인 스트레스(abiotic stress)나 외부에서 도입된 단백질의 과발현 등으로 소포체의 단백질 폴딩과 가공 과정이 방해를 받게 되면 소포체 내부에 적절하게 폴딩이 되지 않거나 당쇄 첨가 등의 적절한 가공이 이루어지지않은 단백질이 축적되는데 이를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라고 한다(Kaufman, Genes Dev. 13: 1211-1233, 1999). 다양한 세포 환경의 변화로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세포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스트레스가 장기화되면 세포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일으키게 된다.If the protein folding and processing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interrupted by viruses, microbial infections, specific cell differentiation, various abiotic stresses or overexpression of exogenously introduced proteins, Proteins that do not undergo proper processing such as addition of sugar chains are accumulated, which is called ER stress (Kaufman, Genes Dev. 13: 1211-1233, 1999). When the stres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generated by various cell environment changes, the cell tries to solve it through various pathways, and when the stress is prolonged, the cell becomes deadly and causes apoptosis.

이와 같은 소포체 스트레스반응은 특히 단백질을 합성하여 분비하는 기능이 활발한 형질세포, 췌장의 베타세포, 간세포, 조골세포와 같은 곳에서 잘 관찰되고 있으며 최근 많은 연구들은 소포체 스트레스가 허혈, 당뇨병, 바이러스 감염, 고호모시스테인증, 돌연변이와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병인으로 작용함을 보여 주고 있다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ess on endothelial cells, such as ischemia, diabetes, and viral infections, Hyperhomocysteinemia, mutation, and the like.

그러므로, 이러한 소포체 내의 다양한 반응에 관여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은 항상 요구되어 왔고, 특히, 소포체 스트레스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has always been required to identify molecular mechanisms involved in various reactions in these endoplasmic reticulum,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constant search for ways to control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 h935을 최초로 발견하고, 이들의 구조 및 분자적 메커니즘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한 결과, h935 단백질 내 잘 보존되어 있는 TM(transmembrane domain) 영역의 ER 타겟팅 기능, 그리고 h935 단백질이 소포체 형태 유지 및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에도 깊게 관여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first discovered a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h935 and studied its structure and molecular mechanis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well-conserved TM (transmembrane domain) region of the h935 protein ER targeting function, and h935 protein were also involved in the maintenance of the vesicle shape and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1. Ken-ichi Nakajima et al. Involvement of BNIP1 in apoptosis and endoplasmic reticulum membrane fusion. EMBO. 2004 June; 23, 3216-3226.1. Ken-ichi Nakajima et al. Involvement of BNIP1 in apoptosis and endoplasmic reticulum membrane fusion. EMBO. 2004 June; 23, 3216-3226. 2. Takao lwawaki. Learning more about physiological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using the ERAI system. Riken research. 2009 November 13.2. Takao lwawaki. Learning more about physiological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using the ERAI system. Riken research. 2009 November 13. 3. Simone Fulda, Adrienne M. Gorman, Osamu Hori, and Afshin Samali. Cellular Stress Responses: Cell Survival and Cell Death Int J Cell Biol . 2010 Feb 21. 214074.3. Simone Fulda, Adrienne M. Gorman, Osamu Hori, and Afshin Samali. Cellular Stress Responses: Cell Survival and Cell Death Int J Cell Biol. 2010 Feb 21 214074.

본 발명은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막투과성) 단백질 h935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h935 and its use,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신규한 소포체 막투과성 단백질 h935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envelope membrane permeable protein h935.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단백질 h935를 코딩하는 핵산 및 형질전환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cleic acid and a transformant which encode the protein h935.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백질 h935의 소포체 내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 치료적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apeutic use of the above-mentioned protein h935 using a molecular mechanism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of a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lated disease.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막투과성) 단백질 h935로서,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및 이와 관련한 용도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h935, which comprises an envelope transmembrane protein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to provide.

특히, 상기 아미노산 서열은 ISVTMILVAWMVIALILFLL로 구성된 TM(transmembrane) 도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소포체 타겟팅능을 가지는 부위이다.In particular, the amino acid sequenc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M (transmembrane) domain region consisting of ISVTMILVAWMVIALILFLL, which is a site having the ability to target an endoplasmic reticulum.

본 발명은 이러한 신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뿐만이 아니라,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이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 이로 형질전환되 형질전환체도 모두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ot only the amino acid sequence of such novel protein but also a nucleic acid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the same, and a transformant transformed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신규 단백질은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백질의 N 말단이 소포체의 루멘(luminal side)에 위치하는데, 칼넥신(calnexin) 등과 같은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소포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The novel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an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the N-terminal of the protein is located on the luminal sid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t binds to proteins such as calnexi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

또한, ATF6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해 소포체 스트레스(ER stress)를 조절하는 기능도 보유한다.It also has the ability to regulate ER stress through binding to ATF6 protein.

즉, 상기 기능과 관련한 본 발명의 신규 단백질의 분자적 메커니즘 또한 포함한다.
That is, it also includes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novel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the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서,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another embodiment, a composition for treating an endocrine-stress-related disease comprising an expression or activity promoter of an endoplasmic reticulum transmembrane protein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as an active ingredient do.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촉진제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일 수 있다. 이 때,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을 촉진하는 프로모터 또는 인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무방하다.The periplasmic membrane permeability protein expression or activity promoter may be, for example,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a gene encod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romoter or enhancer that promotes protein expression or activity.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제1형 당뇨, 제2형 당뇨,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면역글로블린 경쇄 아밀로이드증 (immum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혈액투석 연관성 아밀로이드증 (haemodialysis-related amyloidosis), 활동성 아밀로이드증 (reactive amyloidosis),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겸상적혈구 빈혈증 (sickle cell anem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 질환 (Kreutzfeldt-Jakob disease),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알파1-항트립신 결핍증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경변 (cirrhosis), 전신성 폐기종 (emphysema systemic), 뇌성 유전성 아밀로이드증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울콧-랠리스 증후군 (Wolcott-Rallison syndrome), 울프람 증후군 (Wolfram syndrome), 염증성 장질환, 코론씨 병, 궤양성 대장염, 유방암 및 전립선암 등을 포함한다.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Alzheimer's disease, immun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Parkinson's diseas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emodialysis-related amyloidosis, reactive amyloidosis, cystic fibrosis, sickle cell anemia, Huntington's disease, Creutzfeldt-Jakob disease Kreutzfeldt-Jakob disease,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cirrhosis, emphysema systemic,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Wolcott-Rallison syndrome, Wolfram syndrome, < RTI ID = 0.0 > St. chapters include disease, colo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breast cancer and prostate cancer.

이처럼, 본 발명은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막투과성) 단백질 h935; 및 이의의 소포체 내에서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전반적인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s h935; And its molecular mechanisms within the endoplasmic reticulum.

본 발명은 소포체의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신규한 ER-타겟팅 타입 I 트랜스멤브레인(막투과성) 단백질 h935 및 이의 유용한 용도를 제공하는 바, 소포체의 형태 유지 및 소포체 스트레스 조절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신규 대상을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소포체 스트레스 질환 관련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vel ER-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s h935 and their useful uses that are involved in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are useful for the maintenance of the shap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disease.

