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783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783A
KR20140120783A KR20130037103A KR20130037103A KR20140120783A KR 20140120783 A KR20140120783 A KR 20140120783A KR 20130037103 A KR20130037103 A KR 20130037103A KR 20130037103 A KR20130037103 A KR 20130037103A KR 20140120783 A KR20140120783 A KR 20140120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suction nozzle
vibration pl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7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0267B1 (en
Inventor
이창욱
송기용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267B1/en
Priority to JP2014076843A priority patent/JP5789022B2/en
Priority to CN201410136485.7A priority patent/CN104095585B/en
Publication of KR20140120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includes an intake nozzle unit body forming intake nozzles and a vibration system which is provided on the intake nozzle unit body. The vibration system including a motor generating the vibra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against the intake nozzle body.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진공 청소기는 내부에 팬모터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를 일반적으로 청소기라 부를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is equipped with a fan motor to suck air and dust from the outside to filter dust. Such a vacuum cleaner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몸체와 흡입노즐이 연장관이나 연결 호스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형 청소기와 몸체에 흡입노즐이 직접 연결되는 업라이트(up-right)형 청소기가 있다.The cleaner generally has a canister type cleaner in which a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xtension pipe or a connecting hose, and an up-right type cleaner in which a suction nozzl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한편, 간이 청소기로 사용자가 청소기 몸체를 직접 잡은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핸디형 청소기도 많이 보급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handy type vacuum cleaner which can perform cleaning while the user holds the cleaner body directly by the simple vacuum cleaner is widely used.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침구를 청소할 수 있는 침구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침구 청소기도 핸디형 청소기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핸디형 청소기와는 달리 침구 청소기에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Recently, bedding cleaners that can clean bedding due to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have been spreading. Such bedding cleaners may also be referred to as handheld vacuum cleaners. Unlike general handheld vacuum cleaners, bedding cleaners may be equipped with vibration plates that apply vibration to bedding.

핸디형 청소기는 대상물의 일부분을 간단하게 청소하기 위해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핸디형 청소기의 취급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와 업라이트형 청소기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이들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있는 자세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A handheld vacuum cleaner is generally designed to simply clean a portion of an object. Therefor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sture of the user when handling the handy-type vacuum cleaner does not become a serious problem. This also applies to canister type cleaners and upright type cleaners. This is because, when using them, the user can perform cleaning in a standing posture.

그러나, 사용자가 침구 청소기를 사용하여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을 들여 침구 전체를 골고루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 시 사용자의 자세로 인한 불편이 문제가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user uses the bedding cleaner to clean the bedding, the user generally takes a lot of time to clean the bedding evenly. Therefor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sture of the user during cleaning may become a problem.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종래의 청소기, 특히 침구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1 to 3,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particularly,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침구 청소기(1)는 상부 바디(2), 핸들(3), 노즐 바디(5) 그리고 하부 바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5)는 지면, 특히 침구에 수평하게 구비되며, 상기 노즐 바디(5)를 통해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The bed sheet cleaner 1 may include an upper body 2, a handle 3, a nozzle body 5, and a lower body 4. The nozzle body 5 is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ground, particularly on the bedding, and cleans the bedding through the nozzle body 5.

상기 노즐 바디(5)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노즐(6), 진동 플레이트(7) 그리고 상기 애지테이터(agitator, 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7)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침구 내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애지테이터(8)는 침구 표면의 먼지를 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 플레이트(7)와 애지테이터(8)의 작동으로 인해 침구 청소가 더욱 효과적이게 된다. The nozzle body 5 may include a nozzle 6, a vibration plate 7, and an agitator 8 for introducing outside air. The vibrating plate 7 performs a function of vibrating the bedding to scatter dust in the bedding, and the agitator 8 performs a function of sweeping the dust on the bedding surface. Therefore, cleaning of the bedding becomes more effectiv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7 and the agitator 8. [

상기 하부 바디(4)는 상기 노즐 바디(5)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바디(4)와 상기 노즐 바디(5)의 상부에 상기 상부 바디(2)가 결합되어 청소기의 몸체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The lower body (4) extends substantially rearwardly from the nozzle body (5) substantially horizontally to the ground. The upper body 2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4 and the nozzle body 5 to form the body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하부 바디(4)에는, 지면에 대해서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9)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9)와 상기 애지테이터(8)에 의해 청소기가 지면 또는 침구 상에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The lower body (4) is provided with a roller (9) for supporting the cleaner against the ground. It can be said that the cleaner is supported on the ground or bedding by the roller 9 and the agitator 8 substantially.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을 잡고 전후로 청소기를 주행시키면서 침구를 청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holds the handle 3 and moves the cleaner back and forth to clean the bedding.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구 청소기는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구 청소시 허리를 굽혀서 장시간 청소를 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bedding cleaner has a problem that the height from the ground as a whole is low. Therefore, the user inconveniences the user to bend his / her back when cleaning the bedding and clean it for a long time.

그리고, 침구의 특성 상, 침구 청소기가 전체적으로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낮으면, 침구 청소기와 침구 사이에 마찰이나 간섭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침구 청소기의 저면이 모두 침구에 파묻힐 수 있다. 이는 청소가 수행되는 침구 부분뿐만 아니라 청소가 완료된 침구 부분들도 침구 청소기의 저면과 밀착되어 청소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dding, if the bedding cleaner is entirely lower in height than the ground, friction or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bedding cleaner and the bedding. That is, the bottom of the bedding cleaner may be buried in the bedding. This causes not only the bed portion to be cleaned but also the bed portions that have been cleaned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edding cleane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cleaning efficiency.

아울러, 청소기 상부 바디(2)와 핸들(3)과의 위치 차이로 인해, 지면 또는 침구로 힘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사용자는 청소시 전방과 후방으로만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효과적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충분히 침구에 진동을 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apply force to the floor or the bedding due to the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cleaner upper body 2 and the handle 3. The user may exert a force only on the front side and on the back side during cleaning, which may result in the nozzle body 5 no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These problems may prevent effective cleaning. This is because the bedding can not sufficiently vibrate.

청소기의 높이를 키우기 위해 핸들(3)의 위치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청소기 상부 바디(2)의 형상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2)의 형상과 핸들(3) 형상이 불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청소기의 상부 바디(2)에 비해 핸들(3)이 너무 높게 되기 때문이다. It is possible to further raise the position of the handle 3 to raise the height of the cleaner. However,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upper body 2 of the cleaner is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so that the shape of the body 2 and the shape of the handle 3 can be unbalanc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is not good. This is because the handle 3 is too high compared to the upper body 2 of the vacuum cleaner.

아울러, 상부 바디(2)와 핸들(3)은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3)의 높이를 키우게 되면 전체적인 외형이 커지게 되어, 취급이나 보관 시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body 2 and the handle 3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if the height of the handle 3 is increased, the overall shape becomes large, which leads to inconvenience during handling and storage.

한편,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애지테이터(8)와 롤러(9) 사이에 구비된다. 그러나,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주행을 위해 핸들(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모멘트 거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가 수행되는 노즐 바디(5)가 지면이나 침구와 밀착되지 않을 우려가 많다.On the other hand, for stable run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is provided between the agitator 8 and the roller 9. However,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is close 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rection and moment distanc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3 increases for traveling. For this reas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nozzle body 5 to be cleaned is not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그리고, 하부 바디(4)와 노즐 바디(5)가 전체적으로 지면과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므로, 청소를 위한 주행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청소와 무관한 영역이 지면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러한 형상은 청소 영역, 즉 노즐 바디(5) 면적을 키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청소를 위해 시간당 주행 거리가 짧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청소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Since the lower body 4 and the nozzle body 5 are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ound as a whole, traveling for cleaning is not easy. This is because areas irrelevant to cleaning become closer to the ground. On the contrary, this shape means that it is not easy to increase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area of the nozzle body 5.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veling distance per hour is inevitably shortened for effective cleaning. This results in a problem that the cleaning time becomes longer.

한편, 도 3에 도시된 청소기(1) 내부에서의 유로는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공기 저항이 높은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inside the vacuum cleaner 1 shown in Fig. 3 frequently changes direction and has a problem of high air resistance.

먼저, 에어 가이드(11)을 통해서 공기는 먼지통(12)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11)에서는 공기가 상부, 후방 다시 상부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먼지통(12)으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 후방으로 배출되어 팬모터(13)로 유입된다. 상기 팬모터(13)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터(13)의 일측(지면 통과 방향)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First,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12 through the air guide 11. In the air guide 11, air is diver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12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dust container and flows into the fan motor 13. 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fan motor 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fan motor 13 (in the direction of passing through the paper).

이러한 유로 구조로 인해, 청소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공기 유동의 방향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소음이 증가하고 원활한 청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소음 차폐를 위해 부가적인 구성들이 더욱 추가될 수 있으며, 팬모터를 수용하는 팬 모터 챔버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Due to such a flow path structure,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is frequently changed until air is introduced into the cleane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increased and smooth cleaning is difficult. In addition, additional constructions can be added for noise shielding, and the structure of the fan motor chamber accommodating the fan motor can be complicated.

도 4는 종래의 청소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진동 플레이트(7)를 구동하는 진동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에 적용된 것일 수 있다. Fig. 4 shows a vibration system for driving the vibration plate 7 shown in Fig. 2 i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The vibration plate 7 may be applied to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s.

모터(14)가 회전하면 회전력은 벨트(15)를 통해 감속기어(16)로 전달된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회전으로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When the motor 14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reduction gear 16 via the belt 15. [ Therefore, no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itself.

구체적으로, 벨트(15)를 통해 토크가 향상되고, 감속 후 편심 베어링(17)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연결부재(18)를 통해 진동 플레이트(7)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80)는 탄성부재(19)를 통해 노즐 바디(5)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14)에서부터 진동 플레이트(7)까지 복잡한 연결 구조를 갖는 문제가 있다.Specifically, the torque is improved through the belt 15, and after the deceleration, the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eccentric bearing 17, and this vibration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plate 7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8. [ The connecting member 18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nozzle body 5 through the elastic member 19.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from the motor 14 to the vibration plate 7 is complicated.

또한, 벨트(15), 감속기어(16) 그리고 모터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이러한 구조들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들의 위치가 변동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모터가 청소기 내부에 고정되는데, 고정 부분이 진동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도 많게 된다. In addition, vib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belt 15, the reduction gear 16, and the motor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se structures may deteriorate, and the position of such structures may be fluctuated. For example, the motor is fixed inside the cleane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xing part is damaged or damaged due to vibration.

또한, 이러한 연결 구조들은 흡입 노즐부에서의 공기 유로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아울러, 복잡하고 많은 구성들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물론, 모터의 고정 구조뿐만 아니라 편심 베어링(17)을 고정하는 구조가 추가되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한 문제도 있다. Further, such connection structures can complicate the air flow path at the suction nozzle portion. In addition, there are concerns that the durabi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is complicated because a structure for fixing the eccentric bearing 17 as well as a fixing structure for the motor is added.

