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83A -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83A
KR20140118283A KR1020130033907A KR20130033907A KR20140118283A KR 20140118283 A KR20140118283 A KR 20140118283A KR 1020130033907 A KR1020130033907 A KR 1020130033907A KR 20130033907 A KR20130033907 A KR 20130033907A KR 20140118283 A KR20140118283 A KR 2014011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lay
areas
un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호
이정빈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283A/ko
Publication of KR2014011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시 기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고,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부 상의 선택 영역과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인가한다.

Description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POWER BASED ON SCREEN DIVISION}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의 분할 영역을 인식하여 부분 영역 별로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의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증가하고 있어, 배터리 효율성을 높이거나 시스템적으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적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주요하게 활용하는 영역은 일 부분에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의 밝기 및 휘도 등을 조절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활용도가 낮은 부분 영역을 인식하여 해당 영역의 밝기 및 휘도 등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 배터리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스플레이의 영역 별 디스플레이 전력을 부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은 제안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오피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경우, 화면의 일 영역에는 메일 또는 문서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다른 일 영역에는 선택한 메일 또는 문서의 내용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화면의 일 영역의 리스트는 활용도가 낮음에도 화면 전체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력 사용량이 커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형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소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접거나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로 구성된 경우에도 열악한 배터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접거나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목시계 형 휘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사용자가 보는 부분 즉, 사용자의 시야가 닿는 팔목 부분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볼 수 없는 디스플레이 부분은 터치를 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온(ON) 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접거나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자 신문 등을 구독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제 신문과 같이 펼쳐서 원하는 기사의 말머리를 찾은 후, 접어서 특정 부분의 기사만을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기사가 출력된 영역 외에 접혀진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도 유지함으로써 배터리를 지속적으로 소모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31840호(발명의 명칭: 화면의 특정부분 칼라링 장치 및 방법)에서는, 화면의 특정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소정 칼라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칼라위상을 인가하는 칼라위상 입력수단과,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화면상에 화면의 특정부분을 지정하면 그에 대응된 휘도신호레벨을 인가하는 화면표시 및 화면 특정부분 입력수단과,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처리하여 휘도신호로 출력하는 휘도신호처리수단과, 상기 비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색신호로 출력하는 색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인가되는 칼라위상과 휘도신호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휘도신호처리수단의 휘도신호로부터 휘도신호레벨을 검출한후 상기 설정한 휘도신호레벨과 검출한 휘도신호레벨이 동일할 때 화면의 특정부분을 칼라링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분할된 영역들을 인식하여 분할 영역 별로 디스플레이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발생된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 수신부;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 데이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여 제공하는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화면 분할 인식부;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선택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상기 선택 영역과 상기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은, (a) 기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b)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상기 선택 영역과 상기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인식하고,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선택된 영역 외에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출 수 있어 전력 소모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화면 분할을 인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자동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사 선택에 따라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의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1), 입력 데이터 수신부(112),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13),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4), 화면 분할 인식부(115), 영역 선택 감지부(116),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 및스마트 패드 등 다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의 설치, 기능의 변경 및 확장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111)는 화면을 출력하되, 사용자의 접촉 및 비접촉 조작 등을 통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1)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 펜 등의 도구에 의한 접촉뿐만 아니라, 라이트 펜(light pen) 등과 같은 비접촉 도구에 의한 입력도 가능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수신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발생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13) 및 영역 선택 감지부(116)로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13)는 스마트 디바이스(100) 상에 기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실행 화면을 출력한다.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4)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실행 화면 이미지를 화면 분할 인식부(115)로 제공한다.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획득한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 영역들을 인식한다.
이때,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윤곽선을 경계로 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로 분할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일정 넓이 및 길이 이상 연속된 공백을 검출하고, 상기 연속된 공백을 경계로 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화면 분할을 인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113)가 강의 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화면 분할 인식부(115)가 강의 노트의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윤곽선을 검출하여 복수의 화면 영역을 분할하여 인식하는 것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도 2의 (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노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출력된 것을 나타내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 상에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다수의 윤곽선이 출력되어 있다.
이때,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복수의 윤곽선(P10)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도 2의 (c)에서와 같이 실행 화면 이미지는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되어 인식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의 (c)에서는 4개의 화면 영역(P21 내지 P24)으로 분할된 화면 영역을 나타내었다.
