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912A -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912A
KR20140115912A KR1020130072523A KR20130072523A KR20140115912A KR 20140115912 A KR20140115912 A KR 20140115912A KR 1020130072523 A KR1020130072523 A KR 1020130072523A KR 20130072523 A KR20130072523 A KR 20130072523A KR 20140115912 A KR20140115912 A KR 20140115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ample
metering
chambers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건
김나희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60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81263A3/en
Priority to US14/219,273 priority patent/US20140287524A1/en
Publication of KR2014011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35/0006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whereby the sample substrate is of the bio-disk type, i.e. having the format of an optical dis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3Disc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랫폼, 시료를 수용하도록 플랫폼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시료의 양을 정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은, 시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량 챔버, 정량 챔버에 연결되며,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입된 시료에 대해 복수번의 정량을 거칠 수 있어 미세유동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미세유동장치에서 동일한 시간 내에 복수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항목을 늘릴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Microfluid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 유닛의 구조를 개선하여 동시에 복수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유동구조물 내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구동압력이 필요한데, 구동압력으로서 원심력 및 모세관압이 이용되기도 하고, 별도의 펌프에 의한 압력이 이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디스크 형상의 몸체에 미세유동구조물을 배치하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며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크형 미세유동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일컬어 랩씨디(Lab CD) 또는 랩온어디스크(Lab-on a disk) 또는 디지털 바이오 디스크(Digital Bio Disk:DBD)라 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미세유동장치는 유체를 가두어 둘 수 있는 챔버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채널 및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미세유동장치는 혈액, 타액, 소변 등과 같은 시료를 검사하기 위한 시료검사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미세유동장치의 내부에서는 시료의 특정 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시약이 배치된다. 미세유동장치에 시료를 주입하고 시료와 시약의 반응 결과를 검출함으로써 시료를 검사할 수 있다.
미세유동장치는 원심분리 챔버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리한다. 미세유동장치는 분리된 시료를 정량하기 위한 정량 챔버를 포함하며, 종래에는 하나의 원심분리 챔버에 하나의 정량 챔버가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크 내에서 검사 할 수 있는 검사 항목의 수가 제한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가 일어나는 챔버의 개수를 늘리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하나의 디스크 내에서 구현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동일한 시간대에 복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량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미세유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랫폼, 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시료의 양을 정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은, 시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량 챔버, 상기 정량 챔버에 연결되며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정량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와 상기 채널 내의 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정량 챔버와 상기 수용 챔버와 연결된 웨이스트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챔버는 상기 정량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웨이스트 챔버는 상기 정량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중심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시료를 분리하기 위한 시료분리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 유닛은 동시에 복수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정량 유닛과 제2정량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분리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정량 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시료분리 챔버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정량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량 유닛의 유입부와 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정량 유닛으로의 유입 또는 유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가 이송되어 광학적 또는 전기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내측에 시약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정량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반응이 일어난 시료의 검출을 위한 검출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챔버는 상기 반응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플랫폼, 시료가 이동하기 위해 상기 플랫폼에 마련되는 채널, 상기 플랫폼에 주입되는 시료를 수용하는 주입 챔버, 상기 주입 챔버 내의 시료를 정량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정량 유닛, 상기 제1정량 유닛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재정량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제2정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를 제공한다.