한편, 도 4에 도시된 진동 메커니즘과 진동 플레이트(7)를 통해서는 진동 면적이 매우 좁게 된다. 이는 청소 면적이 적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청소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area through the vibration mechanism and the vibration plate 7 shown in Fig. 4 becomes very narrow. This means that the cleaning area is small. Therefore, effective cleaning may not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진동 플레이트(7)는 좌우가 번갈아 침구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즉, 진동 플레이트(7)의 좌단이 최하 위치일 때, 진동 플레이트(7)의 우단이 최상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7) 면적 전체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vibrating plate 7 shown in Fig. 4 alternately vibrates the bedding. That is, when the left end of the vibration plate 7 is the lowermost position, the right end of the vibration plate 7 may be the uppermost posi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does not occur in the entire area of the vibration plate 7. [

또한, 진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은 좌단과 우단에 비해 진폭량이 작게 된다. 이는 진동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서는 침구에 충분한 진동을 가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의 면적 전체에서 효과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 메커니즘 또는 진동 플레이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 메커니즘 또는 진동 플레이트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vibration plate has a smaller amplitude amount tha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This means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vibrating plate can not apply sufficient vibration to the bedd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vibration mechanism or vibration plate that can effectively apply vibra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vibration plate.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such a vibration mechanism or vibration plate.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4)와 감속 기어(6) 등은 청소기 내부 구조물에 고정된다. 이때, 내부 구조물은 청소기 내부 본체에 고정되는데, 진동에 의해 소음이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나 볼트 등이 플라스틱 사출물(예를 들어 체결 보스나 체결 홀 등)과 진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떨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매우 불쾌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14, the reduction gear 6, and the like are fixed to the cleaner internal structure. At this time, the internal structure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a lot of noise may be generated by the vibration. For example,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a screw or a bolt and the like are continuously shaken through a plastic injection (for example, a fastening boss, a fastening hole, etc.) and vibration. As a result, a very unpleasant noise may be generated.

따라서,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신뢰성 및 진동 효과가 증진되고 소음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vibration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and that enhances durability, reliability, and vibration effects and significantly reduces noise genera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청소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vibration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and has improv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 자체가 진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vibrating the motor itself and switch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의 고정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fixing a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 부주의로 인하여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vibration system from being detached due to external impact or user carelessn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진동 모터를 통해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어서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apable of vibrating two vibrating plates through one vibrating motor to enhance a cleaning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모터의 위치를 흡입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밸런스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position of a vibration motor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a suction port to easily maintain a balance between two vibration plat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플레이트 전체에서 균일하게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system capable of uniformly vibrating the entire vibration plate and a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을 통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er which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noise generation through a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bending the waist during clea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 which a nozzle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floor or bedding to further enhance the cleaning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which is easy to use by securing stability in traveling during cleaning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increas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noise by making the flow of air flow more smoothly in the clean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노즐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와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구비되는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시스템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 노즐 바디에 대해서 탄성 지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having a suction nozzle unit body forming a suction nozzle and a vibration system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body, And the suction nozzle body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uction nozzle body.

상기 진동시스템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는 흡입 노즐부 바디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상에 이격되어 진동이 허용됨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on system may include a motor that generates vibration.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is not fixed to the suction nozzle body, but is allowed to be separated from the suction nozzle body so as to allow vibration.

상기 진동시스템은, 청소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on system includes a vibration plate for applying vibration to an object to be cleaned; And a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tor to the vibration plate.

여기서, 상기 진동시스템은 상기 탄성부재를 제외하고는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와 진동 시 접촉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한 탄성 지지점 외에 상기 진동시스템이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지지되는 지지점이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시스템은 상기 탄성 지지점만을 통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대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system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when vibrating, except for the elastic member.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elastic fulcrum through the elastic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ing point at which the vibration system is supported by the suction nozzle body is not formed. That is, the vibration system is preferably fixed or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only through the elastic support point.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는 청소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바디와 구별하기 위하여 제1베이스 바디라 칭할 수 있다. The suction nozzle body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e body to distinguish it from various bodies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상기 진동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on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tor, the connecting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elastic member and the vibration plate.

상기 연결부재는 중심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연장된 후 각각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부재를 통해 두 개의 탄성 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4개의 탄성 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진동시스템은, 상기 모터를 중심으로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통해, 4개의 탄성 지지점을 통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s are respectively extended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and then coupled with the elastic members, respectively. Thus, two elastic fulcrums can be formed through one connecting member. Therefore, four elastic fulcrums can be formed through two connecting members. In other words, the vibration system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four elastic fulcrums through the elastic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otor.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후방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ibration plate may include a front vibration plate and a rear vibration plate separately provided from each other.

상기 전방 양측 탄성 지지점을 통해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가 탄성 지지되고, 상기 후방 양측 탄성 지지점을 통해 상기 후방 진동 플레이트가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4 개의 지지점을 통해서 전후 그리고 좌우 진동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진동 시스템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The front vibration plate is elastically supported via the front both side elastic support points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ar both side elastic support points. Thus, the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oscillating systems may be substantially symmetrical through the four fulcrums. As a result, the vibration system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more stably.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후방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교차되도록 상하 진동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모터는 길이 방향(회전축 방향)이 상기 청소기의 좌우 방향이 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oscillate up and down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this end, the motor is preferably position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rotational axis direction) i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leaner.

상기 진동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 수용부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다.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moto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otor, and the connecting member can connect the motor receiving portion and the vibration plat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바디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하 진폭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최적의 진폭을 갖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be fix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ody, and the vertical amplitude of the vibration plate can be limi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at is, the shape,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selected to have an optimum amplitude.

상기 모터는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회전에 의해서 자체 진동하는 진동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으로 인해 직접 진동이 발생되므로 진동 발생을 위한 동력 전달 구성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the motor is a vibration motor that self-vibrates due to rotation due to an eccentric load of the rotary shaft. Therefore, since the direct vibration is generat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it becomes possible to omit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s for generating the vibration.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vibration plate comprises: a bottom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vibration plate is exposed through the side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을 기준으로 상부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부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고, 하부는 흡입 노즐부 바디 하부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A connec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hole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portion or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portion or a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hole.

상기 모터는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 그리고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tor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body, and the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the connection hole to engage with the vibration plat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ction nozzle body.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홀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hole rim are insert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member passes radially inwardly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고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ixing part from the connection hole, a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fixing part in associ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part body.

상기 연결부재는, 중심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하방 변위를 제한하는 진폭 제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a central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 engage with the vibration plate; And an amplitude limiting rib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to limit a maximum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진폭 제한 리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하방 변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로 가압하도록, 상기 탄성부재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amplitude limiting rib is positioned above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by the suction nozzle body when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진폭 제한 리브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가압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후 또는 좌우로 편심되는 상하 진폭인 경우에도 이러한 특징으로 텅해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가압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amplitude limiting rib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elastic member. Whereby the area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vertical amplitude which is eccentric to the front, rear, or right and lef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ing area applied to the torsional elastic member from being reduced by this featu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 노즐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자체 진동하는 모터;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외부에 구비되어 청소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 상기 모터의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부 바디에 대해서 상기 모터,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진동 전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for suctioning dust by applying vibration, comprising: a suction nozzle body forming a suction nozzle; A motor provided inside the suction nozzle unit and self oscillating due to an eccentric load of the rotating shaft; A vibrating plate provided outside the suction nozzle unit to apply vibration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to the vibration plate;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tor, the vibration plate,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 노즐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상기 흡입 노즐 후방에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후방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vibration plate includes a front vibration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nozzle, and a rear vibration plat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ont vibration plate behind the suction nozzle.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범위 내에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을 통한 효과들도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in a range that is not mutually exclusive. Therefore, the effects through the features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complex manner.

아울러,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도 서로 배타적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long as they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간단히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증진된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vibration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more simply and has improved durability and relia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 자체가 진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의 진동으로 전환하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vibrating the motor itself, switch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and improving the vibration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의 고정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simplify and facilitate the fixing structure of the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외부 충격이나 사용자 부주의로 인하여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elastic member,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vibration system, from being dislodged due to external impact or user carelessn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진동 모터를 통해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어서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vibrating two vibration plates through one vibration motor, thereby enhancing a cleaning effe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모터의 위치를 흡입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시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밸런스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motor is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suction port to easily maintain a balance between the two vibration plate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 플레이트 전체에서 균일하게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진동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on system that can uniformly apply vibration to the entire vibration plate, and a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진동시스템을 통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noise generation through the vibration system.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허리를 굽히는 불편을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use 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bending the waist during clea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노즐 부분이 지면이나 침구와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청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can be provided which further enhances the cleaning effect by making the nozzle portion more closely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여 사용이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which is easy to use by securing stability during travel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청소기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청소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and reducing the noise by making the flow of air flow more smoothly inside the cleaner.

도 1은 종래 침구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침구 청소기의 진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전방부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진동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의 측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에 진동 플레이트가 추가된 평면도;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 상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진동시스템의 진동 모터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부의 하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5에 도시된 흡입 노즐부의 일부 단면도;
도 17은 가압부재를 포함한 흡입 노즐부의 부분 사시도;
도 18은 도 5에 도시된 청소기에서 진동시스템의 탄성 지지 구조 및 가압부재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edding cleaner;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system of the bedding cleaner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side view of a vacuum cleane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5;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5;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5;
9 i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a front portion of the cleaner shown in Fig. 5;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vibration system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5;
11 is a side view of the vibration system shown in FIG. 10;
12 is a plan view in which a vibration plate is added to the vibration system shown in Fig. 10;
FIG. 1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5; FIG.
Fig. 1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motor housing portion of the vibration system shown in Fig. 10; Fig.
FIG.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unit shown in FIG. 5;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shown in Fig. 5;
1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nozzle portion including a pressing member;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pressing member structure of the vibration system in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기(200)의 외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청소기(200)의 좌우 방향, 즉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 양측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rst, the outline of the vacuum cleaner 200, which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In this specifica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leaner 200 shown in FIG. 5,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200 can be defined a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oth directions of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leaner 200 can be defined as left and right directions.

청소기(200)는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청소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 바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바디(20)는 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이 지면에 대해서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된다. The vacuum cleaner 200 includes a body or a main body 20. That is,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20 that forms the overall contour of the vacuum cleaner. The main body 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at is, the center line S of the main body 20 is formed to be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difference 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becomes greater as the distance in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상기 중심선(S)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α)는 30°내지 50°임이 바람직하며, 대략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도가 더욱 커질수록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고, 반대로 각도가 더욱 작아질수록 종래의 청소기에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S and the paper surfac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50 degrees, more preferably about 40 degrees. This is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may become too high as the angle increases, and conversely, as the angle becomes smaller, the same problem as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may occur.

