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71A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71A
KR20140113871A KR1020130169042A KR20130169042A KR20140113871A KR 20140113871 A KR20140113871 A KR 20140113871A KR 1020130169042 A KR1020130169042 A KR 1020130169042A KR 20130169042 A KR20130169042 A KR 20130169042A KR 20140113871 A KR20140113871 A KR 2014011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data
terminal
radio signal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이용규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4011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의 커버리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때 상대방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구간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N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크게 베이스밴드(baseband)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Unit, 이하 "DU"라 함)와 패스밴드(passband)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Radio Unit, 이하 "RU"라 함)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된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셀 커버리지 중앙에 DU와 RU를 모두 가지고 있는 형태로 구현되나, 근래에는 DU와 RU를 분리하고 둘 사이를 광케이블로 연결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 때, RU는 셀 커버리지 중앙에 위치하고, DU는 원거리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수의 셀을 형성하는 DU를 모아서 동일 장소에 설치하고, DU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X2 인터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다수의 DU를 하나의 가상화 서버가 관리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셀 경계 지역에서의 기지국간 협력 전송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 용량을 극대화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그 중의 하나로, 인접하는 셀간에 CRS(Common Reference Signal) 기반 협력 통신을 구현하여, 인접하는 두 셀의 RU가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동일 신호 또는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서 적절히 시공간으로 코딩된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 전송 기능(Joint Transmission)을 수행함으로써 경계 지역의 단말들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런데, 동시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두 셀의 RU가 하나의 단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에 포함된 RS를 사용한 채널 추정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시 전송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 기준 신호를 통한 채널 추정을 간섭없이 수행하여 정확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의 커버리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때 상대방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구간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을 각각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및 상기 자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자원 정보와 상기 자원 정보 중에서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요청을 받고, 상기 정보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자원 정보 및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자원 할당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의 커버리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 동시 전송 방식의 적용을 판단하여 상기 자원 할당부에게 알려주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위치 파악부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해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별로 할당되는 자원에서 동일한 기준 신호를 할당하되, 할당되는 기준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서 할당되는 자원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되는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부; 및 상기 데이터 할당부에 의해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할당된 자원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자원 요청부; 및 상기 자원 요청부가 전달받은 자원 할당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할당부로 전달하는 정보 확인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할당부는 상기 자원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할 때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되는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동시에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단말에 대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인접한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를 통해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자원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데이터 자원 중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자원에 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 및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원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전에,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자원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사이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한 셀과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한 셀과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와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별로 할당되는 자원에서 동일한 기준 신호를 할당하되, 할당되는 기준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에 대한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동시에 상기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두 개의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에 대해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기준 신호의 채널 추정시 간섭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간섭없이 채널 추정이 수행되어 정확한 채널 추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확한 채널 추정을 통해 보다 향상된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져 단말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CRS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서 두 개의 안테나가 전송하는 신호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서 네 개의 안테나가 전송하는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시 전송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시 전송 방식을 위해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R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전송 방식을 위해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R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DU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RU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망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Radio Unit, 이하 "RU"라 함)(100),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Unit, 이하 "DU"라 함)(200) 및 코어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RU(100) 및 DU(200)는 무선 통신의 신호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
RU(100)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DU(2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그리고, 안테나를 통해 단말로 전송하고, 또한, 단말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DU(100)로 전달한다.
RU(100)는 DU(200)에 복수 개(110, 120, 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RU(100)는 서비스 대상 지역, 즉 셀에 설치된다. RU(100)와 DU(2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DU(200)는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코어 시스템(300)에 연결되어 있다. DU(200)는 RU(100)와 달리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로서,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DU(200)는 복수의 RU(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존의 통신 기지국은 이러한 RU(100) 및 DU(2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RU(100) 및 DU(20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RU(1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코어 시스템(300)은 DU(200)와 외부 망의 접속을 처리하며, 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일반적인 CRS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RB(Resource Block)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RB는,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15KHz 간격을 갖는 12개의 서브캐리어들과 시간 도메인에서 1m초에 해당하는 두 개의 슬롯(14개의 심볼)에 걸쳐있다.
