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775A -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775A
KR20140115775A KR1020130030856A KR20130030856A KR20140115775A KR 20140115775 A KR20140115775 A KR 20140115775A KR 1020130030856 A KR1020130030856 A KR 1020130030856A KR 20130030856 A KR20130030856 A KR 20130030856A KR 20140115775 A KR20140115775 A KR 2014011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service
push
service
heterogeneous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837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8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들(또는 푸쉬 서비스 허브들)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각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들끼리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고, 이종의 푸쉬 서비스 간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들끼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GATEWAY APPARATUS FOR HETEROGENEOUS PUSH SERVICES AND METHOD FOR DELIVERING PUSH MESSAGE}
본 발명은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캐스팅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능해짐에 따라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단말의 진화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서 동기화하는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서비스, 일정 서비스, 연락처 서비스 등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서버 측에서 모바일 단말과 동기화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푸쉬(Push) 서비스라고 하며, 현재 카카오톡, 마이피플, Viber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푸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말(10a)은 제1 기지국(50a)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단말(10b)은 제2 기지국(50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는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단말(10a)은 푸쉬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기지국(50a)을 통해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는 상기 푸쉬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50b)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0b)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도 역시 푸쉬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푸쉬 메시지를 상기 제2 기지국(50b)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푸쉬 메시지는 단말이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가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 푸쉬 서비스의 일 문제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들(60a, 60b, 60c, ..., 60n, 이하 60 이라 함)는 예컨대 카카오톡, 마이피플, 네이버 라인, 네이트온톡일 수 있다.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는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각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운영되는 통신망을 통해 푸쉬 메시지 전송을 각각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제공 장치(60a)가 자신이 제공하는 제1 푸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로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a)는 상기 단말들이 가입된 오퍼레이터1의 통신망, 오퍼레이터2의 통신망, 오퍼레이터3의 통신망을 통해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는 각 오퍼레이터(operator)의 통신망에 접속하여, 푸쉬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가 늘어날수록, 각 오퍼레이터(operator)의 통신망이 과부하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단말(10a)이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a)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제2 단말(10b)은 제2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b)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종래에는 상기 제1 단말(10a)이 상기 제2 단말(10b)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도 3은 종래 푸쉬 서비스의 또 다른 문제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10)은 여러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들(60a, 60b, 60c)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단말(10)에는 각각의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들을 위한 여러 푸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10)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있으면서 자신의 상태를 알리기 위해, 상태 신호, 예컨대 킵얼라이브(keep alive) 신호 혹은 하트 비트(heart beat) 신호를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들(60a, 60b, 60c)로 전송한다.
그런데, 이러한 단말(10)의 숫자가 늘어나는 경우, 상기 상태 신호의 전송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하게 되어,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이 과부하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일 실시예는 각종 푸쉬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이 과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들끼리 푸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과, 상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고,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 요청하는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 및 상기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이 자신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하는 하나 이상의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는 조회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자신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수신 단말의 가입을 확인해주고,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서,제1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 요청한 후,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푸쉬 서비스를 담당하는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푸쉬 서비스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는,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은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수신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검색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1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된 이종 푸쉬 서비스를 담당하는 장치로부터 가입 확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이종의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가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 및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들끼리 푸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푸쉬 서비스에 한번만 가입하여도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푸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아키텍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푸쉬 서비스의 일 문제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는 종래 푸쉬 서비스의 또 다른 문제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방향의 푸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방향의 푸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향 방향의 푸쉬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들에서 제시되는 단말 및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 방향의 푸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 ... , 600n, 이하 600이라 칭함),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또는 푸쉬 서비스 허브(700))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또는 푸쉬 서비스 허브(700))는 각 오퍼레이터(operator)의 통신망과 연동되며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로부터 푸쉬 메시지의 전송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을 통해 푸쉬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예컨대 카카오톡, 마이피플, 네이버 라인, 네이트온톡 등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웹(Web) 또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단말로 전송할 푸쉬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및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푸쉬 요청 신호를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푸쉬 요청 신호는 단말로 전송할 메시지, 메시지 PDU, 