청소기(200)는 지면이나 침대에 수평으로 놓인 침구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청소 영역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노즐부(25)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전방 하부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 상부에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The vacuum cleaner 200 includes a suction nozzle unit 25 formed horizontally to correspond to a floor or bed placed horizontally on the bed. That is, the suction nozzle unit 25 corresponds to the cleaning area. Therefore, the suction nozzle unit 25 forms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20 extends obliquely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toward the rear upper side.

상기 메인 바디(20)의 하부를 베이스 바디(22)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전방 부분을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베이스 바디(22)를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body 22. Therefore,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body 22 may be referred to as a suction nozzle body or a first base body 23. In other words, the base body 22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nozzle unit 25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e body 23.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서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 베이스 바디(2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바디(22)의 전방은 제1베이스 바디(23)라 할 수 있고, 후방은 제2베이스 바디(24)라 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body 24 may be formed to extend obliquely rearward and upward from the first base body 23. In other words, the front of the base body 2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e body 23, and the rear side thereof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ase body 24.

따라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는 지면에 대응하여 수평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차가 더욱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와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중심선(S)과 상기 지면과의 경사 각도(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first base body 23 is formed to be horizontal in correspondence with the ground, and the second base body 24 may be formed so that the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ground surface becomes larger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ase body 24 increases toward the rear.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second base body 24 and the ground surface is preferably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center line S of the main body 20 and the ground surface. In addition, the second base body 24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inclined continuously from the first base body 23 backward.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바디(2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바디(20)의 후방 상측에는 핸들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A support portion 70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20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body 24. In addition, a handle portion 8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0.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80)를 잡고,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침구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 주행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The user can grasp the handle portion 80 and apply a force to move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back and forth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dding.

한편,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부를 이루는 바디 커버(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21)는 상기 베이스 바디(22)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들이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20 may include a body cover 21 forming an upper portion. The body cover 21 may be coupled with the base body 22 to form an internal space. Various constructions described later can be placed in this inner space.

도 7은 바디 커버(21)와 베이스 바디(22)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dy cover 21 and the base body 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청소기(200)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 흡입 노즐부(25)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팬모터 실장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eaner 200 may include a suction nozzle unit 25 formed horizontally to correspond to the paper surface and a fan motor mounting unit 26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상기 흡입 노즐부(25)와 팬모터 실장부(26)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베이스 바디(22)를 이룰 수 있다. The suction nozzle unit 25 and the fan motor mounting unit 26 may b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single base body 22.

상기 베이스 바디(22)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 바디(23)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대응되는 제2베이스 바디(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The base body 22 may include a first base body 23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nozzle unit 25 and a second base body 24 corresponding to the fan motor mounting unit 26.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e body 2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ase body 23. Preferably, the second base body 24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rear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body 23.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상부에는 바디 커버(21)가 구비되어, 양자의 결합으로 전체적인 청소기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 body cover 2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body 22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cover 21 and the body cover.

상기 바디 커버(21)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 바디(22)의 형상과 부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바디 커버(21)도 마찬가지로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body cover 21 is preferably matched to the shape of the base body 22.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cover 21 is also formed so as to extend obliquely toward the rear upper portion.

상기 바디 커버(21)의 경사진 전면을 통해 먼지통(90)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통(90)의 장착 방향은 상기 청소기(20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먼지통(90)에서 보다 원활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90 can be mounted on the inclined front surface of the body cover 21.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dust container 9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cleaner 200. As a result, a more smooth air flow can be generated in the dust container 90 as described later.

제1 베이스 바디(23)에는 진동시스템(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시스템(30)은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body 2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vibration system 30. The vibration system 30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31 and a vibration plate 32.

제1 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진동 모터(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하부에는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 노즐부(25)에 진동 모터(31)와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31)의 회전을 통해 직접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된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지면 또는 침구와 수평되도록 위치되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털어주게 된다. 진동시스템(30)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A vibrating motor 3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ase body 23 and a vibrating plate 32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se body 23. In other words, the suction nozzle unit 25 may be provided with the vibration motor 31 and the vibration plate 32. The vibration generated directly through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1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plate 32. The vibrating plate 32 is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or bedding, and vibrates up and down. Therefore, the vibrating plate 32 applies vibrations to the bedding so as to shake the dust. Details of the vibration system 3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제2 베이스 바디(24)의 후방에는 전원 코드(4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 코드(46)를 통해 청소기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a power cord 46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base body 24. Therefore, power for the vacuum cleaner operation can be supplied through the power cord 46.

상기 청소기(200)는 침구 청소기에 적합할 수 있으므로, 청소 영역은 침구의 면적과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캐니스터 청소기나 업라이트 청소기와는 달리 청소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 코드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Since the cleaner 200 may be suitable for the bedding cleaner, the cleaning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bedding. Therefore, unlike ordinary canister cleaners or upright cleaners, the cleaning area is relatively narrow. Therefore, the length of the power cord may be relatively short.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200)에는, 상기 전원 코드(46)와 선택적으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배제되고 배터리만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청소기(200)가 충전 스테이션(미도시)에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청소기에서 충전 방식과 전원 연결 방식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cuum clea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power cord 46 and an optional battery (not shown). That is, the power cord 46 is excluded and only the battery can be mounted. This is because, when the cleaner 200 is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not shown), the battery can be charged. Therefore, the charging method and the power connection method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in the same vacuum cleaner.

상기 배터리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는 배터리 장착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 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배터리의 선택적 장착을 위해,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충전 방식이든 전원 연결 방식이든 구분없이 모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mount the battery, a battery mounting portion 41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ase body 23. That i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3. Of course, in order to selectively mount the battery, the battery mounting part 41 may be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charging type or a power connection type.

상기 배터리의 무게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의 장착 위치에 따라 청소기(200)의 전체 무게중심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The weight of the battery is relatively large.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vacuum cleaner 2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atter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높이 차이가 커진다. 따라서, 주행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낮추는 한편,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ground becomes larger as it goes backwar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forward while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in order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traveling.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 상부에 장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very effective to mount the battery on the first base body 23.

아울러, 상기 배터리 장착부(41)는 흡입 노즐부(25)의 전방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장착 위치를 통해서, 주행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41 is located in front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200 can be positioned further forward. Such a mounting position of the battery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running stability.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식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원 코드(46)가 전원에 인가된 경우에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청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메인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메인 바디(20)의 후방으로 어느 정도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below, a power connected vacuum cleaner other than a rechargeable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That is, a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cleaning only when the power cord 46 is applied to the power source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since the battery is not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200 may be mov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to some extent.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의 무게 중심과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식 청소기(배터리를 갖고 있는 청소기)가 아닌 전원 연결식 청소기의 경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More specifically, it describes the case of a power-connected vacuum cleaner, not a rechargeable vacuum cleaner (a vacuum cleaner with a battery).

청소시, 청소기의 바디 또는 메인 바디(20)는 실질적으로 애지테이터(44)에 의해서 지지된다. 즉, 흡입 노즐부(25)에 구비되는 애지테이터(44)에 의해 지면에 대해서 청소기가 지지된다. In cleaning, the body or main body 20 of the vacuum cleaner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agitator 44. That is, the cleaner is supported by the agitator 44 provided on the suction nozzle unit 25 with respect to the ground.

그러나, 상기 메인 바디(20)는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애지테이터(44)의 후방에 상기 청소기를 지지하는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main body 20 is formed so as to extend obliquely toward the rear of the agitator 44,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rear upper si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portion 70 for supporting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gitator 44.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 그리고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제1베이스 바디(23)가 아닌 제2베이스 바디(24)에 지지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70)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은,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에서 지면에 대한 수직 하부에 위치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 70 is provided behind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and below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e body 24, which is not the first base body 23,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ortion 70. That is, the support point form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70 is located at a vertically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body 24 with respect to the ground.

여기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지지부(70)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무게 중심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은, 지면에서 수직한 위치의 상기 제2베이스 바디(24) 그리고 상기 지지점에서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200 is preferab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 70. 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is preferably located behind the suction nozzle unit 25.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200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second base body 24 at a vertical position on the ground and at the support point.

따라서, 상기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 상기 애지테이터(44)의 위치 그리고 상기 지지부(70)의 위치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상기 청소기(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시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를 통해서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vacuum cleaner 2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200, the position of the agitator 44,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70. And it can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when cleaning. Of course, this can further enhance ease of use.

상기 지지부(70)는 지지부 브라켓(71)과 바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에 상기 바퀴(7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퀴(72)가 상기 애지테이터(44)와 함께 청소기(200)를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지점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70 may include a support bracket 71 and a wheel 72. The wheel 72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71. The wheel 72 together with the agitator 44 forms a supporting point for supporting the vacuum cleaner 200 against the ground.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와 상기 지면과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베이스 바디(24)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bracket 71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to compensate for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and the groun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e body 24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toward the groun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제2 베이스 바디(40)의 좌우 폭 중 일부에서만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은 제2 베이스 바디(40)의 좌우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 브라켓(71)이 지면과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6, the support bracket 71 extends downward only in a part of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second base body 40. The support bracket 7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base body 40. This means that the area where the support bracket 71 can abut the ground surface is small.

따라서, 청소 영역과는 무관한 면적, 즉 청소와 무관하게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을 수 있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rea irrelevant to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area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loor or the bedding irrespective of the cleaning,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바퀴(72)는 지지부 브라켓(71)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의 무게 중심은 상기 좌우 바퀴(7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청소기의 주행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보다 안정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wheels 72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support bracket 71, respective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72.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ft / right swinging of the cleaner during traveling. As a result,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상기 바퀴(72)는 지지부 브라켓(71)에서 좌우로 연장됨에 따라 상부로 굴곡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는 바퀴(72)의 면적이 좁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 72 is bent upward as it extends laterally from the support bracket 71.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o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This means that the area of the wheel 72 contacting the ground or bedding is narrow.

일례로, 상기 바퀴의 형상은 원통형일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형상의 바퀴는 지면이나 침구와 맞닿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다. 그리고, 침구 청소기의 주행은 직선 방향 전후뿐만 아니라 좌우로 곡선을 형성하면 전진과 후진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바퀴와 침구 사이의 마찰을 무시하고 좌우로 이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통형 형상의 바퀴인 경우 좌우 이동시 침구가 걸려 침구의 밀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wheel may be cylindrical. Such a cylindrical shape wheel has a relatively larg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or bedding. In addition, when the bedding cleaner is cur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well as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in the straight directio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may occur. Of course, depending on the mode of use,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bedding may be neglected and moved to the left or right. However, in the case of a wheel having a cylindrical shape, bedding may be caught when moving left and right, and the bedding may be pushed up.

그러나, 바퀴(72)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침구의 밀림 현상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타원형 바퀴와 침구 사이의 접지면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when the shape of the wheel 72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shap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bending phenomenon of such bedding.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ground plane between the elliptical wheel and the bedding can be minimized.