도 1은 다양한 조직에 있어서의 m935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면역조직화학방법을 통해 h935 단백질이 소포체 내에 위치함을 현미경으로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h935 단백질 내 ER 보유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다양한 변이체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이체들의 ER 내 위치화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h935의 N 말단 및 C 말단 영역 내 N-연결된 글리코실레이션(N-linked glycosylation)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 및 7은 도 5에 따른 h935 위치확인 결과이다.
도 8 및 9는 h935의 ER 샤페론 단백질과의 연관성을 알아본 실험 결과이다.
도 10은 ER 스트레스 반응 기작과 관련한 모식도이다.
Fig. 1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935 expression pattern in various tissues.
Figure 2 shows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 And the h935 protein is locat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various mutants prepared to examine the ER retention position in h935 protein.
FIG. 4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the variants of FIG. 3 were localized in the ER.
5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N-linked glycosylation in the N-terminus and C-terminus region of h935.
Figs. 6 and 7 are the h935 positioning results according to Fig.
Figures 8 and 9 show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of h935 with the ER chaperone protein.
10 is a schematic diagram related to the ER stress reaction mechanism.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하와 같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핵산"은 임의의 DNA 또는 RNA, 예를 들어, 조직 샘플에 존재하는 염색체, 미토콘드리아, 바이러스 및/또는 세균 핵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중가닥 핵산 분자의 하나 또는 두개 모두의 가닥을 포함하고, 무손상 핵산 분자의 임의의 단편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Nucleic acid" is meant to include any DNA or RNA, such as chromosomes, mitochondria, viruses and / or bacterial nucleic acids present in a tissue sample. Includes one or both strands of a double-stranded nucleic acid molecule and includes any fragment or portion of the intact nucleic acid molecule.

"유전자"는 단백질 코딩 또는 전사시에 또는 다른 유전자 발현의 조절시에 기능적 역할을 갖는 임의의 핵산 서열 또는 그의 일부를 의미한다. 유전자는 기능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모든 핵산 또는 단백질을 코딩 또는 발현하는 핵산의 일부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핵산 서열은 엑손, 인트론, 개시 또는 종료 영역, 프로모터 서열, 다른 조절 서열 또는 유전자에 인접한 특유한 서열 내에 유전자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Gene" means any nucleic acid sequence or portion thereof that has a functional role at the time of protein coding or transcription, or in the control of other gene expression. The gene may consist of only a portion of the nucleic acid encoding or expressing any nucleic acid or protein that encodes the functional protein. The nucleic acid sequence may comprise an exon, an intron, an initiation or termination region, a promoter sequence, another regulatory sequence, or a gene abnormality within a particular sequence adjacent to the gene.

"프라이머"는 상보성 RNA 또는 DNA 표적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혼성화하고 예를 들어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에서 발생하는 뉴클레오티딜트랜스퍼라제의 작용에 의해 모노뉴클레오티드로부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단계적 합성을 위한 출발점으로 기능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의미한다."Primer" refers to an oligonucleotide sequence that hybridizes to a complementary RNA or DNA-targeted polynucleotide and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tepwise synthesis of a polynucleotide from a mononucleotide by the action of, for example, the nucleotidyltransferase that occurs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

"코딩 영역" 또는 "코딩 서열"은, 통상적인 염기쌍과 코돈 용법 관계에 따라, 발현이 요구되는 특정 유전자 생성물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 이의 상보체, 또는 이들의 일부분을 지칭한다. 코딩 서열은 성숙 mRNA를 제공하기 위해 세포의 생화학 기구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게놈 DNA 또는 미성숙 1차 RNA 전사체에서의 엑손을 포함한다. 안티센스(antisense) 가닥은 상기 핵산의 상보체이고, 코딩 서열은 이들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코딩 서열은, 적절한 길이의 전사체가 생성되고 적절한 리딩 프레임에서 번역되어 목적하는 기능 생성물이 생성되도록, 전사 조절 요소 및 번역 개시 및 종결 코돈과의 관계에 놓인다"Coding region" or "coding sequence" refers to a nucleic acid sequence, a complement thereof, or a portion thereof, which encodes a particular gene product or fragment thereof that is required to be expressed, according to a common base pairing and codon usage relationship. Coding sequences include exons in genomic DNA or immature primary RNA transcripts that are joined together by a biochemical machinery of cells to provide mature mRNA. The antisense strand is a complement of the nucleic acid, and the coding sequence can be deduced therefrom. The coding sequence is placed in the relationship of transcriptional regulatory elements and translation initiation and termination codons such that transcripts of appropriate length are generated and translated in the appropriate reading frame to produce the desired functional product

"형질전환, 형질감염 또는 트랜스펙션"은 세포외부 DNA가, 수반물질이 있고 없는 상태로 숙주 세포로 들어가는 과정을 말한다. "트랜스펙션된 세포"란 세포 외부 DNA가 세포 내로 도입되어 세포 외부 DNA를 가지고 있는 세포를 가리킨다. DNA는 세포로 도입되어 핵산이 염색체에 삽입되거나 혹은 염색체 외 물질로 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DNA 등이 도입된 세포 등을 '형질전환체'라고 한다."Transfection, transfection or transfection" refers to the process by which extracellular DNA enters a host cell with and without accompanying entities. "Transfected cell" refers to a cell in which extracellular DNA is introduced into a cell and contains extracellular DNA. DNA can be introduced into the cell and the nucleic acid can be inserted into the chromosome or replicated as an extrachromosomal material. And cells into which external DNA is introduced are referred to as " transformants. &Quot;

" 벡터" 라는 용어는 숙주 세포에 삽입되어 숙주 세포 게놈과 재조합되고 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에피좀으로서 자발적으로 복제하는 컴피턴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임의의 핵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벡터로는 선형 핵산, 플라스미드, 파지미드, 코스미드, RNA 벡터, 바이러스 벡터 등이 있다. The term "vector" refers to any nucleic acid that is inserted into a host cell, recombined with the host cell genome, inserted into it, or contains a competent nucleotide sequence that replicates spontaneously as an episome. Such vectors include linear nucleic acids, plasmids, phagemids, cosmids, RNA vectors, and viral vectors.

"숙주 세포"는 하나 이상의 DNA 또는 벡터가 도입되는 진핵 또는 원핵 세포를 가리키며, 특정 대상 세포만이 아니라 그 자손 혹은 잠재적 자손까지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변형이 돌연변이 혹은 환경적 영향 때문에 후속 세대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사실 상기 자손은 부모 세포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용어의 범주 내에서 여전히 포함된다."Host cell" refers to a eukaryotic or prokaryotic cell into which one or more DNA or vectors are introduced, and is understood to refer not only to a particular target cell but also to its progeny or potential progeny. In fact, the offspring are not identical to the parent cell, but are still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rm, as used herein, since certain modifications may occur in subsequent generations due to mutations or environmental influences.

"폴리펩티드"는 단일 폴리펩티드뿐 아니라 다수의 폴리펩티드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펩티드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쇄 또는 쇄들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해독후 변형을 가진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Polypeptide" is intended to encompass a single polypeptide as well as multiple polypeptides and includes chains or chains of one or more amino acids linked together by peptide bonds. The term also includes polypeptides with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단백질"은 또한 기준 단백질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생물 활성 또는 기능을 보유하는, 단백질의 단편, 유사체 및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Protein" also includes fragments, analogs, and derivatives of proteins that retain essentially the same biological activity or function as the reference protein.

