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308A - Electric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Electric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308A
KR20140113308A KR1020130163726A KR20130163726A KR20140113308A KR 20140113308 A KR20140113308 A KR 20140113308A KR 1020130163726 A KR1020130163726 A KR 1020130163726A KR 20130163726 A KR20130163726 A KR 20130163726A KR 20140113308 A KR20140113308 A KR 20140113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dust
container body
vacuum clea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34981B1 (en
Inventor
야스시 다카이
기요시 에베
히토시 스즈키
겐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2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176501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2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94900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11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Abstract

Proposed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cylinder-shaped filter in a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wherein fibrous dust being difficult to be wound around the filte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includes: a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35); a first filter section (37) which has a shape of a cylinder shorter than the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35) stored in the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35) which forms a ring-shaped separation chamber (51) between the first filter and the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35); an isolated section (38) which has a diamete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filter section (37) and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er-shaped container main body (35), an isolation chamber (38) which forms a dust collection chamber (52) close to an end of the first filter section (37) neighboring to the ring-shaped separation chamber (51)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rotary support (41) which supports the first filter section (37) to freely be rotated around the center axis (C) as the axis of rotation.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어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는 원심분리방식의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분리실내에 발생하는 선회류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There is known a centrifugal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nd a filtration filter housed in the container body and forming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Such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separates air and dust by a swirling flow generated in a separation room.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36042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23604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77294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77294

그러나, 전기청소기가 흡입하는 먼지에는 입자형상이나 분말상의 먼지 이외에, 실찌꺼기나 모발과 같은 섬유상의 먼지가 포함된다. 그리고, 여과 필터부의 외주 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는 우발적으로 여과 필터부에 감긴다.However, the dust sucked in by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cludes not only the particle shape and powder dust, but also fiber dust such as thread residue and hair. Then, the long fibrous dust exceeding the outer peripheral length of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is accidentally wound around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일단,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면 풀어내기는 곤란하다.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긴 경우에는 전기청소기의 사용자는 섬유상의 먼지를 가위 등으로 절단하거나 강하게 잡아당겨 떼어내어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어, 여과 필터의 보수면 및 위생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Once the fibrous dust is wound on the filter, it is difficult to loosen it. In the case that the fiber filter dust is wound around the filter filter, the user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must cut or remove the fiber dust by scissors or the like and pull it off to remove it, which causes problems in the maintenance and hygienic aspects of the filter filter.

그래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원통 형상의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is less prone to dusting of fibrous dust in a cylindrical filter filter accommodated in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 cylindrical body which is shorter than the contain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 filter housing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lter filter por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an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lter filter portion so as to be adjacent to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rotatably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 및 상기 격리부를 각각 별개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separately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s a rotation axis.

이에 의해, 원통 형상의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the fibrous dust is hardly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filter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 por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비교 설명을 위한 종래 도면을 포함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cluding a conventional drawing for comparis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청소기이다. 전기청소기(1)는 피청소면상을 주행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3)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2)와 관부(3)는 연통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o-called canister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has a vacuum cleaner main body 2 capable of traveling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tubular portion 3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and the tubular portion 3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 본체 케이스(5)의 좌우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바퀴(6),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배치되는 착탈 자유로운 먼지분리 집진장치(7),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수납되는 전동송풍기(8), 주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 및 전동송풍기(8)로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The cleaner main body 2 includes a main body case 5, a pair of wheels 6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case 5,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An electric blower 8 accommodated in a rear half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5, a main body control portion 9 for controlling the main blower 8 and a power cord 11 for guid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blower 8 do.

청소기 본체(2)는 전원 코드(11)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동송풍기(8)를 구동하고, 전동송풍기(8)의 구동에 수반되는 부압(負壓)을 관부(管部)(3)에 작용시키고, 관부(3)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포함공기」라고 함)을 흡입하고,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후의 먼지를 포집하여 축적하며 분리 후의 공기를 배기한다.The vacuum cleaner main body 2 drives the electric blower 8 with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cord 11 and supplies a negative pressure to the tube portion 3, which is involved in driving the electric blower 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ust-containing air ")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the tubular portion 3, separates the dust from the dust-containing air, collects the dust after the separation, And exhausts the air after it.

본체 케이스(5)의 정면 부분에는 본체 접속구(12)가 설치된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로의 먼지포함공기의 입구이고, 관부(3)와 먼지분리 집진장치(7)를 연통 접속한다.A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5).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is an inlet for air containing dust to the cleaner main body 2 and communicates with the tubular portion 3 and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본체 케이스(5)의 양 측면에 설치된 바퀴(6)는 대직경의 주행바퀴로, 청소기 본체(2)를 지지한다.The wheels 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case 5 support the main body 2 of the vacuum cleaner with a large-diameter running wheel.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관부(3) 및 본체 접속구(12)를 거쳐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포함공기」라고 언급한다)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한다.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is configured to detect ai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dust-containing air ") containing dust introduc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the tube portion 3 and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by a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electric blower 8 ), Collecting and accumulating dust. On the other hand,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sends clean air from which dust has been removed to the electric blower 8. The electric blower 8 exhausts the air sucked from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out of the cleaner main body 2.

여기에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원심분리방식을 채용하고, 선회류에 의해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Here,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adopts a centrifugal separation method and separates dust and air by the swirling flow.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기억장치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를 기억한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는 조작부(24)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다.The main body control unit 9 includes a microprocessor (not shown) and a storage device (not shown) for storing various operation programs and parameters executed by the microprocessor. The storage device stores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correspond to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operation unit 24. [

각각의 운전모드는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송풍기(8)의 입력값)으로 설정된다. 본체 제어부(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모드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한다.The respective operation modes are set to different input values (input values of the electric blower 8). The main body control unit 9 selects an arbitrary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operation from the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nd reads the operation mode from the storag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controls the electric blower 8).

전원코드(11)의 자유단부에는 삽입 플러그(14)가 설치되어 있다.An insertion plug 14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power cord 11.

