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839A -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839A
KR20140119839A KR1020130032447A KR20130032447A KR20140119839A KR 20140119839 A KR20140119839 A KR 20140119839A KR 1020130032447 A KR1020130032447 A KR 1020130032447A KR 20130032447 A KR20130032447 A KR 20130032447A KR 20140119839 A KR20140119839 A KR 2014011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ct
mbsfn
mcch
subframe
chang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안재현
김종남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3003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9839A/ko
Publication of KR2014011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BCCT와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는 단계, 및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BMS 수신방법을 개시한다.
NCT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에서 MBMS 또는 MBSFN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규약이 명확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B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N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는 기존의 CBS(Cell Broadcast Service)와 유사하게 동일하게 데이터 패킷을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저속의 메시지 기반 서비스인 CBS와 달리 MBMS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IP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일정 수준의 사용자가 동일한 셀에 존재하는 경우 각 사용자로 전송하는 경우 필요한 자원(또는 채널)을 공유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여 무선 자원의 효율을 높이고 사용자 입장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값싸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MBMS의 장점이다. MBMS를 지원하기 위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MBSFN은 MBMS 셀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셀에서, 동일한 MBMS 채널을 동시에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공통의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와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한편, 다중 요소 반송파(multiple component carrier) 시스템은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이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연속(continuous) 또는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는 물리계층의 범용성이 중시되어, 제어 영역 중복 및 공통 신호 오버헤드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를 위한 자원이 줄어들어 스펙트럴 효율(spectral efficiency) 면에서 불필요한 손실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다중 반송파 시스템을 구성하는 새로운 반송파 타입(NCT: New Carrier Type)의 도입이 요구되었다. 상기 NCT에서는 레가시 반송파 타입(LCT: Legacy Carrier Type)에 비하여 성능의 저하가 없거나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 혹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시그널링을 제거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최대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획득할 수 있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NCT와 같은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NCT를 활용하여 MBMS 또는 MBSFN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NCT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에서 MBMS 또는 MBSFN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ackward compatible carrier type: BCCT)과 새로운 반송파 타입(new carrier type: NCT)의 집성(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제공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legacy control region)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area)에 관한 MCCH(MBMS control channel)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고, 다음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부터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CCT)과 새로운 반송파 타입(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MBMS의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는 단계, 및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BCCT과 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생성하는 기지국 프로세서, 및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상에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상기 MBSFN 지역에 대해 새로운 MCCH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BCCT과 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MBMS의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상에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상기 MBSFN 지역에 대해 새로운 MCCH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NCT에 기반한 통신 시스템에서 MBMS 또는 MBSFN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시그널링 규약이 명확해지고, 단말이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의 수신을 위해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절차가 간소해지며,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과 기존의 MBSFN 서브프레임간에 호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MBSFN 기반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Δf가 각각 15kHz와 7.5kHz인 경우의 안테나 포트 4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의 패킷 구조를 도시하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의 패킷 구조를 도시하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MBMS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됨으로써 얻어지는 간섭회피에 대한 이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advanced)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한편,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FDMA(Single Carrier- 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TRAN은 단말에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S),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ode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 기지국(femto-eNB), 피코 기지국(pico-eNB), 홈기지구(Home eN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셀은 기지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pair)으로 존재한다.
기지국(20)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지국(Source BS, 21)은 현재 단말(10)과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 기지국을 의미하고, 타겟 기지국(Target BS, 22)은 단말(10)이 소스 기지국(21)과의 무선 베어러를 끊고 새롭게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하려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간의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S(Evolved Packet System),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관리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MME/S-GW(30)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DN-GW(40)이 사용된다. PDN-GW(40)는 통신의 목적이나 서비스에 따라 달라지며, 특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PDN-GW(40)는 APN(Access Point Name)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제어채널은 제어평면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BCCH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하향링크 채널이다. PCCH는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채널로, 네트워크가 단말의 위치를 모를 때 사용한다. CCCH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로, 단말이 네트워크와 RRC 연결이 없을 때 사용한다. MCCH(MBMS control channel)는 MBMS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하향링크 채널이며, MBMS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사용된다. DCCH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전용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점대점 단방향 채널이며, RRC 연결을 갖는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평면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DTCH는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한 점-대-점(point-to-point) 채널이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한다. MTCH(MBMS traffic channel)는 트래픽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점-대-다점 하향링크 채널이며, MBMS를 수신하는 단말에게 사용된다. MCH는 셀 전영역에의 브로드캐스트 및 MBSFN(MBMS Single Frequency Network) 지원으로 특징된다. MBSFN은 MBMS 셀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셀에서, 동일한 MBMS 채널을 동시에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해 공통의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와 스프레딩 코드(spreading code)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MCH는 셀 전영역에의 브로드캐스트 및 MBSFN 지원으로 특징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MBSFN 기반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BSFN 기반의 통신 시스템(200)은 다중셀 조정개체(Multi-cell Coordination Entity, 이하 MCE, 210), MBMS 게이트 웨이(MBMS GW, 215)와 기지국(eNB, 220)을 포함한다.
MCE(210)는 MBMS를 제어하는 주요 개체(main entity)로서, MBSFN 지역내에서의 기지국(220)의 세션 관리, 무선자원할당(radio resource allocation)이나 허가제어(admission control)의 역할을 수행한다. MBMS 게이트웨이(215)는 MBMS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개체로서 기지국(220)과 BM-SC의 사이에 위치하며 기지국(220)으로의 MBMS 패킷전송과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한다. MBMS 게이트웨이(215)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220)으로 전송하기 위해 PDCP와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한다.
