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649A -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649A
KR20140115649A KR1020130030462A KR20130030462A KR20140115649A KR 20140115649 A KR20140115649 A KR 20140115649A KR 1020130030462 A KR1020130030462 A KR 1020130030462A KR 20130030462 A KR20130030462 A KR 20130030462A KR 20140115649 A KR20140115649 A KR 2014011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terminal
controller
wear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선
Original Assignee
최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선 filed Critical 최유선
Priority to KR102013003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649A/ko
Publication of KR2014011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를 조작하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가 조작되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다수의 입력수단이 포함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정길이의 띠 형태로 구비된 착용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착용수단으로 손가락을 감싸 상기 몸체를 손에 고정하여 한 손으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Controll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단말기를 조작하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손에 안정적으로 착용하여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주고 받는 통신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오늘날 정보통신 및 전자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예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은 기존의 통신기능과 더불어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이다.
기존의 단말기에서도 간단한 게임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었으나, 스마트폰의 보급과 이에 걸맞는 다양한 컨텐츠인 음악, 동영상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대부분의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게임을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등 오조작이 발생하여 게임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없어 사용자의 흥미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작수단이 요구되었는바, 이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67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 제안되고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작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기기본체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USB포트가 구비되는 연결부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게임을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오조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은 한 손으로 버튼부를 조작하기 어려운바,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단말기와 연결한 후 단말기를 바닥이나 별도의 거치대에 놓아야 하며, 그렇지 않고 단말기와 인용발명을 양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와 인용발명을 모두 제대로 잡을 수 없는바 단말기 또는 인용발명을 사용 중 떨어트림으로써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한 손에 착용가능하며,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가 조작되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다수의 입력수단이 포함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정길이의 띠 형태로 구비된 착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착용수단은 손가락을 감싸며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단말기상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경우에 비해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한 손으로는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단말기를 잡고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띠 형태로 구비된 착용수단이 손가락을 감싸며 몸체를 고정하게 되는바 사용자가 예기치 못한 실수로 몸체를 떨어트림으로써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착용수단이 몸체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착용수단이 몸체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착용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단말기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가 조작되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다수의 입력수단이 형성된 몸체와, 일정길이의 띠 형태로 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착용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를 한 손으로 쥐고 상기 착용수단으로 몸체가 손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에 착용가능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착용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한 손에 착용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자 형상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어떠한 물건을 잡기 위해 손으로 움켜쥐는 경우를 살펴보면, 새끼손가락부터 집게손가락으로 갈수록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됩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를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비해 그립(grip)감이 향상된다. 이때 "ㄱ"자 형상의 몸체(100)에서 꺾여진 부분을 곡면처리하여 상기 몸체(100)를 움켜쥘 시 엄지손가락이 상기 꺾여진 부분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몸체(100)가 "ㄱ"자 형상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100)가 형성됨으로써 한 손으로는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단말기(A)를 잡고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양손으로 단말기(A)와 이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동시에 잡고 사용하거나 단말기(A)를 바닥이나 거치대 등에 놓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를 한 손에 착용하여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A)상 구동되는 프로그램, 예를 들어 게임 등을 손쉽고 정확하게 조작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단말기(A)로 명령을 전달하는 다수의 입력수단(110)이 포함된다.
상기 입력수단(110)은 상기 몸체(1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된 몸체(100)의 수평부분의 말단, 수직부분, 꺾여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꺾여진 부분에 형성된 입력수단(110)은 엄지손가락으로, 수평부분 말단에 형성된 입력수단(110)은 집게손가락으로, 수직부분에 형성된 입력수단은 중지 또는 약손가락을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110)은 단말기(A)상 프로그램 내에서 방향을 조작하는 방향키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선택/취소 등의 명령을 수행하는 확인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A)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단말기(A)와 유선으로 연결되는USB포트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단말기(A)와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착용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되, 일정길이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띠 형태의 상기 착용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손가락을 감싸게 된다. .
상기 착용수단(200)을 몸체(100)의 일부분에 결합시킨 후 손가락을 끼워 상기 몸체(100)를 움켜쥐거나, 상기 몸체(100)를 움켜쥔 후 손가락을 감싸도록 상기 착용수단(200)을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한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예기치 못한 실수로 상기 몸체(100)를 떨어트려 본 발명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수단(200)의 말단에는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결합부(210)가 결합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착용수단(200)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손을 움켜쥐었을 때 다른 손가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하면서도 사용빈도가 낮은 새끼 또는 약손가락이 상기 착용수단(20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와 착용수단(200) 사이의 몸체(100)는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착용수단(200)에 의해 감싸지는 새끼 또는 약손가락이 상기 몸체(100)를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착용수단(200)에 의해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이 동시에 감싸질 수도 있으며, 새끼손가락과 약손가락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바, 이때 오목하게 들어가는 부분은 약손가락과 접하는 부분이 새끼손가락과 접하는 부분보다 내측을 향해 더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용수단(200)의 결합부(210)와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고정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자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착용수단(200)을 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부(210) 또는 고정부(120) 중 어느 하나가 자성을 띄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거나, 상기 결합부(210)와 고정부(120) 모두 자성을 띄는 소재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착용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100)에 내장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착용수단(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몸체(100)에 띠 형태의 상기 착용수단(200)이 내장되게 되므로 상기 몸체(100)의 기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부(210)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내장된 상기 착용수단(200)을 손쉽게 잡아당길 수 있어 용이하게 상기 고정부(120)와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착용수단(200)은 탄성적으로 출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부(120)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결합부(210)를 분리시 상기 착용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향해 자동으로 들어가게 됨은 물론, 손으로 본 발명을 움켜쥔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0)를 고정부(120)에 결합시 상기 착용수단(200)이 손가락을 압박하며 밀착되어 감싸지므로 상기 몸체(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손에 고정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몸체(100)에 내장된 착용수단(200)에는 태엽스프링이 포함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에는 띠가 말려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장되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재질의 밴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의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상기 착용수단(200)이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원상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0)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착용수단(200)이 몸체(100)에 내장된다. 본 발명을 손가락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10)를 잡아당기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0)를 포함한 띠 형태의 상기 착용수단(200)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0)를 고정부(12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착용수단(200)에 의해 손가락을 감쌀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착용수단(200)이 작동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말기용 컨트롤러는 한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본 발명과 연결되고 다른 한 손에 움켜쥔 상기 단말기(A)가 조작되도록 상기 입력수단(110)을 통해 명령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 단말기
100 : 몸체 110 : 입력수단
120 : 고정부 130 : 연결부
200 : 착용수단 210 : 결합부