"촉진제"는 목적 유전자의 발현 또는 활성을 촉진, 강화 또는 증가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촉진제의 활성 메커니즘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과 같은 폴리머 화합물, 다양한 화합물의 컴포지트(composit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h935 촉진제'는 h935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촉진, 강화 또는 증가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ccelerator" means a substance that promotes, enhances or increases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a gene of interest. The activation mechanism of the promo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include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proteins, carbohydrates, polymeric compounds such as lipids, and composites of various compounds. For example, 'h935 promoter' may include a substance that promotes, enhances or increases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the h935 prot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효량"은,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적절한 양이다. 유효량은 한번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촉진제의 유효량은 관련 질병 상태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완화, 개선, 안정화, 되돌림, 속도를 늦춤 또는 지연시키는데 적절한 양이다. 만약, 수혜동물이 조성물의 투여에 견딜 수 있거나, 조성물의 그 동물에의 투여가 적합한 경우라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함"을 나타낸다. 투여된 양이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존재가 수혜 환자의 생리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변화를 초래한 경우라면 상기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As used herein, an "effective amount" is an appropriate amount that affects a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or biochemical outcome. An effective amount may be administered one or more times.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ive amount of an accelerator is an amount sufficient to temporarily alleviate, ameliorate, stabilize, reverse, slow down, or delay the progression of the relevant disease state. If the recipient animal is capable of enduring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r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o the animal is suitable, the composition will be "pharmaceutically or physiologically acceptable ". If the dose administered is physiologically significant, it can be said that the formulation is administer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formulation is physiologically relevant if the presence of the formulation results in a physiologically detectable change in the recipient.

"치료"는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는 비제한적으로, 증상의 완화, 질병 범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 (즉, 악화되지 않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 (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검출가능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거나의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늘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예방조치 방법 모두를 가리킨다. 상기 치료들은 예방되는 장애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장애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질병을 "완화(Palliating)"하는 것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질병상태의 범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적 징후가 감소되거나 및/또는 진행의 시간적 추이(time course)가 늦춰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Treatment" means an approach to obtaining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results.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neficial or desired clinical resul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lleviation of symptoms, reduction in the extent of disease, stabilization of the disease state (i. E., Not worsening), slowing or slowing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Either partially or totally), detectable or undetected, whether or not an improvement or temporary relief or reduction Also, "treatment" may mean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compared to the expected survival rate when not receiving treatment. "Treatment" refers to both therapeutic treatment and prophylactic or preventative measures. Such treatments include treatments required for disorder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s well as disorders to be prevented. &Quot; Palliating " a disease may reduce the extent of the disease state and / or undesirable clinical symptoms and / or delay or slow the time course of the progression, It means to lose.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About" means that the reference quantity,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age,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is 30, 25, 20, 25, 10, 9, 8, 7, , Level, value, number, frequency, percent, dimension, size, quantity, weight, or length that varies from one to three, two, or one percent.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원소, 또는 단계 또는 원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words " comprising "and" comprising ",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include the stated step or element, or group of steps or elements, but not to any other step or element, And that they are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신규한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h935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envelope membrane permeable protein h935.

본 발명의 신규한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은 뇌 등을 포함하는 모든 조직에서 발견되며, 타입 I의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로서 이하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vel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und in all tissues including the brain and the like, and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following functions as a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i) 본 발명의 단백질 h935는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백질의 N 말단이 소포체의 루멘(luminal side)에 위치한다.(i) The protein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an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the N-terminal of the protein is located on the luminal sid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세포에서 생합성되는 단백질중 세포에서 분비되거나 세포 내막에 분포하는 막단백질은 반드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의 내부(lumen)로 이동하여 적절한 폴딩(folding)과 가공 과정을 거치게 된다. 소포체 내부에는 PDI(protein disulfide isomerase), BiP(heavy chain binding protein), calnexin(CNX), calreticulin(CRT) 등과 같은 샤페론(chaperone) 단백질들이 존재하여 소포체에서 생합성되는 단백질들이 적절한 폴딩을 이루고 가공되도록 도와준다. Membrane proteins secreted by cells or distributed in the intracellular membrane of proteins biosynthesized in cells are necessarily transferred to the lume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subjected to proper folding and processing. Chaperone proteins such as PDI (protein disulfide isomerase), heavy chain binding protein (BiP), calnexin (CNX) and calreticulin (CRT) are present inside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allow proteins fold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give.

본 발명의 단백질 h935는 이러한 소포체 내에 존재하면서 특히, N 말단 영역이 중요한 시그널링 도메인을 가지는데, 이 N 말단 부분이 소포체의 루멘(lumen)에 위치하고 있다. The protein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such an endoplasmic reticulum, and in particular, the N-terminal region has an important signaling domain, which is located in the lume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또한, 본 발명의 h935를 이루는 서열은 무척추동물에서부터 포유류까지 잘 보존된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TM)을 보유하고 있고, 이에 의해 ER 타겟팅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quence of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ll-conserved Transmembrane domain (TM) from invertebrates to mammals, thereby targeting ER.

(ii) 단백질 h935는 소포체 내에서 칼넥신(calnexin) 등의 여러 단백질과 결합하여 소포체 형태 유지 기능을 한다.(ii) The protein h935 binds to various proteins such as calnexi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maintain the endoplasmic reticulum shape.

소포체는 단백질의 접힘과 당화, 그리고 수송에 알맞도록 조직화되어 있다. 소포체는 단백질의 접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화학결합인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이 일어나는 데 적합한 산성화된 환경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접힘을 돕는 단백질인 샤페론 단백질(chaperone protein)과 샤페론의 보조요소인 칼슘 이온이 매우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The endoplasmic reticulum is organized to be suitable for protein folding, saccharification, and transport. The endoplasmic reticulum has an acidic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disulfide bond, a typical chemical bond that causes protein folding. The chaperone protein, a protein that helps folding, and the calcium ion, an auxiliary element of chaperone, It is distributed in abundance.

칼넥신(calnexin)은 이러한 샤페론 단백질의 하나로서, calnexin/calreticulum cycle에 들어가도록 해서 소포체 내 단백질의 폴딩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데, 본 발명의 h935 단백질이 이러한 칼넥신 등과 결합함으로써 소포체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Calnexin, one of these chaperone proteins, contributes to the folding of protein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by entering the calnexin / calreticulum cycle. The h935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calnexin and the lik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It is possible to do.

(iii) 단백질 h935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iii) The protein h935 functions to regulate ER stress.

