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730A -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 Google Patents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730A
KR20140116730A KR1020130031667A KR20130031667A KR20140116730A KR 20140116730 A KR20140116730 A KR 20140116730A KR 1020130031667 A KR1020130031667 A KR 1020130031667A KR 20130031667 A KR20130031667 A KR 20130031667A KR 20140116730 A KR20140116730 A KR 2014011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handler
tubula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규
엄세원
Original Assignee
손상규
엄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규, 엄세원 filed Critical 손상규
Priority to KR102013003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730A/ko
Publication of KR2014011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80Implements for cleaning or washing the skin of surgeons o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에 관한 것으로서,탈출수핵제거시술 시의 추간판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는 시술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세척핸들러(101)와, 상기 세척핸들러(10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102),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세척관공(113)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가지고, 상기 세척관체(102)는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α)을 가지면서 절곡되고,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는 폐색된 유체전환단부(102-2) 및상기 유체전환단부(102-2)에 인접한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 측방으로 향하여 개방되어 천공형성되는 세척관공(11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에 추간판 수핵의 잔여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시술자의 시야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시술자세가 편안하게 되어 시술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세척수의 배출방향을 유체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배설하게 하고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세척관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A WASHING TOOL FOR RESIDUALS OF INTERVETEBRAL DISC OPERATION}
본 발명은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출수핵을 제거하는 시술과정에서, 제거된 추간판(椎間板)의 수핵잔여물을 세척하여 제거하기에 적합한 구성의 세척구(Washing too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디스크제거술이라 불리우는 '탈출수핵제거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탈출수핵제거시술은 척추의 추간판(척추의 추체 사이의 판)이 노화됨에 따라 추간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에 원심성의 균열(circumferential fissure)과 방사성 파열(radial tear)이 발생하게 되며 굴곡된 상태에서 압박력과 염전력을 받아 추간판 중앙의 수핵은 더 이상 섬유륜에 쌓여있지 못하고 방사성 균열 사이로 비집고 나와 추간판 탈출증을 유발하게 되는 추간판을 제거하는 통상적으로는 '디스크시술'이라 불리는 수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술은 절개 후 수술하는 고전적 방법부터 최소 침습적 수술이 있고, 최소 침습적 수술로는 수술 현미경 하의 수핵 절제술, 내시경을 이용한 수핵 절제술, 자동 경피적 수핵 절제술, 레이저를 이용한 수핵 절제술 등의 외과적인 시술방법이 존재하고, 모든 시술에서 절제된 수핵의 잔여물을 추간강(椎間腔)으로부터 세척해내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의 수핵 잔여물을 세척하고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특정한 형태의 고안물이 없었고,
도 8과 같은 병원에서 일반적인 기성품으로 사용되는 적당한 크기의 니들(ND)를 가지는 주사바늘(ON)에 튜브(T)를 연결하고, 주사바늘(ON)의 바디(B)부분을 파지하여 잡은 후, 튜브(T)와 연결된 생리식염수팩을 스탠드에 현가하여 생리식염수가 수압으로 인하여 적하하는 힘으로 세척하여 왔고, 이러한 세척은 수술적으로 개방된 수핵구멍으로 주사바늘(ON)의 단부를 투입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술작업을 위하여서는 종래의 주사바늘(ON) 중, 비교적 수술작업 시에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상의 돌출리브(RB)를 바디(B)에 구성하여 가진 것을 기성품의 주사바늘 중,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특별하게 안출된 구성물은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없음
그러나, 이러한 도 8과 같은 종래의 기성품의 통상적인 주사바늘의 경우,
추간강 내에서의 수핵잔여물의 세척작업을 위하여서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주사바늘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고, 통상적인 금속재의 주사바늘의 경우, 피부로의 침입을 위하여 첨단부가 대단히 예리한 각도로 절단되어 있어 세심한 주의를 가지고 수핵잔여물을 세척하지 않으면 의도하지 않게 추간강 내의 잔여의 신경근을 건드려 이상증세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고,
예리한 금속제의 주사바늘의 단부의 세척공간 내에서의 미동으로 인하여 미소한 상처를 수술부위에 주게 되어 수술 후, 예후가 좋지 않게 되는 중대한 의료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직선 형상의 주사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만곡하고 다수의 추체와 신경근이 상호 시각적으로 간섭되어 노출되어 있는 환자의 척추체에 접근하기 위하여서는 시술자의 과도한 허리숙임이 요구되어 시술작업이 대단히 불편하고,
나아가 직선 형상체의 주사바늘을 직립하여 세워서 사용하게 되므로 시술자의 시야가 하방으로 향하여야 하므로 시술시야가 극히 제한적으로 밖에 제공되지 않음과 동시에 시술장소의 조명이 가려지는 등의 문제로 시술이 대단히 힘든 문제점 또한 상존하였다.
