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26A -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26A
KR20140113826A KR1020130027877A KR20130027877A KR20140113826A KR 20140113826 A KR20140113826 A KR 20140113826A KR 1020130027877 A KR1020130027877 A KR 1020130027877A KR 20130027877 A KR20130027877 A KR 20130027877A KR 20140113826 A KR20140113826 A KR 20140113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cree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856B1 (ko
Inventor
최지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56B1/ko
Priority to PCT/KR2013/012215 priority patent/WO2014142432A1/ko
Publication of KR2014011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시스템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단말 장치; 및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1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테츠를 가공하고, 편집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상대방 사용자와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또는 책) 내용을 수집하여 통계 처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common of contents,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멀티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메시지 서비스 이용 중에 제공되는 컨텐츠를 상대방과 공유하고, 컨텐츠에 대한 내용을 요약 또는 특이 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성능 향상을 통해서,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더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방형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성능화로 스마트 폰은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신저 혹은 모바일 메신저 등의 메신저 서비스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직접 통화보다 간단하게 자신의 의도나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별개로 서비스되던,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며, 파일 전송, 컨텐츠 공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지 서비스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과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컨텐츠(어플리케이션)을 상대방과 공유하기 위해 현재 진행중인 메시지 서비스를 중단하고, 상대방과 공유할 컨텐츠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의 컨텐츠 공유는 URL 정보를 상대방에게 알려주어 상대방이 직접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를 직접 입력 또는 검색된 내용을 복사 및 캡쳐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이 전달해주는 정보만으로 상대방의 컨텐츠를 알 수 있으므로 상대방이 관심을 갖는 컨텐츠를 정확히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721호, 2010년 05월 11일 등록 (명칭: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1 단말 장치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중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 및 상대방의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대화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대화 화면을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임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 요청 정보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여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미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여 독출된 컨텐츠 정보를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만을 독출하는 컨텐츠 관리부;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정보, 미리 설정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컨텐츠 가공부; 및 컨텐츠 가공부에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하는 통계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관리부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여 확인된 식별 번호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관리부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파일 접근 메뉴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구성된 파일 접근 메뉴를 선택하면, 컨텐츠 파일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가공부는,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특별 표시된 단어 또는 문장으로 요약하여 요약된 데이터를 요약 필드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로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통계 처리하여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이용중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를 입력 받으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가공을 위해 서비스 장치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를 가공한 가공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통계 자료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대방 단말 장치에서 표시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상대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대한 가공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표시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여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1 단말 장치 제공하고,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컨텐츠 선택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가공 결과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위한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2 단말 장치로 동시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분야별로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하고, 통계 자료를 제1 단말 장치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 장치로 제공한 컨텐츠인지를 확인하고,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정보, 미리 설정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 표시 형태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및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제1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테츠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 및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는,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가공을 위해 서비스 장치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장치로부터 컨텐츠 선택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하는 단계; 통계 처리된 통계 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및 통계 자료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1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메시지 서비스 수행 시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컨텐츠 정보를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컨텐츠 내용이나 특이 사항을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한 내용의 컨텐츠 데이터를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상대방 사용자와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책, 이미지 또는 영상) 내용을 수집하여 통계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메신저를 이용 시 일일이 관심 내용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관리되는 관심분야의 컨텐츠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내용을 쉽게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으며, 통계화한 데이터를 마케팅 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대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메뉴 화면 및 컨텐츠 정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가공 결과 정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대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100, 300) 및 서비스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위해 이용되는 다른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 3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 3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 3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 3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100, 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연동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서비스 장치(200)로 컨텐츠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 300)는 컨텐츠 요청 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대방 단말 장치(100, 3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하여금 동일한 컨텐츠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 300)로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대화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또한, 단말 장치(100, 300)는 컨텐츠를 이용 중에 컨텐츠 내용 중 특이 사항이나 원하는 부분의 내용을 복사하거나 전체 내용을 요약하여 가공한 결과를 현재 메시지 서비스 즉,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100, 300)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 300)와 연동하며, 단말 장치(100, 300)로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또는 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하고, 단말 장치(100, 300)에서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여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한 단말 장치(100, 300) 및 상대방 단말 장치(100, 300)로 동시에 전송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들(100, 300)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 표시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단말 장치들(100, 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텐츠 