지리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나 혹은 같은 위치라고 할지라도 다른 MBSFN 지역(area)을 설정하여 MBMS 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MBSFN 지역 #1은 MBSFN 서브프레임(subframe)을 주파수 f1에 할당해서 특정 MBMS 서비스 A를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MBSFN 지역내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f1에 MBSFN 서브프레임을 할당하여 MBMS 서비스 A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SFN 지역 #2의 경우에도 MBMS 서비스 A를 지원할 수 있지만, MBSFN 지역 #1에서의 주파수 자원 f1과는 다른 f3을 이용하여 MBMS 서비스 A를 지원할 수 있다. 동일 MBSFN 지역내에서는 단말이 이동 시에도 동일한 MBMS 구성(configuration)에 기반하여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지역적인 변경시에 동일 MBSFN 지역내에서도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BSFN 기반의 통신 시스템(200)은 MB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MBSFN 서브프레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왼쪽부터 2번째와 5번째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이며, 2번째 서브프레임은 MBSFN 지역 #1의 MBMS 서비스를 지원하고, 5번째 서브프레임은 MBSFN 지역 #2의 MBMS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리고 MBSFN 이외의 일반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과 구분하여 노멀 서브프레임(normal subframe)이라 칭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주파수 반송파(frequency carrier)에 대해서 MBMS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쓰일 수 있는 서브프레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은 MBMS 수행을 위한 특별한 형태의 슬롯 구조(Slot structure)를 가진다. 예를 들어, MBSFN 서브프레임은 PMCH 전송에 대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RS(Reference Signal)의 전송을 위해 안테나 포트 4를 사용한다. 안테나 포트 4에 있어서, RS에 할당되는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4의 맵핑은 도 3 및 도 4와 같다. 도 3과 도 4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Δf가 각각 15kHz와 7.5kHz인 경우의 안테나 포트 4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Δf=7.5kHz인 경우의 안테나 포트 4는 Δf=15kHz인 경우에 비해 더 넓은 지역에서 MBSFN 전송을 목적으로 하며, MBSFN 전용 반송파(dedicated carrier)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 외는 혼합(mixed) MBSFN/유니캐스트(unicast) 반송파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MBSFN 전용 반송파는 레가시 제어 영역(legacy control region)과 상향링크 반송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반송파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새로운 반송파 타입(NCT)에 대해 상세히 개시된다. 단말이 반송파를 집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기존의 반송파 타입(주서빙셀로 설정)과 NCT를 집성할 수 있다. NCT는 예를 들어 PBCH, PDCCH, PHICH, PCFICH 등의 신호들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NCT는 전송 모드(TM) 1 내지 8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즉, TM9 또는 TM10이 NCT에서 지원될 수 있다. NCT에서는 8 계층까지 전송 방법이 지원될 수 있으며, DCI 포맷 1A 및 2C/2D가 NCT상의 PDSCH 전송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CI 포맷 1A 및/또는 2C/2D는 NCT상의 ePDCCH(enhanced PDCCH)를 통하여 지시될 수 있고, LCT로부터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을 통하여 지시될 수도 있다. 상기 TM9 또는 TM10이 NCT에서 지원될 수 있으므로 CSI feedback을 지원하기 위한 CSI-RS가 NCT상에서 지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CT는 넌-스탠드얼론(Non-standalone) NCT, 스탠드얼론(standalone) NCT 및 휴면(dormant) NCT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로, 넌-스탠드얼론 NCT는 단독의 셀 형태로 존재할 수 없고 주서빙셀이 존재하는 경우에 부서빙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NCT이다. 예를 들어 CA가 설정된 단말에 주서빙셀로 레가시 반송파 타입(LCT)이 설정된 경우, 넌-스탠드얼론 NCT 부서빙셀이 함께 집성될 수 있다.
넌-스탠드얼론 NCT는 동기(Synchronized) NCT와 비동기(Unsynchronized) NCT로 구분될 수 있다.
동기 NCT는 다른 반송파(예를 들어 레가시 반송파)의 동기를 참조하여 동작하는 NCT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동기 NCT는 다른 반송파와 시간 및 주파수에서 동기화되어 단말에서 별도의 동기화 절차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동기 NCT는 PSS, SSS 및 CRS(그리고 TRS,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용(common) RS들의 오버헤드 감소(overhead reduction)가 가능하다. 동기 NCT에서는 상기 오버헤드 감소로 인하여 인접셀에 대한 간섭 완화(interference mitigation), 에너지 세이빙(energy saving), 스펙트럴 효율 향상(imporved spectral efficency) 등의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공용 RS들이 줄어듦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는 좀더 유연(flexible)하게 주파수 대역폭(frequency bandwidth) 활용을 할 수 있다.
비동기 NCT는 다른 반송파(예를 들어 레가시 반송파의 형태인 주서빙셀)와 무관하게 독립적인 동기를 획득하여 동작 가능한 NCT를 의미한다. 이 경우 비동기 NCT의 경우, PSS 및 SSS는 레가시 반송파 타입과 동일하게 전송하나, CRS 전송 빈도 및 전송 대역폭은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동기 NCT에서는 CRS가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CRS는 감소 CRS(reduced CRS) 또는 오직 동기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TRS(Tracking RS)라고 불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TRS는 시간축으로 5ms 주기를 가지고, CRS 안테나 포트 0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RS는 주파수축으로 전체 시스템 대역폭으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시스템 대역폭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둘째로, 스탠드얼론 NCT는 단독의 셀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NCT이다. 예를 들어, 스탠드얼론 NCT는 주서빙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스탠드얼론 NCT 또한 넌-스탠드얼론 NCT와 마찬가지로 CRS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CRS를 기반으로 하는 제어 채널인 기존의 PDCCH, PHICH, PCFICH가 제거되거나 다른 형태의 채널로 대체될 수 있다. 스탠드얼론 NCT에서 ePDCCH 및 PDSCH의 복조(demodulation)는 DMRS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셋째로, 휴면 NCT는 경우에 따라서 온, 오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는 NCT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면 NCT는 트래픽(traffic) 상태에 따라서 온(활성), 오프(휴면)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의 트래픽 요구사항에 따라 휴면 NCT 셀에 대한 파워를 턴 오프함으로써, 에너지를 세이빙하고, 셀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휴면 NCT가 휴면 모드인 경우, 기지국은 최소한의 시그널을 단말로 전송하기 위하여 CRS를 전송하지 않고, 보다 긴 주기의 셀 식별 시그널(예를 들어 PSS/SSS)만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셀 식별 시그널은 DS(Discovery Signal)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MBSFN을 정상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NCT상에서도 MBSFN 서브프레임이 제공된다. NCT상의 MBMS 서비스는 MBSFN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며,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ackward Compatible Carrier Type: BCCT)상의 MBMS 서비스와 마찬가지의 시그널링 정보가 요구된다. 다만, NCT의 특성상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는 BCCT의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와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MBSFN의 동작과는 다른 NCT 특유의 동작, 예를 들어 시그널링 구조 및 시그널링 방법 또한 달라져야 한다.