주입 챔버로 주입된 시료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와 연결된 시료분리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가 상기 주입 챔버에서 상기 시료분리 챔버를 지나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시료분리 챔버는 상기 주입 챔버와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시료의 정량을 위한 제1정량 챔버와 제2정량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수용 챔버와 제2수용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웨이스트 챔버와 제2웨이스트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분리 챔버와 상기 제1정량 유닛 사이에 제1밸브가 위치하며, 상기 시료분리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유닛 사이에 제2밸브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로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웨이스트 챔버와 연결되는 채널 상에 위치하는 제3밸브와, 상기 제2웨이스트 챔버와 연결되는 채널 상에 위치하는 제4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정량 챔버의 유출부에 위치하는 제5밸브와, 상기 제2정량 챔버의 유출부에 위치하는 제6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시료를 분리하는 시료분리 챔버, 시료를 정량하기 위한 제1정량 챔버와 제2정량 챔버, 상기 제1정량 챔버를 채우고 남는 시료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수용 챔버, 상기 챔버를 각각 연결하는 채널이 형성된 플랫폼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으로 시료를 주입하고,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1수용 챔버로 시료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수용 챔버 내의 시료와 상기 시료분리 챔버 내의 시료 중 일부를 상기 제2정량 챔버로 이동시켜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 내측의 시료를 각각 정량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는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수용 챔버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는 각각의 정량 챔버와 연결된 제1웨이스트 챔버와 제2웨이스트 챔버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1웨이스트 챔버와 상기 제2웨이스트 챔버로의 시료의 이동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와 상기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가 개방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시료는 원심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후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시료분리 챔버에서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로의 시료의 이동은 상기 원심분리 챔버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가 개방되어 시료가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세유동장치의 정량 유닛의 구조를 변화시켜 주입된 유체가 복수번의 정량을 거칠 수 있어 미세유동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미세유동장치에서 동일한 시간 내에 복수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항목을 늘릴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검사의 진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의 정량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 내에서의 시료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유동장치(1)는 회전 가능한 디스크 형의 플랫폼(4)과, 플랫폼(4) 내에 구획되어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및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플랫폼(4)의 측면에 마련되는 바코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랫폼(4)은 그 중심(5)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플랫폼(4) 내에 배치된 챔버 및 채널에서는 플랫폼(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시료의 이동, 원심분리, 혼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랫폼(4)은 성형이 용이하고, 그 표면이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인 아크릴, PDMS, PMMA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플랫폼(4)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학적, 생물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가공성 등을 가지는 소재이면 족하다.
플랫폼(4)은 여러 층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과 판이 서로 맞닿는 면에 챔버나 채널 등에 해당하는 음각 또는 양각 구조물을 만들고 이들을 접합함으로써 플랫폼(4) 내부에 공간과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4)은 제1기판(2)과 제1기판(2)에 부착된 제2기판(3)으로 이루어진 구조나, 제1기판(2)과 제2기판(3) 사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정의하기 위한 구획판(미도시)이 마련된 구조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플랫폼(4)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기판(2) 및 제2기판(3)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기판(2)과 제2기판(3)의 접합은 접착제나 양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료의 검사를 위하여 플랫폼(4) 내에 배치되는 미세유동구조물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료는 유체와 그 유체보다 밀도가 큰 입자 형태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료는 혈액, 타액, 소변 등의 생체 시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4)의 반경 방향 내측에 주입 챔버(80)가 배치될 수 있다. 주입 챔버(80)는 소정의 양의 시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되고, 주입 챔버(80)의 상면에는 주입 챔버(80) 내부로 시료를 주입하기 위한 시료주입구(81)가 형성된다.
유체와 입자 형태의 물질이 혼합된 상태의 시료 전체가 유체가 이용되는 검사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주입 챔버(8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는 플랫폼(4)이 회전을 이용하여 시료를 원심 분리하는 시료분리 챔버(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시료분리 챔버(20) 내에서 분리된 시료는 정량을 위하여 정량 유닛(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정량 유닛(10)은 제1정량 유닛(10a)과, 제2정량 유닛(10b)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유체를 정량하기 위한 정량 챔버(51, 52)와, 정량되고 남은 유체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 챔버(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량 되고 남은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웨이스트 챔버(31, 32)가 위치할 수 있다. 정량 유닛(10)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정량 유닛(10)에서 정량된 시료는 반응 유닛(71, 72)으로 이송되어, 시료에 대한 검사가 진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의 정량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챔버(80)로 주입된 시료는 시료분리 챔버(20)로 이송되어 플랫폼(4)의 회전을 이용하여 원심분리된다. 시료분리 챔버(20)는 주입 챔버(8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채널 형상의 상청액수집부(21)와, 상청액수집부(2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침강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침강물수집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가 혈액인 경우, 플랫폼(4)이 회전할 때 혈구는 침강물수집부(22)에 모이고, 혈구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혈청은 상청액수집부(21)에 모인다. 따라서, 시료분리 챔버(20)에서 혈액은 혈청과 혈구로 분리되고, 혈청이 검사에 사용된다.