나아가, 비교적 고가의 대형의 주사바늘을 단순히 세척용으로만 사용하게 됨으로써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되므로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되어 위생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제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을 위한 세척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의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의 추간판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는, 시술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세척핸들러와, 상기 세척핸들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 상기 세척관체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개방공으로서의 세척관공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가지고;
상기 세척관체는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을 가지면서 절곡되고,
상기 세척관체의 최단부는 절곡되어 유로가 변경각을 가지도록 만곡한 유체전환단부를 가지면서 상기 유체전환단부의 단부에 세척관공이 개방형성되는 제1의 실시구성과,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의 추간판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는, 시술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세척핸들러와,상기 세척핸들러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 상기 세척관체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개방공으로사의 세척관공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가지고;
상기 세척관체는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을 가지면서 절곡되고, 상기 세척관체의 단부는 유체전환단부로 폐색되고, 상기 유체전환단부에 인접한 상기 세척관체의 단부 측방으로 향하여 천공개방된 세척관공을 가지는 제 2의 실시구성으로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는,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에 추간판 수핵의 잔여물을 세척함에 있어서, 시술자의 시야의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시술자세가 편안하게 되어 시술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세척수의 배출방향을 세척수의 유체 진행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배설하게 하고, 절곡된 절곡각을 가지는 세척관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는, 시술 시에 주변 신경근으로의 위해를 최소화하여 수술의 예후를 좋게 하고, 값싼 의료용 합성수지로 성형된 제품을 구성함으로써 일회용의 저렴한 구성으로서 제공하여 시술구의 반복사용에 따른 전염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등의 유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를 도시하는 기본적인 형상 구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를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부의 확대사시도.
도 2B는 도 2의 A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핸들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핸들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핸들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인체 척추의 요추부에서의 사용을 설명하는 일부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인체 척추에서의 측면 모식도.
도 8은 종래의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을 위하여 사용된 주사바늘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를 도시하는 기본적인 형상 구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잔여물세척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부의 확대사시도, 도 2B는 도 2의 A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세척핸들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B는 세척핸들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C는 세척핸들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인체 척추의 요추부에서의 사용을 설명하는 일부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인체 척추에서의 측면 모식도로서 순차적으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용의 세척구(100)는 도 1의 기본적인 형상의 실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술자가 손(H)으로 파지하기에 적합한 손잡이 형상체의 세척핸들러(101)와, 이 파지부인 세척핸들러(10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102), 세척관체(102)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세척관공(103)으로 대별하여 구성된다.
세척구(100)를 구성하는 세척핸들러(101)와 세척관체(102)는 모두 사출성형되는 의료용 합성수지, 예를 들면 소독을 위한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이 강한 실리콘수지로 일체로 또는 분리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하게는 이러한 합성수지의 사출재로서 구성함으로써 사용 후 폐기하는 1회용(Disposable)으로 한정되는 용도로써 채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세척구(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척핸들러(101) 후방에 삽입되는 통상적인 수액제용 등의 튜브(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삽입공(도시하지 아니함)이나 돌출된 연결부인 삽입관체(110)를 일체로 가지고 시술 시에 세척을 위하여 도 5A,B,C에서와 같이,
시술자가 손가락(h1,h2,h3,h4)으로 파지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인체역학적으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요부는 아니다.
즉. 세척핸들러(101)는 도 5 A,B,C에 순차적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주사바늘과 유사한 형태의 세척핸들러(101)(도 4A), 파지면에 단부를 부여하여 시술자의 손(H)의 손가락(h1,h2,h3,h4)이 안착하기에 용이한 형상의 단면 다각형 또는 원형체의 세척핸들러(101-1,101-2)(도 4B,C)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척핸들러(101)는 시술자의 손(H)의 손가락(h1,h2,h3,h4)으로 파지하여 안정적인 파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핸들러의 외곽형상을 구성하는 기하학적인 형상으로서의 컨튜어(Contour)에 맞게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세척구(10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세척관체(102)는 역시 투명한 의료용의 합성수지로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 이하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α)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 절곡각(α)은 바람직하게는 100 ~ 150 도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서 실험결과 밝혀졌다. 절곡각(α)을 부여하는 이유는 세척구(100)가 적용되는 부위가 다수의 추체(Centrum) 및 신경근을 가지는 척추부의 특성상,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시술장소의 조명의 가림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시술의 편의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술하는 모식도에서의 설명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척구(100)를 구성하는 세척핸들러(101)와 세척관체(102)는 다른 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로서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세척핸들러(101)는 시술자가 손(H)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고밀도의 합성수지로 성형하고, 세척관체(102)는 추체 사이의 추간강으로 투입되는 부분이므로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추간판 사이의 추간강(椎間腔)으로의 투입 시에 타 신경근 등과의 접촉 시에 상대적인 연성재질로 접촉에 의한 손상을 극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세척관체(102)는 그 절곡각(α)의 형상만을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정도로서 그 역활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의 차별성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건은 아니다.