이러한 RB를 구성하는 RE(Resource Element)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1개의 서브캐리어와 시간 도메인에서의 1개의 심볼에 걸쳐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U(100)는 2x2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을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안테나를 사용한다. 이 경우, RU(100)의 두 개의 안테나마다 사용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라 함)의 패턴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예를 들어, RU(100)의 두 개의 안테나 중에서 '0'번 포트로 설정된 제1 안테나는 도 3에서 안테나 포트 = 0과 같은 RS(Ro)를 사용하며, 두 개의 안테나 중에서 '1'번 포트로 설정된 제2 안테나는 도 3에서 안테나 포트 = 1과 같은 RS(R1)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U(100)가 4x2 다중 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도, RU(100)의 네 개의 안테나마다 사용하는 RS의 패턴이 서로 상이해야 한다. 예를 들어, RU(100)의 네 개의 안테나 중에서 '0'번 포트로 설정된 제1 안테나는 도 4에서와 같은 RS(Ro)를 사용하며, '1'번 포트로 설정된 제2 안테나는 RS(R1)를 사용하고, '2'번 포트로 설정된 제3 안테나는 RS(R2)를 사용하며, '3'번 포트로 설정된 제4 안테나는 RS(R3)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RS(R0, R1, R2, R3)는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간섭을 안받도록 하여 채널 예측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즉, RS(R0, R1, R2, R3)가 사용하는 자원은 모두 다르며 각각 다른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동시 전송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셀1(11)과 셀2(12)에 각각 포함된 RU(110, 120)는 셀 경계 지역에 있는 단말(400)에게 동시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동일 신호 또는 하나의 데이터에 대해서 시공간으로 코딩된 신호를 전송하여 전송 효율을 높인다. 이 경우 신호 품질은 2배 개선(3dB)되거나, 시공간 채널 코딩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셀(11, 12)이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400)에게 동시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시 전송 방식을 위해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R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각 셀(11, 12)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셀1(11)과 셀2(12)는 동시 전송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가지는 서브셀(subcell)이므로 사용하는 RS는 동일하며, 여기서는 두 개의 RS로 R0와 R1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셀1(11)과 셀2(12)는 각각 R0와 R1의 RS를 전송하되 인접 셀(11, 12)의 관계이므로 RS간의 간섭을 없게 하여 채널 추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의 RE를 사용하여 RS R0와 R1을 전송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2(12)에서 사용되는 RS R0와 R1의 위치가 셀1(11)에서 사용되는 RS R0와 R1의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되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바로 옆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런데, 도 6을 참조하면, 인접한 두 셀(11, 12)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400)에게 동시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두 셀(11, 1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데이터에 포함된 RS에 대응되는 상대 셀의 해당 RE에는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므로 해당 RE에 대해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RS를 통한 채널 추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전송 방식을 위해 인접 셀에서 전송하는 RS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셀(11, 12)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400)에게 동시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두 셀(11, 12)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인접 셀에서 사용하는 RS의 RE에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셀1(11)이 데이터 전송시 셀2(12)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RS의 RE(21)에 대응되는 RE(22)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해당 RE(22)에서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셀2(12)가 데이터 전송시 셀1(11)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RS의 RE(31)에 대응되는 RE(32)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해당 RE(32)에서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셀(11, 12)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인접 셀(11, 12)에서 RS를 전송하는 구간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아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셀(11, 12)이 RS 채널 추정시 간섭을 없애서 정확한 채널 추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DU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200)는 송수신부(210), 위치 파악부(220), 자원 할당부(230) 및 정보 전달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DU(2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송수신부(210)는 RU(110, 120)로부터 단말(400)에 대한 자원 할당 요청을 받고, 할당된 자원 정보를 RU(110, 120)에게 전달한다.