관부(3)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의 흡입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포함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음매로서의 접속관(19),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되는 집진 호스(21), 집진 호스(21)에 연통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2),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23), 손잡이부(23)에 설치되는 조작부(24),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자유롭에 접속되는 연장관(25) 및 연장관(25)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The tubular portion (3) sucks the dust-containing air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from the cleaner main body (2) and guides it to the cleaner main body (2). The tubular portion 3 has a connecting pipe 19 as a join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2, a dust collecting hose 21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ng pipe 19, a handle operating pipe 21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hose 21, A grip portion 23 protruding from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an operating portion 24 provided on the grip portion 23, an extension pipe 25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26)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25).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에 대해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이고, 본체 접속구(12)를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The connection pipe 19 is a joint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and is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집진 호스(21)는 길고 가요성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먼지포함공기가 흐르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단부)는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된다.The dust collecting hose 21 is a long, flexible, substantially cylindrical hose. One end of the dust collecting hose 21 (here, the en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containing air flow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9.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을 중계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는 집진 호스(21)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에 연통 접속된다.The handle operating pipe (22) relays the dust hose (21) and the extension pipe (25). One end (the downstream end) of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upstream end) of the dust hose 21 in communication.

손잡이부(23)는 전기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이루고,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다.The handle portion 23 is a portion held by a user for operating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nd is formed into a suitable shape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and protrudes from the handle operation pipe 22. [

조작부(24)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정지조작에 대응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송풍기(8)의 운전개시조작에 대응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The operation unit 24 includes switch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section 24 includes a stop switch 24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op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8 and a start switch 24b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rt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8.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송풍기(8)의 운전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4b)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를 대신하여 약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The stop switch 24a and the start switch 24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control unit 9. [ The user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can selectively operate the operation mode of the electric blower 8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24. [ The start switch 24b also functions as a selection switch of the operation mode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blower 8. [ In this case, every time the main control unit 9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tart switch 24b, ... . The operation unit 24 may be provided with a weak operation switch (not shown), a middle operation switch (not shown), and a strong operation switch (not shown) in place of the start switch 24b.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세로로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형상체를 겹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다. 연장관(25)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와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는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The extension pipe 25 is a vertically elongated substantially cylindrical pipe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The extension tube 25 has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rical bodies are superimposed. One end (the downstream end) of the extension pipe 25 and the other end (the upstream end) of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joint structure. The extension pipe 25 is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through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the dust collecting hose 21 and the connecting pipe 19.

흡입구체(26)는 나무바닥이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상을 주행 자유로운 또는 활주 자유로운 구조를 갖고,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구비한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배치되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청소체(29)와, 회전청소체(29)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1)를 구비한다.The suction member 26 has a structure capable of running on a surface to be cleaned such as a wooden floor or a carpet, or a slide-free structure, and has a suction port 28 at a bottom surface oppos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a running state or a sliding state. The suction member 26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cleaning member 29 that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suction port 28 and an electric motor 31 that drives the rotary cleaning member 29.

흡입구체(26)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하류측의 단부)는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상류측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 즉, 흡입구체(26),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접속관(19) 및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로부터 흡입구(28)에 도달하는 흡입풍로를 형성하고 있다.One end (here, the downstream end) of the suction member 26 is provided with a seam structure which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other end (upstream end) of the extension pipe 25. The suction member 26 is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through the extension pipe 25,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the dust collecting hose 21 and the connecting pipe 19. That is, the suction member 26, the extension pipe 25,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the dust collecting hose 21, the connecting pipe 19, and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are moved from the electric blower 8 to the suction port 28, And a suction air passage for reaching the suction passage.

전기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는 전동송풍기(8)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송풍기(8)를 강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중운전 모드로 운전하며,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에 의해 전동송풍기(8)를 약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starts the electric blower 8 by the user's operation by the start switch 24b. For example, when the start switch 24b is operated while the electric blower 8 is stopped,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first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8 in the strong operation mode, The electric blower 8 is operated in the middle operation mode by the operation and the electric blower 8 is operated in the weak operation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24b and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약운전 모드의 순으로 전동송풍기(8)에 대한 전력입력값이 작다. 시동한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공기를 배기하여 그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한다.The strong operation mode, the medium operation mode and the weak operation mode are a plurality of preset operation modes, and the power input value to the electric blower 8 is small in the order of the strong operation mode, the medium operation mode and the weak operation mode. The electric blower 8, which is started, exhausts air from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and makes the inside thereof negative pressure.

먼지분리 집진장치(7)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흡입구(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 전기청소기(1)는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상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기청소기(1)에 흡입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The negative pressure in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main body connection port 12, the connection pipe 19, the dust collecting hose 21, the handle operating pipe 22, the extension pipe 25, and the suction port 26, Acts on the suction port 28 of the spherical body 26.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sucks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by a negative pressure acting on the suction port 28 to clea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separates and accumulates dust from the dust-containing air sucked into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On the other hand,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sends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containing air to the electric blower 8.

다음에,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dust separating / collecting device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 흡입관(36),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회전 지지부(41), 덮개벽(42), 토출관(43)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includes a container body 35, a suction pipe 36, a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 isolation portion 38, a return filtration filter portion 39, a rotation support portion 41, (42), a discharge pipe (43), and a second filter portion (45).

또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장착 상태에서의 자세로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수직방향으로 향해도 좋고 수평방향으로 향해도 좋으며 또는 다른 임의의 각도로 기울여 배치되어도 좋다.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enter line C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body 35 as the posture in the mounted state on the cleaner main body 2 may be di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y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angles.