공유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과 대화를 수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메시지는 컨텐츠 요청 정보,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관심 분야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바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메뉴 화면의 내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 또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한 후,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대화 화면의 일 영역에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연결할 팝업창 또는 메뉴를 표시하거나, 별도의 화면으로 즉,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되어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대화중인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도 전송되어 상대방 단말 장치(100)의 대화 화면에서 아이콘 형태나 컨텐츠 정보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여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100)에서는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 및 대화 화면에 아이콘 또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대 사용자가 대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되어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또는 컨텐츠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 폴더 또는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며, 컨텐츠 표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내용을 선택 즉,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서 전체 또는 일 영역을 선택 받으면,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한 가공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가공 결과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공유하기 위해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가공 결과 정보는 단말 장치(100)에서 전송하지 않고, 서비스 장치(200)에서 바로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컨텐츠 관리부(111) 및 메신저 처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11)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의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요청한 컨텐츠 정보 예를 들어, 신문 기사, 책 내용 등의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메시지 처리부(112)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 화면은 출력부(140)의 표시부 일 영역 또는 전체 화면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부에서 대화 화면과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 화면은 현재 대화 화면에서 컨텐츠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확인 팝업창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선택함에 따라 별도의 이동된 화면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대화 화면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좌측/우측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다시 대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관리부(111)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의 특정 입력 정보,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첨부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화면 즉, 컨텐츠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컨텐츠 관리부(111)는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도 6의 (b)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여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1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체 또는 일 영역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만을 독출한다. 이때, 컨텐츠 관리부(111)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에서 일 영역을 체크 또는 복사하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 독출은 현재 이용중인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저장된 컨텐츠 파일에서 선택 영역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만을 독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화면을 일정 영역으로 구분하고,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할 시 각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영역의 식별 번호와 함께 매핑하여 분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 관리부(111)는 해당 영역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여 확인된 식별 번호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체 영역을 선택한 경우에는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화면이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 직접 화면을 터치함에 따라 터치되는 강도 및 방향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고, 화면이 터치스크린이 아닌 경우에는 키패드의 방향키 및 특정 키를 통해 컨텐츠 내용을 선택 또는 복사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출력부(140)의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할 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변환되기 전의 예를 들어, 자바 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 파일 자체에 접근할 수 있는 파일 접근 메뉴(아이콘, 위젯 등)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컨텐츠를 관심 컨텐츠로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파일 접근 메뉴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관리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파일 접근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컨텐츠의 컨텐츠 파일에 접근되었음을 출력부(140)의 화면에 표시하고, 저장부(150)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선택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111)는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하여 메시지 처리부(112)로 전달하여 메시지 처리부(112)에서 서비스 장치(22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 선택 정보는 컨텐츠 데이터, 표시 형태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관리부(111)는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정 정보(특정 단어, 문단 또는 문장)에 특별 표시(다른 색으로 표시, 체크 표시 등)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정보는 사용자가 체크한 단어 또는 미리 설정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관리부(111)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의 일 영역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가공 결과 정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처리부(112)는 컨텐츠 관리부(111)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따라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메시지 처리부(112)는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한다. 이후, 메시지 처리부(112)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관리부(111)로 전달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2)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부(111)로부터 전달받아 컨텐츠 선택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선택 정보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메시지 처리부(112)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가공 결과 정보를 포함한 가공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메시지에 포함된 가공 결과 정보를 컨텐츠 관리부(112)로 전달한다. 이때, 메시지 처리부(112)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가공 결과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신한 가공 결과 정보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3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단어 또는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 항목 선택 정보)를 입력 받으면, 서비스 장치(200)로 통신부(12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통신부(12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공유하기 위해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12)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 및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 공유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30)는 출력부(140)의 표시부에 표시된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특정 입력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는, 대화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출력부(14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일 영역의 컨텐츠 내용을 선택 받으면, 선택된 컨텐츠 내용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출력부(140)는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는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 즉, 컨텐츠 정보 화면, 컨텐츠 메뉴 화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가공 결과를 표시하는 가공 결과 정보 화면, 통계 자료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공받은 컨텐츠 정보, 컨텐츠 선택 정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 통계 자료,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 공유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를 화면의 각 영역의 식별 정보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단말 장치(100)로 메신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고, 수신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의 단말 장치들(100)로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다. 