또한, 시료는 검사에 필요한 미리 정해진 양으로 정량되기 위해 정량 유닛(10)으로 유입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량 유닛(10)은 시료분리 챔버(2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미세유동장치(1)가 시료분리 챔버(2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량 유닛(10)이 주입 챔버(8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시료분리 챔버(20)의 일측에 제1정량 유닛(10a)이 위치하며, 시료분리 챔버(20)의 다른 일측에 제2정량 유닛(10b)이 위치할 수 있다. 시료분리 챔버(20)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주입 챔버(80)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검사에 필요한 양으로 시료를 정량하기 위한 정량 챔버(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량 챔버(51, 52)는 주입 챔버(80)보다 플랫폼(4)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정량 유닛(10a)의 정량 챔버를 제1정량 챔버(51)로 정의하고, 제2정량 유닛(10b)의 정량 챔버를 제2정량 챔버(52)로 정의한다. 시료분리 챔버(20)와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의 사이에는 정량 유닛(10a, 10b)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60)가 위치할 수 있다. 밸브(6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정량 챔버(51, 52)에서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41, 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량 유닛(10a)의 수용 챔버를 제1수용 챔버(41)로 정의하고, 제2정량 유닛(10b)의 수용 챔버를 제2수용 챔버(42)로 정의한다. 수용 챔버(41, 42)는 정량 챔버(51, 52)보다 플랫폼(4)의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정량 챔버(51, 52)에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수용 챔버(41, 42)에는 정량 챔버(51, 52)에 정량되고 남은 시료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수용 챔버(41)의 시료는 제2정량 챔버(52)로 이동하고, 제2수용 챔버(42)의 시료는 제2웨이스트 챔버(32)로 이송될 수 있다. 수용 챔버(41, 42)는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4)의 표면에서 충분한 깊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챔버(41, 42)의 표면에는 배기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수용 챔버(41, 42) 내측의 시료와 채널(31b, 32a)내의 시료를 수용하도록 웨이스트 챔버(31, 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량 유닛(10a)의 웨이스트 챔버를 제1웨이스트 챔버(31)로 정의하고, 제2정량 유닛(10b)의 웨이스트 챔버를 제2웨이스트 챔버(32)로 정의한다. 웨이스트 챔버(31, 32)는 정량 챔버(51, 52)보다 플랫폼(4)의 중심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은 시료의 검사가 진행되는 반응 유닛(71, 72)과 연결될 수 있다. 정량된 시료가 수용된 정량 챔버(51, 52)와 반응 유닛(71, 72)이 연결되어, 정량 챔버(51, 52) 내의 시료를 이용하여 검사가 진행된다. 반응 유닛(71, 72)은 정량 챔버(51, 52)보다 플랫폼(4)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반응 유닛(71, 72)은 반응 챔버(71a, 72a)와 검출 챔버(71b, 72b)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 챔버(71a, 72a)는 정량 챔버(51, 52)보다 플랫폼(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플랫폼(4) 중심에서 반응 챔버(71a, 72a) 까지의 거리는 플랫폼(4)의 중심에서 정량 챔버(51, 52)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정량 챔버(51, 52)를 통해 정량된 시료는 반응 챔버(71a, 72a)로 이송될 수 있다. 반응 챔버(71a, 72a)에는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검출 가능한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종류 또는 다양한 농도의 시약들이 미리 주입될 수 있다. 시약은 고체 상태로 반응 챔버(71a, 72a)에 수용될 수도 있다.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반응의 예는 형광 발현 또는 흡광도(optical density)의 변화일 수 있다. 다만, 반응 챔버(71a, 72a)의 용도가 상기의 용도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약과 반응한 시료들은 반응 챔버(71a, 72a)에서 검출 챔버(71b, 72b)로 이송되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검출 챔버(71b, 72b)는 반응 챔버(71a, 72a)보다 플랫폼(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플랫폼(4)의 중심에서 검출 챔버(71b, 72b)까지의 거리는 플랫폼(4)의 중심에서 반응 챔버(71a, 72a)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챔버와 챔버의 사이에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60)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의 유입부에는 제1밸브(61)와 제2밸브(62)가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정량 챔버(51, 52)의 유입부에는 제1밸브(61)와 제2밸브(62)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31, 32)의 유입부에는 제3밸브(63)와 제4밸브(64)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a, 10b)의 출구부에는 제5밸브(65)와 제6밸브(66)가 위치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정량 챔버(51, 52)의 출구부에는 제5밸브(65)와 제6밸브(66)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밸브(60)는 모세관 밸브와 같이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면 수동적으로 개방되는 밸브 또는 작동 신호에 의해 외부로부터 동력 또는 에너지를 받아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밸브 등 다양한 종류의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1)는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작동하는 상전이 밸브를 채용한다.
각 밸브는 플랫폼(4)을 이루는 제1기판(2)과 제2기판(3) 사이에 입체적 또는 평면적인 형태로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고온에서 용융되어 인접한 여유공간으로 이동하여 채널들을 개방한다.