청소기(200)의 주행은 사용자가 핸들부(80)를 잡고 힘을 가하면서 이루어진다. The traveling of the cleaner 200 is carried out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portion 80 and exerts a forc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80)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잡기가 편리하고 손목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handle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Therefore, it is easy to catch and the wrist fatigue can be reduced.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의 위치는, 바디(20)의 후방 상부에 형성된다. 미련한 디자인과 최급 용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2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핸들부(80)는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80 is formed i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ody 20. The handle portion 8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0 for foolproof design and maximum convenience. 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8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body 20 is penetra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부(80)는 폐곡선을 갖도록 상기 바디(20)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핸들부(80)는 상기 바디 커버(21)에 구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80 may be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body 20 so as to have a closed curve. Particularly, the handle portion 8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cover 21. FIG.

이러한 핸들부(80)의 형상과 위치로 인해, 사용자는 주행을 위하여 바디(10)의 경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전방 주행을 위해서, 전방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경사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전방 성분과 하방 성분으로 나뉠 수 있기 때문이다. Due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80, the user can apply a for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body 10 for running. That is, for forward running, the force can be easily applied not only forward but also downward. This is because the force applied in the oblique direction can be divided into the forward component and the downward component.

상기 핸들부(8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하방 성분은, 상기 흡입 노즐부(25)를 지면에 더욱 밀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The downward component of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80 means that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Therefore, the cleaning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200)의 유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200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지면 또는 침구로부터 공기와 먼지가 에어 가이드(42)를 통하여 청소기(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지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ir and dust from the floor or bedding are introduced into the cleaner 200 through the air guide 42. The air guide 4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먼지통(90)과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42)는 흡입 노즐부(25)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여 상기 먼지통(90)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air guide 42 may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dust container 90. That is, the air guide 42 guid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nozzle unit 25 to the rear upper side and supplies the air to the dust container 90.

상기 먼지통(90)은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90) can be mounted and separa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body (20).

상기 먼지통(90)은 내부에 먼지가 수용되는 챔버(91)를 포함하고,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공기가 배출되는 먼지통 토출부(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90 includes a chamber 91 in which dust is received and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inlet 94 through which dust is introduced and a dust container outlet 95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상기 바디(20)의 경사 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는 메쉬 형태의 격벽(93)에 통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93)의 전방에는 필터(9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92)에 의해서 공기 중의 먼지가 분리되고, 공기가 상기 먼지통 토출부(95)를 거쳐 팬 모터 어셈블리(50)으로 유입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discharging portion 95 may be provi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lique direction of the body 20. The dust container discharging portion 95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in the mesh-shaped partition wall 93. A filter 92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partition wall 93. Therefore, dust in the air is separated by the filter 92, an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an motor assembly 50 through the dust container discharging portion 95.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에어 가이드(42)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통 유입부(94)는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 비해서 상기 흡입 노즐부(25) 측으로 더욱 치우치는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면에 대해서 더욱 수평하게 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receptacle (94) communicates with the air guide (42). In addition, the dust receptacle 94 may be provided at an angle to the suction nozzle 25 as compared with the dust receptacle 95.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at an angle that makes it mor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paper surface.

상기 에어 가이드(42), 상기 먼지통 유입부(94) 그리고 상기 먼지통 토출부(95)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하여, 공기는 실질적으로 후방 경사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좌우, 상하 그리고 전후로 유로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guide 42, the dust receptacle inlet 94 and the dust receptacle outlet 95, the air flows in a substantially rearward oblique direc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prevent the diversion of the flow direction to left, right,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아울러, 이러한 공기 유동 방향은 팬 모터 어셈블리(50)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이 매우 원활히 수행될 수 있고, 공기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air flow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fan motor assembly 50. Thus, the suction can be performed very smoothly and the air flow resistance can be minimized.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는 팬모터 실장부(26)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모터 실장부(26)는 후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베이스 바디(24)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 실장부(26)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도 후방 경사지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중심축이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fan motor assembly 5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base body 24 formed to be inclined rearwar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n motor assembly 50 is also mounted on the fan motor mounting portion 26 in a rear inclined manner.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axis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center line S of the body 20.

이러한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실질적으로 바디(24) 내부에서 상기 바디(20)의 중심선(S)과 나란하거나 동일한 유로 방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팬 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 모터(51)의 중심축도 상기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Because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substantially the same flow direction as that of the center line S of the body 20 can be realized within the body 24. In addition, due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the central axis of the fan motor 51 for introducing the ai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먼지통 토출부(9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패킹(55)을 거쳐서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52, 53)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 챔버(52, 53)는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팬 모터(51)가 장착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discharging portion 95 flows into the motor chambers 52 and 53 surrounding the fan motor 51 through the packing 55. The motor chambers 52 and 53 may include an upper motor chamber 52 and a lower motor chamber 53. Therefore, the upper motor chamber 52 and the lower motor chamber 53 are combin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the fan motor 51 can be mounted in the inner space.

상기 모터 챔버(52, 53)는 챔버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tor chambers 52 and 53 may perform a guide function of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in a discharge direction.

상기 상부 모터 챔버(52)의 상부에는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종적으로 바디(20) 내부에서 매우 미세한 먼지까지 걸러주기 위해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A filter 5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motor chamber 52. That is, the filter 54 may be provided to filter ultimately the minute dust inside the body 20.

상기 필터(54)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모터 챔버(52, 53)의 좌우 양측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베이스 바디(26)의 양측에 구비되는 바디 토출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54 moves downward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tor chambers 52 and 53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discharge port 4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body 26 .

여기서, 상기 바디(20) 특히 바디 커버(21)의 내측과 상기 모터 챔버(52, 53)의 외측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속 감소로 인해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it can be seen that a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inside of the body 20, particularly the inside of the body cover 21, and the outside of the motor chambers 52 and 53.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ir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This is because the air can be discharged by utilizing the side space of the body cover 21, so that the flow velocity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reduced. This reduction in flow rate can significantly reduce noise due to exhaust wind.

전술한 이유로, 상기 모터 챔버(52, 53)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 어셈블리(50)로 인한 소음 차폐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팬 모터(51)를 감싸는 모터 챔버를 이중으로 형성하지 않고 단일 챔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모터 챔버(52)와 하부 모터 챔버(53)의 결합으로 단일 모터 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 커버(21)의 측면 공간을 활용하여 배기풍으로 인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otor chambers 52 and 53. That is, it is possible to simplify or improve the noise shielding structure due to the fan motor assembly 5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ingle chamber without forming a double motor chamber for enclosing the fan motor 51. 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motor chamber 52 and the lower motor chamber 53 can constitute a single motor chamber.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pace of the body cover 21 can be utiliz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oise due to the exhaust win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의 유로가 노즐 흡입구(26, 도 15 참조)에서부터 팬모터(51)에 이르기까지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바디(20)의 경사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기의 유로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메인 바디(20) 내부의 공기 유로의 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원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ir flow path is formed inclined rearward from the nozzle inlet 26 (see Fig. 15) to the fan motor 51.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air flow path is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This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main body 20 is not changed and is smooth.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빈 화살표는 먼지의 유동 경로 그리고 채워진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따라서, 먼지는 먼지통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되고, 공기는 팬모터(51)까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된다. 팬모터(51)에서 공기는 팬모터의 하부를 통해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FIG. 8, the empty arrow indicates the flow path of the dust, and the filled arrow indicates the air flow path. Therefore, the dust flows in the oblique direction to the dust container, and the air flows in the oblique direction to the fan motor 51. In the fan motor 51, air can flow upwar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motor.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72)의 위치와 상기 팬모터(51)의 무게 중심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상기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는 상대적으로 무겁다. 따라서, 이들의 무게가 전체 청소기의 무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wheel 72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n motor 51 is important. The fan motor 51 or fan motor assembly 50 is relatively heavy. Therefore, the weight of the cleaner is larger than the weight of the entire cleaner.

이러한, 팬모터(51) 또는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바퀴(72)와 지지부 브라켓(71)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s of the wheel 72 and the support bracket 71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n motor 51 or the fan motor assembly 50. Conversely,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wheel 72 and the support bracket 71.

구체적으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50)의 무게 중심은, 주행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72)를 통해 형성되는 지지점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팬모터 어셈블리(50)의 장착 위치로 인해, 전체적인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상기 바퀴(72)의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청소기의 무게 중심을 더욱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is preferably positioned in front of a fulcrum formed through the wheel 72 to improve driving stability. Therefore, due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an motor assembly 5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vacuum cleaner 200 can be easily positioned in front of the wheel 72.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ttery is mount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positioned further forward.

그러나, 배터리의 유무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무게 중심은, 흡입 노즐부(25) 후방 그리고 지지부(70)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후방 상부로 경사진 제2 베이스 바디(24)의 지면에 대한 수직 상부에 청소기(200)의 무게 중심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전식 또는 전원 연결식 어느 하나로 청소기가 구현되더라도,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pite the presence of the battery,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ocated behind the suction nozzle unit 25 and in front of the support unit 70.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200 is provided vertically above the ground surface of the second base body 24 inclined rearward. Therefore, even if the cleaner is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rechargeable type or the power-connected type, the running stability can be ensured.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기의 진동시스템(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bration system 30 of a vacuum cleane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FIG.

먼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진동 발생 및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the vibratio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모터(31) 자체의 회전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진동 모터(31)의 회전축(31a)에 편심추(31b)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1a)의 회전으로 상기 편심추(31b)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편심추(31b)의 회전으로 인해 모터 전체에 진동이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모터 회전축(31a)의 편심 부하로 인해 모터가 자체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vibration motor 31 itself. To this end, an eccentric weight 31b may be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31a of the vibration motor 31. [ Accordingly, the eccentric weight 31b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31a, and the entire motor is vibrated by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weight 31b. In other words, the motor itself vibrates due to the eccentric load of the motor rotary shaft 31a. Therefore, vibration can be generated very simply and easily.

상기 모터 자체의 진동은 진동 전달부재(33)를 통해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될 수 있다.The vibration of the motor itself can be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plate 32 through the vibration transmission member 33.

상기 진동 전달부재(33)는 상기 모터(31)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34)와 상기 모터 수용부(34)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may include a motor receiving portion 34 for receiving the motor 31 and a connecting member 35 for connecting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and the vibration plate 32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전달부재(33) 또는 상기 모터 수용부(34)는 중심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심부(36)를 기준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5)는 청소기(200)의 전후로 연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35)는 상기 연결부재(35)의 중심부(36)의 전후로 연장되어 각각 진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5)는 상기 중심부(36)를 기준으로 전후 대칭일 수 있다. 그러나, 모터(31)와 진동 전달부재(33)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5)는 중심부(36)의 좌우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or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36, and the connecting member may extend back and forth or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36 . Referring to FIGS. 9 and 10,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ng member 35 can exten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leaner 200.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35 may exten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entral portion 36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ng plate 32, respectively. The connecting member 35 may be symmetric about the central portion 36. However,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motor 31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are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35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ral portion 36.