즉, 서비스 장치(200)는 요청한 단말 장치(100) 및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장치들(100)에서는 각각 컨텐츠 정보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여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컨텐츠 선택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 및 요약하여 편집함으로써,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컨텐츠 분석부(211), 컨텐츠 가공부(212) 및 통계 처리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 메시지 처리 및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컨텐츠 분석부(211)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분석부(211)는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특별 표시(체크된 부분, 색 표시, 굵은 글씨, 큰 글씨, 헤드라인(제목) 등)가 되어 있거나 미리 설정된 항목(예를 들어, 제목, 목적, 개요, 요약, 요지, 효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정보(단어, 문단 또는 문장)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검색된 특정 정보(단어 또는 문장이 포함된 문단 또는 문장)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문단 또는 문장)를 컨텐츠 가공부(212)로 전달한다. 여기서, 문단 또는 문장을 필터링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분석부(211)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한 컨텐츠인 경우, 단말 장치(10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일 영역의 데이터 즉,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전체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정보(단어 또는 문장)를 수신하여 수신된 검색 정보(단어 또는 문장)로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분석부(211)는 단말 장치(100)에서 컨텐츠 일 영역의 내용이 아닌 컨텐츠 자체가 체크된 경우, 이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하여 수신하면,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한 컨텐츠인지를 확인하고,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전체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컨텐츠 전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에 따라 컨텐츠 전체 데이터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분석부(211)는 컨텐츠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정보(단어 또는 문장), 미리 설정된 특별 표시(헤드라인(제목), 큰 글씨, 굵은 글씨, 색 표시, 체크된 부분 등)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통해 제공한 컨텐츠인 경우 컨텐츠를 독출하여 분석하거나,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컨텐츠 가공부(212)는 컨텐츠 분석부(211)에서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가공부(212)는 컨텐츠 분석부(211)에서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는 등의 가공을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항목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가공부(212)는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예를 들어, 큰 글씨로 표시된 단어 또는 문장을 핵심 내용으로 간주하여 별도로 요약 필드를 구성하여 요약하고, 유사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 가공은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통계 처리부(213)는 컨텐츠 가공부(212)로부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 또는 날짜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통계 처리부(213)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요약 필드에 포함된 정보(단어 또는 문장 등)를 확인하여 확인된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관심 분야 정보(단어 또는 문장 등)와 매핑하여 해당 관심분야 데이터베이스에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통신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메시지 서비스 예를 들어, 메신저를 통한 대화 서비스 및 컨텐츠 공유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비스 장치(200)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더불어, 저장부(230)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 컨텐츠 분석을 위해 미리 설정된 항목,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심분야 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여 통계 처리된 데이터를 해당 관심분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저장부(2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장치(200)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장치(2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매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에서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하고,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입력부(330), 출력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과 대화를 수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 화면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또는 기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메뉴 화면에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제어부(310)는 선택된 컨텐츠를 요청하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텐츠 요청 메시지는 컨텐츠 요청 정보, 자신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관심 분야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바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서비스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메뉴 화면의 내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 또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한 후,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10)는 대화 화면의 일 영역에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연결할 팝업창 또는 메뉴를 표시하거나, 별도의 화면으로 즉,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되어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대화중인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도 전송되어 상대방 단말 장치(300)의 대화 화면에서 아이콘 형태나 컨텐츠 정보가 수신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여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컨텐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제어부(310)는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300)에서는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 및 대화 화면에 아이콘 또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대 사용자가 대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되어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내용을 선택 즉,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서 전체 또는 일 영역을 선택 받으면,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10)는 현재 화면을 가공 결과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여 가공된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310)는 가공된 결과 정보를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해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하여금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컨텐츠 관리부(311), 컨텐츠 가공부(312), 통계 처리부(313) 및 메시지 처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11)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요청한 컨텐츠 정보 예를 들어, 신문 기사, 책 내용 등의 문자, 이미지, 영상 등을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메시지 처리부(314)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도록 출력부(3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 화면은 출력부(340)의 표시부 일 영역 또는 전체 화면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부에서 대화 화면과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 화면은 현재 대화 화면에서 컨텐츠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확인 팝업창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이를 선택함에 따라 이동된 화면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대화 화면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좌측/우측으로 스와이프(swipe)하면, 다시 대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텐츠 관리부(311)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의 특정 입력 정보,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첨부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된 화면 즉, 컨텐츠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컨텐츠 관리부(311)는 컨텐츠 메뉴 화면을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도 6의 (b)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여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메뉴 화면은 내 컨텐츠를 표시한 영역(61), 기 설정한 관심 분야별로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표시한 영역(62), 포털 사이트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한 영역(63) 및 메뉴 영역(64)으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내 컨텐츠를 표시한 영역(61)은 내 컨텐츠 보관함에 저장된 컨텐츠, 사용자가 가공한 결과 정보 등의 단말 장치(300)에 저장된 컨텐츠들에 접근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메뉴 및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와 연결된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부(311)는 첨부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체 또는 일 영역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만을 독출하여 컨텐츠 가공부(312)로 전달한다. 이때, 컨텐츠 관리부(311)는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에서 일 영역을 체크 또는 복사하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 독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311)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이러한 컨텐츠 독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텐츠 가공부(312)는 컨텐츠 관리부(311)에서 독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가공부(312)는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 특별한 표시(체크된 부분, 색 표시, 굵은 글씨, 다른 글씨체, 글씨 크기, 헤드라인(제목) 등)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하고,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검색된 단어 또는 단어를 포함하는 문단 또는 문장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문단 또는 문장을 편집하여 가공한다.
