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314A -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 Google Patents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314A
KR20140119314A KR1020130033836A KR20130033836A KR20140119314A KR 20140119314 A KR20140119314 A KR 20140119314A KR 1020130033836 A KR1020130033836 A KR 1020130033836A KR 20130033836 A KR20130033836 A KR 20130033836A KR 20140119314 A KR20140119314 A KR 2014011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o
nanotubes
atomic layer
layer deposi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탁
함기열
최학영
신석윤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9314A/ko
Priority to US14/158,175 priority patent/US20140291142A1/en
Publication of KR2014011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4/00Electrochemical current or voltage gener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6/00 - H01M12/00; Manufactur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01B3/1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 C01B3/1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by reaction of water vapour with carbon monoxide using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40Oxides
    • C23C16/405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50Processes
    • C25B1/55Photo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26Anodisation of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에 관한 것으로, TiO2 나노 튜브; 및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TiO2 층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ELECTRODE FOR PHOTOELECTROCHEMICAL CEL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HOTO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SAME}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에 관한 것이다.
수소는 화학제품의 원료 및 화학공장의 공정가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래의 에너지기술인 연료전지의 원료로서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현재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및 화석연료의 가격상승이나 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하고 유일한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특히 21세기에는 지구온난화와 대기오염의 대비 및 에너지 안보와 자급 차원에서 수소의 제조, 저장 및 이용에 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수소를 제조하는 기술 중 하나로서, 물을 광분해하여 수소를 얻고자 하는 기술은 절대 에너지원인 태양과 무한정한 자원인 물을 직접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래 인류의 가장 이상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산화티탄(TiO2) 나노 입자의 광촉매 작용에 의한 물분해 기술은 미래의 수소 경제를 위해 저가의 친환경적인 태양-수소 생산 기술의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 태양-수소 에너지 전환율은 너무 낮아 경제적이지 못하며, 광생성된 전자/홀 쌍이 빠르게 재조합되고 역반응이 쉽게 일어나며 가시광에 의한 TiO2의 활성화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TiO2 나노튜브를 제조하여 물분해에 사용하고 있다. 나노튜브 형태는 빛의 산란을 증가시켜 빛의 흡수율을 높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들이 자유로운 상태로더 오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박막형의 TiO2 보다 효율이 약 5배 정도 높다.
한편, 물분해 기술은 크게 입자 형태의 광촉매(photocatalyst)를 이용하는 방법과 광전극(photoelectrode) 형태를 이용하는 광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광전기화학적인 방법은 광전극으로 빛이 조사되면 밴드갭(bandgap) 이상의 광자는 흡수되어 전자-정공 쌍을 생성하는데, 정공은 n형 반도체 표면에서 물을 직접 산화시켜 산소를 발생하고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흘러 상대전극에서 수소를 발생하게 되는 방법이다. 따라서 광전기화학적인 방법에서는 수소와 산소의 분리 생성이 가능하고, 또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광전극에 인위적인 바이어스 전압(bias voltage)을 걸어줄 수도 있다.
개선된 광전극을 제공하여, 이를 물분해용 광전극으로 적용하는 경우 수소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TiO2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TiO2 나노 튜브; 및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TiO2 층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TiO2 층의 두께는 15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iO2 층 상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0.1 내지 5nm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은 Ti, Ru, Ag, Ag, Al, Cu, Pt, Au, Mn, Ni, Zn, Zr, Mo, Os, Pd, Ir, T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바깥 지름은 10 내지 1000nm일 수 있다.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벽 두께는 0.1 내지 10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Ti 기판을 양극산화처리(anodization)하여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를 기판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TiO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개의 전극을 가진 전지를 이용한 정전위 산화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는 200℃ 내지 8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1회 이상 및 70회 미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일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NH4F 및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Ti 전구체로 티타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OC(CH3)2)4]를 사용하고 반응물로 O2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remote plasma atomic layer deposition, RALD)법일 수 있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70 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전극; 및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극과 보조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인 물의 광분해용 광전기화학전지를 제공한다.