또한, 세척구(100)의 세척관체(102)는 도 1의 A부 확대도에서 더욱 명확한 바와 같이, 세척관체(102)의 최단부가 일부 절곡되어 세척수인 유체의 유로가 유체진행방향의 측방으로의 변경각을 가지도록 만곡한 유체전환단부(102-1)를 형성하여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체전환단부(102-1)는 세척관체(102)의 최종단부가 휘어진 만곡형상의 유체배출로를 형성하여 최종적인 세척관공(103)은 유체분출로에 대하여 측방으로 절곡된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시술자의 탈출수핵제거 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의 세척 시에 세척공간에 투입되어도 다른 신경근 등으로의 기계적인 위해를 최소화하게 되어 종래의 주사바늘의 예리한 단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며 후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세척구(100)의 세척관체(102)는 도 2 및 도 2의 A부 확대도인 도 3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가 반구체 형상으로 폐색된 유체전환단부(102-2)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부가 반구체 형상으로 폐색된 유체전환단부(102-2)는 그 단부가 막힌 형상의 반구체의 막힌 단부로 구성하여 가짐으로써 시술자의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의 세척 시에 세척공간에 투입되어도 다른 신경근 등으로의 기계적인 위해를 최소화하게 되어 종래의 주사바늘의 예리한 단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유체전환단부(102-2)는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반구체(Semi-sphere)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유체전환단부(102-2)의 내 측방이고 세척핸들러(101)를 시술자가 세척을 위하여 파지하는 경우, 시술자의 손(H)의 손가락(h1,h2,h3,h4)이 형성하는 파지수평면(P)에 대하여 상방 직각의 위치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의 세척관공(113)이 천공되어 있다.
세척관공(113)은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척관체(101)의 길이방향의 슬리트형상으로 천공된 슬리트관공(113-1)이거나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소직경의 소관공(113-2)일 수 있고 그외에 도시하지 아니하는 다양한 형상의 관공체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형상에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즉, 세척관체(102)의 세척관공(113)은 상기 세척관체(101)의 길이방향의 슬리트형상으로 천공된 슬리트관공(113-1), 다수의 소직경의 소관공(113-2), 다수의 슬리트관공,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타원형, 장방형 등)의 하나 이상의 관공체의 어느 하나 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파지수평면(P)이라 함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술자의 손(H)의 손가락(h1,h2,h3,h4)이 파지한 상태에서 형성하는 인체 손의 기하학적인 평균적인 수평면을 의미하고 시술자가 편리한 파지자세가 구성하는 평면으로서 이에 대하여 세척관공(103,113)이 상방 측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상기하는 세척관체(102)의 단부의 유체전환단부(102-1,102-2)와 세척관공(103,113)의 협동으로 인하여, 튜브(T)로부터 인입되는 생리식염수 등의 세척수는 세척관체(102)로 일정한 수압으로 유입되어 유체전환단부(102-1,102-2)에 의하여 유체플럭스(FP)가 전환되어 세척관체(102)의 측방 개방으로의 세척관공(103, 113-1,113-2)으로 분출되고 이 분출된 세척수는 추간강 내에서 와류를 형성하고 잔여 수핵잔여물을 세척하고 되어 직접적인 신경근으로의 분사는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 세척수는 시술자의 손(H)으로 파지한 상태에서의 파지수평면(P)에 대하여 상방 직각으로 배출되는 것이 시술작업 시의 자세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도 6과 같은 인체의 요추부의 추체들의 모식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추체(Centrum:C1,C2,.)사이의 추간판(Intervetebral Disc)의 수핵이 시술에 의하여 제거되고 난 이후에 추간강(E) 사이에 본 발명의 세척구(100)을 투입하여 세척하는 경우,
세척관체(102)가 추체(C1-C2) 사이의 공간인 추간강(E)으로 투입되어 세척을 수행하는 시점에서 세척관체(102)의 상방향으로 세척관공(103,113)이 위치하여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이 세척작업이 용이하고 의사의 전방 시야(FV)가 확보되어 세척작업이 원활하고 다른 신경근(N)들로의 손상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사바늘의 경우, 세척수의 배출방향과 주사바늘의 관체가 직선상에 위치하므로 시술자는 상방에서 내려보면서 조작하여야 하므로 그 시술자세가 극히 불편하고 시술자의 두부에 의하여 수술실 조명이 가려져 시야가 불명하게 되어 시술에 의하여 타 신경근을 건드릴 우려가 큰 문제가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의 사용을 설명하는 인체 척추에서의 측면 모식도로서, 설명을 위하여 상단부의 추체를 의도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추체(C3,C4)에 대한 본 발명의 세척구(100)의 조작을 모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00: 세척구
101: 세척핸들러
102: 세척관체
103,113: 세척관공

Claims (8)

  1.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의 추간판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는,
    시술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세척핸들러(101)와,
    상기 세척핸들러(10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102),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개방공으로서의 세척관공(113)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가지고;