또한, 상기 모터 수용부(34) 또는 진동 전달부재(33)는 이격부재(3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33a)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31a)와 상기 힌지축(36)이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시키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이격부재(33 a)는 모터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부(34a)와 상기 연결부재(35)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31)와 모터 수용부(34)를 공간 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제1베이스 바디(23) 상에 상기 모터(31)와 모터 수용부(34)를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or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may include a spacing member 33a. The spacing member 33a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rotation axis 31a of the motor and the hinge shaft 3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pacing member 33a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motor seat portion 34a on which the motor is seated and the connecting member 35 to each other. Furth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a structure for positioning the motor 31 and the motor accommodating portion 34 in space. That is, the first base body 23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motor 31 from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이러한 이격부재(33a)로 인해, 모터(31)와 모터 수용부(34)는 공간 상에서 진동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tor 31 and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are vibrated in the space due to the spacing member 33a and can prevent the vibration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body 23.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추(31b)가 회전하면서, 진동시스템(30)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에 도시된 중심부(36)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x축, 지면을 관통하여 솟아오르는 방향으로 y축 그리고 상측 방향으로 z축이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s the eccentric weight 31b rotates, the entire vibration system 30 vibrat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enter axis 36 shown in Fig. 11 may be referred to as an x axis in the left direction, a y axis in the direction extending through the ground, and a z axis in the upward direction.

진동시스템(30)에 발생되는 진동은 x, y 그리고 z축 모든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 방향은 z축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x와 y축 방향의 진동은 침구 청소와는 무관한 진동이므로 감쇄시킴이 바람직하다.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system 30 can be generated in all directions of the x, y, and z axes. Howev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dding vibrates substantially can be referred to as the z-axis dir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because it is vibration independent of bedding cleaning.

또한, z축 방향의 진동도 필요한 정도의 진동폭만 허용하도록 감쇄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진동폭이 지나치게 크다면 오히려 사용이 매우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ttenuate the vibration in the z-axis direction so as to allow only the necessary vibration amplitude. This is because, if the vibration width is too large, the use may be very inconvenient.

이러한 진동 방향에 따른 진동 감쇄를 위해서 탄성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없는 x와 y축 방향의 진동을 현저히 감쇄시키고 필요한 z축 방향으로 안정적인 진동폭이 발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37 may be provided for vibration damping along the vibration direction. As described later, the elastic member 37 can perform a function of significantly reducing unnecessary vibration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and generating a stable vibration width in the necessary z-axis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하 진폭 즉 z 방향으로의 진폭은 탄성부재(37)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재(35)의 상하 진폭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는 댐퍼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부재(35)의 진폭(예를 들어, 3 내지 4 mm)만을 허용하고, 더 이상의 진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rtical amplitude, that is, the amplitude in the z direction, can be limited by the elastic member 37. In other words, the vertical amplitude of the connecting member 35 is limi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7.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37 performs a damper function to allow only the amplitude (for example, 3 to 4 mm)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prevent further amplitude from being generated.

상기 모터(31)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35)의 전후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중심부로부터 일측에서 상방 진동 변위가 발생되는 경우, 중심부로부터 타측에서 하방 진동 변위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방 진동 변위가 직접 침구에 충격을 가하는 변위라 할 수 있다.Due to the vibration of the motor 31, the front and back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re vibrated in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That is, when an upward vibration displacement occurs from one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downward vibration displacement is generated from the other side from the center portion. The downward vibration displacement may be a displacement that directly impacts the bedding.

그러나, 모터의 회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사용자가 연결부재(35)의 전후에서 동시에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very fast,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user applies shocks both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ng member 35 at the same tim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진동 모터(3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를 진동시킬 수 있는 청소기(200)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200 capable of vibrating two vibration plates using one vibration motor 31. [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31)의 양측에 전술한 중심부(36)와 연결부재(3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center portion 36 and the connecting member 36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ibration motor 31, as shown in Fig.

상기 두 개의 중심부(36)는 동축을 이루도록 중심들이 하나의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36)의 전후에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심부(36)들이 이루는 동축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별개의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될 수 있다.The two center portions 36 may be positioned on one straight line so that their centers are coaxial. Separate vibrating plate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central portion 36, respectively. In other words, separate vibrating plates 3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coaxial axis formed by the central portions 36.

진동 모터(31)와 진동 전달부재(33) 사이의 위치 관계와 진동 전달부재(33)의 형상으로 인해, 연결부재(36)의 진동 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 교차될 수 있다. Ow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bration motor 31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and the shape of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6 can be crossed back and forth as described above.

즉, 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가 하부로 이동될 때, 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는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상부로 이동될 때, 후방에 구비되는 진동 플레이트는(32) 하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흡입 노즐부(25)의 전방과 후방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ibration plate 32 provided at the front side is moved downward, the vibration plate 32 provided at the rear side can move upward. Conversely, when the vibrating plate 32 provided at the front is moved upward, the vibrating plate provided at the rear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ibrating plate 32. Therefore, vibration can be generat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

이러한,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32)와 진동 플레이트 사이의 교차 진동으로 인해, 보다 많은 면적에 진동을 가하게 되어, 청소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시간당 진동을 가하는 횟수를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 효율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This cross vibration between the two vibration plates 32 and the vibrating plate causes vibration to be applied to a larger area, and the cleaning time can be remarkably reduc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applying the vibration per hour can be doubled. Therefore,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ncreased.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진동시스템(3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system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Fig.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노즐부(2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노즐부(25)의 하부 중앙부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흡입구(25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25a)의 연장 방향은 청소기(200)의 주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입구(25a)는 좌우 길이가 길고 전후 길이가 짧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5, the suction nozzle unit 2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suction port 25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 That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25a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200. In other words, the suction port 25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left-right length and a short front-rear length.

상기, 흡입구(25a)는 전술한 에어 가이드(42)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에어 가이드(42)의 일단이 상기 흡입구(25a)를 형성하고, 타단은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흡입구(25a)가 상기 에어 가이드(42)의 일단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uction port 25a may be formed by the air guide 42 described above. That is, one end of the air guide 42 may form the suction port 25a, and the other end may be inclined rearward upward. Of course, the suction port 25a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guide 42.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하부 그리고 상기 흡입구(25a)의 전후에는 각각 진동 플레이트(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곽 형상은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형상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즉, 흡입 노즐부(25)의 형상이 원형일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각 형상, 즉 테두리 형상은 반원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진동 플레이트(32)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vibration plates 32 ar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an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suction port 25a, respectively. Here, the outer shape of the vibrating plate 32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That is, since the shape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may be circular, the outer shape of the vibration plate 32, that is, the shape of the rim is preferably semicir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vibration plates 32 have a circular shape as a whol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31)는 실질적으로 상기 흡입구(25a)의 수직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모터(31)의 길이 방향이 상기 흡입구(25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3, the vibration motor 31 is preferably positioned substantially vertically above the suction port 25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bration motor 31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25a.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동 시스템에서는 모터(14)의 길이 방향이 흡입구(6)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모터(14)가 흡입구(6)의 후방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모터(14)와 진동 플레이트(7) 사이의 진동 전달 메커니즘으로 인해, 흡입구(6)에서 먼지통(12)로 이르는 유로 구조가 복잡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가이드(11)의 구조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이 빈번하게 변경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2 and 4, it can be seen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or 14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let 6 in the conventional vibration system.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tor 14 is located behind the suction port 6. [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of the oil passage from the suction port 6 to the dust container 12 is complicated due to the vibration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the motor 14 and the vibration plate 7. [ That is, as shown in FIG. 3,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structure of the air guide 11 is frequently changed.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25a)의 수직 상부에 진동 모터(31)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에어 가이드(42)의 형상을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모터 수용부(34)나 연결부재(35)와 에어 가이드(42)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vibration motor 31 can be provided vertically above the suction port 25a as shown in Fig. 13, the shape of the air guide 42 can be simplified . This is because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due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housing portion 34 and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the air guide 42.

또한, 이러한 배치로 인해, 진동 모터(31)를 제1 베이스 바디(23)의 중심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 모터(31)의 전후에 각각 위치되는 진동 플레이트(32)에서 효과적이고 균일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due to this arrangement, the vibration motor 31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3.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generate effective and uniform vibration in the vibration plate 32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vibration motor 31, respectivel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31) 자체가 진동한다. 그리고, 진동 전달부재(33)도 진동한다. 따라서, 모터 수용부(34)와 연결부재(35)도 진동하게 된다. 즉, 진동시스템(30) 전체가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시스템(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한편, 발생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tor 31 itself vibrates. Then,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also vibrates. Therefore, the motor receiving portion 34 and the connecting member 35 also vibrate. That is, the entire vibration system 30 vibra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generated vibration to the vibration plate 32 effectively while fixing the vibration system 30 stably.

먼저, 회전하는 모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1)의 상부에서 모터를 보호하는 커버가 필요하다. 물론, 상기 모터(31)는 모터 수용부(34)의 모터 안착부(34a)에 안착되므로, 상기 커버는 상기 모터 수용부(34)를 덮는 모터 수용부 커버(34a)임이 바람직하다.First,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rotating motor from the outside. Therefore, a cover for protecting the moto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 31 is required. Of course, since the motor 31 is seated on the motor seat 34a of the motor housing 34, the cover is preferably a motor housing cover 34a covering the motor housing 34.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1)는 자체 진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모터(31)와 직접 맞닿는 경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진동하여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모터와 이격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31 self-vibrates. Therefore, when the motor housing cover 34a directly contacts the motor 31, the motor housing cover 34a may vibrate and generate nois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housing cover 34a is position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motor.

이를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는 이격 부재(33a)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는 상기 이격 부재(33a)와 소정 갭(d)를 갖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4, the motor housing cover 34a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pacing member 33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housing cover 34a is coupled with the spacer 33a to have a predetermined gap d.

이를 위해서, 상기 이격 부재(33a)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스(39)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스(39)는 모터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가 상기 보스(39)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류를 통해 상기 이격 부재(33a)에 결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pacing member 33a may be provided with a boss 39 projecting upwardly. In addition, the bosses 39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or. The motor housing cover 34a can be coupled to the spacing member 33a through a screw while the motor housing cover 34a is seated on the boss 39. [

물론, 상기 모터 수용부 커버(34a)의 내측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발생될 수 있는 모터(31)와 모터 수용부 커버(34a) 사이의 접촉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cover 34a to minimize contact noise between the motor 31 and the motor housing cover 34a that may be generat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시스템(30)의 대부분 구성은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시스템(30)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탄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효과적인 진동 전달, 진동 면적의 최대화, 그리고 소음 감소를 위해, 진동시스템(30) 전체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 탄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3, mo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system 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base body 23. Here, the vibration system 30 is preferably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base body 23.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vibration, maximize vibration area, and reduce noi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vibration system 3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irst base body 23.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진동시스템(30)의 탄성 지지구조, 특히 진동 플레이트(32)의 탄성 지지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진동 플레이트(32)의 형상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of the vibration system 30, particularly,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of the vibration plate 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FIG.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vibration plate 32 and the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vibration plate 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도면들, 특히 도 5, 도 6 그리고 도 15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플레이트(32)가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청소기(200)를 통해 침구를 청소할 때, 사용자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진동함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 6, and 15, it can be seen that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bedding is cleaned through the cleaner 200,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vibration plate 32 vibrates.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침구에 진동을 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침구를 청소하도록 마련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진동 플레이트(32)가 침구에 진동을 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시각적 관념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진동 플레이트(32)가 청소기(2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brating plate 32 may be configured to apply vibration to the bedding to clean the bedding more effectively. Accordingly, the user may have a strong desire to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vibration plate 32 vibrates the bedding.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200 in order to meet the visual visual sense of the user.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구 청소기에서는 진동 플레이트(7)가 청소기(1)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진동 플레이트(7)가 제대로 작동을 하는지, 어느 정도의 진동을 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진동 플레이트(7)로 인해 침구에서 얼마나 많은 먼지가 비산되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conventional bedding cleaner, the vibration plate 7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1.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onfirm whether the vibration plate 7 is operating properly, how much vibration is applied, and how much dust is scattered on the bedding due to the vibration plate 7.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청소기의 작동 위치에서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플레이트(32)가 침구를 때리는 모양을 가시화하여 청소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vibration plate 32 is exposed so as to be visually externally exposed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vacuum cleaner. Therefore, the shape of the vibrating plate 32 striking the bedding can be visualized,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leaning.