Claims (5)

  1.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A)가 조작되도록 명령을 전달하는 다수의 입력수단(110)이 형성된 몸체(100)와, 일정길이의 띠 형태로 되어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착용수단(200)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100)를 한 손으로 쥐고 상기 착용수단(200)으로 몸체(100)를 손에 고정하여 손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200) 말단에는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결합부(210)가 결합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착용수단(200)이 손가락을 감싸며 결합부(210)가 고정부(120)에 결합됨으로써 몸체(100)가 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10)와 고정부(12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200)은 몸체(100)에 내장되어 탄성적으로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200)은 몸체(100)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착용수단(200) 상부에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120)와 착용수단(200) 사이의 몸체(100)는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KR1020130030462A 2013-03-21 2013-03-21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KR20140115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62A KR20140115649A (ko) 2013-03-21 2013-03-21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62A KR20140115649A (ko) 2013-03-21 2013-03-21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49A true KR20140115649A (ko) 2014-10-01

Family

ID=5198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62A KR20140115649A (ko) 2013-03-21 2013-03-21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6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495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computers based on motions and positions of hands
JP7427762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9372535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ectromyography-based human-electronics interfaces
US9798387B2 (en) Multipurpose computer mouse
EP3224693B1 (en) Charging device for removable input modules
US20200159325A1 (en) Wearable muscle interfa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interact with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KR102091520B1 (ko) 이동 단말기
CN110573993A (zh) 使用led追踪环的手持控制器
CN105338182A (zh) 双屏手机的第二触控显示屏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9389698B2 (e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EP3214529A1 (en) Wireless control device, position calibrator and accessory
Kim et al. Tongue-operated assistive technology with access to common smartphone applications via Bluetooth link
CN206404297U (zh) 一种手环式游戏控制设备
EP3878530A1 (en) Operation device
KR20140115649A (ko)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용 컨트롤러
US20150281417A1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duct
CN104657066A (zh) 一种背控装置的使用方法
CN104216650A (zh) 具有背控装置的移动终端
CN205883327U (zh) 手机背部触摸板
KR20190068733A (ko) 스마트폰에 고정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게임 컨트롤러
CN105736927B (zh) 手持式移动设备及其固定装置
CN103398272A (zh) 手持式移动设备固定装置
CN104378477A (zh) 一种终端设备
KR101537374B1 (ko)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
KR20130070773A (ko) 모바일 기기용 게임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