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604A -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604A
KR20140116604A KR1020130031337A KR20130031337A KR20140116604A KR 20140116604 A KR20140116604 A KR 20140116604A KR 1020130031337 A KR1020130031337 A KR 1020130031337A KR 20130031337 A KR20130031337 A KR 20130031337A KR 20140116604 A KR20140116604 A KR 20140116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data
clipboard
data stor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윤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안지윤
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윤, 최민호 filed Critical 안지윤
Priority to KR1020130031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604A/ko
Publication of KR20140116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각각 구비하고,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DB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DATA SYNCHRONIZATION SYSTEM AMONG CLIENT TERMINALS}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유/무선 단말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한 명의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단말기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에서는 회사 PC를, 출장 중에는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을, 귀가 후에는 집에 설치된 개인 PC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는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종래에도 위와 같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안이 있었다. 예를 들어, 웹 하드나 그룹웨어를 통해서 전자 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를 업로드하거나, 또는 USB와 같은 외장 저장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관 및 이동함으로써, 장소와 단말기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단말기에서 동시에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실제로는 번거롭거나 제한적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위와 같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환경에서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저장된 자료를 장소와 무관하게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공유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기술은 진정한 동기화라기보다는 단순히 어느 하나의 단말기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로 백업(backup)하는 정도의 수준이다.
특히, 용량이 크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를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공유 및 이용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웹 하드, USB, 클라우드 등을 사용하는 것은 필요 이상의 수고와 시간이 소비된다. 보통 용량이 크지 않은 데이터는 필요한 때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공유 및 이용될 필요가 크기 때문이다.
용량이 크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공유 및 이용하는 예로,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운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특정 메모리 자원이 있다. 이러한 특정 메모리 자원의 대표적인 예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의 시스템 클립보드(clip board)가 있다.
시스템 클립보드는 선택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 한 데이터를 동일 프로그램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에 신속하고 간단하게 붙여넣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에서 특정 데이터를 잘라내기, 복사하기, 또는 붙여넣기 등을 하기 위해 시스템 클립보드가 사용되고, 시스템 클립보드를 통해서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시스템 클립보드를 통한 데이터 복사 등은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만 구현되고 있고,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된 시스템 클립보드를 서로 동기화하여 용량이 크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공유 및 이용하는 기술은 찾아볼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이 자신이 구비하는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하는 동시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도 검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구비되는 로컬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로컬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각각 구비하고,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DB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1 변화가 검출된 경우,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인 변화된 데이터를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2 변화가 검출된 경우,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상기 변화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서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가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시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1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1 리스트의 인덱스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1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스트와 상기 제1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2 리스트의 인덱스와 상기 제1 리스트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구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변화 및 제2 변화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가장 최근에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각각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들의 인덱스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은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이 자신이 구비하는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하는 동시에,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구비되는 로컬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로컬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변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 및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및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를 포함한다.
도 1의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는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는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유/무선 단말기로,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서 응용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최근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10), 테블릿 PC(20), 노트북(30), 데스크탑(40)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은 시스템 클립보드를 구비하며,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 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로 생성된 데이터를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동시에,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한다.