예를 들어, MBSFN 방식에서는 특정 MBSFN 지역에 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MCCH change notification)가 사용된다. MCCH 변경 통지는 물리계층 수준에서 생성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포맷 1C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DCI 포맷 1C를 나르는 PDCCH는 MBSFN에 특유한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 즉 M-RNTI에 의해 구성(configured) 또는 스크램블(scrambled)된다. M-RNTI에 의해 구성 또는 스크램블된 PDCCH(DCI format 1C)는 각 서브프레임의 제어영역(control region)에서 정의되는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상에서 전송되며, 단말은 M-RNTI에 의해 구성 또는 스크램블된 PDCCH를 수신하기 위하여,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monitoring)한다. 그런데, NCT에서는 M-RNTI에 의해 구성 또는 스크램블된 PDCCH와 공용 검색 공간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단말은 NCT상의 MBMS 서비스에 관하여서 NCT를 통해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NCT상의 MBMS 서비스에 관한 MCCH 변경 통지 방법이 필요하다. 이하에서,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되는 영역을 레가시 제어영역(legacy control region) 또는 공용 제어 영역이라 칭한다.
(1) NCT상의 서브프레임 내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구성하는 방법
본 실시예는 NCT상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NCT상의 서브프레임 내에 별도의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단말들은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NCT 상에서 공용 검색 공간을 별도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1-1) NCT상의 실제(real)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르면, NCT상의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MBMS 서비스 또는 PMCH와 MCCH 변경 통지는 모두 NCT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이 f1인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주파수 대역이 f2인 부서빙셀(SCell)이 단말에 의해 집성되고,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상에서 각각 노멀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여기서, 주서빙셀은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CCT)이고, 부서빙셀은 NCT이다. 특히 부서빙셀은 NCT 중에서도 주서빙셀과 같은 레가시 반송파에 연관된 상황에서만 부서빙셀이 되는 넌-스탠드얼론 NCT 타입일 수 있다.
BCCT는 레가시 반송파이므로, 도 5와 같이 각 서브프레임의 타입은 노멀과 MBSFN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BCCT에서는 CRS가 전송되기 때문에, 서브프레임 타입에 상관없이 레가시 제어영역이 모든 서브프레임에 포함된다. 반면 NCT는 CRS와 그것에 연관된 채널들은 전송되지 않는 것을 기본 디자인으로 하고 있다. 이는 NCT는 향상된 스펙트럴 효율(spectral efficiency)과 유연한(flextible) 주파수 자원활용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NCT상의 서브프레임들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PDSCH나 강화된(enhanced)-PDCCH(E-PDCCH)가 매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벌에서부터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NCT상의 서브프레임을 보면, NCT상에서 노멀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 #6, #7,...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나,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2, #3,..., #8,...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한다. 즉, NCT상에서 서브프레임의 타입에 따라 레가시 제어영역이 존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은 MBMS 데이터 또는 MCCH 또는 MTCH 또는 PMCH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이다.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즉,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 후보(candidate) MBSFN 서브프레임과는 다르다.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은 #1, #2, #3, #6, #7, #8이고,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은 #3, #4, #7, #8, #9일 수 있다.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은 후보 MBSFN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선택되며, 이러한 선택은 RRC, SIB와 같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인 MBSFN 서브프레임 구성(MBSFN subframe configuration) 정보에 의한다. 예를 들어,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최대 후보 MBSFN 서브프레임들의 개수와 같은 길이의 비트맵으로서, 한 무선 프레임(radio frame)내에서 매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비트를 1 또는 0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이 실제 MBSFN 서브프레임(비트=1인 경우)인지 아닌지(비트=0인 경우)를 지시할 수 있다.
FDD 시스템을 예로 들면,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도 6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총 6비트이다. MSB(most significant bit)부터 LSB(least significant bit)까지 순차적으로 서브프레임 #1, #2, #3, #6, #7, #8에 맵핑된다. 만약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가 100100이면, 서브프레임 #1과 #6이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이 된다.
TDD 시스템을 예로 들면,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도 6의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총 6비트이고, 이 중에서 LSB를 제외한 나머지 5비트들만이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MSB부터 LSB까지 순차적으로 서브프레임 #3, #4, #7, #8, #9에 맵핑된다.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도 6과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 단위로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4개의 무선 프레임 단위로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MBSFN 서브프레임 구조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의해 지정된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에서만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나머지 후보 MBSFN 서브프레임들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MBSFN 서브프레임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시킬지를 지시하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생성하거나 단말에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단말은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의해 실제 MBSFN 서브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고, 묵시적으로(implicitly)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MBSFN 서브프레임까지 식별할 수 있다.
(1-2) NCT상의 후보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르면, NCT상의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이 f1인 주서빙셀(PCell)과 주파수 대역이 f2인 부서빙셀(SCell)이 단말에 의해 집성되고,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상에서 각각 노멀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여기서, 주서빙셀은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CCT)이고, 부서빙셀은 NCT이다. 특히 부서빙셀은 NCT 중에서도 주서빙셀과 같은 레가시 반송파에 연관된 상황에서만 부서빙셀이 되는 넌-스탠드얼론 NCT 타입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 #2, #3,..., #6, #7, #8,...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고, 노멀 서브프레임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이 모두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도 8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는 실제 MBSFN 서브프레임만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도 5와 차이가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시스템 정보(구체적으로는 FDD/TDD에 대한 듀플렉스 정보)를 통하여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을 미리 알고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어느 MBSFN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지에 관한 시그널링을 단말에게 별도로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은 후보 MBSFN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지 알 수 있다.