이를 위해서, 상기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25)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를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외곽 형상은 제1 베이스 바디(23)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uction nozzle unit 25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vibration plate 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That is, the outer shape of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base body 23.

그러나,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진동을 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진동 플레이트(32)는 청소 중 침구가 아닌 딱딱한 물체와 접촉되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진동을 허용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되, 바닥의 침구를 제외한 딱딱한 물체와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회피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vibration plate 32 is configured to vibrate, it must be vibr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ase body 23. The vibration plate 32 may be damaged during contact with a hard object other than a bedding during clean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is allow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bu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contact with the hard object excluding the bedding on the floor as much as possible.

이를 위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저면부(32b)와 측면부(32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32a)는 상기 저면부(32b)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측면부(32a)가 청소기(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16, the vibration plate 32 preferably has a bottom portion 32b and a side portion 32a.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may have a heigh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32b. Therefore, the side portion 32a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200 substantially.

침대 메트리스나 침대 위의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 청소기(200)가 침대장, 침대 헤드 보드(head board) 또는 벽면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하는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침대장, 침대 헤드 보드 또는 벽면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청소기가 낙하하는 경우,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에 직접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진동 플레이트(32)의 손상, 탈거, 파손 그리고 변형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When cleaning a bed mat or bedding on a bed, the cleaner 200 may hit the bed sheet, the bed headboard, or the wall. In this case, a vibrating vibrating plate may strike the bed, the bed headboard, or the wall surface to generate noise, and breakage due to impact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vacuum cleaner falls, the vibration plate 32 may be directly impacted. Therefore, when the vibration plate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vibration plate 32 may be damaged, detached, damaged, and deformed.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32)의 최외곽은 흡입 노즐부(25) 또는 제1베이스 프레임(24)의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노즐부(25)가 원형인 경우, 상기 측면부(32a)가 흡입 노즐부(25)의 최외각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청소 도중 진동 플레이트(32)가 벽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진동 플레이트(32)가 아닌 제1베이스 바디(24), 메인 바디(20) 또는 바디 커버(21)가 직접 벽면 등과 맞닿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6,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vibration plate 32 is preferably positioned inside the suction nozzle unit 25 or the first base frame 24. When the suction nozzle unit 25 is cir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plate 32 from bumping against the wall surface during cleaning. That is, the first base body 24, the main body 20, or the body cover 21 other than the vibration plate 32 can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 특히 테두리를 형성하는 진동 플레이트의 측면부(32a)는 상기 흡입 노즐부(25)의 테두리 전체에 대해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흡입 노즐부(25)가 원형인 경우, 흡입 노즐부의 최대 반경보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최대 반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흡입 노즐부(25)가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길이 인입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of the vibrating plate 32 forming the rim of the vibration plate 3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 with respect to the entire rim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In other words, when the suction nozzle portion 25 is cir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radius of the vibration plate is smaller than the maximum radius of the suction nozzle portion. Of course, even if the suction nozzle unit 25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it can be said that the vibration plate is drawn in a predetermined length radially inward.

한편,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는 상하 진동을 하므로, 진동 시 제1 베이스 바디(2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vibration plate 32 vibrates up and down, it is necessary to prevent contact with the first base body 23 during vibration.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4)는 상부 수직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이 실질적으로 흡입 노즐부(25)의 최외각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수직 외벽(23a)가 외부의 벽면과 직접 맞닿을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보호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body or first base body 24 may include an upper vertical outer wall. It can be said that the upper vertical outer wall 23a substantially forms the outermost angle of the suction nozzle part 25. [ Since the vertical outer wall 23a can directly abut the outer wall surface,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protected.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는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의 하부에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 특히 측면부(23c)의 상하 진동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위치되는 하부 수직 외벽(23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부(23c)의 최상단은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과 하부 수직 외벽(23b)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수직 외벽(23a)와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 사이에는 수평벽(23d)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평벽(23d)으로 인한 거리만큼,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The first base body 24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outer wall 23a so as to be drawn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23, And a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23c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outer wall 23a and the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In addition, a horizontal wall 23d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vertical outer wall 23a and the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In other words, the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is positioned radially inward of the first base body 24 by the distance due to the horizontal wall 23d.

상기 측면부(23c)의 최상단과 상기 수평벽(23d)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허용 진동폭보다 상기 소정 거리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진동 플레이트(23)의 진동 조건에서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23c and the horizontal wall 23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larger than the allowable vibration width of the vibration plate 23.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plate 23 from contacting the first base body 24 under the vibration condition of the normal vibration plate 23.

한편,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저면부(32b)와 측면부(32a) 사이에는 곡면부(32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면부(32b)는 상기 곡면부(32c)를 통해 상기 측면부(32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32c)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면적을 키울 수 있다. 따라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curved surface portion 32c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32b of the vibration plate 23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That is, the bottom surface portion 32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through the curved surface portion 32c. Since the curved surface portion 32c can be formed in a round shape, it is possible to increase an area that receives an impact from the outside. Thus, the impact can be mitigated.

또한, 상기 측면부(32a)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부(32a)의 최상단에서의 반경이 최대가 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측면부(32a)를 최대한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시킴과 동시에 측면부(32a) 전체에서의 노출 거리(측면부(32a)와 제1 베이스 바디의 최외각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32a may be formed to extend radially outward as it goes to the upper portion.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at the uppermost end of the side portion 32a is the maximum. This is to minimize the exposure distance (the distance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to the outermost edge of the first base body) of the entire side surface portion 32a while visually exposing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플레이트(23)는 탄성부재(37)에 의해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된다.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진동 폭을 결정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청소기가 미동작 중 낙하하는 경우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많은 충격을 상기 탄성 부재(37)가 흡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plate 23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base body 24 by the elastic member 37. The elastic member 37 determines a vibration width of the vibration plate 23 and absorbs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vibration plate 23. [ For example, when the vacuum cleaner falls down during operation, an external shock may be applied to the vibration plate 23.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7 can absorb a lot of impacts.

그러나, 이러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허용되는 이격거리 이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시 진동이 3 내지 4 mm 일 때, 외부 충격으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상하 또는 전후로 상기 허용 이격거리 이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However, due to such an external impact, the vibration plate 23 can be moved beyond the allowable separation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vibration is 3 to 4 mm at the time of cleaning, the vibration plate 23 can be moved up or down or above and behind the allowable separation distance by an external impact.

이때, 상기 진동 플레이트(23)가 전술한 연결부재(35)나 탄성부재(37)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진동 플레이트(23)의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At this time, the vibration plate 23 may be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member 35 or the elastic member 37 described above. Further, due to such an external impact, the vibration plate 23 may be damaged or deformed.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먼저, 전술한 수평부(23d)가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 리브(23c)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irst,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portion 23d limits the excessive rise of the vibration plate 23. [ Further, a reinforcing rib 23c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vibrating plate 23 from moving excessively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보강 리브(23c)는 진동 플레이트(23)의 측면부(32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과도한 반경 방향 내측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 리브(23c)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23c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ide surface portion 32a of the vibration plate 23. [ That is, the reinforcing rib 23c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vibration plate 23 from being excessively moved radially inward.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직 외벽(23b)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23)의 측면부(32a)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때, 상기 측면부(32a)가 상기 보강 리브(23c)와 맞닿게 된다. The reinforcing rib may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And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lower vertical outer wall 23b. Therefore, when the side portion 32a of the vibration plate 23 is excessively moved radially inward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side portion 32a abuts against the reinforcing rib 23c.

따라서, 외부의 강한 충격을 상기 보강 리브(23c)를 통해서 보다 견고한 제1 베이스 바디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의 강한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 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trong external impact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body, which is more rigid, through the reinforcing rib 23c.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bsorb a strong external impact and prevent the vibration plate from being damaged.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탄성 부재(37)와 이를 통한 진동시스템(30)의 탄성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lastic member 37 and the vibration system 30 through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FIG.

제1 베이스 바디(24)에는 연결홀(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47)을 통해서, 제1 베이스 바디(24)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홀(47)을 통해서, 상부의 진동이 하부의 진동 플레이트(32)의 진동으로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The first base body 24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le 47.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7.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upper vib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7 by the vibration of the lower vibration plate 32.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5)가 상기 연결홀(47)을 관통하여 흡입 노즐부(25)의 하부로 이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5)의 말단에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5)와 진동 플레이트(32)의 탄성 지지를 위해, 상기 연결홀(47)에는 탄성부재(37)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35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7 and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unit 25. [ A vibrating plate (32)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In ord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the vibration plate 32, the connecting hole 47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7.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를 중심으로 전방 양측 2개와 후방 양측 2개로 총 4개의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방의 2개 탄성 지지점은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후방의 2개 탄성 지지점은 후방 진동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를 통해 모터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후방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교차하면서 상하 진동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four supporting points can be formed in total, i.e., two front sides and two rear sides with respect to the motor. In addition, the two elastic fulcrums at the front are connected to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two elastic fulcrums at the rear are connected to the rear vibration plate. Through the connection structure,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cross each other by the vibr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y are vertically vibrated.

상기 탄성부재(37)의 일부는 상기 연결홀(47)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3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7) 자체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탄성부재(37)가 상기 연결부재(35)의 진동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변형은 연결부재(35)의 진동을 의미하고, 이는 진동 플레이트(32)의 진동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A part of the elastic member 37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47 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37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5. The elastic member 37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vib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5 due to the elastic characteristic of the elastic member 37 itself. This elastic deformation means vib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5, which means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32.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연결홀(47)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플렌지부(37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홀(47)의 테두리 상부와 하부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플렌지부(37a)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37 may include a flange portion 37a fixed to a rim of the connection hole 47. [ As shown in FIG. 18, the flange portion 37a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rim of the connection hole 47,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lastic member 37 is fixed to the first base body 24 through the flange portion 37a.