위치 파악부(220)는 송수신부(210)가 수신한 무선 신호를 통해 셀(11, 12) 내에 위치하는 단말(400)의 위치를 파악한다. 특히, 위치 파악부(220)는 단말(400)이 셀(11, 12)의 경계 지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여기서, 단말(400)이 RU(110, 120)로 각각 전송한 무선 신호를 전달받아서 DU(200)가 단말(400)의 위치, 특히 경계 지역에 속하는 위치를 파악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자원 할당부(23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자원 할당을 요청한 단말(400)에 대한 자원을 할당한다. 이렇게 할당되는 자원에는 RU(110, 120)가 단말(40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 또는 시간 자원이 포함된다. 특히, 자원 할당부(230)는 단말(400)이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RU(110, 120)가 단말(400)에 대해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자원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RU(110, 120)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RB를 각각 할당할 수 있다.
정보 전달부(240)는 자원 할당부(230)에 의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받아서 RU(110, 120)에게 전달하되, RU(110, 120)가 각각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인접한 셀의 RU(110, 120)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RS 구간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RU(110, 120)에게 인접한 셀의 RU(110, 120)의 RS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전달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RU(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RU(120)은 RU(110)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RU(1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때,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RU(11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110)는 자원 요청부(111), 정보 확인부(113), 데이터 할당부(115) 및 데이터 전송부(117)를 포함한다.
자원 요청부(111)는 DU(200)로 단말(400)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DU(200)로부터 할당된 자원 정보를 전달받는다.
정보 확인부(113)는 자원 요청부(111)가 DU(200)로부터 전달받은 단말(400)에 대해 할당된 자원 정보와 인접 셀(12)의 RU(120)에게 할당된 RS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데이터 할당부(115)는 단말(400)로 전송할 송신 데이터에 대해 정보 확인부(113)에 의해 확인된 자원 정보에 따라 자원을 할당한다. 이 때, 데이터 할당부(115)는 정보 확인부(113)에 의해 확인되는 인접 셀(12)의 RU(120)에게 할당된 RS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RS의 위치에 해당되는 자원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부(117)는 데이터 할당부(115)에 의해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단말(400)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400)에는 인접 셀(12)의 RU(120)로부터도 동시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 때, RU(1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도 마찬가지로 셀(11)의 RU(110)의 데이터에 포함된 RS의 위치에 해당되는 자원에는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는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단말(400)이 인접 셀(11, 12)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RU(110, 120)으로부터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접한 셀(11, 12)에 각각 위치하는 RU(110, 120)는 단말(40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DU(200)로 각각 자원 할당을 요청한다(S100, S110).
DU(200)는 단말(4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인접 셀(11, 12)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다(S120).
따라서, DU(200)는 단말(400)에 대해 RU(110, 120)가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S130).
그 후, DU(200)는 상기 단계(S130)에서 할당된 자원 정보를 각 RU(110, 120)에게 전달하되, RU(110)에게는 RU(120)에게 할당된 RS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전달하고(S140), RU(120)에게는 RU(110)에게 할당된 RS의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전달한다(S150).
따라서, 각 RU(110, 120)는 인접 셀의 RU(110, 120)의 RS 위치 정보를 각각 확인하고(S160, S170), 인접 셀의 RU(110, 120)의 RS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 자원에 데이터를 할당한다(S180, S190). 즉, RU(110)는 RU(120)의 데이터 구간에 포함된 RS 구간에 대응되는 자원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나머지 데이터 구간에만 데이터를 할당하고, RU(120)는 RU(110)의 데이터 구간에 포함된 RS 구간에 대응되는 자원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나머지 데이터 구간에만 데이터를 할당한다.