(1-3) NCT상의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 내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르면, NCT상의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이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이 f1인 주서빙셀(PCell)과 주파수 대역이 f2인 부서빙셀(SCell)이 단말에 의해 집성되고,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상에서 각각 노멀 서브프레임 또는 MBSFN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여기서, 주서빙셀은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CCT)이고, 부서빙셀은 NCT이다. 특히 부서빙셀은 NCT 중에서도 주서빙셀과 같은 레가시 반송파에 연관된 상황에서만 부서빙셀이 되는 넌-스탠드얼론 NCT 타입일 수 있다. 도 9의 NCT상의 서브프레임을 보면, NCT상에서 노멀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 #6, #7, #8...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된(configured)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2만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서브프레임은 모든 MBSFN 지역들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MBMS 통지 설정 정보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통해서 지시된 서브프레임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은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될 서브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설정된 서브프레임은 항상 실제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셋내에서만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설정해주기 위해,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단말로 전송해주며, 단말은 상기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식별하고, 설정된 해당 서브프레임 내의 레가시 제어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SIB13내의 MBMS 통지 설정 정보(MBMS-NotificationConfig)에 포함된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notificationSF-index)일 수 있다.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FDD 시스템일 경우 1~6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값은 서브프레임 #1, 2, 3, 6, 7, 8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1이면 지정된 MBSFN 서브프레임은 #1이고,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2이면 지정된 MBSFN 서브프레임은 #2이다. 도 9에서는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2로 설정된 경우이다.
TDD 시스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1~5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값은 서브프레임 #3, 4, 7, 8, 9에 대응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를 때,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만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되는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5와 도 8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즉,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MBSFN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은 PMCH 전송이 가능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과 PMCH 전송이 불가능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는 PMCH 전송이 가능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이고, 제2 실시예는 PMCH 전송이 불가능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은 BC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과 일 측면에서 동일한 성질을 가진다. 첫째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의 MBSFN 영역(region)내의 OFDM 심벌(symbol)들은 확장 CP(cyclic prefix)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다음의 3가지 조건, 즉 i) 일반적인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의 전송과는 달리 MBSFN은 방송이나 멀티캐스트 전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ii)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같은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며, iii) 단말은 멀티패스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는 조건에서, 긴 CP길이를 가지는 것이 OFDM 심벌간의 심벌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 ISI)을 제거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MBSFN 서브프레임 내의 non-MBSFN 영역(region)은 확장 CP(extended CP)와 노멀 CP(normal CP)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non-MBSFN 영역은 물리계층의 제어정보를 나르는데 사용되는 자원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non-MBSFN 영역이 확장 CP를 지원하는지, 노멀 CP를 지원하는지는 노멀 서브프레임에 설정된 CP 타입에 달려 있다.
셋째로, MBSFN에서 사용되는 기준신호인 안테나 포트 4의 RS가 PM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상에서만 MBSFN 영역에서 전송된다.
넷째로, CRS는 레가시 제어영역, 즉 non-MBSFN 영역 상에서만 전송된다. 그러므로 PDCCH, PHICH 또는 PCFICH와 같은 레가시 제어채널들 또한 레가시 제어영역에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은 다음의 측면에서 BC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과는 다른 특유한 특징을 가진다. 첫째로, NCT상에서는 SIB2로 설정된 모든 MBSFN 서브프레임들 중 제1 실시예와 같이 PMCH가 전송되도록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MBSFN 서브프레임들에서는 TRS가 전송되지 않는다.
둘째로, NCT상의 Non-MBSFN 영역내의 CRS 안테나 포트 수는 BCCT(또는 주서빙셀) 상에서 수신된 PBCH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단말과 기지국이 가정하거나 BCCT 상으로 RRC 시그널링될 수 있다.
셋째로,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 내에서 PDSCH(unicast transmission)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는 하기의 MBSFN 서브프레임은 제외한다. i) 단말이 전송모드(transmission mode: TM) 9 또는 10로 설정되고 SIB2로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제1 실시예와 같이 PMCH가 전송되도록 설정된 서브프레임 또는 ii) 하나의 포지셔닝 RS 오케이션(occasion)의 일부가 되도록 설정된 서브프레임, 여기서 포지셔닝 RS 오케이션은 오직 MBSFN 서브프레임들 안에 설정되고 서브프레임#0에서 사용되는 CP 타입이 노멀 CP인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PMCH가 전송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은 포지셔닝(positioning) RS의 존재 여부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2) BCCT상의 서브프레임의 제어영역을 이용하는 방법
본 실시예는 NCT상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NCT상의 서브프레임 내에 별도의 레가시 제어영역을 구성하기 보다는, BCCT(또는 주서빙셀)의 공용 검색 공간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단말들은 NCT 상에서는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MBMS 서비스 또는 PMCH는 NCT상에서 전송되나, MCCH 변경 통지는 BCCT상에서 전송된다.
다만, BCCT상의 서브프레임의 공용 검색 공간에서 NCT의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된다 하더라도, BCCT와는 다른 개별적인 PDCCH를 통해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될 수도 있고(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이용), 하나의 PDCCH를 통해 2개이상의 셀(즉, BCCT와 NCT)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될 수도 있다.