수소 변환 효율이 개선된 광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전극의 효과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제조된 TiO2가 코팅된 TiO2 나노 튜브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을 확대한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TiO2 나노 튜브; 및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TiO2 층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을 제공한다.
상기 TiO2 코팅층으로 인해, 기존의 TiO2 나노 튜브보다 개선된 수소 변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TiO2 층의 두께는 15n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바깥 지름은 10 내지 1000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벽 두께는 0.1 내지 100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TiO2 층 상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가 더 포함되는 경우, TiO2 층과의 표면 플라즈몬 현상으로 인해 수소 변화 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0.1 내지 5n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은 Ti, Ru, Ag, Ag, Al, Cu, Pt, Au, Mn, Ni, Zn, Zr, Mo, Os, Pd, Ir, T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Ti 기판을 양극산화처리(anodization)하여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를 기판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TiO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자층 증착법에 의하면, 보다 균일하게 3차원 구조체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자층 증착 기술(ALD; Atomic Layer Depostion)은 회로선폭이 100 nm 이하인 나노급 반도체의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이다. 원자층 증착 기술은 원자층 단위로 박막을 형성하는 첨단기술로, 뛰어난 균일도의 극박막 증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개의 전극을 가진 전지를 이용한 정전위 산화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는 200℃ 내지 8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00 내지 700℃일 수 있으며, 400 내지 5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1회 이상 및 70회 미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횟수에 따라, 증착되는 입자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코팅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Ti 전구체로 티타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OC(CH3)2)4]를 사용하고 반응물로 O2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remote plasma atomic layer deposition, RALD)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70 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90 내지 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NH4F 및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나노 그래스(nano grass)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광전극; 및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극과 보조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인 물의 광분해용 광전기화학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 양극산화처리 ( anodization ) 공정
두 개의 전극을 가지는 전기화학 전지를 이용한 정전위 양극산화처리 방법에 의하여 고도로 정렬된 TiO2 나노튜브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전극으로 Ti 호일(0.127mm, 순도 99.7%, Aldrich)을 사용하고 대극으로 Pt 거즈를 사용하였다. 산화전극화 전에, Ti 호일은 아세톤, 이소프로판올, 및 메탄올 용매에서 초음파 처리되어 세정되었다. 이후 탈이온화(DI) 물로 헹구고 질소 스팀으로 건조하였다. 두 전극은 1.5cm 거리를 두고 배치하였고, 전해질로는 0.5 중량%의 NH4F (Aldrich, 순도 99.8%) 및 에틸렌 글리콜(Aldrich, 순도 99.9%)을 사용하였다.
'나노 그래스(nanograss)'형성을 막기 위해 이중 산화전극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번째로, Ti 호일을 50V에서 2시간 동안 산화전극화하고 이어서 30%의 H2O2(Aldrich) 용액에 담그어 1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Di 물로 씻고 건조하였다. 이후 그 호일을 전해질에 담그고 50V 에서 3시간 동안 산화전극화한 후 Ti 호일을 이소프로판올에 담그어 15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공기 중에 건조하였다. 두 산화전극화 과정은 상온에서 지속적으로 천천히 교반하면서 진행되었다.
실시예 : 투명전도막에 나노튜브 필름의 전사 공정
합성된 Ti 호일 위에 형성된 무정형 TiO2 나노 튜브 어레이를 결정화하기 위하여, 450℃에서 3시간 동안 2℃/min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된 Ti 호일과 무정형 TiO2 나노 튜브 어레이는 50V에서 30분 동안 다시 산화전극화시키고 30%의 H2O2(Aldrich) 용액에 담그었다. 후열처리 산화전극화 공정을 통해 형성된 무정형 TiO2 층을 H2O2에 용해하였고, 결정질의 흰색 TiO2 나노튜브 어레이(TNTA) 필름이 분리되어 나왔다. 이를 이소프로필알콜이 담긴 페트리 접시로 옮겼다. 이 결정질 TNTA를 투명전도막(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bstrate, TCO substrate)으로 이동시켰다. TNTA 필름을 FTO 막에 강하게 고장하기 위하여 이소프로판올에 티타늄 부톡사이드가 첨가된 용액 몇 방울을 FTO 막에 떨어트렸다. 마지막으로 FTO 막 위의 TNTA 필름을 가열 기판에서 2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고 이어서 공기 중 450℃에서 30분동안 가열하였다.