소포체 스트레스 (ER stress)란 생리적 혹은 병리적 환경에 의해 소포체가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미성숙 단백질이 세포체 내로 유입이 되거나 소포체 내 칼슘이 고갈되어 소포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단백질 폴딩 용량을 넘어서서 ER 단백질 폴딩 능력을 초과한 상태를 의미한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세포는 생존하기 위한 방어기전을 가지는데 이를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 (ER stress response)라고 한다. 소포체 스트레스반응은 소포체 막에 존재하는 세가지의 신호전달체계인 pancreatic ER kinase (PERK),inositol-requiring 1α (IRE-1α)/X-box binding protein 1(XBP-1) 및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ATF6)에 의해 매개된다. ER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모식도를 도 10에 나타내었다.ER stress is the ability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function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or pathological conditions. The infiltration of immature proteins into the cell body or the depletion of calcium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results in the impairment of endoplasmic reticulum function. Which means that the ER protein folding ability has been exceeded. When a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occurs, the cell has a defense mechanism to survive, which is called an ER stress response. The endoplasmic reticulum (ER) response is mediated by three distinct signaling pathways: pancreatic ER kinase (PERK), inositol-requiring 1α (IRE-1α), X-box binding protein 1 (XBP-1), and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Lt; / RTI > A schematic diagram of the ER stress response is shown in Fig.

특히, 본 발명의 h935는 상기 ATF6(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와 결합하여 소포체 스트레스반응에 관여한다. In particular,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ociated with the ATF6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and participates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response.

ATF6는 소포체막에 존재하는 전사인자로 ATF/CREB bZIP DNA-결합 단백질 가족(family) 중 하나이며, 소포체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C-말단(terminus)은 소포체강 내에 있고 bZIP과 DNA 전사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N-말단은 세포질 내에 위치하고 있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비활성형 ATF6 (p90)는 소포체에서 골지체(Golgi apparatus)로 이동하여, site-1 protease (S1P)와 site-2 proteases (S2P)에 의해 분해 절단(proteolytic cleavage)이 되고 절단된 N-말단 ATF6 (p50)는 핵 속으로 이동하고 직접 전사인자로 작용하여 단백질 폴딩에 중요한 효소와 샤페론의 발현을 유도한다. 또한 활성형 ATF6는 XBP-1의 전사 촉진자 부위에 존재하는 ERSE에 결합하여 XBP-1 mRNA의 발현을 유발할 수 있다. 소포체 스트레스가 발생할 경우 핵으로 이동한 ATF6가 XBP-1의 mRNA의 발현을 유도하고 이렇게 발현된 XBP-1 mRNA를 IRE1의 RNase 활성에 의해 분할됨으로써 활성형 XBP-1 단백질이 생성된다. 즉, 소포체 스트레스 발생 시 ATF6의 활성은 이미 형성된 단백질이 분해되어 활성됨으로 빠른 속도로 일어나고 XBP-1의 활성은 mRNA의 전사, 분할, 단백질 합성 등의 과정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천천히 일어난다. 따라서 초기 소포체 스트레스반응은 ATF6에 의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이후 지속적인 소포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XBP-1의 활성에 의해 매개됨을 짐작할 수 있다ATF6 is one of the ATF / CREB bZIP DNA-binding protein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present in the membran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The C terminus, which detects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is located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contains the bZIP and DNA transcription activation domains Is located in the cytoplasm. In the presence of ER stress, inactive ATF6 (p90) migrates from the endoplasmic reticulum to the Golgi apparatus and becomes proteolytic cleavage by site-1 protease (S1P) and site-2 proteases (S2P) N-terminal ATF6 (p50) migrates into the nucleus and acts as a direct transcription factor, leading to the expression of enzymes and chaperones that are important for protein folding. In addition, active ATF6 may bind to ERSE present in the promoter region of XBP-1 and induce the expression of XBP-1 mRNA. In the case of ER stress, ATF6, which has migrated to the nucleus, induces the expression of XBP-1 mRNA, and the XBP-1 mRNA thus expressed is cleaved by the RNase activity of IRE1 to generate the active XBP-1 protein. In other words, the activity of ATF6 in the event of the stres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occurs at a rapid rate because the already formed protein is decomposed and activated, and the activity of XBP-1 occurs relatively slowly because it requires processes such as mRNA transcription, division and protein synthesis. Thus,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itial ER stress response is immediately attenuated by ATF6, and then the response to sustained ER stress is mediated by the activity of XBP-1

따라서, 본 발명의 h935는 ATF6와 결합하여 그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초기 스트레스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Therefore,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ATF6 and inhibits its activity, thereby inhibiting the initial stress response.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신규한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h935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h935 having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의 h935 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2 또는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지만,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은 인간 유래의 h935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서열번호 2는 마우스 유래의 h935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3은 개구리 유래의 h935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The h935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2 or 3, but includes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Preferably, the amino acid sequence of human-derived SEQ ID NO: 1 is included. SEQ ID NO: 1 shows the human h935 amino acid sequence, SEQ ID NO: 2 shows the mouse-derived h935 amino acid sequence, and SEQ ID NO: 3 shows the h935 amino acid sequence derived from the frog.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내지 3은 각각 10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상기 서열은 유사한 하나의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TM)을 포함하는데, 이는 무척추동물에서부터 포유류까지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영역이다.SEQ ID NO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ist of 100 amino acids. In particular, the sequence includes a similar transmembrane domain (TM), which is well preserved from invertebrates to mammals Area.

상기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TM)은 ER 타겟팅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embrane domain (TM) has an ER targeting func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서열번호 1,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85%, 90% 또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h935와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질의 활성'이란 소포체 형태 유지,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ER stress response)에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Refers to an amino acid sequence which is at least 60%, preferably 70%, more preferably 80%, 85%, 90% or more homologous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2 or 3 as a result of addition, substitution or deletion of amino acids. Refers to a polypeptide having 90% or 95% or more sequence homology and exhibiting substantially the same activity as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ubstantially homogenous activity' refers to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vesicle shape and participating in the ER stress response.

상기 기능적 동등물에는, 예를 들어, 서열번호 1,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산 중 일부가 치환되거나, 결실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 변형체가 포함된다. 아미노산의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보존적 치환이다. 천연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의 예는 다음과 같다; 지방족 아미노산(Gly, Ala, Pro), 소수성 아미노산(Ile, Leu, Val), 방향족 아미노산(Phe, Tyr, Trp), 산성 아미노산 (Asp, Glu), 염기성 아미노산 (His, Lys, Arg, Gln, Asn) 및 황함유 아미노산(Cys, Met). 아미노산의 결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h935의 활성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기능적 동등물의 범위에는 h935의 기본 골격 및 이의 생리 활성을 유지하면서 폴리펩티드의 일부 화학 구조가 변형된 폴리펩티드 유도체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의 안정성, 저장성,휘발성 또는 용해도 등을 변경시키기 위한 구조변경 및 생리활성을 유지하면서 다른 단백질과 융합으로 만들어진 융합단백질 등이 이에 포함된다.Such functional equivalents include, for example, amino acid sequence variants in which some of the amino acids of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2 or 3 are substituted, deleted or added. Substitution of amino acids is preferably conservative substitution. Examples of conservative substitutions of amino acids present in nature are as follows: (Gly, Ala, Pro), hydrophobic amino acids (Ile, Leu, Val), aromatic amino acids (Phe, Tyr, Trp), acidic amino acids (Asp, Glu), basic amino acids (His, Lys, Arg, Gln, Asn )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Cys, Met). The deletion of the amino acid is preferably located at a site that i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activity of h935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such functional equivalents are polypeptide derivatives in which the basic skeleton of h935 and some chemical structures of the polypeptide are modified while maintaining its physiological activity. These include, for example, fusion proteins made by fusion with other proteins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to change the stability, shelf stability, volatility or solubility of the poly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명세서에서 "h935 단백질"은 이러한 상기 기능적 동등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h935 protein" is interpreted to include such a functional equivalent.