동일한 사용자에서 사용자는 개인 한사람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집단도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속한다는 의미는 법적인 소유뿐만 아니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와 유/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신(점선 화살표) 및 수신(실선 화살표)할 수 있으며,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공간인 서버 DB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일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0, 20, 30, 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여, 동일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10, 20, 30, 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동일하게 저장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가 발생된 경우, 이전에 발생된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로 생성되어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발생된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로 생성된 데이터로 변화(교체 또는 덮어쓰기)된다. 그리고 잘라내기 또는 복사하기가 발생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는 자신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변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포함되는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도 함께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은 한편으로는 자신의 시스템 클립보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의 변화(정확하게는 서버 DB의 변화)를 감시하기 때문에,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와 거의 실시간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도면을 통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테블릿 PC(2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가 발생된 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테블릿 PC(2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가 발생되었고, 그로 인해서 생성된 데이터는 테블릿 PC(2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된다. 테블릿 PC(20)는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하고, 테블릿 PC(20)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변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220)한다.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테블릿 PC(20)로부터 전송된 변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 DB(120)에 저장한다.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뿐만 아니라,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하므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은 서버 DB(120)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가 있음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210, 230, 240)를 통해서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210, 230, 240)는 테블릿 PC(20)로부터 전송되는 변화된 데이터가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테블릿 PC(2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되는 변화된 데이터가 없을 것이고, 당연히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도 없으므로, 위에서 말한 시간정보가 없다. 그러나 도 2의 예와 같이 테블릿 PC(2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로 인해서 생성된 데이터가 서버 DB(120)에 저장될 것이고, 저장되는 시간정보를 필수적으로 생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210, 230, 240)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통하여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이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검출한 이후는 도 3을 통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서버 DB(120)에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에게 전송해 달라는 요청(310, 330, 340)을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한다.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가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으로부터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 전송의 요청을 받은 이후는 도 4를 통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변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전송의 요청을 받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에 변화된 데이터(410, 430, 440)를 전송한다.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전송받은 변화된 데이터(410, 430, 440)를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결국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는 테블릿 PC(20)에서 발생된 잘라내기 또는 복사로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즉,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에는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되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의 종류에 상관없이 잘라내기 또는 복사로 생성된 데이터를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 동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로 앞서 설명한 도 2와 달리, 테블릿 PC(20)에서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해서 생성된 데이터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되어 서버 DB(120)에 저장된 후에,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에 전송되는 신호(210, 230, 240)에 테블릿 PC(20)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생성된 데이터를 통해서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생성된 데이터를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한다. 결국 이러한 경우도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국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는 테블릿 PC(20)에서 발생된 잘라내기 또는 복사로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즉,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에는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저장되게 되고,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의 종류에 상관없이 잘라내기 또는 복사로 생성된 데이터를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테블릿 PC(20)는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S1). 그 후, 테블릿 PC(20)는 새로운 데이터를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전송한다(S2).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테블릿 PC(20)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데이터를 서버 DB(120)에 저장한다(S3). 그리고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새로운 데이터가 서버 DB(120)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서버 DB(120)에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S4).
시간정보를 수신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S5).
새로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에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한다(S6).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 동기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에 서버 DB(120)에 저장된 새로운 데이터 자체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서, 스마트폰(10), 노트북(30), 및 데스크탑(40)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의 데이터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서버 DB(120)에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S4).
앞서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일하게 하여,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모두 가장 최근에 잘라내기 또는 복사로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구비되는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구비되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결국, 이를 통해서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 20, 30, 40) 각각의 로컬 DB는 모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 및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로컬 DB(12)를 구비하고,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는 서버 DB(120)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예를 들어, 10)은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기 위해서,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의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140; 제1 리스트)와 스마트폰(10)의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14; 제2 리스트)를 비교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예를 들어, 10)은 리스트들(140, 14; 제1 및 제2 리스트) 자체를 비교할 수도 있지만, 해당 리스트들(140, 14; 제1 및 제2 리스트)의 인덱스를 상호 비교하여, 서버 DB(120)에 저장되어 있지만, 로컬 DB(12)에 누락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서버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예를 들어, 10)는 서버 DB(120)에 저장되어 있지만, 로컬 DB(12)에 누락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서버 DB(120)에 저장되어 있지만, 로컬 DB(12)에 누락된 데이터의 전송을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는 로컬 DB(12)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서버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주체가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예를 들어, 10)이다. 