용기 본체(35)는 도시한 상방의 단부에 개방단(47) 및 하방의 단부에 폐색단(48)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35) 내부에는 먼지포함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원심 분리하는 분리실(51)과,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 형성된다.The container body 35 has a bottomed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 end 47 at the upper end shown and a closed end 48 at the lower end. Inside the container body 35, a separation chamber 51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dust-containing air by dust and air and a dust-collecting chamber 52 for accumulating separated dust are formed.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의 측벽(35a)의 개방단(47)측으로 치우쳐 용기 본체(35)에 연통 접속되고, 먼지포함공기를 먼지분리 집진장치(7)내에 유입시키는 입구가 된다.The suction pipe 36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35 by being biased toward the open end 47 side of the side wall 35a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and serves as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dust containing air in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

흡입관(36)은 관부(3)로부터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유입되는 공기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용기 본체(35)내로 인도하고,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킨다. 흡입관(36)은 측벽(35a)에 일체 성형된다.The suction pipe 36 guides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from the pipe section 3 toward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into the container main body 35, (F). The suction pipe 3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wall 35a.

또한,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키는 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직교하는 평면, 예를 들어 중심선(C)이 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The suction pipe 36 is arranged so that a plane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for example, the center line C is directed to the vertical direction as long as the swirling flow F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body 35 It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case where there is.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단부)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설치한 덮개벽(42)에 인접된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has a cylindrical shape shorter than the container body 35, Is adjacent to the cover wall (42) provided at the open end (47) of the main body (35).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원통 형상부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원통 형상부 내주면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여과 필터부(37)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의 1차 필터가 된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35 and has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51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filter portion 37 serves as a primary filter of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분리실(51)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을 구획하고, 선회류(F)를 발생시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8)의 시동직후나 정지 과도기 등 분리실(51) 내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또한 선회류(F)가 발달한 후에도 당연히, 용기 본체(35)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한다.The separation chamber 51 separat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and generates swirling flow F to separate dust and air from dust-containing air. Even when the swirling flow F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is not sufficiently developed, such as immediately after the startup of the electric blower 8 or during the stop period, and after the swirling flow F is developed, To the discharge pipe (43).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크게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보형틀(53)과, 보형틀(53)에 설치되는 제1 여과 필터(55)를 구비하고, 제1 여과 필터(55)는 보형틀(53)을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filtering filter section 37 includes a cylindrical bottle-shaped opening 53 which is opened to the side and a first filtering filter (not shown) provided in the bottle- 55, and the first filtering filter 55 is wound into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bottle frame 53.

보형틀(53)은 제1 여과 필터(55)를 원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보형틀(53)은 원통 형상의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상의 틀부재(56)와, 틀부재(56)에 연결되어 원통 형상의 양단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환형상의 틀부재(57)를 구비한다.The bottle frame 53 holds the first filter 55 in a cylindrical shape. The bolt 53 has a plurality of linear frame members 56 dispos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side surface of a cylindrical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nnular frame member 56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56, (57).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룬다.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인접된다. 격리부(38)는 개구(58)를 갖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간극(59)에 의해 연통 접속시킨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The isolation portion 38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and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isolation portion 38 is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end on the side close to the blocking end 48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isolation portion 38 is partitioned into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chamber 51 having the opening 58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by the gap 59.

격리부(38)의 개구(58)는 격리부(38)의 외주 가장자리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과의 환형상의 간극(59)보다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가깝고, 간극(59)과 동일하게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연통 접속하고 있다.The opening 58 of the isolation portion 38 is closer to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than the annular gap 59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isolation portion 38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separation chamber 51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격리부(38)보다도 용기 본체의 하방(저면)측의 공간은 분리실(51)로부터 간극(59)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다. 간극(59)은 분리실(51) 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하고, 개구(58)는 집진실(52) 내에 인도된 선회류(F)를 분리실(51)로 복귀시킨다.The space on the lower side (bottom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an the isolation portion 38 is a dust collecting chamber 52 for accumulating dust introduced through the gap 59 from the separation chamber 51. The gap 59 guides the swirling flow F generated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together with the dust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and the opening 58 guides the swirling flow F deliver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 To the separation chamber (51).

또한, 격리부(38)는 도 2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5)의 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점 쇄선으로 도시한 격리부(38)의 원통 형상의 측벽(63)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간극(61)을 형성하고, 또한 격리부(38)의 하단과 용기 본체(35)의 저면 사이에는 간극(62)이 형성되어 있다.2, the isolation portion 38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open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5 as shown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ide wall 63 of the isolation portion 38 shown by the two-dot chain line forms a gap 61 with the container body 35, A gap 62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분리실(51) 및 집진실(52)은 간극(59, 61, 62)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간극(61)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 격리부(38)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간극(59, 61, 62)은 분리실(51)내에서 발생한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한다.The separation chamber 51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gaps 59, 61, and 62. The gap 61 is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5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solation portion 38. The gaps 59, 61 and 62 lead the swirling flow F generated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together with the dust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격리부(38)의 개구(58)에 설치된 복귀 여과 필터부(39)는 집진실(52)에 유입된 실찌꺼기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가 분리실(51)로 되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눈이 성긴 것, 예를 들어 메시 필터로 형성되어 있다.The return filtration filter portion 39 provided in the opening 58 of the isolation portion 38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1 such that the fibrous dust such as the thread residue or the cotton dust that has flow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does not return to the separation chamber 51, For example, a mesh filter.

회전 지지부(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The rotary support portion 41 rotatably supports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with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as a rotation axis.

회전 지지부(41)는 용기 본체(35)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 축심 유지부(65)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측에 배치되는 제2 축심 유지부(66)와, 제1 축심 유지부(65)와 제2 축심 유지부(66)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심부(67)와,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68)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69)을 구비한다.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 includes a first axis center holding portion 6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a second axis center holding portion 66 disposed at the open end 47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An axial center portion 67 which intersects between the first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65 and the second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66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The end closer to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a second bearing (69) provided on the second bearing.

제1 축심 유지부(65) 및 제2 축심 유지부(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상에, 봉형상의 축심부(67)를 지지하는 보스((boss)이다.The first axis holding portion 65 and the second axis holding portion 66 are bosses that support the rod-like axial portion 67 on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제2 축심 유지부(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2 축심 유지부(66)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71)에 의해 덮개벽(42) 또는 토출관(43)에 고정된다. 복수의 뼈대부재(71)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The second axis holding portion 66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The second axis holding portion 66 is fixed to the cover wall 42 or the discharge pipe 43 by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skeletal members 71.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keleton members (71) passes air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toward the discharge pipe (43).