그 후, 각 RU(110, 120)는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동시에 단말(400)로 전송하여(S200, S210) 셀 경계 지역에 있는 단말(400)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셀(11, 12)에 위치하는 RU(110, 120)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400)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때 DU(200)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셀(11, 12)의 RU(110, 120)에서 RS를 전송하는 구간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각 RU(110, 120)가 RS 채널 추정시 간섭을 없애서 정확한 채널 추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DU(200)는 RU(110, 12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통해 단말(400)의 위치를 판단하여 동시 전송 방식을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는데, 이 때 두 개의 RU(110, 120)가 모두 단말(400)에게 상향 채널을 개방하여 단말(400)로부터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또는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각각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채널 정보를 DU(200)로 전달하게 되지만, 만약 두 개 중 하나의 RU(주요 셀(Primary Cell)의 RU라고 함)만 상향 채널을 개방하고 그렇지 않은 RU(2차 셀(Secondary Cell)의 RU라고 함)가 있는 경우 단말(400)은 상향 채널이 개방되지 않은 2차 셀의 RU로 전달해야 하는 CQI 및 PMI를 주요 셀로 전달하여 해당 정보가 DU(2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코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의 커버리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단말로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동시 전송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때 상대방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구간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고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을 각각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및
    상기 자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자원 정보와 상기 자원 정보 중에서 데이터에 포함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전달하는 정보 전달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요청을 받고, 상기 정보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자원 정보 및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자원 할당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의 커버리지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 동시 전송 방식의 적용을 판단하여 상기 자원 할당부에게 알려주는 위치 파악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위치 파악부에 의해 상기 단말에 대해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별로 할당되는 자원에서 동일한 기준 신호를 할당하되, 할당되는 기준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서 할당되는 자원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되는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부; 및
    상기 데이터 할당부에 의해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할당된 자원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자원 요청부; 및
    상기 자원 요청부가 전달받은 자원 할당 정보와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할당부로 전달하는 정보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할당부는 상기 자원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할당할 때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되는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동시에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두 개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중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만 상향 링크 채널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향 링크 채널이 개방되지 않은 무선 신호 처리 장치 사이의 채널 정보를 상기 상향 링크 채널이 개방되어 있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어 단말에 대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가 인접한 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를 통해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자원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데이터 자원 중에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자원에 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 및
    자원이 할당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전에,
    무선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자원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사이에,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한 셀과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인접한 셀과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 정보와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할당된 기준 신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별로 할당되는 자원에서 동일한 기준 신호를 할당하되, 할당되는 기준 신호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서로 상이하게 위치하도록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선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에 대한 동시 전송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셀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와 동시에 상기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30169042A 2013-03-13 2013-12-31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40113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09 2013-03-13
KR20130026909 2013-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71A true KR20140113871A (ko) 2014-09-25

Family

ID=5175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42A KR20140113871A (ko) 2013-03-13 2013-12-31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8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9514B (zh) 在分布式天线系统中发射和接收信号的设备
USRE49823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9516329A (ja) 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9544795B2 (en) Methods and devices of interference channel measurement in radio network
CN114270763B (zh) 全带宽传输的探测参考信号配置
US2022012391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ference signal allocation
WO2020190186A1 (en) Transmission of nr control information in an lte downlink subframe
KR101465245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CN109983729B (zh) 用于发送参考信号资源指示的无线通信方法
US1140592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ulti-antenna sidelink scheduling
KR101301302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301300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CN114175697A (zh) 使用比特图的长期演进-m资源预留
WO2022236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uard period location for srs antenna switching
US8908615B2 (en) Base station, relay station, computing apparatus, an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llocation, and receiving methods thereof
KR101515596B1 (ko) 다중 안테나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코드북 인덱스 할당 방법
KR201401138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311518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361199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303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394608B1 (ko) 다중 안테나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프리코딩 행렬 할당 방법
KR10208719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그리고 그 장치에서의 다중 안테나 서비스 지원 방법
KR10136120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401355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4264867A1 (en) Transmission of nr control information in an lte downlink sub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