또한, 컨텐츠 가공부(312)는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정보 또는 미리 설정된 항목(예를 들어, 제목, 목적, 개요, 요약, 요지, 효과 등)을 확인하여 확인된 단어를 포함하는 문단 또는 문장을 검색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검색 및 필터링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컨텐츠 가공부(312)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한 컨텐츠인 경우,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컨텐츠 전체 내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된 검색 정보(단어 또는 문장) 또는 미리 설정된 항목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가공부(312)는 컨텐츠 일 영역의 내용이 아닌 컨텐츠 자체가 체크된 경우, 컨텐츠 전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에 따라 컨텐츠 전체 데이터를 분석 및 편집하여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가공부(312)는 컨텐츠 전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데이터에서 특별 표시(헤드라인(제목), 큰 글씨, 색 표시, 다른 글씨체, 헤드라인(제목) 등)가 되어 있는 영역을 필터링할 수 있다.
컨텐츠 가공부(312)는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결과 정보 화면을 통해 가공된 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컨텐츠 가공부(312)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를 메신저를 통해 전송하도록 메시지 처리부(314)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가공부(312)는 필터링된 단어 또는 문장을 요약하거나, 조합하는 등의 편집을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항목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를 편집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가공부(312)의 컨텐츠 데이터 편집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컨텐츠 가공부(212)에서의 컨텐츠 데이터 가공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계 처리부(313)는 컨텐츠 가공부(312)로부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 별 또는 날짜 별 등으로 통계 처리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통계 처리부(313)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요약 필드에 포함된 정보(단어 또는 문장 등)를 확인하여 확인된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관심 분야 정보(단어 또는 문장 등)와 매핑하여 해당 관심분야 데이터베이스에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통계 처리부(313)는 사용자가 대화 화면 또는 컨텐츠 정보 화면에 구성된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대화 화면이 통계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전환되면, 전환된 화면을 통해 원하는 통계 자료를 통계 자료 화면 또는 컨텐츠 메뉴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314)는 컨텐츠 관리부(311)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따라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관리부(311)로 전달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314)는 컨텐츠 가공부(312)로부터 가공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서비스 장치(200) 또는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 가공 결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31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3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단어 또는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 항목 선택 정보)를 입력 받으면, 서비스 장치(200)로 통신부(32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통신부(320)를 통해 관심분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 장치(300)와 공유하기 위해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314)는 통계 처리부(313)에서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전달받아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3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 및 상대방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컨텐츠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3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3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330)는 출력부(340)의 표시부에 표시된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특정 입력 정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는, 대화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출력부(34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일 영역의 컨텐츠 내용을 선택 받으면, 선택된 컨텐츠 내용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310)로 전송한다.