(2-1) BCCT와 NCT의 MCCH 변경 통지들을 BCCT상의 서로 다른 PDCCH에 의해 전송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NCT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1, #2, #4에는 레가시 제어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기지국은 BCCT의 서브프레임의 공용 검색 공간에서 서브프레임 #1, #2, #4에서의 MCCH 변경 통지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NCT를 위한 MCCH 변경 통지(또는 다른 NCT의 공용 제어정보)를 BCCT의 공용 검색 공간 상으로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 지시 필드(Carrier Indicator Field: CIF)를 사용한다. 따라서 단말은 오직 BCCT 상에만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점은 기존과 동일하나, BCCT의 공용 검색 공간에서 BCCT를 위한 DCI 포맷 1C와 NCT들을 위한 새로운 DCI 포맷들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서, BCCT의 공용 검색 공간에는 NCT에서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기 위한 DCI 포맷 1C만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DCI 포맷 1C를 나르는 PDCCH는 M-RNTI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DCI 포맷 1C가 어느 NCT에서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지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NCT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트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DCI 포맷이 사용될 수도 있다. NCT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트들은 CIF와 같이 3비트일 수도 있고, 주어진 NCT를 식별하기에 족하는 개수의 비트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BCCT의 공용 검색 공간에는 NCT에서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기 위한 DCI 포맷 1C뿐만 아니라, 시스템 정보, 페이징, 랜덤 액세스 메시지와 같은 다른 공용 제어정보들을도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DCI 포맷 1C가 어느 NCT에서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지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NCT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트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DCI 포맷이 사용될 수도 있다. NCT를 식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트들은 CIF와 같이 3비트일 수도 있고, 주어진 NCT를 식별하기에 족하는 개수의 비트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2-2) BCCT와 NCT의 MCCH 변경 통지들을 BCCT상의 하나의 PDCCH에 의해 전송
이 경우, BCCT상의 공용 제어 영역은 BCCT상의 MBMS 서비스를 위한 MCCH 변경 통지뿐만 아니라, NCT상의 MBMS 서비스를 위한 MCCH 변경 통지의 전송을 위해서 사용된다. 즉 전체 서빙 셀들을 위해서 단말이 모니터링하는 공용 제어 영역에서의 PDCCH 후보들의 수는 공용 제어 영역을 가지고 있는 서빙셀 사이에서 나눠질 수 있다. 따라서 하기 표 2가 BCCT(또는 주서빙셀)과 NCT(또는 부서빙셀)상의 공용 제어 영역에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NCT상에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MCCH 변경 통지를 수행하는 방법을 흐름도를 통해 설명한다.
(3)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에는 BCCT(또는 주서빙셀)와 NCT(또는 부서빙셀)가 구성되어 있고, NCT상에서 MBMS 서비스(또는 PMCH)가 전송되며, NCT에서 제공되는 MBMS 서비스(또는 PMCH)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NCT 또는 BCCT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시스템 정보 블록을 셀 내의 단말로 방송한다(S1200).
상기 제1 시스템 정보 블록은 SIB2(system information block2)일 수 있다. 그리고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SIB2 내에 mbsfn-SubframeConfigList로서 존재하며, 해당 MBSFN 수신을 원하는 단말들은 mbsfn-SubframeConfigList에 기반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NCT에서의 MBSFN 지역정보 리스트(mbsfn-AreaInfoList)와 통지 구성(notificationConfig)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시스템 정보 블록을 셀 내의 단말로 방송한다(S1205). MBSFN 지역정보 리스트는 각각의 MBSFN 지역 별로 MBSFN 지역의 ID와 해당 MBSFN 지역에서 MBSFN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MBSFN 영역(region)에 대한 정보, MCCH 전송이 발생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통지 구성정보는 MCCH를 통해서 오는 정보에 변화가 있음을 알려주는 MBMS 통지가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위치에 대한 구성정보이다. 통지 구성정보는 모든 MBSFN 지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MCCH의 변경 통지에 활용될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 정보는 통지 반복 계수(notificationRepetitionCoeff), 통지 오프셋(notificationOffset) 및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notificationSF-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지 반복 계수는 모든 MCCH들을 위한 공통의 변경 통지 반복 주기(notification repetition period)를 의미한다. 통지 오프셋은 MCCH 변경 통지 정보가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프레임을 지시한다. 그리고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PDCCH상에서 MCCH 변경 통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이다.
SIB13을 통하여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MBSFN 지역 정보 리스트와 모든 MBSFN 지역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통지 구성정보를 입수하게 된다.
단말은 통지 반복 주기와 통지 오프셋을 계산하고, 계산된 통지 반복 주기와 통지 오프셋에 기반하여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행해질 수 있는(즉,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특정 서브프레임(specific subframe)을 인지한다(S1210). 여기서, "통지 반복 주기=최소의 변경 주기(모든 MBSFN 지역 중에서)/통지반복계수" 및 "통지 오프셋=SFN mod 통지반복주기"가 성립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은 MBMS 구성에서 MCCH 변경 주기가 512rf(radio frame)과 통지반복계수가 2rf 과 통지 오프셋 0rf임을 가정하면, 통지 반복 주기=512/2=256rf이다. MCCH 변경 통지는 (SFN mod 256)=통지오프셋인 무선 프레임, 즉 SFN0, SFN256, SFN512,... 내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며, 모든 MCCH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일례로서,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는 공용 검색 공간(또는 레가시 제어영역)이 정의된 NCT상의 서브프레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은 실제 MBSFN 서브프레임, 모든 후보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즉, 단말은 NCT상의 실제 MBSFN 서브프레임, 모든 후보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으로서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전술된 섹션 (1-1), (1-2) 및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 경우, MBMS 서비스 또는 PMCH와 MCCH 변경 통지는 모두 NCT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는 NCT상에서의 MBM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마련된 BCCT(또는 주서빙셀) 상의 서브프레임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MCCH 변경 통지가 행해질 BCCT상의 서브프레임을 상기 특정 서브프레임으로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MBMS 서비스 또는 PMCH는 NCT상에서 전송되나, MCCH 변경 통지는 BCCT상에서 전송된다.
한편, MCCH 전송과 관련하여, MCCH 반복 주기는 MCCH 전송 인터벌(interval)이며, "MCCH 오프셋=SFN mod MCCH 반복 주기"가 성립한다. 도 13과 같은 MBMS 구성에서, MCCH 반복 주기=32rf일 때, MCCH 오프셋=SFN mod 32=0(SFN=0, 32, 64,...)에서 MCCH 전송이 수행된다.