축심부(67)는 제1 축심 유지부(65)와 제2 축심 유지부(66) 사이를 가로질러 용기 본체(35)에 대해서 고정된다. 축심부(67)는 용기 본체(35) 저부의 제1 축심 유지부(65)로부터 격리부(38)에 도달하는 제1 축심 절반부(72)와, 제1 축심 절반부(72)에 이어져 제2 축심 유지부(66)에 도달하는 제2 축심 절반부(73)를 구비한다.The shaft portion 67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35 across the first axis holding portion 65 and the second shaft holding portion 66. [ The shaft portion 67 has a first axis center half portion 72 extending from the first axis center holding portion 65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35 to the isolation portion 38 and a second axis center portion 72 extending from the first axis center half portion 72 And a second axis center half portion (73) reaching the second axis center holding portion (66).

제1 축심 절반부(72)는 격리부(38)를 지지하고, 격리부(38)를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고정한다. 제1 축심 절반부(72)는 집진실(52) 내에 배치되어 있고, 분리실(51)측으로부터 집진실(52)측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저항체(75)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axis center half 72 supports the isolation portion 38 and fixes the isolation portion 38 to the container body 35 in a non-rotating manner. The first axis center half portion 72 is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and includes a resistor 75 for generating a swirl by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side from the separation chamber 51 side, .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로부터 용기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을 이룬다.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 주위의 공기류를 흐트러트려, 집진실(52) 내의 먼지를 제1 축심 절반부(72)의 주위에 체류시키거나 엉겨붙게 하여 집진실(52) 내에서의 먼지의 집진을 촉진시킨다.The resistor 75 has a plate shape protruding from the first axis center half 72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The resistor body 75 disturbs the air flow around the first axis center half 72 so that the dust in the dust collector chamber 52 stays or tangles around the first axis center half 72, Thereby promoting the collection of dust in the air.

또한,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 이외에, 용기 본체(35)의 저부에 용기 본체(35)와 일체 성형되어도 좋고,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측에 치우쳐 설치되어도 좋다.The resistor 7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body 35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35 o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container body 35 in addition to the first axis center half portion 72.

제2 축심 절반부(73)는 금속제이고 제1 베어링(68) 및 제2 베어링(69)을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한다.The second shaft center half portion 73 is made of metal and rotatably holds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rough the first bearing 68 and the second bearing 69.

제1 베어링(68) 및 제2 베어링(69)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이고,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bearing 68 and the second bearing 69 are sliding bearings impregnated with lubricating oil and are constituted by so-called oil-less bearings or ball bearings exhibiting self-lubricating properties.

제1 여과 필터부(37)는 제1 베어링(68)을 유지하는 제1 베어링 유지부(76)와, 제2 베어링(69)을 유지하는 제2 베어링 유지부(77)를 구비한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ncludes a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76 for holding the first bearing 68 and a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77 for holding the second bearing 69.

제1 베어링 유지부(76)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를 막는 저벽(37a)에 설치된다.The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76 is provided on the bottom wall 37a that blocks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closing end 48 of the container body 35).

제2 베어링 유지부(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대해서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2 베어링 유지부(77)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78)에 의해 제1 여과 필터부(37)에 고정된다.The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77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 end near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37). The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77 is fixed to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by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skeletal members 78.

복수의 뼈대부재(78)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keleton members (78) allows air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to the discharge pipe (43) to pass through.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 지지부(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 즉 선회류(F)를 받아 회전된다. 선회류(F)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과정이나 제1 여과 필터(55)를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Sinc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rotated by receiving the air flow, that is, the swirling flow F, rotating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The swirling flow F flows in the process of flowi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or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Thereby impar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ortion 37.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의 공간과 토출관(43) 내를 연통 접속시킨다.The cover wall 42 closes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lid wall 42 has an opening 42a which is substantially concentric with the container body 35. [ The opening 42a communicatively connects the space inside the first filter portion 37 with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43.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의 인접 부분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는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79)가 설치된다.A stepped fitting portion 79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and the isolating portion 38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제1 여과 필터부(37)를 덮개벽(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덮개벽(42)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인접 부분에는 분리실(51)측으로부터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해하는 시일부(81)가 설치된다.In order to relatively rotat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relative to the cover wall 42, a first filtration is provided from the side of the separation chamber 51 to the adjacent portion of the cover wall 42 and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re is provided a seal portion 81 which interferes with inflow of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portion 37.

가령,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 먼지 등이 들어가면,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을 저해받는다. 그래서, 시일부(81)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서의 공기의 유통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해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확실한 회전을 확보한다. 시일부(81)는 예를 들어 소위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이룬다.For example, when dust or the like enters the minut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cover wall 42,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inhibited from rotating. Therefore, the seal portion 81 prevents the flow of air or the entry of dust into the minut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and the lid wall 42, thereby reliably rotating the first filter portion 37 . The seal portion 81 has a so-called labyrinth structure, for example.

토출관(43)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고, 덮개벽(42)을 덮어 가린다. 토출관(43)은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공기의 출구이고, 제1 여과 필터부(37)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통과하는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송출하는 배기 풍로(82)가 된다.The discharge tube 43 closes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and covers the lid wall 42. The discharge pipe 43 is an outlet of air in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and i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ing filter part 37 and the second filtering filter part 45 to the electric blower 8 And becomes the exhaust air passage 82.

제2 여과 필터부(45)는 덮개벽(42)의 개구(42a)로부터 배기 풍로(82)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직후 등 분리실(51)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해 있지 않은 기간에, 제1 여과 필터부(37)를 투과하는 미세한 입자형상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고 미세한 입자형상의 미세 먼지가 전동송풍기(8)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portion 45 filters the air flowing into the exhaust air passage 82 from the opening 42a of the lid wall 42.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portion 45 is provid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n a period in which the swirling flow F of the separation chamber 51 is not sufficiently developed, such a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electric blower 8, It is possible to trap fine dust particles having a fine particle shape and to prevent minute dust particles from reaching the electric blower 8.