출력부(340)는 기본적으로, 단말 장치(3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340)는 단말 장치(300)에서 구동되는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 즉, 컨텐츠 정보 화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가공 결과 화면, 통계 자료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제공받은 컨텐츠 정보, 컨텐츠 선택 정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 통계 자료, 메신저 프로그램 및 컨텐츠 공유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50)는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를 화면의 각 영역의 식별 정보와 함께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5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에서 통계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310)에서 가공 결과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200)에서 가공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된 통계 자료를 제공받아 관리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공유를 요청한 발신측 단말 장치를 제1 단말 장치(100a)라 하고, 수신측 단말 장치를 제2 단말 장치(100b)라 칭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동작은 역으로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0a)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인 제2 단말 장치(100b)와 대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대화 화면에서 특정 입력 정보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를 입력하면, 1102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는 입력된 특정 입력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요청을 위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1103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는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 장치(100a)는 첨부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대화 화면을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요청한다. 한편, 제1 단말 장치(100a)는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즉, 내 컨텐츠 영역(61)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11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한 후,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11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100) 즉,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로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100)는 제1 단말 장치(100a)로부터 제2 단말 장치(100b)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 받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단말 장치(100a)로만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1106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첨부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각각 자신의 출력부(14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1107단계에서 첨부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제1 단말 장치(100a) 또는 제2 단말 장치(100b)는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1108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 또는 제2 단말 장치(100b)는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컨텐츠 선택 정보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09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여 저장하고, 가공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가공 결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111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가공 결과 메시지를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로 각각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11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100a) 및 제2 단말 장치(100b)는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화면을 가공 결과 정보 화면으로 전환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가공 결과 정보 화면은 현재 대화 화면에서 이동한 별도의 화면에 표시되거나, 대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1112단계에서 서비스 장치(100)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 처리를 통해 얻은 통계 데이터에 대한 통계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100)로 통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서 서비스 장치(200)가 제2 단말 장치(100b)로 가공 결과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0a)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81)를 제2 단말 장치(100b)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a)는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이나 특이 사항을 요약 및 조합하여 편집한 내용 즉, 가공된 데이터를 메신저를 통해 또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상대방의 제2 단말 장치(100b)로 전송함으로써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또는 책) 내용을 수집하여 통계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메신저를 이용 시 일일이 관심 내용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쉽게 기사(책, 이미지 또는 영상) 내용을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공유를 요청한 발신측 단말 장치를 제1 단말 장치(300a)라 하고, 수신측 단말 장치를 제2 단말 장치(300b)라 칭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단말 장치(300a) 및 제2 단말 장치(300b)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동작은 역으로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1201단계에서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300a)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인 제2 단말 장치(300b)와 대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대화 화면에서 특정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1202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입력된 특정 입력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컨텐츠 요청을 위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1203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생성된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 장치(300a)는 첨부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대화 화면을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고, 전환된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요청한다. 한편, 제1 단말 장치(300a)는 사용자가 저장된 컨텐츠 즉, 내 컨텐츠 영역(61)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12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한 후,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12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컨텐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300) 즉, 제1 단말 장치(300a) 및 제2 단말 장치(300b)로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제1 단말 장치(300a)로부터 제2 단말 장치(300b)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 받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단말 장치(300a)로만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1206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 및 제2 단말 장치(300b)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첨부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각각 자신의 출력부(34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1207단계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일 영역을 선택하면, 제1 단말 장치(300a)는 선택 신호를 감지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런 다음 1208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선택된 영역에 대한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편집하는 컨텐츠 데이터 가공을 수행한다. 이때, 가공이 완료되면 제1 단말 장치(300a)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결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1209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가공 결과 정보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21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121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제2 단말 장치(300a)로 가공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1212단계에서 제2 단말 장치(300b)는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1213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저장하고, 1214단계에서 제1 단말 장치(300a)는 처리된 통계 데이터에 대한 통계 자료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21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통계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에서 서비스 장치(200)가 제2 단말 장치(300b)로 가공 결과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 장치(300a)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가공 결과 정보(81)를 제2 단말 장치(300b)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 장치(300a)에서는 메신저를 이용 중에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 및 편집하여 얻은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대방과 공유하고 싶은 경우, 메신저를 통해 또는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를 상대방의 제2 단말 장치(3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단말 장치(300a)는 표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이나 특이 사항을 요약 및 조합하여 편집한 내용의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300b)와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또는 책) 내용을 수집하여 통계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메신저를 이용 시 일일이 관심 내용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쉽게 기사(또는 책) 내용을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메시지 서비스 수행 시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정보 화면을 표시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컨텐츠 정보를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컨텐츠 내용이나 특이 사항을 요약 및 조합하여 편집한 내용의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메신저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상대방 사용자와 간편하게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 있는 기사(책, 이미지 또는 영상) 내용을 수집하여 통계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메신저를 이용 시 일일이 관심 내용을 작성하지 않더라도 관리되는 관심분야의 컨텐츠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내용을 쉽게 상대방에게 알릴 수 있으며, 통계화한 데이터를 마케팅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10: 통신망 100, 300: 단말 장치 110, 310: 제어부
111: 컨텐츠 관리부 112: 메시지 처리부 120, 320: 통신부
130, 330: 입력부 140, 340: 출력부 150, 350: 저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제어부 211: 컨텐츠 분석부
212: 컨텐츠 가공부 213: 통계 처리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311: 컨텐츠 관리부 312: 컨텐츠 가공부
313: 통계 처리부 314: 메신저 처리부

Claims (35)

  1.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 정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만을 요약 및 조합한 내용 또는 상기 컨텐츠 정보에서 특정 정보를 통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한 내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입력정보는,
    상기 대화 화면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대화 화면을 컨텐츠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임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 요청 정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여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미리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독출하고, 컨텐츠 정보 화면을 구성하여 독출된 컨텐츠 정보를 구성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정보의 일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이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만을 독출하는 컨텐츠 관리부;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정보,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컨텐츠 가공부; 및
    상기 컨텐츠 가공부에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시지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하는 통계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의 식별 번호를 확인하여 확인된 식별 번호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 파일 접근 메뉴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구성된 파일 접근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 파일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관심분야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통계 처리하여 관리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관리 데이터를 이용중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컨텐츠 공유를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를 입력 받으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가공을 위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를 가공한 가공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통계 자료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서 표시된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상대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대한 가공 결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가공 결과 정보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단말 장치.