한편,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구성 특성 등의 기준에 따라 윤곽선 및 공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식 조건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화면 분할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신문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자 신문이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 상에는 각각 텍스트 및 사진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사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상의 일부 텍스트 및 사진은 윤곽선을 포함하되, 다른 일부의 텍스트 등의 경계는 공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윤곽선 및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공백을 복합적으로 검출하여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화면 분할 인식부(115)를 통해 인식된 복수의 영역과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실제 화면 영역과 매칭시킨다. 그리고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기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특정 화면 영역을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선택한 특정 화면 영역을 선택한다. 참고로,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검출한 선택 영역은 사용자가 현재 주요하게 사용중인 주 영역(main section)으로서, 상기 인식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선택 영역으로 검출된다. 또한,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검출한 선택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은 사용자가 참조는 하되 직접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부 영역(sub-section)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역 선택 감지부(116)의 선택 영역 검출 방식에 대해서는 하기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영역 선택 감지부(116)를 통해 검출된 선택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차등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상기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기 선택 영역보다 낮게 인가한다. 이에 따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 상에서 선택 영역 외에 나머지 영역은 디스플레이 전력이 낮춰짐으로써 사용 전력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요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 영역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기설정된 휘도 값보다 낮게 재설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픽셀 별 휘도 값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출력되고 있는 픽셀 별 휘도 값보다 일정 수준 낮춰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기설정된 휘도 값으로 통일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상기 나머지 영역에 최소 전력 컬러(예를 들어, ‘흑색’)의 휘도 값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1)가 백라이트(back light) 부재를 포함하는 부재인 경우, 상기 나머지 영역의 백라이트를 오프(off)처리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 전체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부영역의 밝기가 일정 수준만큼 어두워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특정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방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서는 데이터를 읽고, 편집하고, 선택하는 화면 영역의 크기가 전체 화면 영역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상기 인식된 복수의 영역 중 전체 화면 상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자동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자동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서와 같이 4개의 분할 영역(P21 내지 P24)이 인식되면,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전체 화면 중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제 1 영역(P21)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한다. 도 3에서는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크기 비율이 가장 큰 하나의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크기 비율의 순서 상 기설정된 개수의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동시에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화면 분할 인식부(115)가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인식한 이후에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입력 데이터가 발생된 적어도 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발생된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검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f)에서는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어느 한 영역에 발생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선택 영역을 검출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4의 (a) 내지 (f)에서는 앞서 도 3에서와 같이 전체 화면 중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제 1 영역(P21)이 선택 영역으로 자동 검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다양한 선택 영역 검출 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제 1 영역(P21)에는 선택 영역으로서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되고 나머지 영역(P22, P23, P24)에는 낮은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 상태이다.
이때, 도 4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영역(P23)을 터치하면 해당 영역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되고, 제 1 영역(P21)을 포함하는 나머지 영역(P22, P24)에 낮은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다.
그런 후, 도 4의 (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영역(P23) 상의 터치를 종료하면 다시 제 1 영역(P21)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되고, 제 2 영역(P23)을 포함한 나머지 영역(P22, P24)에 낮은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다.
한편, 도 4의 (d). 내지 (f)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영역(P23) 상의 터치를 종료한 이후에도 해당 영역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 인가가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는 사용자의 일 영역 선택에 따라 이전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하던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이 낮은 전력으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새롭게 선택한 영역과 이전 영역 모두를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사 선택에 따라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에 모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를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제 1 영역(P21)과 제 2 영역(P23)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영역이 동시에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도 5의 (c)에서와 같이, 제 1 영역(P21)과 제 2 영역(P23)에는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되고, 나머지 영역(P22, P24)에는 낮게 재조정된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다.
참고로, 도 5에서는 사용자가 제 1 영역(P21)과 제 2 영역(P23)에서의 터치를 종료한 후에도 디스플레이 전력 인가 상태가 유지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영역(P21)과 제 2 영역(P23)에서의 터치를 종료하면 자동 검출되거나 또는 이전에 선택된 선택 영역에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전력을 재인가하고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자동 검출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간접적인 화면 영역 선택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선택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1)가 구성된 측에 장착된 촬영 수단(예를 들어, ‘카메라’)(120)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추적한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요하게 사용하고 있는 주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되, 영역 선택 감지부(116)에 추가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시선 추적 모듈(161), 시선 매칭 모듈(162) 및 선택 영역 검출 모듈(1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선 추적 모듈(161)은 디스플레이부(111) 측에 장착된 촬영 수단(120)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시선 매칭 모듈(162)은 상기 추적한 시선의 위치를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 영역에 매핑하여 시선 좌표 값을 생성한다.