실시예 : TiO 2 원자층 증착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방법을 사용하여 FTO 막위의 TNTA 필름을 ~15nm의 얇은 무정형 TiO2 층으로 코팅하였다. Ti 전구체로 티타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OC(CH3)2)4]를 사용하고 반응물로 O2 플라스마를 사용하여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remote plasma atomic layer deposition, RALD)법에 의해 100℃에서 증착이 수행되었다. 증착된 두 개의 필름을 각각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물(묽은 NH4F 용액)에 담그었다.
실험예
평가 방법
TNTA (titanium nano tube array) 필름의 결정면은 Cu Ka 광원 (1.54 A)을 사용한 분석기 (Rigaku D/Max 2000)를 통해 X-레이 회절(X-ray diffraction)법으로 분석하였다. 표면 형상과 기공 크기, 벽 두께, TNTA 길이 등의 치수는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JEOL-JSM 6330F)를 통해 평가하였다. 깊이 형태는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JEOL 2010)을 통해 평가하였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제조된 TiO2가 코팅된 TiO2 나노 튜브의 SEM 사진이다. 균일하고 매끄럽게 형성된 나노 튜브을 볼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확대한 SEM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코팅된 TiO2 층의 두께가 15nm 이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비정질 TiO2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정질 나노튜브의 바깥 지름은 약 90 내지 110nm이고 벽두께는 약 5 내지 7nm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나노튜브의 길이는 ~7㎛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조한 나노 튜브에 대한 XRD 측정 결과, TNTA 필름은 TiO2(anatase)로 이루어져 있으며 루타일(rutile)이나 브루카이트(brookite) 형태의 피크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와 같이 TiO2 층이 코팅된 TiO2 나노 튜브는 수소 변환 문분해 반응에서 수소 생성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TiO2 코팅층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를 더 포함하게 되면 표면 플라즈몬 현상으로 인해 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8)

  1. TiO2 나노 튜브; 및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코팅된 TiO2 층을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 층의 두께는 15nm 이하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 층 상에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나노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0.1 내지 5nm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은 Ti, Ru, Ag, Ag, Al, Cu, Pt, Au, Mn, Ni, Zn, Zr, Mo, Os, Pd, Ir, Ta,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바깥 지름은 10 내지 1000nm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 나노 튜브의 벽 두께는 0.1 내지 100nm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8. Ti 기판을 양극산화처리(anodization)하여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를 기판에 접착시키는 단계; 및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으로 상기 결정화된 TiO2 나노 튜브의 표면에 TiO2 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개의 전극을 가진 전지를 이용한 정전위 산화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무정형 TiO2 나노 튜브를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단계는 200℃ 내지 800℃에서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1회 이상 및 70회 미만으로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은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3. 제8항에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NH4F 및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이용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4. 제8항에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2회 이상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5. 제8항에서,
    상기 양극산화처리는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6. 제8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Ti 전구체로 티타늄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OC(CH3)2)4]를 사용하고 반응물로 O2 플라스마를 사용하는 원격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remote plasma atomic layer deposition, RALD)법인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7. 제8항에서,
    상기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은 70 내지 150℃에서 수행되는 것인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의 제조 방법.
  18. 제1항에 따른 광전극; 및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극과 보조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인 물의 광분해용 광전기화학전지.