본 발명의 h935 단백질은 포유류 등의 조직으로부터 직접 분리하여 제조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The h935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directly isolating from a tissue such as a mammal, chemically synthesized, or obtained using a gene recombinant technique.

세포 또는 조직에 함유된 h935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는 많은 공지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의 예로는 염 침전 및 용매 침전과 같은 용해성을 이용한 방법, 투석, 한외여과, 겔여과 및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과 같은 분자량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 이온 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전하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친수성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 등전점 포커싱 전기영동과 같은 등전점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h935 protein contained in cells or tissues can be carried out by a number of known methods. Examples of these methods include a method using solubility such as salt precipitation and solvent precipitation, a method using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such as dialysis, ultrafiltration, gel filtration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 method using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 method using difference in hydrophilicity such as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 method using difference in isoelectric point such as isoelectric focusing electrophoresis, and the like.

또한 h935 단백질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폴리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펩타이드는 통상의 단계적인 액체 또는 고체상 합성, 단편응축, F-MOC 또는 T-BOC 화학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고체상 합성방법(solid phase syntheses)을 이용하는 것이다. The h935 protein can also be chemically synthesized. When they are chemically synthesized, they can be obtained by using a polypeptide synthesis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Peptides may be prepared using conventional stepwise liquid or solid phase synthesis, fractional condensation, F-MOC or T-BOC chemistry. Particularly, a preferred method for producing a polypeptide is to use solid phase syntheses.

또한 h935 단백질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h935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벡터를 숙주세포로 형질전환하여 h935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숙주세포를 배양한 뒤, 숙주세포로부터 h935 단백질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The h935 protein can also be obtained using genetic recombination technology. When the recombinant technology is used,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h935 protein is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expression vector, the vector is transformed into a host cell, the host cell is cultured to express the h935 protein, and the h935 protein is recovered from the host cell And the like.

기타형태Other forms

한편, 본 발명은 서열번호 1,2 또는 3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바람직하게는 DNA와 이를 포함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벡터), 및 형질 전환체; 그리고 이들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ucleic acid encoding a protein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2, or 3 or a functional equivalent thereof, preferably DNA, an expression plasmid (v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a transformant;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DNA는 종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클로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NA의 클로닝은 예를 들면, 잡종화를 위한 프로브 또는 PCR 프라이머로서, 본 명세서에서 서열번호:2에 나타낸 염기서열의 적당한 부분을 사용하여 적절한 세포주로부터 유래되는 cDNA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자 클로닝 (Molecular Cloning 2nd Edt.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방법 등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The DNA can be cloned using conventional techniques known in the art. The cloning of the DNA can also be performed, for example, by screening a cDNA library derived from a suitable cell line using a suitable portion of the nucleotide sequence shown in SEQ ID NO: 2 herein, as a probe or a PCR primer for hybridization have.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oduce it by using molecular cloning (Molecular Cloning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상기 벡터는 h935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당업자에 공지된 발현벡터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벡터, 형질전환을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제조 및 형질전환용 벡터의 제조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Such a vector may be an expression vecto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pable of expressing the h935 protein, and vectors for this purpose, the production of polynucleotides for transformation and the preparation of vectors for transformation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서 h935 및 이와 기능적 동등물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로 형질전환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형질전환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PEG-매개 융합법(PEG-mediated fus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리포좀 매개법(liposome-mediated method), 인-플란타 형질전환법(In planta transformation), 진공 침윤법(Vacuum infiltration metho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ransformation with genes encoding h935 and its functional equival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transformation techniqu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lectroporation, PEG-mediated fusion, microinjection, liposome-mediated method, In planta transformation, , A vacuum infiltration method, or the like can be used.

용도Usage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h935 단백질의 소포체 형태 유지 및 소포체 스트레스 조절 용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in yet another aspect, to the use of the h935 protein to maintai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regulate the stress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즉, 본 발명은 신규한 ER-타겟팅 type I 트랜스멤브레인 단백질인 h935의 기능과 관련된 분자적 메커니즘을 포함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ecular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of h935, a novel ER-targeted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h935 단백질은 N-말단이 ER의 루멘(luminal side)에 위치하면서 칼넥신(calnexin) 등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소포체 형태를 유지시킬뿐만 아니라, ER 스트레스와 관련된 ATF6 단백질과의 결합성을 이용하여 ER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은 h935의 발현과 관련하는 유전자의 발현의 상향 조절 또는 하향 조절에 대한 유전적 접근까지 확장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935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a protein such as calnexin while the N-terminal is located on the luminal side of the ER to maintain an endoplasmic reticulum form, as well as an ATF6 protein associated with ER stress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 genetic approach to up-regulating or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the expression of h935.

바람직하게는 소포체 형태 유지 및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 억제를 위한 h935 발현의 상향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발현을 상향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 기법은 유전자 복제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유전자 발현의 억제제를 길항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은 유전자 사일런싱 예컨대 전사 전 또는 전사 후 유전자 사일런싱을 유도하는 유전적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And preferably up-regulates h935 expression to maintain the vesicle shape and inhibit the endoplasmic reticulum response. In general, a common technique used to up-regulate expression may be to increase the number of gene copies or to antagonize inhibitors of gene expression, and down-regulating expression may be accomplished by gene silencing, Genetic means of inducing silencing can be used.

본 발명은 이러한 h935 작용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특히,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적 용도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is h935 action mechanism, and in particular provides therapeutic use for ER stress related diseases.

구체적 예로서, h935의 발현 또는 활성 촉진제, 예를 들어, h935 발현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 등의 재조합 폴리뉴클레오티드 구조물(총칭적으로 "발현 벡터"로 지칭), 상기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이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 치료용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사용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recombinant polynucleotide construct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xpression vector") such as h935 expression or activity promoter, for example,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h935 expression gene, microorganisms transformed with the expression vector ,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R stress-related diseases including one of them, and the use thereof.

h935를 발현시키기 위해, 적절한 프로모터가 이를 엔코딩하는 DNA/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추가의 '인핸서 엘리먼트'가 상기 설명된 프로모터 위치에 존재하는 엘리먼트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포함되어 h935 발현 또는 활성을 촉진시키고 활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express h935, a suitable promoter may be operably linked to a DNA / polynucleotide encoding it and, where necessary, additional ' enhancer elements ' may be included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elements present at the promoter positions described above h935 expression or activity and amplify the activity.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투여 방식에 따라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적절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투여 방식에 적합한 제제는 공지되어 있으며 전형적으로 막을 통과하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to a suitable preparation including an acceptable carrier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mode. Formulations suitable for the mode of administration are known and may include formulations that facilitate passage, typically through the membrane.