이때, 시선 매칭 모듈(162)은 상기 추적한 시선이 특정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이상 고정되어 유지될 경우 해당 위치에 대한 시선 좌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 영역 검출 모듈(163)은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분할된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시선 좌표 값에 매칭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주 영역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시선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선택 영역을 감지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와 같이 경질(hard)의 디스플레이부(111)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외에도, 휘거나 접힐 수 있는 연질(soft)의 디스플레이부(11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부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11)를 장착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이다.
참고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모두 또는 일부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명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스마트 디바이스(100)와 중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변형 검출부(118) 및 활성화 영역 판단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변형 검출부(118)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부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이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라고 지칭함)(111)의 형태 변형 발생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접히거나 휠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변형 검출부(118)는 이러한 형태 변형의 발생 여부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형태 변형이 발생된 위치를 검출한다.
활성화 영역 판단부(119)는 형태 변형이 검출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판단한다.
이때, 활성화 영역 판단부(119)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직전 형태로부터 형태 변형이 발생된 방향 및 형태 변형이 발생된 위치 등의 조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활성화 영역을 판단한다. 또한, 활성화 영역 판단부(119)는 판단된 활성화 영역 이외에 타방향으로 휘거나 접힌 나머지 영역을 비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활성화 영역 상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1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형태 변형이 발생되기 이전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활성화 영역이 판단된 이후에 활성화 영역 상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의 분할 화면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9의 (a)에서는, 전자 신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전체 화면 상에 출력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화면 분할 인식부(1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윤곽선 및 공백 등의 조건에 기초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를 제 1 점선(P31) 및 제 2 점선(P32)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접은 경우, 도 9의 (b)에서와 같이 일부 영역이 활성화 영역으로 선택된다. 이때,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제 1 점선(P31) 및 제 2 점선(P32)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접힌 부분을 비활성화 영역으로 구분한다. 참고로, 비활성화 영역은 디스플레이 제어부(117)의 제어를 통해 활성화 영역 상의 선택 영역보다 낮은 디스플레이 전력이 인가된다.
그리고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도 9의 (b)에서 나타낸 활성화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한다. 도 9의 (b)에서는 영역 선택 감지부가(116)가 두 개의 영역(P41)을 선택 영역으로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117)가 나머지 하나의 영역(P42)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도 9의 (b)에서는 영역 선택 감지부(116)가 활성화 영역 상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한 것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화면 분할 인식부(115)가 1차적으로 도 9의 (a)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1’)의 전체 화면의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영역(이하, ‘제 1 복수의 영역’이라고 함)을 인식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도 9의 (b)에서와 같이 활성화 영역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영역(이하, ‘제 2 복수의 영역’이라고 함)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 1 복수의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접힘에 의해 활성화 영역 상에 온전히 포함되지 못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선택 감지부(116)는 제 2 복수의 영역 중 제 1 복수의 영역에서의 형태가 보존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제 2 복수의 영역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접힘에 의해 접혀진 영역은 비활성화 영역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전력이 낮게 인가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100)가 화면 분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한다(S410).
참고로,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발생된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 데이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이다.
그런 후,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여 인식한다(S420).
구체적으로, 상기 (S420) 단계에서는,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윤곽선을 경계로 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일정 넓이 및 길이 이상 연속된 공백을 검출하고, 연속된 공백을 경계로 하여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한다(S430).
이때,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 중 전체 화면 상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자동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1)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사용자에 의한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1) 측에 장착된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추적한 시선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111) 상에 대응된 좌표 영역에 매핑하여 시선 좌표 값을 생성한 후, 시선 좌표 값에 매칭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후,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선택 영역 보다 낮게 조절한다(S440).