상기 플렌지부(37a)의 반경 방향 내측, 즉 탄성부재(37)의 중심부에는 관통홀(3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7b)은 소정 높이를 갖고, 주름 형태로 내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37b may be form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37a, that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37. [ The through-hole 37b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have an inner diameter varying in a wrinkle shape.

상기 관통홀(37b)에는 상기 연결부재(35)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5)가 상기 관통홀(37b)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35)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5)의 관통된 말단에 상기 진동 플레이트(3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도 상기 연결부재(35)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5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7b. 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35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37b,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35 can be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first base body 24. The vibrating plate 32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5. Therefore,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irst base body 24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35. [

따라서, 이러한 탄성부재(37)의 형상과 고정 구조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x축과 y축 진동은 현저히 감쇄될 수 있다. 아울러, x와 y축 진동 변위 내에는 항상 탄성부재(37)가 개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x축과 y축 진동의 감쇄 및 충격 완화가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due to the shap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37, as described above, the x-axis and y-axis vibrations can be significantly attenuated.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lastic members 37 are always interposed in the x- and y-axis vibration displacements.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x-axis and the y-axis and alleviate the shock.

상기 탄성부재(37)는 상기 플렌지부(37a)와 관통홀(37b) 사이에 연장부(3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에 고정되며, 상기 관통홀(37b)은 진동에 의해 상하 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37c)가 실질적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장부(37c)는 다이아프램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35)와 진동 플레이트(32)의 상하 이동폭이 제한되는 한편, 진동 플레이트(32)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탄성부재(37)의 형상과 고정 구조로 인해, 일정한 z축 진동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elastic member 37 may include an extended portion 37c between the flange portion 37a and the through hole 37b. The flange portion 37a is fixed to the first base body 24, and the through hole 37b moves up and down by vibration. Therefore, the extended portion 37c can be regarded a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exerts an elastic for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ortion 37c is formed in a diaphragm shape. Accordingly, the vertical movement width of the connecting member 35 and the vibration plate 32 is limited, while the external impact that can be applied to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absorbed. In other words, due to the shap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37,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constant z-axis vibration width.

그러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 플레이트(32)의 이동이 과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특, 탄성부재(37)가 관통홀(37b)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청소기의 낙하나 진동 플레이트(32)를 과도하게 상부로 밀거나 하부로 잡아당기는 등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진동 플레이트(32)의 변위가 z 축 방향으로 변위가 크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the movement of the vibration plate 32 due to the external impact may be excessive, thereby causing the elastic member 37 to be disengaged from the first base body 24.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lastic member 37 may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37b. This is because displacement of the vibration plate 32 can be largely displaced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such as dropping the vacuum cleaner or excessively pushing the vibration plate 32 upward or pulling the vibration plate 32 downward .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9)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7)와 관통홀(37b)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가압부재(49)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a pressing member 49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4. That is, a pressing member 49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ase body 24 to further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member 37 and the through hole 37b.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49)는 탄성부재(37)의 플렌지부(37a)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7a)는 상기 가압부재(49)를 통해 상기 관통홀(37b)에 더욱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플렌지부(37a)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관통홀(37b)에서 이탈하려 할 때, 상기 가압부재(49)에 의해 이러한 이동이 구속된다. 왜냐하면,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플렌지부(37a)의 반경 방향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7)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4)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진동시스템(30)이 보다 견고히 제1 베이스 바디(24)에 탄성 지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8, the pressing member 49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flange portion 37a of the elastic member 37. As shown in Fig. The flange portion 37a is further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37b through the pressing member 49. [ Further, when the flange portion 37a moves radially inward and tries to move away from the through hole 37b,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49 is restricted. This is because the radial movement of the flange portion 37a is restricted by the force that is u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37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base body 24. This means that the vibration system 3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first base body 24 by an external impact.

한편, 상기 가압부재(49)는 상기 플렌지부(37a)의 상부 또는 하부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한쪽만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상부만을 가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9)는 플렌지부(37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플렌지부(37a)를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Meanwhile, the pressing member 49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37a, or may be provided to press only one of them. 17 and 18 show an example of pressing only the upper portion. In addition, the pressing member 49 can press the flange portion 37a entir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37a. But,

진동 모터(31)로부터 연결부재(35)가 상기 플렌지부(37a)의 일부를 지나 상기 관통홀(37b)와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는 연결부재의 연장 경로를 제외하는 부분에서만 상기 플렌지부(37a)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nnecting member 35 from the vibration motor 31 must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37b through a part of the flange portion 37a. Therefore, as shown in Fig. 17,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flange portion 37a only in a portion excluding the extension path of the connecting member.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9)는 상기 탄성 부재(37)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또는 제1 베이스 바디(24)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재(49)와 제1 베이스 바디(24)는 별도의 결합 수단(예를 들어 미도시된 스크류 이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수단은 진동시스템(30)과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결합이 진동에도 불구하고 견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마찬가지로,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가압부재(49)에서 상기 탄성 부재(37)에 가하는 가압력이 변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탄성 부재(37)가 제1 베이스 바디(24)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member 49 is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body or the first base body 24 independently of the elastic member 37. In other words, the pressing member 49 and the first base body 24 can be joined through separate engaging means (for example, using a screw not shown). This coupling means can be independent of the vibration system 30. [ Therefore, the coupling of both can be robust despite the vibration. Accordingly, similarl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37 by the pressing member 49 does not change in spite of the vib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lastic member 3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ase body 24.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8을 참조하여, 진동 전달부재(33)와 제1 베이스 바디(24)와의 위치 관계 그리고 탄성부재(37)의 이탈 방지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and the first base body 24 and the escap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elastic member 3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8. Fig.

제1 베이스 바디(24) 특히 제1베이스 바디(24)의 상부에 진동시스템(30)이 구비된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31)는 진동시 외부 구조물과 충돌하는 경우 손상될 수 있다. 물론 외부 구조물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구조물은 제1 베이스 바디(24)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1)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진동 전달부재(33)는 이격부재(33a)를 포함할 수 있다. An oscillating system 30 is provided on top of the first base body 24, particularly the first base body 24. The motor 31 generating vibration may be damaged if it collides with an external structure during vibration. Of course, external structures can be damaged. This outer structure may be the first base body 24.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3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base body 24. To this e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may include a spacing member 33a.

이러한 이격부재(33a)는 상기 모터(31)를 소정 거리 이상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의 상부로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spacing member 33a separates the motor 31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진동 전달 부재(33)는 전후 진동을 위하여 중심부(36)를 갖고 있다. 상기 중심부에서 연결부재(35)이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중심부(36)도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4)와 진동 시에도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3 has a central portion 36 for longitudinal vibra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35 may extend back and forth at the central portion.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36 is located on the first base body 24 a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body 24 even when vibrating.

진동을 진동 플레이트(32)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35)는 상기 중심부(36)에서 전방이나 후방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35a)와 상기 수평부(35)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5b)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mit the vibration to the vibrating plate 32, the connecting member 35 has a horizontal portion 35a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36 and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rtion 35b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a vertical portion 35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상기 수직부(35b)는 연결홀(47)을 관통하여 진동 플레이트(32)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부(35b)는 상기 연결홀(47)에서 상기 탄성부재(37)과 결합된다고 할 수 있다. The vertical portion 35b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on plate 32 through the connection hole 47. [ Of course, the vertical portion 35b may be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37 in the connection hole 47. [

상기 수평부(35a)와 수직부(35b) 사이에는 진폭 제한 리브(33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3c)는 먼저 상기 연결부재(35)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브(33c)는 상기 연결부재(35)가 특히 z 방향 하방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n amplitude limiting rib 33c may b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35a and the vertical portion 35b. The rib 33c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nnecting member 35 first. However, the rib 33c may be provided so as to limit the distance that the connecting member 35 is spaced downwardly in the z direction in particular.

청소시 진동폭은 소정 진동폭을 갖도록 제작되어질 것이다. 일례로 3 내지 4mm 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5) 특히 수평부(35a)의 위치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소정 진동폭 보다 크게 상측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진폭 제한 리브(35c)는 상기 수직부(35c) 인근 또는 상기 연결홀(47) 인근에서 상기 수평부(35a)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vibration width at the time of cleaning will be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vibration width. For example 3 to 4 mm.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5, particularly, the horizontal portion 35a should be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ody 23 by an amount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vibration width. However, the amplitude limiting rib 35c may be extend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35a to the lower portion near the vertical portion 35c or near the connection hole 47. [0044] FIG.

여기서,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소정 진동폭 보다 크게 상측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 일반적인 진동 청소시에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접촉하지 않는다. Preferably,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is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ody 23 by an amount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ibration amplitude. Therefore,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does not contact the first base body 23 during general vibration cleaning.

사용자가 부주의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32)를 하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는 상기 연결부재(35)의 과도한 하방 이격을 방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소정 진동폭 보다 일정 폭 이상으로 상기 연결부재(35)의 하방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는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의 상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더 이상 상기 연결부재(35)의 하방 변위가 발생되지 않는다. The user can inadvertently pull the vibration plate 32 downward. At this time,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prevents the coupling member 35 from excessively separating downward. This is because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ody 23 when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5 occurs at a predetermined width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vibration width. Therefore,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5 is no longer generated.

그러나,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35)의 하방 변위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러한 하방 변위가 커진다는 것은 탄성부재(37)의 하방 변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탄성부재(37)가 제1베이스 바디(32)에서 이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를 통해 탄성부재(37)의 이탈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However, in the absence of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5 can be further increased. The increase in the downward displacement means that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ember 37 is large. According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lastic member 37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base body 32.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isengagement of the elastic member 37 through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can be remarkably reduced.

이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can be easily explained as follows.

상기 탄성부재가 예를 들어 15mm의 하방 변위 발생시 제1베이스 바디(32)에서 이탈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5)에서 10mm 하방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를 통해 더이상 상기 연결부재(35)에서의 하방 변위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10mm 하방 변위 발생에 소요되는 힘보다 추가로 5mm 하방 변위 발생에 소요되는 힘은 현저히 커지게 된다. 즉, 일정한 비율로 힘이 상승하는 힘의 연속성이 깨지기 때문에 탄성부재(37)의 이탈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가 없다면 힘의 연속성이 유지되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부재(37)가 이탈될 수 있다.It can be assumed that the elastic member is detached from the first base body 32 when a downward displacement of 15 mm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a downward displacement of 10 mm is generated in the connecting member 35, downward displacement in the connecting member 35 is no longer generated through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Therefore, the force required to generate an additional downward displacement of 5 mm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force required to generate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10 mm. That is, the possibility of disengagement of the elastic member 37 can be reduced because the continuity of the force that raises the force at a constant rate is broken. Conversely, in the absence of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continuity of force is maintain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37 can be relatively easily disengaged.