밸브(60)에 열을 가하기 위해서 플랫폼(4)의 외부에는 광을 방출하는 외부에너지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외부에너지원(미도시)이 밸브(60)를 향하여 광을 방출하여 밸브(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밸브(60)는 상전이 물질과, 상전이 물질에 분산된 발열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입자는 수백 내지 수천 마이크로미터(μm) 폭을 가지는 채널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발열입자는 광(예를 들면, 레이저)이 조사되면 그 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발열하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도록 발열입자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core)와, 소수성을 가지는 쉘(shel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발열입자는 Fe로 이루어진 코어와, Fe에 결합되어 Fe를 감싸는 복수의 계면활성성분(surfactant)로 이루어진 쉘을 구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열입자로서 캐리어 오일(carrier oil)에 분산된 상태로 시중에 유통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전이 물질은 왁스(wax)일 수 있다. 발열 입자들이 흡수한 광에너지를 열에너지의 형태로 주위에 전달하면 왁스는 이로 인해 용융되어 유동성을 가지게 되며, 이로써 밸브가 붕괴되고 유로가 개방된다. 왁스는 적당한 녹는점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는점이 너무 높으면 광 조사를 시작한 후 용융될 때까지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개방 시점의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지고, 반대로 녹는점이 너무 낮으면 광이 조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유체가 누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왁스로는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합성 왁스(synthetic wax), 또는 천연 왁스(natural wax)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전이 물질은 겔(gel) 또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도 있다. 겔은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s),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s), 또는 폴리비닐아미드(polyvinylamides)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로는 COC, PMMA, PC, PS, POM, PFA, PVC, PP, PEEK, PA, PSU, 또는 PVD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 내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e를 참고하여 미세유동장치 내에서의 시료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a는 주입 챔버(80)에 시료(S)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입 챔버(80)의 시료(S)는 시료분리 챔버(20)로 이동하며, 이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량 유닛(10a)과 시료분리 챔버(20)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61)가 용융되어 채널이 개방되면 시료(S)는 제1정량 유닛(10a)과 제1수용 챔버(41)로 이동한다. 즉, 제1정량 챔버(51) 내측의 시료는 정량된 시료이며, 제1정량 챔버(51)에 수용되고 남는 시료가 제1수용 챔버(41)에 수용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량 유닛(10b)과 시료분리 챔버(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밸브(62)가 용융되어 채널이 개방되면 제1수용 챔버(41)의 시료(S)와 시료분리 챔버(20)의 시료(S) 중 일부는 제2정량 챔버(52)로 수용된다. 제2정량 챔버(52)에 수용되고 남은 시료(S)는 채널에 남아있을 수 있다. 또한, 시료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제2수용 챔버(42)에 정량되고 남은 시료가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e는 제1웨이스트 챔버(31)와 제2웨이스트 챔버(32)의 입구부에 위치하는 제3밸브(63)와 제4밸브(64)가 용융되어 채널(32a, 31b)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밸브(63)와 제4밸브(64)가 개방됨에 따라, 채널과 제2수용부(42)에 남아있는 시료(S)는 제1웨이스트 챔버(31)와 제2웨이스트 챔버(32)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1정량 챔버(51)와 제2정량 챔버(52)에는 정량된 시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제1정량 챔버(51)와 제2정량 챔버(52)의 출구부에 위치한 제5밸브(65)와 제6밸브(66)가 용융되어 채널이 개방되면 시료(S)가 반응 유닛(71, 72)으로 이동하여 시료(S)를 이용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정량 유닛(10a, 10b)이 위치하기 때문에 한번에 정량된 시료 복수개를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디스크 안에서 복수번의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하나의 시료로 단계적으로 검사하는 경우에는 정량 챔버가 필수적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에 정량 챔버가 복수개 위치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정량 챔버(51, 52)는 수용 챔버(41, 42)와 연결되어 수용 챔버(41,42)가 정량 챔버(51, 52)에 수용되고 남은 시료를 수용하기 때문에 정량 챔버(51, 52)에 수용되지 않은 시료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량 챔버(51, 52)에 수용되지 않고 남은 시료는 플랫폼(4)의 회전으로 인해 수용 챔버(41, 42)에서 웨이스트 챔버(31, 32)로 이송되어 웨이스트 챔버(31, 32)에 수용되기 때문에 이후의 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유동장치(1000)는 정량 유닛(100a, 100b, 200a, 200b)과 반응 유닛(171, 172, 271, 272)을 포함하는 검사 유닛을 포함하며, 검사 유닛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시료분리 챔버 하나에 정량 유닛이 2개 위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총 4개의 정량 유닛(100a, 100b, 200a, 200b)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시료에 대해 총 4번의 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검사 유닛과 제2검사 유닛이 위치하며, 제1검사 유닛은 제1정량 유닛(100a)과 제2정량 유닛(100b)을 포함하고, 제2검사 유닛은 제3정량 유닛(200a)과 제4정량 유닛(20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정량 유닛(100a, 100b, 200a, 200b)은 정량 챔버(151, 152, 251, 252)와 수용 챔버(141, 142, 241, 242)와 웨이스트 챔버(131, 132, 231, 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정량 유닛(100a, 100b, 200a, 200b)은 반응 유닛(171m, 172m, 271, 272)과 연결되어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는 시료 챔버(80)에 주입된다(S100). 