이때,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기설정된 휘도 값보다 낮게 재설정하여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1)가 백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나머지 영역의 백라이트를 오프(off) 처리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1)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부재로 구성된 경우, 상기 단계 (S430) 이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에 발생된 형태 변형 발생을 검출하고, 형태 변형에 따른 상태 조건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계 (S430)에서는 상기 판단된 활성화 영역에 출력된 실행 화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11’)의 복수의 영역 중 선택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440)에서는 활성화 영역 상의 선택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과,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기 선택 영역보다 낮게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디바이스
111: 디스플레이부
112: 입력 데이터 수신부
113: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114: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115: 화면 분할 인식부
116: 영역 선택 감지부
117: 디스플레이 제어부
118: 디스플레이 변형 검출부
119: 활성화 영역 판단부

Claims (22)

  1.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발생된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데이터 수신부;
    기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상기 입력 데이터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여 제공하는 실행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화면 분할 인식부;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선택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상기 선택 영역과 상기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2. 상기 영역 선택 감지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전체 화면 상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 감지부는,
    상기 화면 분할 인식부가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인식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입력 데이터가 발생된 적어도 한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선택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측에 장착된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상기 추적한 시선의 위치를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 영역에 매핑하여 시선 좌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시선 좌표 값에 매칭된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인식부는,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상기 복수의 영역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인식부는,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일정 넓이 및 길이 이상 연속된 공백을 검출하고, 상기 연속된 공백을 경계로 하여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선택 영역보다 상기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하되,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기설정된 휘도 값보다 낮게 재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선택 영역보다 상기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하되,
    상기 나머지 영역의 백라이트(back light)를 오프(off)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부재로 구성된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태 변형 발생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변형 검출부; 및
    상기 형태 변형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판단하는 활성화 영역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영역 선택 감지부는,
    상기 활성화 영역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영역 및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기 선택 영역보다 낮게 인가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2.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기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b)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상기 선택 영역과 상기 선택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이하게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식한 복수의 영역 중 전체 화면 상 크기 비율이 가장 큰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복수의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접촉 또는 비접촉 입력이 발생된 적어도 한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디스플레이부 측에 장착된 촬영 수단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c-2) 상기 추적한 시선의 위치를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에 대응하는 좌표 영역에 매핑하여 시선 좌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c-3)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시선 좌표 값에 매칭된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윤곽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로부터 일정 넓이 및 길이 이상 연속된 공백을 검출하고, 상기 연속된 공백을 경계로 하여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 상의 전체 영역을 상기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택 영역보다 상기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하되,
    상기 나머지 영역의 픽셀 별 휘도 값을 기설정된 휘도 값보다 낮게 재설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전력을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택 영역보다 상기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낮게 인가하되,
    상기 나머지 영역의 백라이트(back light)를 오프(off)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부재로 구성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발생된 형태 변형 발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활성화 영역 상에 출력된 상기 실행 화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영역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나머지 영역 및 상기 비활성화 영역의 디스플레이 전력을 상기 선택 영역보다 낮게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KR1020130033907A 2013-03-28 2013-03-28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140118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07A KR20140118283A (ko) 2013-03-28 2013-03-28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07A KR20140118283A (ko) 2013-03-28 2013-03-28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83A true KR20140118283A (ko) 2014-10-08

Family

ID=5199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907A KR20140118283A (ko) 2013-03-28 2013-03-28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2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8811A (zh) * 2015-10-23 2016-01-2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智能终端的屏幕显示装置和方法
KR20160082282A (ko)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WO2017069551A1 (en) * 2015-10-23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079911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스마트 보드의 전원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282A (ko)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CN105278811A (zh) * 2015-10-23 2016-01-2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智能终端的屏幕显示装置和方法
WO2017069551A1 (en) * 2015-10-23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48165A (ko) * 2015-10-23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379593B2 (en) 2015-10-23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079911A1 (ko) * 2016-10-28 2018-05-03 주식회사 현대아이티 스마트 보드의 전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1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339854A1 (en) Multi-screen interaction touch display metho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terminal
JP4275151B2 (ja) ユーザが調整可能な閾値を用いる赤目補正方法及び装置
US20140125615A1 (en) Input device, information terminal,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US9851835B2 (en) Image display system
JP2012198541A (ja) 折りたたみ可能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9376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2927794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latency of touch events
CN104951127B (zh) 用于生成显示覆盖的系统和方法以及显示系统
US9104309B2 (en) Pattern swapping method and multi-touch device thereof
US969780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tency of touch events using image replications
KR20140118283A (ko) 화면 분할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CN106681586A (zh) 布局位置调整方法及装置
US20240028186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811301B2 (en) Termi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splay lag
CN109062491A (zh) 交互智能设备的笔迹处理方法和装置
US10042445B1 (en) Adaptive display of user interface elements based on proximity sensing
US10768807B2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11422653B2 (en) Touch and display control device with fast touch responsiveness,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20073123A1 (en) Method for displaying overlapping documents in a computer environment
US202203087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17515B2 (en) Capturing annotations on an electronic display
US20150153846A1 (en) Coordinat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41688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oftware keyboard adaptation
CN104298441A (zh) 一种动态调整终端屏幕文字显示的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