제2 여과 필터부(45)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중심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번갈아 나열되는 플리티드 필터(pleated filter)이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portion 45 is a pleated filter having a disc shape and alternately arranging a mountain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side.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및 회전 지지부(41)는 덮개벽(42) 및 토출관(43)에 일체화되어 있고,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용기 본체(35) 내로 수납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isolation portion 38, the return filtration filter portion 39 and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41 are integrated with the lid wall 42 and the discharge pipe 43, And can be housed in the container body 35 agai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 por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제1 여과 필터부(37)에는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기 위한 날개판(83)을 구비한다.3,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of the dust separating / collecting device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blade plate 83 for receiving a flow of air that circulates the separating chamber 51 ).

날개판(83)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설치되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중심선, 즉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향하여 연장된다. 날개판(83)은 보형틀(53)에 일체화되어 있다. 날개판(83)은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받아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The wing plate 83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extends toward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or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blade plate 83 is integrated with the bolt 53. The wing plate 83 receives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iltering filter unit 37 through the first filtering filter 55 and gives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filtering filter unit 37.

이어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여기에서, 우선 제1 실시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10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제1 여과 필터부(102)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대해서 설명한다.4 and 5 for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having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102 that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main body 101 .

도 4의 (a), (b) 및 (c)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4 (a), 4 (b) and 4 (c)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또한, 도 5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먼지분리 집진장치(105)에 제1 여과 필터부(102)의 외주 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용기 본체(101)에 대해서 제1 여과 필터부(102)가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여과 필터(106)에 감기기 시작한다.4 (a),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a long fibrous dust fi exceeding the outer peripheral length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unit 102 is attached to the dust sepa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105 When the dust is introduced by the swirling flow F, one end of the dust fi may come in contact with the filtration filter 106 in some cases.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sinc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unit 102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101 and does not rotate, as shown in FIG. 4 (b) The fibrous dust fi attached to the filter 106 starts to wind on the filtration filter 106 while flowing in the swirling flow F. [

결국에는 도 4의 (c)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여과 필터(106)에 감겨 용이하게는 풀리지 않게 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C and FIG. 5, the fibrous dust fi is wound around the filtration filter 106 and is not easily released.

한편, 도 6의 (a), (b), (c) 및 (d)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6 (a), 6 (b), 6 (c) and 6 (d)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있어서도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의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6 (a),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is provided with a long fibrous dust exceeding the outer peripheral length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one end of the dust fi may com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when the swirl flow fi is introduced by the swirl flow F. [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기기 시작한다.As shown in Fig. 6 (b), the fibrous dust fi attached 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at one end flows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while flowing in the swirling flow F, .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가 선회류(F)에 수반되어 회전하므로(도 6 중, 실선 화살표 R), 제1 여과 필터(55)가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와 함께 회전하고 또한 선회류(F)에 흐르는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는 분리실(51)내에서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로 흐르게 된다.However,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rotated with the swirling flow F (solid line arrow R in Fig. 6),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dust fi and the dust fi flowing in the swirling flow F and the first filtering filter 55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Flows into the separation chamber 51 for a longer time and a longer distance until it is wound around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먼지(fi) 및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이 계속되고 있는 한중간에,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하여,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fi)의 한쪽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된다.As shown in Fig. 6 (c), the dust (fi) and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slight disturbance of the swirling flow F, fi is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의 여유가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dust fi and the first filter 55 is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and the dust fi is larger than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ilter 55 and the dust fi, There is a longer distance and a longer distance until it is wound on.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여러 차례 조우(遭遇)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할 기회가 상당한 정도로 높아진다. Therefore,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ncounter a number of occasions such as a slight disturbance of the swirling flow F, so that the dust fi can pass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Quot;) < / RTI > to a significant extent.

그리고, 결국에는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탈락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52)에 축적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d), the fibrous dust fi separates from the first filter 55 and falls off. As shown in Fig. 7,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Is accumulated.

그런데, 선회류(F)는 일주할 때마다 흡입관(36)으로부터 분리실(51)로 유입되는 신규의 먼지함유공기에 합류하면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방향, 다시 말하면 제1 여과 필터(55)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풍향을 변화시킨다. 풍향을 변화시킨 선회류(F)의 일부는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고 먼지분리 집진장치(7) 밖으로 인도된다.The swirling flow F merges with the new dust-containing air flowing into the separation chamber 51 from the suction pipe 36 every time the swirling flow F is performed,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And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wind toward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filter (55). A part of the swirling flow F whose wind direction is changed i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55 and delivered to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이 과정에서 도 4의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의 경우, 회전하지 않는 여과 필터(10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여과 필터(106)의 대략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여과 필터(106)의 해당 부분에는 서서히 먼지가 부착되고 이윽고 필터 눈이 막히게 된다. 여과 필터(106)의 특정 부분에 눈막힘이 일어나면 눈막힘 부분의 유속이 저하되고, 또한 범위가 넓어져 결국에는 여과 필터(106) 전체의 눈막힘을 유발한다.In this process, the conventional electric vacuum cleaner 104 shown in Fig. 4 includes the non-rotating filtration filter 106, so that a part of the swirling flow F, Continue to pass. As a result, dust gradually attaches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106, and soon, the filter eyes become clogged. When clogging occurs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106, the flow velocity of the clogging portion is lowered and the range is widened, which eventually causes clogging of the filtration filter 106 as a whole.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55)를 선회류(F)에 수반하여 회전시키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제1 여과 필터(55)의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지 않고, 통과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 널리 분산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is rotated with the swirling flow F, so that a part of the swirling flow F, ), And the passing portion is widely dispers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55)의 어느 좁은 범위에서 눈막힘이 일어나기 어려워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고, 더 나아가 제1 여과 필터(55) 전체의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다.Accordingly,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asy to maintain air permeability because it is difficult for clogging to occur in a narrow range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55, and furthermor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entire first filtering filter 55 is maintained easy to do.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내에 회전 자유로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구비하므로, 분리실(51) 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rotatable in the container body 35, so that dust, particularly fibrous dust, To the first filter portion (37).