또한,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또는 동결건조제제,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또는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결합체,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또는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 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The parenteral prepar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terilized aqueous solution, a non-aqueous solvent, a suspension, an emulsion or a lyophilized preparation, or a tablet, troch, capsule, elixir, suspension, syrup or wafer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May be formulated in unit dosage ampoules or multiple doses. In addition,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gether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For oral administration, for exampl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excipients, solubilizers, dispersant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coloring matters or fragrances may be used. In the case of injections, buffering agents, preservatives, An isotonic agent, an isotonic agent, a stabilizer, etc.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 the case of topical administration, a base, an excipient, a lubricant, a preservativ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은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이 도입되는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여방법으로는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 내 투여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경구 투여시, 세포가 소화될 수 있으므로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 분해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treating the stress related to the endoplasmic reticulum using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dministration through a general route in which a predetermined substance is introduced into a patient by an appropriate method. Such administration metho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and rectal administration. However, upon oral administration, the cells may be digested, so that the oral composition is preferably formulated to coat the active agent or protect it from being decomposed from above.

또한, 제약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또는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또는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예로,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류 (예로,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 (예로,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예로,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제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뇌 또는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투여 횟수,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ctive substance to the target cell. Preferred modes of administration and formulations are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muscular or drip injectable. The injectable solution may be a non-aqueous solvent such as an aqueous solvent such as a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or a ring gel solution, a vegetable oil, a higher fatty acid ester (for example, oleic acid), an alcohol (for example,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or glycerin) (For example,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 sulfite, sodium pyrophosphate, BHA, tocopherol, EDTA and the like), an emulsifier, a buffer for pH control, a microbial growth inhibitor Preservatives (for example, mercury nitrate, thimerosal, benzalkonium chloride, phenol, cresol, benzyl alcohol, etc.). Preferably, the method for treating a brain or neurological disease using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disease, the age, body weight, health, sex, sensitivity of the patient to the drug, administration route,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frequency, And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depending on the factors.

본 발명에서, 치료 대상으로 하는 질환은 소포체 스트레스반응(ER stress response)과 관련한 질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ease to be treated is a disease associated with ER stress response.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제1형 당뇨, 제2형 당뇨,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면역글로블린 경쇄 아밀로이드증 (immum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혈액투석 연관성 아밀로이드증 (haemodialysis-related amyloidosis), 활동성 아밀로이드증 (reactive amyloidosis),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겸상적혈구 빈혈증 (sickle cell anem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 질환 (Kreutzfeldt-Jakob disease),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알파1-항트립신 결핍증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경변 (cirrhosis), 전신성 폐기종 (emphysema systemic), 뇌성 유전성 아밀로이드증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울콧-랠리스 증후군 (Wolcott-Rallison syndrome), 울프람 증후군 (Wolfram syndrome), 염증성 장질환, 코론씨 병, 궤양성 대장염, 유방암 및 전립선암 등을 포함한다.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related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ype 1 diabetes, Type 2 diabetes, Alzheimer's disease, immun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Parkinson's diseas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emodialysis-related amyloidosis, reactive amyloidosis, cystic fibrosis, sickle cell anemia, Huntington's disease, Creutzfeldt-Jakob disease Kreutzfeldt-Jakob disease,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cirrhosis, emphysema systemic,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Wolcott-Rallison syndrome, Wolfram syndrome, < RTI ID = 0.0 > St. chapters include disease, colo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breast cancer and prostate cancer.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험에서 사용된 기술 및 절차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잘 이해되고,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에 기재된 바와 같은 널리 이용되는 분자 클로닝 방법을 사용하여 이용된다. 적절한 경우, 시판되는 키트 및 시약의 사용을 수반하는 과정은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제조사에 의해 규정된 프로토콜 및/또는 파라미터에 따라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The techniques and procedures used in the experiments are generally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for example,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1989)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Where appropriate, the process involving the use of commercially available kits and reagents is generally performed according to protocols and / or parameters defined by the manufacturer, unless otherwise noted.

<< 실시예Example 1> 1>

h935h935 단백질의 분리 및 발현 Isolation and Expression of Proteins

h935는 human HeLa cDNA에서 PCR을 이용해 (h935 RT-S:ggg cgg att taa aca gtc aa, h935-RT-A: ttt ggt cgt gca agg tgt ta) h935의 coding 부위를 얻어서 TA 클로닝을 수행한 후, sequencing을 통해 염기서열을 확인 하였다.h935 was cloned by PCR using human HeLa cDNA (h935 RT-S: ggg cgg attaacatc gtc aa, h935-RT-A: ttt ggt cgt gca agg tgt ta) h935 coding region, Sequenc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nucleotide sequence.

이후 분리해 낸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하기와 같이 잘 보존된 TM(transmembrane) 도메인 영역을 지니고 있었다.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isolated protei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domain of TM (transmembrane) domain was well preserved as described below.



1-1. 다양한 조직에서의 발현1-1. Expression in various tissues

c4orf34로 알려진 m935가 마우스의 여러 조직에서 발현됨을(m935-S: 5'-tgg gcg ggt tta aat agt tg-3', m935-A: 5'-agt gcc tgg tcg tct tca gt-3') PCR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조직(심장, 흉선, 대뇌피질, 해마, 소뇌)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 (m935-S: 5'-tgg gcg ggt tta aat agt tg-3 ', m935-A: 5'-agt gcc tgg tcg tct tca gt-3') which is known as c4orf34 is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of mice Respectively. CDNA was synthesized from each tissue (heart, thymus, cortex, hippocampus, cerebellum).

그 결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심장, 흉선, 대뇌피질, 해마, 소뇌에서 모두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m were expressed in the heart, thymus, cerebral cortex, hippocampus, and cerebellum of a mouse.

1-2. HEK293T 세포에서의 h935의 ER 위치화1-2. ER localization of h935 in HEK293T cells

HEK(Human Embryonic Kidney) 293T 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방법을 통해 h935 단백질이 소포체 내에 위치함을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도 2).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pEGFP-N3 벡터에 h935를 HindIII/EcoRI부위로 subcloning하였고, 3xFLAG tag을 h935의 c-terminal에 넣어 pcDNA3.1-h935-3xFLAG을 제작하였다. 이를 ER 마커인 Sec61-EGFP나 calnexin으로 염색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 EGFP-h935, h935-3xFLAG은 ER 막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935는 ER에 위치하는 막단백질임을 알수 있었다.
Immunocytochemistry using HEK (Human Embryonic Kidney) 293T cells The presence of h935 protein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was confirmed microscopically (Fig. 2). For this purpose, h935 was subcloned into pEGFP-N3 vector with HindIII / EcoRI site and 3xFLAG tag was inserted into the c-terminal of h935 to construct pcDNA3.1-h935-3xFLAG. This was stained with ER marker, Sec61-EGFP or calnexi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GFP-h935 and h935-3xFLAG were located in the ER membrane. This suggests that h935 is a membrane protein located in the ER.

1-3. ER 보유 서열의 확인1-3. Identification of ER retention sequence

h935 단백질 내 ER 보유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변이체들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h935 WT 및 변이체들을 HEK 293T에 형질감염시켰다.Various mutants as shown in Fig. 3 were constructed to examine the ER retention positions in the h935 protein. The h935 WT and variants were then transfected into HEK 293T.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h935 구조물들은 ER 내에 위치하였지만, h935(C,PPN)-GFP 및 h935(N,NGI)는 ER 내에 위치하지 않았다. 이는 h935의 TM 영역(transmembrane domain)이 ER 타겟팅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As a result, h935 (C, PPN) -GFP and h935 (N, NGI) were not located in the ER, although several h935 constructs were located in the ER, as shown in Fig. This implies that the TM region (transmembrane domain) of h935 is involved in ER targeting.