시료 챔버(80)에 주입된 시료는 제1정량 챔버(51)로 이동되어 정량된다(S200). 시료가 제1정량 챔버(51)로 이동되기 전 시료분리 챔버(20)에 수용되어 원심분리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제1정량 챔버(51)를 채우고 남은 시료는 제1수용 챔버(41)로 이송되어 수용된다(S300). 제1수용 챔버(41) 내의 시료는 제2정량 챔버(52)로 이송되어 총 2번의 시료가 정량된다(S400). 제2정량 챔버(52) 내에 수용되고 남은 시료는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수용 챔버(42)로 이송될 수 있다. 제1정량 챔버(51)와 제2정량 챔버(52)에 수용되고 남은 시료는 제1웨이스트 챔버(31)와 제2웨이스트 챔버(32)로 이송될 수 있다.
시료의 이동은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시료분리 챔버(20)와 정량 챔버(51, 52) 사이에 위치하는 제1밸브(61)와 제2밸브(62)의 용융 여부에 따라 정량 챔버(51, 52)로의 시료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정량 챔버(51, 52)와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31, 32) 사이에 위치하는 제3밸브(63)와 제4밸브(64)의 용융 여부에 따라 웨이스트 챔버(31, 32)로의 시료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시료가 정량된 후의 검사의 진행은 각각의 정량 챔버(51, 52)의 출구부에 위치하는 제5밸브(65)와 제6밸브(66)의 용융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0: 미세유동장치 4: 플랫폼
10: 정량 유닛 10a, 100a: 제1정량 유닛
10b, 100b:제2정량 유닛 20, 120, 220: 시료분리 챔버
31, 131: 제1웨이스트 챔버 32, 132: 제2웨이스트 챔버
41, 141: 제1수용 챔버 42, 142: 제2수용 챔버
51, 151: 제1정량 챔버 52, 152: 제2정량 챔버
60: 밸브
71, 72, 171, 172, 271, 272: 반응 유닛
200a: 제3정량 유닛 200b: 제4정량 유닛

Claims (27)

  1. 플랫폼;
    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
    시료의 양을 정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량 유닛은,
    시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량 챔버;
    상기 정량 챔버에 연결되며,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유닛은 상기 수용 챔버와 상기 채널 내의 시료를 수용하도록 상기 정량 챔버와 상기 수용 챔버와 연결된 웨이스트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챔버는 상기 정량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스트 챔버는 상기 정량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중심에서 멀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시료를 분리하기 위한 시료분리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유닛은 동시에 복수개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정량 유닛과 제2정량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분리 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정량 유닛이 연결되고, 상기 시료분리 챔버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정량 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유닛의 유입부와 출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정량 유닛으로의 유입 또는 유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가 이송되어 광학적 또는 전기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내측에 시약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정량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반응이 일어난 시료의 검출을 위한 검출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챔버는 상기 반응 챔버보다 상기 플랫폼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3. 플랫폼;
    시료가 이동하기 위해 상기 플랫폼에 마련되는 채널;
    상기 플랫폼에 주입되는 시료를 수용하는 주입 챔버;
    상기 주입 챔버 내의 시료를 정량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정량 유닛;
    상기 제1정량 유닛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재정량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는 제2정량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주입 챔버로 주입된 시료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주입 챔버와 연결된 시료분리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가 상기 주입 챔버에서 상기 시료분리 챔버를 지나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시료분리 챔버는 상기 주입 챔버와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시료의 정량을 위한 제1정량 챔버와 제2정량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수용 챔버와 제2수용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량 유닛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웨이스트 챔버와 제2웨이스트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분리 챔버와 상기 제1정량 유닛 사이에 제1밸브가 위치하며, 상기 시료분리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유닛 사이에 제2밸브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로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웨이스트 챔버와 연결되는 채널 상에 위치하는 제3밸브와, 상기 제2웨이스트 챔버와 연결되는 채널 상에 위치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에서 정량된 시료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정량 챔버의 유출부에 위치하는 제5밸브와, 상기 제2정량 챔버의 유출부에 위치하는 제6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동장치.