특히,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는 부위를 제1 여과 필터부(37)로 좁힘으로써,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 속도를 얻기 쉽고, 선회류(F)에 대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대적인 속도차를 대폭 감소시켜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Particularly, by narrowing the portion to be rotated by the swirling flow F 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t is easy to obtain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first filtration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of the filter portion 37 is greatly reduced to prevent the fiber dust from being wound o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

또한,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는 부위를 제1 여과 필터부(37)로 좁힘으로써 전기청소기(1)의 시동시,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과 선회류(F)의 조속한 동기를 도모하기 쉽고, 시동 과도기에도 선회류(F)에 대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대적인 속도차를 대폭 감소시켜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is started, the rotation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rotation of the swirling flow F are performed by narrowing the portion to be rotated by the swirling flow F 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 The relative speed differen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with respect to the swirling flow F is greatly reduced to prevent the dust on the fiber form from being wound o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do.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발생하는 선회류(F)로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시키므로,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 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otates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with the swirling flow F generat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35, F),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secure reliability.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날개판(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부(37)의 구동토크를 크게 하고, 선회류(F)와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의 회전을 동기시키기 쉽다.Since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wing plate 83 i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the drive torque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is increased, 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isolation portion 38 can be easily synchronized.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날개판(83)을 겸비하는 보형틀(53)을 구비함으로써, 제1 여과 필터부(37)의 조립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bottle frame 53 having the blade plate 83 so that no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assemble the first filter filter portion 37. [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날개판(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55)의 외주면, 즉 선회류(F)에 노출되는 면에 유속이 복잡한 분포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1 여과 필터(55)로의 먼지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wing plate 83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It is possible to avoid adhesion of dust 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without generating a complicated distribution or vortex flow on the surface exposed 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집진실(52)내에 저항체(75)를 구비하므로, 집진실(52)내의 먼지의 축적효율을 높이고 보다 다량의 먼지가 덩어리로 뭉쳐 흩어지기 어려움에 의한 폐기 용이화, 청결화를 모도할 수 있다.Since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resistor 75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the efficiency of accumulating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can be enhanced and a larger amount of dust can be scattered and scattered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disposal and cleanliness due to difficulties.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35)의 내부에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여과 필터(55)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1)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in which the fibrous dust is hardly wound around the cylindrical first filter filter 55 inside the cylindrical container body 35, Can be provided.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2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이한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은, 제1 여과 필터부와 격리부가 각각 별개로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2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filter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separately rotat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와 흡입관(36)과,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와, 복귀 여과 필터부(39)와, 회전 지지부(141)와, 덮개벽(42)과, 토출관(43)과, 제2 여과 필터(4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8,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dus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7 includes a container body 35 and a suction pipe 36, a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 isolation portion 38, a return filtration filter portion 39, a rotation support portion 141 A lid wall 42, a discharge pipe 43, and a second filter 45. The lid 42,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측에 배치되는 축심 유지부(166)와, 축심 유지부(166)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는 축심부(167)와,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168)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169)을 구비한다.The rotation supporting portion 141 rotatably supports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and the separating portion 38 individually with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as a rotation axis.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41 includes an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166 disposed at the open end 47 side of the container body 35, a shaft portion 167 rotatably held with respect to the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166, A first bearing 168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closing end 48 of the container body 35) and a second bearing 168 provided abov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a second bearing 169 provided at an end (an end near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축심 유지부(1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상에 봉형상의 축심부(167)를 지지하는 보스이다. 축심 유지부(1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축심 유지부(166)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171)에 의해 덮개벽(42) 또는 토출관(43)에 고정된다.The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166 is a boss for supporting the rod-shaped axial portion 167 on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166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166 is fixed to the cover wall 42 or the discharge pipe 43 by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skeletal members 171.

복수의 뼈대부재(171)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keletal members 171 passes air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toward the discharge pipe 43.

축심부(167)는 축심 유지부(166)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관통하여 격리부(38)에 도달한다. 축심부(16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축심 유지부(166)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며, 축심부(16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격리부(38)에 고정된다.The shaft portion 167 protrudes from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to reach the isolating portion 38.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167 (the end near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is rotatably held by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167 (The end near the closing end 48 of the container main body 35) is fixed to the isolation portion 38. [

축심부(167)는 금속제이고, 제1 베어링(168) 및 제2 베어링(169)을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한다. The shaft portion 167 is made of metal and rotatably holds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rough the first bearing 168 and the second bearing 169.

또한, 축심부(167)는 C링(172)을 통하여 축심 유지부(166)에 회전 자유롭게 유지된다. C링(172)은 축심 유지부(166)의 미세 간극(173)에 끼워져 축심부(167)의 홈(175)에 끼워 넣어진다. C링(172)은 축심 유지부(166)로부터 축심부(167)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축심 유지부(166)에 대한 축심부(167)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Further, the shaft portion 167 is rotatably held by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through the C-ring 172. The C ring 172 is fitted in the fine gap 173 of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and is fitted into the groove 175 of the shaft portion 167. [ The C ring 172 prevents the shaft portion 167 from coming out from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and enables the rotation of the shaft portion 167 with respect to the shaft center holding portion 166. [

제1 베어링(168) 및 제2 베어링(169)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이다. The first bearing 168 and the second bearing 169 are sliding bearings impregnated with lubricating oil and are so-called oilless bearings or ball bearings that exhibit self-lubricating properties.

제1 여과 필터부(37)는 제1 베어링(168)을 유지하는 제1 베어링 유지부(176)와, 제2 베어링(169)을 유지하는 제2 베어링 유지부(177)를 구비한다. 제1 베어링 유지부(176) 및 제2 베어링 유지부(1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일체 성형되어 슬리브 형상을 이룬다.The first filtering filter section 37 includes a first bearing holding section 176 for holding the first bearing 168 and a second bearing holding section 177 for holding the second bearing 169. The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176 and the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177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to form a sleeve shape.