단말 식별정보,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식별정보, 회신 플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PDU는 단말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 메시지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한 응용 식별자를 말하고, 회신 플래그는 푸쉬 서비스에 대한 회신의 필요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무선 마크업 언어(WML: Wireless Markup Language)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각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으로 직접 복수의 푸쉬 요청을 하지 않고,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또는 푸쉬 서비스 허브)(700)에 한번의 푸쉬 요청만을 전송함으로써, 푸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오버레이터의 통신망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로부터 메시지 및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푸쉬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그 단말 식별정보들을 가입자로 하는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을 식별해내고, 그 식별된 통신망을 통해 푸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각 오퍼레이터의 통신망 내에는 실제 푸쉬 메시지를 각 단말에게 전송하는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로부터 푸쉬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말 식별정보들을 통해 오퍼레이터들을 확인하고, 확인된 오퍼레이터들의 통신망 내에 있는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에 메시지 및 해당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푸쉬 요청 신호는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단말로 메시지의 푸쉬를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각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에서 푸쉬 메시지 전송을 담당하는 여러 종류의 푸쉬 서버 노드들(미도시)과 통신하기 위해서, 여러 타입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각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포맷에 해당하는 푸쉬 요청 신호(또는 메시지)를 변환하여 해당 오퍼레이터의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각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에 있는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가 특정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또는 메시지 포맷을 요구할 경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상기 요구된 인터페이스 또는 메시지 포맷을 만족할 수 있도록, 푸쉬 요청 신호를 변환(Transcoding)할 수 있다.
이러한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는 각 오퍼레이터(operator)에 의해 운영되고,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부터 푸쉬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푸쉬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들에 해당하는 단말들로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 이때, 해당 단말이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푸쉬 서버 노드(미도시)는 해당 단말에게 페이징을 수행하는 페이징 제어 기능과 푸쉬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쉬 프록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ID, 맥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단말의 예로는 PC, 노트북, 랩탑, 모바일폰,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 방향의 푸쉬 서비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100)은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여러 푸쉬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여러 푸쉬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통합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와 터널링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100)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있으면서 자신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 예컨대 킵얼라이브(keep alive) 신호 혹은 하트 비트(heart beat) 신호를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는 각각의 상태 신호를 그룹화하여,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송함으로써,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그룹화된 상태 신호들은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의 설정에 따라 일정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쉬 애플리케이션1이 20초마다 상태 신호를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하고, 푸쉬 애플리케이션2는 5초마다 상태 신호를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하고, 푸쉬 애플리케이션3은 15초마다 상태 신호를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는 모든 상태 신호를 그룹화하여 30초마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가 상기 상태 신호를 그룹화하여 전송할 때, 예를 들어 30초 동안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신호가 10개라면, 10개의 상태 신호를 매 30초마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10개의 상태 신호를 나타내는 단지 1개의 신호만을 30초 마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태 신호를 그룹화하여 일정 주기 마다 전송할 때에 각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수정이 필요하다. 즉, 각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는 각기 설정된 주기 마다 상태 신호를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였었는데, 이를 상기 설정된 주기에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가 상기 단말(100)의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와 상태 신호를 송수신할 주기를 설정하고 나면, 이를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에게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는 원래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해야 할 주기를 경과하였더라도,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라고 인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상기 단말(100)의 푸쉬 미들웨어(또는 푸쉬 서비스 관리부)와 상태 신호를 송수신할 주기를 설정한 후에, 상기 설정된 주기에 상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에게는 본래 각 푸쉬 애플리케이션과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간에 설정된 주기에 맞춰서 상태 신호를 각기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100)의 푸쉬 미들웨어가 모든 상태 신호를 그룹화하여 30초마다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200)는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로는 20초 마다 상태 신호를 전달하고, 제2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b)로는 5초 마다 상태 신호를 전달하고, 제3 푸쉬 서비스 제공장치(600c)로는 15초 마다 상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향 방향의 푸쉬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단말 식별 정보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의 전송 요청을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송한다(S601). 즉, 상기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식별정보들을 획득하고, 그 단말 식별정보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쉬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상기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S602), 그 단말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오퍼레이터를 식별한다(S603). 이때,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상기 신호에, 단말 식별정보에 오퍼레이터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곧바로 오퍼레이터로 결정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를 각 오퍼레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해냄으로써, 오퍼레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검색된 오퍼레이터의 통신망을 통해 단말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4). 대안적으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퍼레이터의 푸쉬 서버 노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푸쉬 서버 노드로 푸쉬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종의 푸쉬 서비스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1과, 오퍼레이터2와, 오퍼레이터3과, 오퍼레이터4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오퍼레이터1과 오퍼레이터4가 서비스하는 영역에는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예컨대, 카카오톡)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오퍼레이터2가 서비스하는 영역에서는 제2 서비스 제공 장치(600b)(예컨대, 구글토크)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오퍼레이터3이 서비스하는 영역에서는 제3 서비스 제공 장치(600c)(예컨대, 네이버 라인 서비스)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b, 600c)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은 서로 이종의 서비스들 예컨대 카카오톡, 네이버 라인, 구글토크 등이라고 가정하자.