기지국은 NCT상의 PMCH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S1215), PMCH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MCH를 단말로 전송한다(S1220). 단말은 PMCH 구성정보를 획득하고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에서 PM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PMCH의 전송과는 별개로, 기지국은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225). 여기서,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는 단계 S1210에서 인지된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도 12에서는 MCCH 변경 통지가 PMCH 구성정보 및 PMCH 전송보다 늦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MCCH 변경 통지는 PMCH 구성정보 또는 PMCH보다 더 빨리 전송되거나 함께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은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BC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i)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이 정의된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는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서 PDCCH에 맵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DCCH는 M-RNTI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이는 전술된 섹션 (1-1), (1-2) 및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이때, 단말은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서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M-RNTI로 스크램블된(scrambled) PDCCH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모니터링의 일례로서, 단말은 M-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에 대해 제한적(limited)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한적 모니터링은, BCCT(또는 주서빙셀)상에서 공용 제어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단말이 수행하는 모니터링을 좀더 컴팩트(compact)하게 만든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이를 NCT상에서 전송되는 MBMS의 모니터링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BCCT(또는 주서빙셀)에서 공용검색공간의 모니터링 횟수는 다음의 표에서 정의되는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및 PDCCH 후보의 개수에 의해 정해진다.
검색 공간(search space) PDCCH 후보 개수(M(L))
집성 레벨 L 검색공간 크기(CCE단위) PDCCH 후보 개수(M(L))
4 16 4
8 16 2
표 1을 참조하면, 단말이 BCCT의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횟수는 (4(집성 레벨 4)+2(집성 레벨 8))*2=12 회이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한적 모니터링은,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의 공용 검색 공간에서, M-RNTI로 스크램블된 PDCCH의 모니터링 횟수를 줄이기 위해 PDCCH 후보의 개수를 줄인다. 예를 들어 다음의 표는 PDCCH 후보의 개수를 반으로 줄인 것이다.
검색 공간(search space) PDCCH 후보 개수(M(L))
집성 레벨 L CCE 크기 PDCCH 후보 개수(M(L))
4 8 2
8 8 1
표 2를 참조하면, 집성 레벨이 4, 8인 경우 PDCCH 후보 개수가 각각 2와 1이다. 휴지 모드(Idle mode) 단말에 대한 NCT상의 MBSFN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SIB의 수신과 관련한 MBSFN 설정 정보들을 특정 서빙셀을 통해서 단말에 지시하거나 특정 서빙셀의 MBSFN 설정 정보를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서빙셀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는 대신 반송파 주파수 인덱스를 활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의 다른 예로서, 단말은 풀 모니터링(full monit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풀 모니터링은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의 공용 제어 영역에서, SIB, 랜덤 액세스 메시지 또는 페이징(paging) 등 MCCH 변경 통지 이외의 다른 목적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도 모니터링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르면 모니터링 종류의 개수에 비례하여 모니터링(또는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의 수가 증가한다. 풀 모니터링은 모니터링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이므로, 풀 모니터링 방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서빙 셀들을 위해서 단말이 모니터링하는 공용 제어 영역에서의 PDCCH 후보 들의 수가 공용 제어 영역을 가지고 있는 서빙셀 사이에서 나눠질 수 있다. 따라서 표 2는 BCCT(또는 주서빙셀)과 NCT(또는 부서빙셀)상의 공용 제어 영역에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ii)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BC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될 수 있다. BCCT상의 서브프레임의 공용 검색 공간에서 NCT의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있어서, (ii-1) BCCT와는 다른 개별적인 PDCCH를 통해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될 수도 있고(교차 반송파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 이용), (ii-2) 하나의 PDCCH를 통해 2개이상의 셀(즉, BCCT와 NCT)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될 수도 있다.
(ii-1)의 경우, NCT상의 MBMS전송과 연관된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도 11과 같이 BC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내에 존재하는 공용 검색 공간에서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 기반하여 M-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만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모니터링은 상기 표 1 또는 2와 같은 집성 레벨, CCE 개수 및 PDCCH 후보의 수에 의존하여 진행되며, 이외에도 단말은 SIB, 랜덤 액세스 메시지 또는 페이징(paging)등 MCCH 변경 통지 이외의 다른 목적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도 모니터링한다. 이는 전술된 섹션 (2-1)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ii-2)의 경우, 단말은 BCCT상의 공용 제어 영역에서 전송되는 오직 하나의 PDCCH(DCI 포맷 1C)를 이용하여 MBMS 전송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빙 셀에 대한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한다. 이는 전술된 섹션 (2-2)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NCT상에 레가시 제어영역을 전에 언급한 (i), (ii-1), (ii-2)의 방법들에 의해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간섭회피에 대한 이득이다. 이는 도 14에서 설명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만약 NCT상에서 서브프레임이 노멀 서브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도 14와 같은 네트워크 배치(network deployment) 환경에서는 휴지 모드의 단말에게 끊김없는 MBSFN 서비스를 지원하기 어렵고, 서빙셀(serving cell)의 MBSFN 서브프레임과 인접셀(neighboring cell)의 MBSFN 서브프레임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비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발생할 수 있다.