제1 베어링 유지부(176)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를 막는 저벽(37a)에 설치된다.The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176 is provided at the bottom wall 37a that blocks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closing end 48 of the container body 35).

제2 베어링 유지부(1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The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177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end near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37 as shown in Fig.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 지지부(1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 즉 선회류(F)를 받아 회전된다. 선회류(F)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과정이나, 제1 여과 필터 (55)를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is rotated by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141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flow of the air circulat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51, The swirl flow F flows in the process of flow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or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And imparts a rotational force to the filter portion 37. [

격리부(38)는 축심부(16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축심부(167)와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The isolation portion 38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167 (the end near the closing end 48 of the container body 35) and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shaft portion 167 have.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과 토출관(43)을 연통시킨다.The cover wall 42 closes the open end 47 of the container body 35. The lid wall 42 has an opening 42a which is substantially concentric with the container body 35. [ The opening (42a) communicates the discharge space (43) with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의 인접 부분에는 먼지의 침입을 막는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179)가 설치된다.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179)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의 주면(主面)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으로 접촉된다. A stepped fitting portion 179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and the isolating portion 38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stepped fitting portion 179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rame member 57 of the first filtering filter portion 37 with a slight for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edge of the separating portion 38 and the main surface.

즉, 격리부(38)는 선회류(F)에 의해서도 회전하는 한편, 제1 여과 필터부(37)에 접촉되어 제1 여과 필터부(37)로부터도 회전력을 얻는다.That is, the isolator 38 is rotated by the swirling flow F, and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o obtain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s well.

다시 말하면,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종속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의 주면과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이라는 것은, 선회류(F)에 의한 상호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이다.In other words, the isolation portion 38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also rotates depending o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The minute force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edge of the frame member 57 of the first filter portion 37 and the main surface of the isolation portion 38 means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reciprocal flow F It is not enough power.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여기에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제1 여과 필터(55)를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고,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제1 여과 필터(55)의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지 않고, 통과 부분을 전체 둘레에 걸쳐 넓게 분산시키므로, 분리실(51)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Here,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filtration filter 55 is rotated by the swirling flow F, and a part of the swirling flow 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particularly the fiber dust, that rotates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from being wound o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because the passage portion is sprea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함께 격리부(38)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선회류(F)에 추가하여 격리부(38)에서도 집진실(52)내의 먼지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52) 내의 먼지 분포밀도의 균질화를 도모하고 먼지의 편중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otates the isolation portion 38 together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so that the isolation portion 38 is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It is possible to homogenize the dust distribution density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and to eliminate the bias of the dust, so that more dust can be accumulated.

그런데, 집진실(52) 내의 먼지축적량이 증가하면,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 사이에 다량의 먼지가 개재되고, 이 먼지가 격리부(38)의 회전을 방해한다. 또한, 집진실(52) 내의 먼지축적량이 소량이어도, 비교적 큰 먼지를 흡입하여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 사이에 큰 먼지가 끼어 격리부(38)의 회전이 방해받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When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n the dust chamber 52 increases, a large amount of dust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35 and the isolation portion 38, and this dust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isolation portion 38. Even if the dust accumulation amount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52 is small, there may be a case where large dust is caught between the container main body 35 and the isolation portion 38 by suctioning a relatively large dust and the rotation of the isolation portion 38 is interrupted .

그래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가령 격리부(38)의 회전이 방해받아 정지되었다고 해도, 제1 여과 필터부(37)측의 회전을 유지함으로써, 분리실(51)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Thus, in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ven if the rotation of the isolation portion 38 is interrupt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isolation portion 38, And particularly the fibrous dust fi in the separation chamber 51 is prevented from being wound o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unit 37 by maintain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unit 37 side.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회전 자유로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구비하므로, 분리실(51) 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먼지의 축적량이 증가하는 등의 원인으로 격리부(38)의 회전이 정지되어도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을 유지함으로써,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rotatable in the container body 35, so that dust, especially fibrous dust, To the first filter portion (37). Even if the rotation of the isolation portion 38 is stopped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accumulated dust or the like by rotating the first filtration filter portion 37 and the isolation portion 38 individually, So as to prevent the fibrous dust from being wound on the first filter portion 37. [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동일한 방향으로 격리부(38)를 회전시키므로, 격리부(38)를 회전시키는 개별적인,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 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otates the isolation portion 38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filter portion 37 so that an individual member such as an additional prime mov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o ensure reliability without requiring a measuring device or a control system for synchronizing the flow rate of the swirling flow F with the flow rate of the swirling flow F.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캐니스터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 등의 것이어도 좋다.The electric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canister type, and may be an upright type, a stick type or a handy type.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se embodiments are presented as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new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thei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전기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6: 주행바퀴 7: 먼지분리 집진장치
8: 전동송풍기 9: 본체 제어부
11: 전원코드 12: 본체 접속구
14: 삽입 플러그 19: 접속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손잡이부 24: 조작부
24a: 정지 스위치 24b: 기동 스위치
25: 연장관 26: 흡입구체
28: 흡입구 29: 회전청소체
31: 전동기 35: 용기 본체
35a: 측벽 36: 흡입관
37: 제1 여과 필터부 37a: 저벽
38: 격리부 39: 복귀 여과 필터부
41, 141: 회전 지지부 42: 덮개벽
42a: 개구 43: 토출관
45: 제2 여과 필터부 47: 개방단
48: 폐색단 51: 분리실
52: 집진실 53: 보형틀
55: 제1 여과 필터 56, 57: 틀부재
58: 개구 59, 61, 62: 간극
63: 측벽 65: 제1 축심 유지부
66: 제2 축심 유지부 67, 167: 축심부
68, 168: 제1 베어링 69, 169: 제2 베어링
71, 171: 뼈대부재 72: 제1 축심 절반부
73: 제2 축심 절반부 75: 저항체
76, 176: 제1 베어링 유지부 77, 177: 제2 베어링 유지부
78: 뼈대부재 79, 179: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
81: 시일부 82: 배기 풍로
83: 날개판 101: 용기 본체
102: 제1 여과 필터부 103: 격리부
104: 전기청소기 105: 먼지분리 집진장치
106: 여과 필터
1: electric cleaner 2: cleaner body
3: tube 5: body case
6: Driving wheel 7: Dust separation dust collector
8: electric blower 9: main body control section
11: Power cord 12: Main body connection port
14: insertion plug 19: connecting pipe
21: dust collecting hose 22: handle operating pipe
23: Handle portion 24: Operation portion
24a: Stop switch 24b: Start switch
25: extension tube 26: suction sphere
28: suction port 29: rotary cleaning body
31: electric motor 35: container body
35a: side wall 36: suction pipe
37: first filter portion 37a: bottom wall
38: isolation part 39: return filter part
41, 141: rotation supporting part 42: cover wall
42a: opening 43: discharge pipe
45: second filtration filter unit 47: open end
48: obstruction end 51: separation chamber
52: House Truth 53: Bean Frame
55: first filter 56, 57: frame member
58: openings 59, 61, 62: clearance
63: side wall 65: first axial center holding portion
66: second axis holding portion 67, 167:
68, 168: first bearing 69, 169: second bearing
71, 171: Skeleton member 72: First axis center half
73: second center half portion 75: resistor
76, 176: first bearing holding portion 77, 177: second bearing holding portion
78: Skeleton member 79, 179: Stepped fitting part
81: seal portion 82: exhaust air passage
83: wing plate 101: container body
102: first filtering filter unit 103:
104: Electric vacuum cleaner 105: Dust separation dust collector
106: Filtration filter