  18.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 중인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받으면, 제공할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여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컨텐츠 선택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가공 결과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 공유를 위한 제2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제2 단말 장치로 동시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선택된 영역에 매핑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선택된 영역의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정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1. 제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분야별로 통계 처리한 통계 자료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통계 자료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를 위한 서비스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공한 컨텐츠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공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정보,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전체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서비스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는,
    상기 독출된 컨텐츠 데이터, 표시 형태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4.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2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장치;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컨테츠를 가공하고,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
  25.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중인 메신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29.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가공을 위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30. 제25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관심 분야별로 통계 처리하는 단계;
    통계 처리된 통계 자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자료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31.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33.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4.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메신저 프로그램의 대화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컨텐츠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메뉴 화면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 정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정보의 가공을 위해 상기 서비스 장치로 선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선택 정보에 대한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5.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구성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컨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선택 정보에 포함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특별 표시 및 미리 설정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특정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특정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단계;
    필터링된 컨텐츠 데이터를 요약 및 조합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27877A 2013-03-15 2013-03-15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10151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77A KR101519856B1 (ko) 2013-03-15 2013-03-15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PCT/KR2013/012215 WO2014142432A1 (ko) 2013-03-15 2013-12-26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77A KR101519856B1 (ko) 2013-03-15 2013-03-15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26A true KR20140113826A (ko) 2014-09-25
KR101519856B1 KR101519856B1 (ko) 2015-05-15

Family

ID=5175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77A KR101519856B1 (ko) 2013-03-15 2013-03-15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KR20170121507A (ko) * 2016-04-25 2017-11-02 (주) 올윈웨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서버
KR20220045641A (ko) * 2020-10-06 2022-04-13 정진아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714B1 (ko) 2016-05-1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31A1 (ko) * 2014-12-30 2016-07-07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KR20160081002A (ko) * 2014-12-30 2016-07-08 하영식 화면 공유 시스템 및 화면 공유 방법과 관리서버 및 관리서버의 운영방법
KR20170121507A (ko) * 2016-04-25 2017-11-02 (주) 올윈웨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서버
WO2017188511A1 (ko) * 2016-04-25 2017-11-02 (주)올윈웨어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서버
KR20220045641A (ko) * 2020-10-06 2022-04-13 정진아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856B1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00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EP3023930B1 (en) Screenshot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ame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KR102248160B1 (ko) 사용자 통지 및 제어를 위한 탭 레벨에서의 음성 관리
JP5939525B2 (ja) 共有サービス
KR101784466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US8706920B2 (en) Accessory protocol for touch screen device accessibility
RU26581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множества приложени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20180275840A1 (en) Method for executing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31717A (ko)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EP3726376A1 (en) Program orche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9856B1 (ko)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20130127086A (ko)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정보 검색 방법
JP2023522092A (ja) インタラクション記録生成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US202400226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content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2514760B1 (ko) 가상현실 환경에서 웹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88227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8297B1 (ko)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045895B (zh) 信息处理方法、系统、介质和计算设备
KR10145161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397491A1 (en) Providing Access to Related Content in Media Presentations
JP5661828B2 (ja) 端末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音声出力プログラム
JP2019508828A (ja) データをダウンロードしながらメール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