DCI 포맷 1C가 특히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경우의 패킷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DCI 포맷 1C가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기 위한 경우, 전체 DCI 포맷 1C의 비트들 중에서 오직 정해진 n비트만이 사용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DCI 포맷 1C의 규정상 길이를 맞추기 위해 여분 비트(reserved bit)로 설정된다. 여기서, n은 8일 수 있다. 왜냐하면 MCCH 변경 통지는 MBSFN 지역 단위로 설정되고, MBSFN 지역은 BCCT와 NCT를 합하여 최대 8개까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CI 포맷 1C의 8개 비트는 MBSFN-AreaInfo내의 notificationIndicator를 통해서 비트맵 형태로 각각의 비트값이 NCT 또는 BCCT상의 MBSFN 지역에 대응하며, 각 비트는 대응하는 MBSFN 지역내의 MCCH 변경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은 경우 왼쪽에서부터 1번째 비트부터 8번째 비트까지 순차적으로 주서빙셀의 MBSFN 지역#0, NCT의 MBSFN 지역 #0, 주서빙셀의 MBSFN 지역#1, NCT의 MBSFN 지역 #1, NCT의 MBSFN 지역 #2, NCT의 MBSFN 지역 #3, 주서빙셀의 MBSFN 지역#2, 주서빙셀의 MBSFN 지역#3에 대응한다. 그리고 각 비트의 값이 0이면 대응하는 MBSFN 지역에서 MCCH 변경 예정이 아님을 지시하고, 1이면 대응하는 MBSFN 지역에서 MCCH 변경 예정임을 지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CCT(또는 주서빙셀)상에서 하나의 DCI 포맷 1C를 BCCT(주서빙셀)와 NCT(부서빙셀)이 공유한다. 각각의 MBSFN 지역은 서로 다른 MBMS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서로 다른 지역적인 위치 혹은 서로 다른 MBSFN 서브프레임 상에서 서비스된다. MBSFN 지역에 대한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SIB13내의 MBSFN 지역정보 리스트를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DCI 포맷 1C의 여분 비트를 이용하여 NCT상의 MBSFN 지역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방식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DCI 포맷 1C 내에서, 제1 비트 스트링(길이=n)은 BCCT(또는 주서빙셀)상의 MBSFN 지역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고, 제2 비트 스트링(길이=m)은 NCT(또는 부서빙셀)상의 MBSFN 지역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한다. 제1 비트 스트링과 제2 비트 스트링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또한 제1 비트 스트링은 원래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비트맵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비트 스트링은 원래 여분 비트 부분과 일치할 수 있다.
MBSFN 지역에 대한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SIB13내의 MBSFN 지역정보 리스트를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비트 스트링의 개수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새로운 RNTI를 통해서 도 16과 같은 패킷 구조의 DCI 포맷 1C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고,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특정 MBSFN 지역 내의 MCCH 구성이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한다(S1230).
이후 다음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부터 변경된 MCCH 구성정보에 기반한 새로운 MCCH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되고, 단말은 이를 수신한다(S1235).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1700)은 수신부(1705), 단말 프로세서(1710), 및 전송부(1715)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710)는 다시 RRC 처리부(1711), MBMS 처리부(1712)를 포함한다.
수신부(1705)는 기지국(1750)으로부터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 NCT에서의 MBSFN 지역정보 리스트와 통지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시스템 정보 블록, PMCH, PMCH 구성정보, MCCH 구성정보,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한다.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는 예를 들어 도 15 또는 도 16의 패킷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스템 정보 블록은 SIB2일 수 있다. 그리고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는 SIB2 내에 mbsfn-SubframeConfigList로서 존재하며, 수신부(1705)는 mbsfn-SubframeConfigList에 기반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MBSFN 지역정보 리스트는 각각의 MBSFN 지역 별로 MBSFN 지역의 ID와 해당 MBSFN 지역에서 MBSFN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MBSFN 영역(region)에 대한 정보, MCCH 전송이 발생되는 MBSFN 서브프레임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MCCH 통지 구성정보는 MCCH를 통해서 오는 정보에 변화가 있음을 알려주는 MBMS 통지가 발생하는 서브프레임 위치에 대한 구성정보이다. 통지 구성정보는 모든 MBSFN 지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MCCH의 변경 통지에 활용될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간 정보는 통지 반복 계수, 통지 오프셋 및 통지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처리부(1711)는 제1 시스템 정보 블록, 제2 시스템 정보 블록을 해석하고 그 안에 포함된 정보필드들을 추출하며, 그 추출된 정보필드의 지시에 따라 RRC 계층 수준에서의 MBMS 관련 설정을 수행하거나 기존의 MBMS 관련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RRC 처리부(1711)는 통지 반복 주기와 통지 오프셋을 계산하고, 계산된 통지 반복 주기와 통지 오프셋에 기반하여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행해질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인지한다. 여기서, "통지 반복 주기=최소의 변경 주기/통지반복계수" 및 "통지 오프셋=SFN mod 통지반복주기"가 성립한다.
한편, 수신부(1705)는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N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노멀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BCCT상의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노멀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RC 처리부(1711)는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이 정의된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수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NCT상의 MCCH 변경 통지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은 실제 MBSFN 서브프레임, 후보 MBSFN 서브프레임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이는 전술된 섹션 (1-1), (1-2) 및 (1-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의해 지시되며, RRC 처리부(1711)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부(1705)가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NCT상의 서브프레임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BMS 서비스 또는 PMCH와 MCCH 변경 통지는 모두 NCT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1705)는 공용 검색 공간(또는 레가시 제어영역)이 정의된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고, M-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이는 NCT상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공용 검색 공간(또는 레가시 제어영역)이 정의된 N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수신부(1705)는 M-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 PDCCH에 대해 제한적 모니터링 또는 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RC 처리부(1710)는 NCT상에서의 MBM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마련된 BCCT(또는 주서빙셀)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수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MBMS 서비스 또는 PMCH는 NCT상에서 전송되나, MCCH 변경 통지는 BCCT상에서 전송된다. 이는 전술된 섹션 (2-1) 및 (2-2)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수신부(1705)는 MCCH 변경 통지를 수신하기 위해 BC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레가시 제어영역(또는 공용 검색 공간)에서 M-RNTI로 스크램블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이는 NCT에서의 MBMS 서비스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BCCT상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경우이다. 모니터링은 상기 표 1과 같은 집성 레벨, CCE 개수 및 PDCCH 후보의 수에 의존하여 진행되며, 이외에도 단말은 SIB, 랜덤 액세스 메시지 또는 페이징 등 MCCH 변경 통지 이외의 다른 목적을 위한 공용 제어 정보도 모니터링한다.