<실시예 2>&Lt; Example 2 >

h935 단백질의 규명Identification of h935 protein

h935 단백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h935의 N 말단 및 C 말단 영역 내에서 N-연결된 글리코실레이션(N-linked glycosyl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연변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실험을 수행하였다(h935(Ngly,N)-GFP 및 h935(Ngly,C)-GFP)(도 5). N-연결된 글리코실레이션은 소포체의 내강에서만 이루어지고, 변형이 되면 단백질 전기영동을 수행하면 분자량이 커진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 돌연변이체를 도입한 결과, N 말단에 돌연변이체를 만든 경우에만 분자량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h935는 N 말단이 소포체 내강에 위치하는 type I 막투과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h935 protein, mutations were artificially made to make N-linked glycosylation in the N-terminal and C-terminal regions of h935 (h935 (Ngly, N ) -GFP and h935 (Ngly, C) -GFP) (Figure 5). N-linked glycosylation occurs only in the lume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upon modification, protein electrophoresis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molecular weight. As a result of introducing the mutant using this property, it can be seen that the molecular weight is increased only when a mutant is formed at the N-terminu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935 is a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located at the endoplasmic reticulum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실시예 3>&Lt; Example 3 >

h935 단백질의 기능분석Functional analysis of h935 protein

h935의 ER 내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ER 샤페론 단백질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3xFLAG-hCaM 및 h935-EGFP를 HEK293T에서 공동 발현시켰다. 형질감염 후 24시간 째, FLAG 펩타이드를 인지할 수 있는 항체인 M2-agarose (Sigma)를 이용해 FLAG co-IP를 수행하였다.To investigate the ER function of h935,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with ER chaperone protein. For this, 3xFLAG-hCaM and h935-EGFP were cotransfected in HEK293T. Twenty-four hours after transfection, FLAG co-IP was performed using M2-agarose (Sigma), an antibody capable of recognizing FLAG peptide.

HEK293T세포의 lysate를 이용한 3xFLAG-hCaM co-IP 실험의 경우, lipofectamine 2000 (Invitrogen)을 이용해 각각의 유전자들을 HEK293T 세포에 도입하여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Transfection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lysis 용액 결합용액 [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triton-X 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s (Roche), 2 mM CaCl2(또는 5 mM EGTA)]에 넣고 세포를 분해 하였다. 세포질부위를 분리하여 BCA방법을 이용해 세포내 단백질을 정량 하였다.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질용액에 30 μl의 M2-agarose를 넣고 4 oC에서 2시간 동안 결합 시켰다. 이후, bead를 같은 lysis 용액을 이용해 3번 세척하고, 30 μl의 추출용액 (결합용액에 5 mg/ml 3xFLAG 펩타이드를 녹임)을 넣고 분리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취하고, 5X SDS sample buffer를 넣고, 단백질 전기영동을 하고, GFP 항체와 FLAG 항체를 이용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였다. In the 3xFLAG-hCaM co-IP experiment using lysate of HEK293T cells, each gene was introduced into HEK293T cells using lipofectamine 2000 (Invitrogen) to express the protein. (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triton-X 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s (Roche), 2 mM CaCl 2 (or 5 mM EGTA) ] And the cells were disassembled. The cytoplasmic sites were separated and the intracellular proteins were quantitated using the BCA method. Protein-containing cytoplasmic solution was mixed with 30 μl of M2-agarose for 2 hours at 4 ° C. The beads were then washed three times with the same lysis solution and 30 μl of the extract solution (5 mg / ml of 3xFLAG peptide dissolved in the binding solution) was added. Then, the supernatant was taken, and 5X SDS sample buffer was added, followed by protein electrophoresis and Western blotting using GFP antibody and FLAG antibody.

그 결과, 3xFLAG-h935는 h935-EGFP 및 내생성 칼넥신(calnexin)과 상호작용함을 확인하였다(도 8).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3xFLAG-h935 interacted with h935-EGFP and endogenous calnexin (Fig. 8).

또한, 3xFLAG-hCaM 및 BIP-myc를 HEK293T에서 공동 발현 시킨 결과, 3xFLAG-h935는 BIP (WT) 및 BIP mt (T37G)와도 상호작용함을 확인하였다(도 9)In addition, 3xFLAG-hCaM and BIP-myc were coexpressed in HEK293T, confirming that 3xFLAG-h935 also interacted with BIP (WT) and BIP mt (T37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h935 단백질은 ER 샤페론 단백질과의 깊은 연관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h935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ep association with the ER chaperone protei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20>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130> pn1209-452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9 <212> PRT <213> human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1 Met Ala Glu Gly Gly Phe Asp Pro Cys Glu Cys Val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Thr Glu Cys Leu Gln Glu Leu Pro Gly Pro Ser Gly Asp 35 40 45 Asn Gly Ile Ser Val Thr Met Ile Leu Val Ala Trp Met Val Ile Ala 50 55 60 Leu Ile Leu Phe Leu Leu Arg Pro Pro Asn Leu Arg Gly Ser Ser Leu 65 70 75 80 Pro Gly Lys Pro Thr Ser Pro His Asn Gly Gln Asp Pro Pro Ala Pro 85 90 95 Pro Val Asp <210> 2 <211> 98 <212> PRT <213> mus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2 Met Ala Glu Gly Gly Phe Asp Pro Cys Glu Cys Val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Thr Glu Cys Leu Gln Glu Leu Pro Gly Pro Ser Ser Asp 35 40 45 Ser Gly Ile Ser Ile Thr Val Met Ile Leu Met Ala Trp Met Val Ile 50 55 60 Ala Met Leu Leu Phe Leu Leu Arg Pro Pro Asn Leu Arg Gly Ser Ser 65 70 75 80 Leu Pro Gly Lys Pro Ser Ser Pro His Ser Asp Pro Pro Ala Pro Pro 85 90 95 Val Asp <210> 3 <211> 103 <212> PRT <213> xenopus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3 Met Ala Glu Gly Asn Phe Asp Pro Cys Glu Cys Ile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Asn Glu Cys Phe Gln Glu Leu Pro Gly Pro Asn Ser Ser 35 40 45 Thr Asp Gly Gly Phe Asn Ile Ala Met Ile Ala Met Ala Trp Leu Val 50 55 60 Ile Gly Val Thr Leu Tyr Leu Leu Arg Pro Arg Ser Leu Arg Gly Asn 65 70 75 80 Gly Pro Ser Ala Lys Pro Asn Ser Pro His Ser Asn Gln Gly Pro Glu 85 90 95 Pro Pro Ala Pro Pro Val Asp 100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20>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130> pN1209-452 <160> 3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9 <212> PRT <213> human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1 Met Ala Glu Gly Gly Phe Asp Pro Cys Glu Cys Val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Thr Glu Cys Leu Gln Glu Leu Pro Gly Pro Ser Gly Asp          35 40 45 Asn Gly Ile Ser Val Thr Met Ile Leu Val Ala Trp Met Val Ile Ala      50 55 60 Leu Ile Leu Phe Leu Leu Arg Pro Pro Asn Leu Arg Gly Ser Ser Leu  65 70 75 80 Pro Gly Lys Pro Thr Ser Pro His Asn Gly Gln Asp Pro Pro Ala Pro                  85 90 95 Pro Val Asp             <210> 2 <211> 98 <212> PRT <213> mus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2 Met Ala Glu Gly Gly Phe Asp Pro Cys Glu Cys Val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Thr Glu Cys Leu Gln Glu Leu Pro Gly Pro Ser Ser Asp          35 40 45 Ser Gly Ile Ser Ile Thr Val Met Ile Leu Met Ala Trp Met Val Ile      50 55 60 Ala Met Leu Leu Phe Leu Leu Arg Pro Pro Asn Leu Arg Gly Ser Ser  65 70 75 80 Leu Pro Gly Lys Pro Ser Ser Pro His Ser Asp Pro Pro Ala Pro Pro                  85 90 95 Val Asp         <210> 3 <211> 103 <212> PRT <213> xenopus h935 amino acid sequence <400> 3 Met Ala Glu Gly Asn Phe Asp Pro Cys Glu Cys Ile Cys Ser His Glu   1 5 10 15 His Ala Met Arg Arg Leu Ile Asn Leu Leu Arg Gln Ser Gln Ser Tyr              20 25 30 Cys Thr Asp Asn Glu Cys Phe Gln Glu Leu Pro Gly Pro Asn Ser Ser          35 40 45 Thr Asp Gly Gly Phe Asn Ile Ala Met Ile Ala Met Ala Trp Leu Val      50 55 60 Ile Gly Val Thr Leu Tyr Leu Leu Arg Pro Arg Ser Leu Arg Gly Asn  65 70 75 80 Gly Pro Ser Ala Lys Pro Asn Ser Pro His Ser Asn Gln Gly Pro Glu                  85 90 95 Pro Ala Pro Pro Val Asp             100