한편, 도 11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는 상기 탄성부재(37)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47)을 중심으로 상기 탄성부재(37)보다 반경이 더욱 큰 형태로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1 and 18,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is positioned on the elastic member 37. Fig.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may be formed with a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elastic member 37 about the connection hole 47. [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5)에서 10mm 하방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는 상기 탄성부재(37)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하방 변위가 더욱 커질 수록, 상기 탄성부재(37)를 상기 제1베이스 바디(32)로 더욱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진폭 제한 리브(33c)를 통한 탄성부재(37) 가압력이 더욱 커진다. 이를 통해, 탄성부재(37)의 이탈 가능성이 더욱 작아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진폭 제한 리브(33c)는 전술한 가압부재(49)와 복합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cement member 10 is displaced downward by 10 mm from the connecting member 35,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astic member 37. As the downward displacement becomes larger, the elastic member 37 is further pressed by the first base body 32. That is,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7 through the amplitude limiting rib 33c is further increase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disengagement of the elastic member 37 is further reduced. Of course, such an amplitude limiting rib 33c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the pressing member 49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진동시스템(30)의 탄성지지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astic support structure of the vibration system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Fig.

제1 베이스 바디(23)를 경계로 상부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구성들(모터, 진동 전달부재)가 위치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플레이트(32)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부재(35)의 수직부(35b)가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를 관통하여 진동 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A motor, a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vibration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body 23 as a boundary. In the lower portion, a vibration plate 32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outside is positioned. Specifically, it can be said that the vertical portion 35b of the extension member 35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plate 32 through the first base body 23.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는 탄성부재(37)가 장착되고,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를 경계로 전술한 특징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base body 23 is equipped with the elastic member 37, and thus,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is exhibited by the elastic member.

상기 진동시스템(30)의 구성들은 모두 진동에 의해 변위가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1 베이스 바디(23)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변위는 상기 진동시스템(30)의 진동이나 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이다.All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vibration system 30 are formed by vibra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ase body 23 may have a relatively fixed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vibration or displacement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body 23 through the elastic member is small enough to be negligible relative to the vibration or displacement of the vibration system 30.

따라서, 이러한 진동과 변위 특성상 진동시스템(30)과 제1베이스 바디(23)의 접촉은 떨림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Therefore, due to such vibration and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contact between the vibration system 30 and the first base body 23 may cause a trembling nois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동시스템(30)은 상기 탄성부재(37)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탄성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7)를 통해, 상기 진동시스템(30) 전체가 상기 제1베이스 바디(23)에 대해서 진동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system 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base body 23 by the elastic member 37.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vibration system 30 is supported to vibr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body 23 through the elastic member 37.

따라서, 탄성부재(37)를 제외하고는 진동시스템(30)과 제1베이스 바디(23) 넓게는 다른 고정 구성들과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소음 발생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vibration system 30 and the first base body 23, except for the elastic member 37, are prevented from being widely contacted with other fixing structures, so tha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noise generation.

아울러, 이러한 탄성 지지 구조를 통해, 진동 플레이트(32)의 바닥면 전체에서 균일한 진폭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진동 면적 즉 청소 면적을 높일 수 있고, 청소 면적 전체에서 균일하고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rough this elastic support structure, a uniform amplitude can be generated on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vibration plate 32. [ Therefore, the vibration area, that is, the cleaning area can be increased, and uniform and effective cleaning can be performed over the entire cleaning area.

20 : 바디 (메인 바디) 21 : 바디 커버
22 : 베이스 바디 23 : 제1 베이스 바디
24 : 제2 베이스 바디 25 : 흡입 노즐부
25 : 팬모터 안착부 30 : 진동시스템
31 : 진동 모터 32 : 진동 플레이트
33 : 진동 전달부재 34 : 모터 수용부
35 : 연결부재 35c : 진폭 제한 리브
36 : 진동 전달부재 중심부 37 : 탄성 부재
49 : 가압 부재
20: Body (Main Body) 21: Body Cover
22: base body 23: first base body
24: second base body 25: suction nozzle part
25: Fan motor seat 30: Vibration system
31: Vibration motor 32: Vibration plate
33: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34: motor receiving portion
35: connecting member 35c: amplitude limiting rib
36: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central portion 37: elastic member
49: pressing member

Claims (20)

흡입 노즐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와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구비되는 진동시스템을 갖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시스템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청소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시스템은 상기 흡입 노즐 바디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 노즐 바디에 대해서 탄성 지지되는 청소기.
1. A vacuum cleaner having a suction nozzle body forming a suction nozzle and a vibration system provided on the suction nozzle body,
The vibration system includes:
A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A vibration plate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nd a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vibration generated in the motor to the vibration plate,
Wherein the vibration system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uction nozzle body by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uction nozzl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otor and which is engaged with the elastic member and the vibration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심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연장된 후 각각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extend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center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시스템은, 상기 모터를 중심으로 전방 양측과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통해, 4개의 탄성 지지점을 통해 탄성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bration system is resiliently supported through four elastic fingers through elastic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o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양측 탄성 지지점을 통해 전방 진동 플레이트가 탄성 지지되고, 상기 후방 양측 탄성 지지점을 통해 후방 진동 플레이트가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후방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vibration plate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front both side elastic support points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is elastically supported through the rear both side elastic support points, and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are separately provid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후방 진동 플레이트는 서로 교차되도록 상하 진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ont vibration plate and the rear vibration plate oscillate up and down so as to intersect each other.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 수용부와 상기 진동 플레이트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Wherein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moto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otor, and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motor receiving portion and the vibration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바디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상하 진폭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be fix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body, and the vertical amplitude of the vibration plate is limi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회전에 의해서 자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tor vibrates by rotation due to an eccentric load of the rotating shaf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청소 대상물에 대응되는 저면부; 그리고
상기 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가 상기 청소기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ibration plate comprises:
A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nd a side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vibrating plate is exposed through the side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vacuum clean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홀에 상기 탄성부재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 그리고 흡입 노즐부 바디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tor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body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vibration plat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uction nozzle body through the connection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홀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가 삽입되는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반경 방향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into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im of the connection hole are insert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radially inwardly of the flange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고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pressing member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unit to press the fixing unit to prevent the fixing uni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심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동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수직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최대 하방 변위를 제한하는 진폭 제한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from the center portion;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 engage with the vibration plate; And
And an amplitude restricting rib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to limit the maximum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한 리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하방 변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로 가압하도록, 상기 탄성부재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mplitude limiting rib is positioned on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pressed by the suction nozzle body when 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제한 리브의 길이는 상기 탄성부재의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length of the amplitude limiting rib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elastic member.
진동을 가하여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 노즐을 형성하는 흡입 노즐부 바디;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의 편심 부하로 인해 자체 진동하는 모터;
상기 흡입 노즐부 바디 외부에 구비되어 청소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플레이트;
상기 모터의 진동을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재;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부 바디에 대해서 상기 모터, 진동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진동 전달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 A vacuum cleaner for sucking dust by applying vibration,
A suction nozzle body forming a suction nozzle;
A motor provided inside the suction nozzle unit and self oscillating due to an eccentric load of the rotating shaft;
A vibrating plate provided outside the suction nozzle unit to apply vibration to the object to be cleaned;
A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to the vibration plate;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tor, the vibration plate, and the vibration transmitt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unit bod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플레이트는, 상기 흡입 노즐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 상기 흡입 노즐 후방에 상기 전방 진동 플레이트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후방 진동 플레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vibration plate includes a front vibration plate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nozzle and a rear vibration plat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ront vibration plate behind the suction nozzle.
KR20130037103A 2013-04-04 2013-04-04 vacuum cleaner KR101490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103A KR101490267B1 (en) 2013-04-04 2013-04-04 vacuum cleaner
JP2014076843A JP5789022B2 (en) 2013-04-04 2014-04-03 Vacuum cleaner
CN201410136485.7A CN104095585B (en) 2013-04-04 2014-04-04 Dust cat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103A KR101490267B1 (en) 2013-04-04 2013-04-04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83A true KR20140120783A (en) 2014-10-14
KR101490267B1 KR101490267B1 (en) 2015-02-05

Family

ID=5166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7103A KR101490267B1 (en) 2013-04-04 2013-04-04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89022B2 (en)
KR (1) KR101490267B1 (en)
CN (1) CN10409558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4046A (en) * 2013-06-24 2014-12-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Vacuum cleaner
CN105411475A (en) * 2015-11-04 2016-03-23 林三军 Bedding dust cleaner
CN108095640B (en) * 2017-12-27 2020-10-16 李佳璇 Cleaning and brushing integrated floor sweeping robot
JP7224967B2 (en) 2019-03-05 2023-02-20 株式会社マキタ upright dust collector
JP7461729B2 (en) * 2019-10-29 2024-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102599327B1 (en) * 2021-10-22 2023-11-09 최광순 Smart vibration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627A (en) * 1989-05-15 1990-12-11 Tok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for thick bedquilt, mattress, and the like
JPH0751210A (en) * 1993-08-13 1995-02-28 Suiden:Kk Cleaner for removing chewing gum
AU2004202834B2 (en) * 2003-07-24 2006-02-23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KR100611015B1 (en) * 2004-12-22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op brush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5002386B2 (en) * 2007-09-18 2012-08-1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Suction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200455643Y1 (en) * 2008-05-07 2011-09-16 주식회사 부강샘스 Vibration exciter for vacuum cleaner
WO2009154360A2 (en) * 2008-06-18 2009-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N201295202Y (en) * 2008-11-17 2009-08-26 金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Wax-polishing machine electric motor shock absorption structure
CN201414755Y (en) * 2008-12-12 2010-03-03 黄演洪 Full automatic scrubber
KR200448024Y1 (en) *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Cleaner for bed clothes
CN201631109U (en) * 2009-12-14 2010-11-17 许培振 Sterilizing double-suction dust collector
KR101154823B1 (en) * 2010-03-11 2012-06-08 한경희 beat member an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5585A (en) 2014-10-15
KR101490267B1 (en) 2015-02-05
CN104095585B (en) 2017-08-08
JP2014200686A (en) 2014-10-27
JP5789022B2 (en)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660B1 (en) vacuum cleaner
KR101490267B1 (en) vacuum cleaner
TWI736882B (en) Nozzle for cleaner
KR102266928B1 (en) Mop module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369997B1 (en) Nozzle for cleaner
TWI769892B (en) Cleaner
KR102613447B1 (en) Cleaner
KR20040096252A (en) Bumpering and sensing device for robot vacuum cleaner
KR101443648B1 (en) vacuum cleaner
KR101443649B1 (en) vacuum cleaner
KR101436631B1 (en) Vacuum cleaner
CN104224046A (en) Vacuum cleaner
KR102422950B1 (en) Nozzle for cleaner
KR101507853B1 (en) vacuum cleaner and a manufacturion method of the same
KR102367199B1 (en) Robot cleaner
JP2010253206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KR102297759B1 (en) Robot cleaner
KR20100095041A (e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052158B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