KR1020130033836A 2013-03-28 2013-03-28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KR2014011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36A KR20140119314A (ko) 2013-03-28 2013-03-28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US14/158,175 US20140291142A1 (en) 2013-03-28 2014-01-17 Photoelectrode for photoelectrochemical cel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hoto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836A KR20140119314A (ko) 2013-03-28 2013-03-28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314A true KR20140119314A (ko) 2014-10-10

Family

ID=5161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836A KR20140119314A (ko) 2013-03-28 2013-03-28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91142A1 (ko)
KR (1) KR20140119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59A (ko) 2017-01-24 2018-08-01 울산과학기술원 유전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 흡수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분해 광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698B (zh) * 2016-04-15 2017-10-20 首都师范大学 一种金‑二氧化钛复合纳米管阵列与金纳米管阵列电极的制备方法
CN105883715B (zh) * 2016-05-06 2018-06-26 同济大学 具有高度周期性Ti-Au合金纳米管光子晶体电极及其构筑方法
CN106048690B (zh) * 2016-07-20 2018-07-20 中南大学 一种钛基二氧化钛纳米管复合阳极及其制备方法
WO2018190839A1 (en) * 2017-04-13 2018-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eating alloy substrates having oxidized layers
KR20190016447A (ko) * 2017-08-08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의 제조방법 및 공기 청정용 광촉매 필터
EP3985146A1 (en) * 2020-10-16 2022-04-20 Jozef Stefan Institute Method for functionalization of nanostructured films during crystall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8446A1 (en) * 2009-04-03 2010-10-14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Systems including nanotubular arrays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to an organic compound
WO2011008778A2 (en) * 2009-07-14 2011-01-2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tal and metal oxide structures and preparation thereof
US20140261646A1 (en) * 2013-03-15 2014-09-18 Research Triangle Institute Advanced semiconductor-conductor composite particle structures for solar energy conver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959A (ko) 2017-01-24 2018-08-01 울산과학기술원 유전체-금속 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광 흡수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분해 광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91142A1 (en)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anur et al. Recent progress in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activity of WO 3 photoanodes
Liu et al. Efficient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by gC 3 N 4/TiO 2 nanotube array heterostructures
Pihosh et al. Development of a core–shell heterojunction Ta3N5-nanorods/BaTaO2N photoanode for solar water splitting
Wei et al. Spontaneous photoelectric field-enhancement effect prompts the low cost hierarchical growth of highly ordered heteronanostructures for solar water splitting
KR20140119314A (ko) 광전기화학전지용 광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기화학전지
Han et al. Worm-like FeS2/TiO2 nanotubes for photo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to methanol under visible light
JP5743039B2 (ja) 光半導体電極、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光電気化学セルを用いて水を光分解する方法
Mollavali et al. High performance NiS-nanoparticles sensitized TiO2 nanotube arrays for water reduction
Zhang et al. Mesocrystalline TiO 2 nanosheet arrays with exposed {001} facets: Synthesis via topotactic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s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Wei et al. Cooperation effect of heterojunction and co-catalyst in BiVO 4/Bi 2 S 3/NiOOH photoanode for improving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s
Bielinski et al. Atomic layer deposition of bismuth vanadate core–shell nanowire photoanodes
Khan et al. Hierarchical nanostructures of titanium dioxide: synthesis and applications
Motola et al. Anodic TiO2 nanotube walls reconstructed: Inner wall replaced by ALD TiO2 coating
Hu et al. Synthesis of Ag-loaded SrTiO 3/TiO 2 heterostructure nanotube array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performances
Dubey et al. Synthesis of self-aligned and vertically oriented carbon incorporated titania nanotube for improved photoelectrochemical hydrogen generation
Xin et al. Construction of BiVO4 nanosheets@ WO3 arrays heterojunction photoanodes by versatile phase transformation strategy
Mezzetti et al. Hyperbranched TiO2–CdS nano-heterostructures for highly efficient photoelectrochemical photoanodes
He et al. Surface treated TiO2 nanorod arrays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splitting
Shinde et al. Time dependent facile hydrothermal synthesis of TiO 2 nanorods and their photoelectrochemical applications
Mali et al. Multistep hydrothermal route for nanocoral architecture of anatase TiO2: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 performance
Xin et al. Lithium ion intercalation of 3-D vertical hierarchical TiO 2 nanotubes on a titanium mesh for efficient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Favet et al. Enhanced visible-light-photoconversion efficiency of TiO2 nanotubes decorated by pulsed laser deposited CoNi nanoparticles
Shi et al. BiOI/WO 3 photoanode with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activity
Li et al. A coral-like hematite photoanode on a macroporous SnO2: Sb substrate for enhanced photoelectrochemical water oxidation
KR101326659B1 (ko)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