Claims (15)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An endoplasmic reticulum membrane protein consisting of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서열은 ISVTMILVAWMVIALILFLL로 구성된 TM(transmembrane) 도메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ino acid sequence comprises a TM (transmembrane) domain region consisting of ISVTMILVAWMVIALILF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M(transmembrane) 도메인 영역은 소포체 타겟팅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M (transmembrane) domain region has endoplasmic reticulum targeting 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은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백질의 N 말단이 소포체의 루멘(luminal side)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is present in an endoplasmic reticulum (ER) and wherein the N-terminus of said protein is located on the luminal sid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은 소포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has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shape of an endoplasmic reticulu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은 칼넥신(calnexin)과 결합함으로써 소포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aid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retains the shape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by binding to calnex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은 ER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ransmembrane transmembrane protein has a function of regulating ER stress.
제7항에 있어서,
ER 스트레스 조절은 ATF6 단백질과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R stress regulation is through binding to the ATF6 protein.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A nucleic acid encod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a nucleic acid encod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A transformant transformed with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a nucleic acid encod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 촉진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reating an endometrial cancer-associated disease comprising an expression or activity-promoting agent for an endoplasmic reticulum permeability protein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as an active ingredi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 촉진제는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aid endoplasmic reticulum transmembrane protein expression or activity promoter is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ntaining a gene encod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1,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소포체 막 투과성 단백질 발현 또는 활성을 촉진하는 프로모터 또는 인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said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comprises a promoter or enhancer promoting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an envelope transmembrane protein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2 or 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은,
제1형 당뇨, 제2형 당뇨, 알츠하이머 질환 (Alzheimer's disease), 면역글로블린 경쇄 아밀로이드증 (immum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혈액투석 연관성 아밀로이드증 (haemodialysis-related amyloidosis), 활동성 아밀로이드증 (reactive amyloidosis),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겸상적혈구 빈혈증 (sickle cell anem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 질환 (Kreutzfeldt-Jakob disease),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알파1-항트립신 결핍증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경변 (cirrhosis), 전신성 폐기종 (emphysema systemic), 뇌성 유전성 아밀로이드증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울콧-랠리스 증후군 (Wolcott-Rallison syndrome), 울프람 증후군 (Wolfram syndrome), 염증성 장질환, 코론씨 병, 궤양성 대장염, 유방암 및 전립선암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Type 2 diabetes, Alzheimer's disease, immunoglobulin light chain amyloidosis, Parkinson's diseas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hemodialysis Amyloidosis, reactive amyloidosis, cystic fibrosis, sickle cell anemia, Huntington ' s disease, Kreutzfeldt-Jakob disease,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lpha1-antitrypsin deficiency, cirrhosis, emphysema systemic, cerebral hereditary amyloidoses, Ulcott-Ralisss syndrome Wolcott-Rallison syndrome, Wolfram syndrome,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ronary disease, ulcerative colitis &Lt; RTI ID = 0.0 &gt; prostaglandin, &lt; / RTI &gt; salt, breast cancer and prostate cancer.
KR1020130037291A 2013-04-05 2013-04-05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KR20140121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91A KR20140121088A (en) 2013-04-05 2013-04-05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91A KR20140121088A (en) 2013-04-05 2013-04-05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88A true KR20140121088A (en) 2014-10-15

Family

ID=5199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291A KR20140121088A (en) 2013-04-05 2013-04-05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0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efenbach et al. The C-terminal region of the stalk domain of ubiquitous human kinesin heavy chain contains the binding site for kinesin light chain
AU2004294933A1 (en) Biomolecule partition motifs and uses thereof
US1031488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gulating blood pressure
EP2328917B1 (en) Neuronal viability factor and use thereof
KR101161923B1 (en) Atap peptides, nucleic acids enco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EP2970416B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nephrotic syndrome and related conditions
KR20130132375A (en) Methods for treatment of nephrotic syndrome and related conditions
EP2687537B1 (en) Polypeptide drug against hepatitis b virus x protein
EP2716652A1 (en) Anti-fatty acid synthase polypeptide and use thereof
US9139629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nephrotic syndrome and related conditions
Benzel et al. Strain-specific complementation between NRIF1 and NRIF2, two zinc finger proteins sharing structur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KR20140121088A (en) Novel ER targeting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US6960440B2 (en) Methods for screening for apoptosis modulators using NADE, p75NTR-associated cell death executor
JP4283531B2 (en) Mast cell death inducer
US20100111913A1 (en) Method of enhancing migr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Vidal et al. Enforced dimerization between XBP1s and ATF6f enhances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in models of neurodegeneration
WO2006070804A1 (en) Method of inhibiting telomerase activity and inhibitor
KR101497930B1 (en) Composition for cell senescence comprising an inhibitor against heparan sulfate 2-O sulfotransferase 1 gene, or a protein encoded by the gene and method for inducing cell senescence using the same
WO2002049662A2 (en) Use of the prion protein (prp) for suppression of bax-mediated apoptosis
CN116063456A (en) Blocking peptide of target PKD2 and application thereof in preparation of medicines for treating polycystic kidney disease
EP3485895A1 (en) TGF INHIBITOR CONTAINING REIC/Dkk-3 PROTEIN AS ACTIVE INGREDIENT
JP2001054391A (e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transcription factor
EP2046958B1 (en) Cleavage of bip by subtilase cytotoxin
WO2011079431A1 (en) Fusion protein with telomerase inhibiting activity,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WO2018154584A1 (en) Chimeras of soluble dr3 and pro-tace domain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