MBMS 처리부(1712)는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에서 NCT상의 MBSFN 지역에 대한 MCCH 변경 통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가 도 15와 같을 때, MBMS 처리부(1712)는 NCT에 대한 MBSFN 지역#0, #1, #2, #3에 대응하는 비트가 0 또는 1인지 판단한다. 만약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MBMS 처리부(1712)는 해당 MBSFN 지역에서의 MCCH 변경 통지가 없는 것으로 인지하며, 1인 경우에는 MBMS 처리부(1712)는 해당 MBSFN 지역에서의 MCCH 변경 통지가 예정된 것으로 인지한다. 이와 같이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특정 MBSFN 지역 내의 MCCH 구성이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면, MBMS 처리부(1712)는 다음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부터 변경된 MCCH 구성정보에 기반한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한다.
RRC 처리부(1711) 또는 MBMS 처리부(1712)에서 RRC 구성 또는 MBMS 구성이 완료되면, RRC 처리부(1711) 또는 MBMS 처리부(1712)는 이를 지시하는 구성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부(1720)로 보내고, 전송부(1720)는 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1750)로 전송한다. 상기 구성 완료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 연결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750)은 전송부(1755), 수신부(17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7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770)는 다시 RRC 처리부(1771), MBMS 처리부(1772)를 포함한다.
RRC 처리부(1771)는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시스템 정보 블록(SIB), NCT에서의 MBSFN 지역정보 리스트와 통지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시스템 정보 블록, PMCH 구성정보, MCCH 구성정보를 생성하여 전송부(1755)로 보낸다. 그리고 전송부(1755)는 PMCH, MCCH 변경 통지를 생성하여 단말(1700)로 전송하거나, RRC 처리부(1771)로부터 받은 제1 및 제2 시스템 정보 블록, PMCH 구성정보, MCCH 구성정보를 단말(1700)로 전송한다.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의 패킷 구조는 예를 들어 도 15 또는 도 16의 패킷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처리부(1772)는 NCT에 대한 MBSFN 지역에 대한 MCCH 구성이 변경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MCCH 구성이 변경되는 MBSFN 지역을 전송부(1755)로 알려준다. 예를 들어, MBSFN 지역 #0, #1, #2, #3에 대한 MCCH 구성이 변경될 예정인 경우, MBMS 처리부(1772)는 MBSFN 지역 #0, #1, #2, #3에 대한 MCCH 구성이 변경될 예정임을 전송부(1755)에 알려주고, 전송부(1755)는 MCCH 변경 통지를 지시하는 DCI 포맷 1C에 변경될 예정인 MBSFN 지역에 대응하는 비트를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MBSFN 지역에 대응하는 비트를 0으로 설정한다.
수신부(1760)는 SIB들 또는 각 구성정보에 대응하여 단말(1700)이 구성을 완료한 경우, 단말(1700)로부터 구성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ackward compatible carrier type: BCCT)과 새로운 반송파 타입(new carrier type: NCT)의 집성(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legacy control region)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area)에 관한 MCCH(MBMS control channel)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고, 다음 변경 주기(modification period)부터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가시(legacy)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부가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을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는 상기 BCCT가 제공하는 MBSFN 지역에서의 MCCH 정보도 변경될 예정임을 더 지시함을 특징으로는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 대해,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candidate)를 제한하는 모니터링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역호환성 반송파 타입(BCCT)과 새로운 반송파 타입(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MBMS의 수신방법으로서,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에 기반하여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인지하는 단계; 및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새로운 MCCH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수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은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에 의해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지시되는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수신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는 상기 BCCT가 제공하는 MBSFN 지역에서의 MCCH 정보도 변경될 예정임을 더 지시함을 특징으로는 MBMS의 수신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 대해, 집성 레벨, 제어채널요소 및 PDCCH 후보를 제한하는 모니터링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수신방법.
  9. BCCT과 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생성하는 기지국 프로세서; 및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상에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상기 MBSFN 지역에 대해 새로운 MCCH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프로세서는 상기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는 상기 BCCT가 제공하는 MBSFN 지역에서의 MCCH 정보도 변경될 예정임을 더 지시함을 특징으로는 기지국.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 대해, 집성 레벨, 제어채널요소 및 PDCCH 후보를 제한하는 모니터링이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BCCT과 NCT의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MBMS의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NCT에 의해 제공되는 MBSFN 지역에 관한 MCCH 정보가 변경될 예정임을 통지하는 MCCH 변경 통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BCCT와 상기 NCT 중 어느 하나에서의(on) MBSFN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레가시 제어영역상에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CCH 변경 통지에 기반하여 다음 변경 주기부터 상기 MBSFN 지역에 대해 새로운 MCCH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NCT에서의 MBSFN 서브프레임들 중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MBSFN 서브프레임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제공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MCCH 변경 통지는 상기 BCCT가 제공하는 MBSFN 지역에서의 MCCH 정보도 변경될 예정임을 더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제공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가시 제어영역에 대해, 집성 레벨, 제어채널요소 및 PDCCH 후보를 제한하는 모니터링이 상기 단말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MBMS의 제공방법.
KR1020130032447A 2013-03-27 2013-03-27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19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47A KR20140119839A (ko) 2013-03-27 2013-03-27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47A KR20140119839A (ko) 2013-03-27 2013-03-27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839A true KR20140119839A (ko) 2014-10-13

Family

ID=5199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447A KR20140119839A (ko) 2013-03-27 2013-03-27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98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290B2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エネルギー効率の良いユニキャット及びマルチキャスト伝送のための方法
US11006427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cells
US1023708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ngle-cell multi-transmission data and apparatus therefor
EP4021127A1 (en) Mbs data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10602484B2 (en) Transmitting or receiving evolved multicast and broadcast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140153471A1 (en) Allowing unicast subframe structure for embms
JP7382717B2 (ja) 通信システム
JP2023179745A (ja) 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および基地局
US1133057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ngle-cell multi-transmission data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120435A (ko) Nct 반송파를 고려한 다중 주파수 mbms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19839A (ko) Nct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18186A (ko) 협대역-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단일-셀 일-대-다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18833B1 (ko) 단일 셀 멀티전송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4231691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0221A (ko) Nct 반송파를 고려한 다중 주파수 mbms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10700A (ko)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24351A (ko) Mbm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20227A (ko) Nct 반송파를 고려한 mbms 연속성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