  22. 시료를 분리하는 시료분리 챔버, 시료를 정량하기 위한 제1정량 챔버와 제2정량 챔버, 상기 제1정량 챔버를 채우고 남는 시료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수용 챔버, 상기 챔버를 각각 연결하는 채널이 형성된 플랫폼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으로 시료를 주입하고;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1수용 챔버로 시료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수용 챔버 내의 시료와 상기 시료분리 챔버 내의 시료 중 일부를 상기 제2정량 챔버로 이동시켜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 내측의 시료를 각각 정량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는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수용 챔버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에서 정량되고 남은 시료는 각각의 정량 챔버와 연결된 제1웨이스트 챔버와 제2웨이스트 챔버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이스트 챔버와 상기 제2웨이스트 챔버로의 시료의 이동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와 상기 각각의 웨이스트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가 개방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시료는 상기 시료분리 챔버에서 분리된 후 상기 제1정량 챔버와 상기 제2정량 챔버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분리 챔버에서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로의 시료의 이동은 상기 원심분리 챔버와 상기 각각의 정량 챔버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가 개방되어 시료가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세유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72523A 2013-03-19 2013-06-24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5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0232.6A EP2781263A3 (en) 2013-03-19 2014-03-17 Microfluid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219,273 US20140287524A1 (en) 2013-03-19 2014-03-19 Microfluid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3284P 2013-03-19 2013-03-19
US61/803,284 2013-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12A true KR20140115912A (ko) 2014-10-01

Family

ID=5199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523A KR20140115912A (ko) 2013-03-19 2013-06-24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9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710A (zh) * 2017-11-27 2018-04-20 深圳华炎微测医疗科技有限公司 化学发光检测微流控芯片和化学发光检测微流控芯片体系以及它们的应用
KR20180055691A (ko) * 2016-11-16 2018-05-25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다수의 미터링 챔버들을 구비한 회전가능한 카트리지
KR20180060967A (ko) * 2016-11-29 2018-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유체칩
WO2020045872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전식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다중 중금속 정성 및 정량 분석 디바이스
KR20210076536A (ko) 2019-12-16 2021-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카트리지 타입 미세유체 장치
US11639920B2 (en) 2018-08-30 2023-05-02 Lg Chem, Ltd. Multip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heavy metal analysis device implemented by rotary platfor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691A (ko) * 2016-11-16 2018-05-25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다수의 미터링 챔버들을 구비한 회전가능한 카트리지
KR20180060967A (ko) * 2016-11-29 2018-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유체칩
CN107930710A (zh) * 2017-11-27 2018-04-20 深圳华炎微测医疗科技有限公司 化学发光检测微流控芯片和化学发光检测微流控芯片体系以及它们的应用
WO2020045872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전식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다중 중금속 정성 및 정량 분석 디바이스
US11639920B2 (en) 2018-08-30 2023-05-02 Lg Chem, Ltd. Multip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heavy metal analysis device implemented by rotary platform
KR20210076536A (ko) 2019-12-16 2021-06-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카트리지 타입 미세유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8496B1 (en) Centrifugal force-based microfluidic device for blood chemistry analysis
KR20150101307A (ko) 미세유동장치
KR101228308B1 (ko) 미세유동 칩을 이용한 디스크형 미세유동장치 및 생체물질마이크로어레이 칩을 이용한 디스크형 미세유동장치
US9289765B2 (en) Micro-fluidic device and sample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327726B2 (en) Microfluidic device
EP2781263A2 (en) Microfluid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15912A (ko)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620760A2 (en) Microfluid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37567A (ko) 원심력 기반의 미세유동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검체 검사 방법
US9244065B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gglutination assays using sedimentation
KR20100027389A (ko) 미세유동장치 및 미세유동장치에의 시료주입방법
US8834812B2 (en) Microfluidic device
KR20120091631A (ko) 미세유동장치
KR20120080765A (ko) 미세유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체검사방법
JP7045158B2 (ja) 複数の測定チャンバを備える回転可能カートリッジ
JP5137012B2 (ja) マイクロチップ
JP5728273B2 (ja) 円盤型分析チップ
KR101528154B1 (ko) 콜레스테롤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