또한, 오퍼레이터1과 오퍼레이터4가 서비스하는 영역에는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가 존재하고, 오퍼레이터2가 서비스하는 영역에서는 제2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b)가 존재하고, 오퍼레이터3이 서비스하는 영역에서는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가 존재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 상기 오퍼레이터1의 통신망 내에서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로부터 제1 푸쉬 서비스(예컨대, 카카오톡)를 제공받는 상기 제1 단말(100a)이 제3 오퍼레이터의 통신망 내에서 제3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c) 로부터 제3 푸쉬 서비스(예컨대, 구글토크)를 제공받는 상기 제3 단말(100c)에게 푸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종래에는 없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을 각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 700b, 700c)를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단말(100a)은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의 제1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고, 제3 단말(100c)은 제3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c)의 제3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S801). 이에 각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 600c)는 자신에게 가입된 단말의 정보를 해당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 700c)로 각기 전달한다(S802). 이로써, 각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 700c)는 임의의 단말이 자신이 담당하는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단말(100a)은 제3 단말(100c)에게 푸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희망하며, 따라서 상기 푸쉬 메시지를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에게 전송한다(S803). 이때, 상기 제1 단말(100a)은 상기 푸쉬 메시지 내에 자신이 알고 있는 임의적인 상기 제3 단말(100c)의 식별 정보를 집어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0a)의 사용자가 제3 단말(100c)의 전화번호를 아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푸쉬 메시지 내에 넣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는 상기 전달받은 푸쉬 메시지를 수신할 상기 제3 단말(100c)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S804).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3 단말(100c)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600a)의 제1 푸쉬 서비스에는 가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수신 단말의 가입 여부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S805). 즉,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는 제2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b) 및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로 수신 단말인 상기 제3 단말(100c)에 대하여 조회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조회 요청을 전송받은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들(700b, 700c)은 자신이 제공하는 푸쉬 서비스에 제3 단말(100c)이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한다(S806).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는 조회가 완료되어 상기 제3 단말(100c)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수신 단말이 자신이 담당하는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을 통지하는 가입 확인 정보를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에 전송한다(S807).
이때 가입 확인 정보는 단말 식별 번호, 이종 서비스의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이종 서비스의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는 상기 가입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 가입확인 정보를 통해 제3 단말(100c)이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에 가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메시지를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에 전달하여, 상기 메시지를 제3 단말(100c)에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S808, S809).