하지만 동기화하는 주체가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가 될 수도 있다. 즉,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가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140; 제1 리스트)와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14;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거나, 또는 해당 리스트들(140, 14; 제1 및 제2 리스트)의 인덱스를 상호 비교하여, 서버 DB(120)에 저장되어 있지만, 로컬 DB(12)에 누락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예를 들어, 10)에 전송하여, 로컬 DB(12)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서버 DB(120)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10, 20, 30, 40)은 로컬 DB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해서 제2 리스트를 구비하는 로컬 DB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a)를 통하여, 서버 DB(120)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140a)의 전송(720)을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100)에 요청(700)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송된 리스트(140a)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a)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구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설정으로 형성된 명령어들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하도록 하고, 제1 변화 및 제2 변화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가장 최근에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명령어들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각각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호 비교하거나 또는 리스트들의 인덱스를 상호 비교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은,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가장 최근에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된 데이터로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로컬 DB 각각에 저장되는 데이터들도 모두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의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도 함께 검출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데이터의 동기화는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볼 때, 만약 본 발명의 수정 및 변경이 아래의 청구항들 및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한다면, 본 발명이 이 발명의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16)

  1.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클립보드를 각각 구비하고,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DB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1 변화가 검출된 경우,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인 변화된 데이터를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2 변화가 검출된 경우,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상기 변화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서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가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시간을 통하여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제2 변화를 검출하고, 상기 변화된 데이터를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1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스트와 상기 제2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제1 리스트의 인덱스와 상기 제2 리스트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은,
    자신이 구비한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제1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스트와 상기 제1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제2 리스트의 인덱스와 상기 제1 리스트의 인덱스를 비교하여,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어 있지만, 상기 로컬 DB에 누락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여, 상기 로컬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상기 서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과 동일하게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 동기화 서버는,
    상기 서버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동기화 시스템.
  14.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구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잘라내기 또는 복사를 통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자신이 구비한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1 변화를 검출함과 동시에,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구비되는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변화인 제2 변화를 검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변화 및 제2 변화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가장 최근에 생성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각각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리스트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들의 인덱스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상기 시스템 클립보드 모두에 동일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0031337A 2013-03-25 2013-03-25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KR20140116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37A KR20140116604A (ko) 2013-03-25 2013-03-25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37A KR20140116604A (ko) 2013-03-25 2013-03-25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04A true KR20140116604A (ko) 2014-10-06

Family

ID=5199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37A KR20140116604A (ko) 2013-03-25 2013-03-25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66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79A (ko) * 2019-04-02 2020-10-13 (주)레몬클라우드 이기종 장치 간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4301929A (zh) * 2021-12-10 2022-04-08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云端剪贴板数据同步方法、装置、云服务器和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79A (ko) * 2019-04-02 2020-10-13 (주)레몬클라우드 이기종 장치 간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4301929A (zh) * 2021-12-10 2022-04-08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云端剪贴板数据同步方法、装置、云服务器和系统
CN114301929B (zh) * 2021-12-10 2024-03-08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云端剪贴板数据同步方法、装置、云服务器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7905B (zh) 数据同步方法、系统及设备
EP2976871B1 (en) Local server for synced online content management system
EP3186701B1 (en) A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allowing synchronized access to cloud
US9524151B2 (en) Context sensitive distributed file system synchronization and merging semantics
US9743251B2 (en) Adding location names using private frequent location data
US9703801B2 (en) Synchronization of client machines with a content management system repository
US9697225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file
US20120310882A1 (en) Key value data storage
US10180945B2 (en) Data replication from a cloud-based storage resource
US9892000B2 (en) Undo changes on a client device
WO2015002962A1 (en) Syncing content clipboard
CN107315825B (zh) 一种索引更新系统、方法及装置
KR20140114073A (ko) 데이터 동기화
CN103064637A (zh) 一种网盘的缓存同步方法及系统
CN104935634A (zh) 基于分布共享存储的移动设备数据共享方法
US202100644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ilover in hbas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616328B2 (en) Updating files between computing devices via a wireless connection
KR20140116604A (ko) 클라이언트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US20180059650A1 (en) Techniques for multiple application banks in a welding or cutting system
KR20120073799A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의 데이터 동기화 및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KR20150052421A (ko) 휴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클라우드 장치
CN105338007A (zh) 服务器集群中服务文档的获取方法、提供方法、文档服务器及中心服务器
CN104679688A (zh) 数据访问方法、装置及系统
CN103617166A (zh) 一种元数据的镜像方法
US20170006096A1 (en) Data block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