    상기 세척관체(102)는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α)을 가지면서 절곡되고,
    상기 세척관체(102)의 최단부는 절곡되어 유로가 변경각을 가지도록 만곡한 유체전환단부(102-1)를 가지면서 상기 유체전환단부(102-1)의 단부에 세척관공(103)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2. 탈출수핵제거시술 시의 추간판 잔여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는,
    시술자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세척핸들러(101)와,
    상기 세척핸들러(101)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관체로서의 세척관체(102),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에서 세척제를 배출하는 개방공으로사의 세척관공(113)을 유체적으로 연결하여 가지고;
    상기 세척관체(102)는 중간부에서 절곡된 절곡각(α)을 가지면서 절곡되고,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는 유체전환단부(102-2)로 폐색되고,
    상기 유체전환단부(102-2)에 인접한 상기 세척관체(102)의 단부 측방으로 향하여 천공개방된 세척관공(11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는 의료용 합성수지로서 일체 또는 별도 성형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의 세척핸들러(101)는 시술자가 손가락(h1,h2,h3,h4)으로 파지하여 안정적인 파지자세를 형성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형상인 컨튜어(Contour)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관체(102)의 중간부의 절곡된 절곡각(α)은 100 ~ 150 도 범위 내의 한 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핸들러(101)와 세척관체(102)는 다른 강성의 합성수지로서 성형하되,
    상기 세척핸들러(101)를 성형하는 합성수지의 강성이 상기 세척관체(102)의 강성보다 높은 강도의 합성수지로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구(100)의 세척관체(102)의 세척관공(113)은 시술자의 상기 손(H)의 손가락(h1,h2,h3,h4)이 파지한 상태에서 형성하는 인체 손의 기하학적인 평균적인 수평면인 파지수평면(P)에 대하여 상방 수직방향으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관체(102)의 세척관공(113)은 상기 세척관체(101)의 길이방향의 슬리트형상으로 천공된 슬리트관공(113-1), 다수의 소직경의 소관공(113-2), 다수의 슬리트관공, 선택되는 기하학적 형상의 하나 이상의 관공체의 어느 하나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KR1020130031667A 2013-03-25 2013-03-25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KR20140116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67A KR20140116730A (ko) 2013-03-25 2013-03-25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67A KR20140116730A (ko) 2013-03-25 2013-03-25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30A true KR20140116730A (ko) 2014-10-06

Family

ID=5199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667A KR20140116730A (ko) 2013-03-25 2013-03-25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7A (ko) * 2017-02-17 2018-08-27 장상훈 브라이언 리트랙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67A (ko) * 2017-02-17 2018-08-27 장상훈 브라이언 리트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6684A1 (ja) 内視鏡用レンズ清掃具
AU716541B2 (en) Microsurgical curette
US11457909B2 (en) Sheath device for 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KR20130106289A (ko) 방사상 배치 수술 도구
JP2013531517A5 (ko)
US11547524B2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rongeur
KR101441320B1 (ko) 최소 침습 내시경 척추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US9333046B2 (en) Surgical instrument tip cleaner
KR20140116730A (ko) 탈출수핵제거시술의 추간판 잔여물세척구
US10813651B2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Kerrison rongeur
CN107666879B (zh) 可重复使用的植入物输送装置
EP3125788B1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kerrison rongeur
IL262933B2 (en) Improvements to gather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a Ranger
US9439640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emporarily retaining spinal rootlets within dural sac
US20100050354A1 (en) Instrument for cleaning surgical instruments during surgery
KR102035861B1 (ko) 수술용 다이섹터
WO2016106156A1 (en) Holder for disinfection of tonometer tips or the like and method of use
US20160360955A1 (en) Laparoscopic eye wiper
CN212016324U (zh) 一种一次性椎间隙冲洗器
WO2008122807A2 (en) Device, kit and method for cleaning an endoscopy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