즉, 발신 단말인 제1 단말(100a)과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제3 단말(100c)은 제1 단말(100a)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제1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a)와 제3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c)를 거쳐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말이 복수인 경우, 몇 개의 단말을 그룹지어, 수신 단말에 대한 조회 요청을 그룹별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 제시되는 단말(100) 및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전술한 제1 단말(100a), 제2 단말(100b) 및 제3 단말(100c)을 모두 일컫는다. 이러한 단말(100)은 송수신부(101), 컨트롤러(102), 저장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는 송신부(701), 수신부(702), 제어부(703), 메모리부(704)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100)의 송수신부(10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송수신부(101)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는 상기 송수신부(101)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 모듈은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WLAN(Wireless LAN)(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수단(103)은 단말(100)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상기 저장 수단(103)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2)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CPU, 등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02)는 연결된 구성 요소 즉, 상기 송수신부(101) 및 상기 저장 수단(103) 등을 각기 제어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의 송신부(701) 및 수신부(702)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송신부(701) 및 수신부(702)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04)는 상기 메모리부(704)에 각기 저장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고, 상기 송신부(701) 및 수신부(702)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700)의 수신부(702)는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어부(703)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 요청한다. 즉 제어부(703)는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를 담당하는 장치로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조회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송신부(702)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수신부를 통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푸쉬 서비스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수신부(701)는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의 수신부(701)가 이종의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 단말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704)는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 지 검색하여,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전송하고,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수신부(701)와 송신부(702)를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단말
600, 600a, 600b, 600c: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
700, 700a, 700b, 700c: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Claims (18)

  1.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제1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 요청한 후,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푸쉬 서비스를 담당하는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메시지를 전송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푸쉬 서비스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조회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신호 전송 후에
    상기 수신부는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는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이거나 또는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제공 장치를 위한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7.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은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수신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받는 송수신부; 및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의 제2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검색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정보로서,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서비스의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측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
  10.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제1 푸쉬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된 이종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를 이종의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단계에서는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를 담당하는 장치로 상기 수신 단말이 이종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조회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신호 전송 후에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가입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확인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4.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가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푸쉬 서비스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 및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단말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푸쉬 서비스 가입을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가입 확인 정보를 상기 발신측 푸쉬 서비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확인 정보는 상기 이종 서비스의 식별 정보, 상기 이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
  17.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 전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이종의 푸쉬 서비스에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
    상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고, 수신 단말이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확인하여, 상기 제1 푸쉬 서비스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종 푸쉬 서비스에 상기 수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 요청하는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 및
    상기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이 자신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조회하는 하나 이상의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이종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는 조회 결과, 상기 수신 단말이 자신의 푸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음이 확인되면,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에 수신 단말의 가입을 확인해주고, 상기 제1 푸쉬 서비스 담당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 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30030856A 2013-03-22 2013-03-22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6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56A KR102061837B1 (ko) 2013-03-22 2013-03-22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56A KR102061837B1 (ko) 2013-03-22 2013-03-22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75A true KR20140115775A (ko) 2014-10-01
KR102061837B1 KR102061837B1 (ko) 2020-01-02

Family

ID=51990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56A KR102061837B1 (ko) 2013-03-22 2013-03-22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8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83B1 (ko) * 2004-05-03 2006-04-11 브이엘씨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3558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이티 사내 메신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KR100779012B1 (ko) * 2006-09-15 2007-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746B1 (ko) * 2011-12-15 2012-07-18 (주)다우기술 푸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32229B1 (ko) * 2012-03-06 2013-02-1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전화번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83B1 (ko) * 2004-05-03 2006-04-11 브이엘씨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3558A (ko) * 2006-04-19 2007-10-24 주식회사 케이티 사내 메신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
KR100779012B1 (ko) * 2006-09-15 2007-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165746B1 (ko) * 2011-12-15 2012-07-18 (주)다우기술 푸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32229B1 (ko) * 2012-03-06 2013-02-12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전화번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837B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696B1 (ko) 서비스 가입 방법 및 장치
WO2018205150A1 (zh) 网络切片选择策略更新方法、及装置
EP280784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vice discovery
US8050218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DIF and method for peer detection of mobile terminal
KR100978336B1 (ko) 리모트 액세스
JP6629345B2 (ja) M2mサービスを追加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25518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의 이동 단말이 모바일 종단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7325190A (ja) プッシュゲートウェイ、在圏登録サーバ、携帯端末、プッシュシステム及びプッシュ方法
CN104885552A (zh) 用于装置-到-装置通信的方法和设备
EP3741141B1 (en) Entity, network, and user equipment for a v2x service as well as v2x application
CN114025408B (zh) 一种自适应组网的建网、接入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WO2015008714A1 (ja) 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
US20160316395A1 (en) Service quer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ation
US20050235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access protocol push
CN105404253B (zh) 一种控制指令发送方法、响应方法及装置
KR101621093B1 (ko) 특정 지역 기반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8174434B (zh) 一种自动切换通信方式的方法、终端及智能设备
JP7110187B2 (ja) モバイル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近接サービスアクセス
KR101456436B1 (ko) Dhcp 서버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통지
EP3200550A1 (en) Method for sharing resources between mobile devices thanks to a location tracking server
KR102061837B1 (ko)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CA2504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wireless access protocol push
CN115589624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KR101800267B1 (ko)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41134B1 (ko) 이종의 푸쉬 서비스들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푸쉬 메시지 전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