Claims (9)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인접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 filtration filter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orter cylindrical shape than the contain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forms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An isolation part forming a dust collecting chamb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ltration filter part and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an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part so as to be adjacent to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paration chamber,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s a rotation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부는 상기 분리실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아 회전하는 전기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ion filter unit is rotated by receiving a flow of air circulat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부에는 상기 분리실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는 날개판을 설치한 전기청소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ltering filter unit is provided with a blade for receiving a flow of air circulating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필터부는 상기 날개판이 설치된 보형틀과, 상기 보형틀에 설치되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ration filter unit includes a bobbin provided with the wing plate, and a filtration filter provided on the bobbi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상기 여과 필터부의 내주측에 설치되는 전기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ng plate is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실로부터 상기 집진실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저항체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sistor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and generating a swirling flow by interfering with a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from the separation chamber.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 및 상기 격리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A cylindrical container body,
A filtration filter portion which is formed in a shorter cylindrical shape than the container body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forms an annular separation chamber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An isolation part forming a dust collecting chamber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ltration filter part and which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body and which is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ltration filter part and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chamber next to each other,
And a rotation support por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filtration filter portion and the separation portion separately with the center line of the container body as a rotation axi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여과 필터부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전기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parator is rotated depending on the filtration filter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여과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여과 필터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전기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solation part obtain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iltration filter part by contact with the filtration filter part.
KR1020130163726A 2013-03-14 2013-12-26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5349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2326A JP2014176501A (en) 2013-03-14 2013-03-14 Vacuum cleaner
JPJP-P-2013-052326 2013-03-14
JP2013052325A JP6494900B2 (en) 2013-03-14 2013-03-14 Electric vacuum cleaner
JPJP-P-2013-052325 201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08A true KR20140113308A (en) 2014-09-24
KR101534981B1 KR101534981B1 (en) 2015-07-07

Family

ID=5149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726A KR101534981B1 (en) 2013-03-14 2013-12-26 Electric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4981B1 (en)
CN (1) CN104042166B (en)
TW (1) TWI584773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82B1 (en)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Electric vacuum cleaner
US9980619B2 (en) 2015-03-2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0537220B2 (en) 2016-12-13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5384A (en) * 2015-03-10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101671116B1 (en) 2015-07-09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nd water cleaning devce
KR102516499B1 (en) 2015-12-30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201706357D0 (en) * 2017-04-21 2017-06-07 Grey Tech Ltd Bagge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14B1 (en) * 2002-05-1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type dust collect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485708B1 (en) * 2003-02-2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539762B1 (en) * 2004-03-0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ter clea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60024147A (en) * 2004-09-13 2006-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KR100617093B1 (en) * 2005-03-2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cleaner
CN2889142Y (en) * 2005-12-05 2007-04-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Dust collection device of dust collector
CN101675871A (en) * 2008-09-16 2010-03-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Dust collector dust collecting bucket
CN101744576A (en) * 2008-12-19 2010-06-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Compression plate connecting structure of dust-connecting bucket component
CN201609332U (en) * 2009-11-20 2010-10-20 宁波富佳实业有限公司 Cyclone separation dust cup of dust collector
KR101399752B1 (en) * 2010-02-26 2014-05-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Dust collecting devic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534982B1 (en)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Electric vacuum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82B1 (en)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Electric vacuum cleaner
US9980619B2 (en) 2015-03-2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0729298B2 (en) 2015-03-27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ing device
US10537220B2 (en) 2016-12-13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42166B (en) 2017-04-12
CN104042166A (en) 2014-09-17
KR101534981B1 (en) 2015-07-07
TWI584773B (en) 2017-06-01
TW201434428A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81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10827890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124512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20180325339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534982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RU2504324C1 (en) Electric vacuum cleaner
RU2526008C2 (en) Dust-capture devic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379054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CN108968804A (en) Automatically cleaning vacuum cleaner
JP5487041B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JP2011177294A (en) Dust separating/collecting container and vacuum cleaner
JP649490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18905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45353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4176501A (en) Vacuum cleaner
JP5666849B2 (en) Dus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JP2016002135A (en) Vacuum cleaner
CN111417332B (en) Air cleaning appliance comprising a disc stack separator
JP2014176502A (en) Vacuum cleaner
JP5077371B2 (en) Cyclone separation device and vacuum cleaner
KR20180034481A (en) Dust separato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