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267A -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267A
KR20140113267A KR1020130104472A KR20130104472A KR20140113267A KR 20140113267 A KR20140113267 A KR 20140113267A KR 1020130104472 A KR1020130104472 A KR 1020130104472A KR 20130104472 A KR20130104472 A KR 20130104472A KR 20140113267 A KR20140113267 A KR 20140113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battery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화
김희욱
성재석
최성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99,718 priority Critical patent/US9502910B2/en
Priority to EP14275046.2A priority patent/EP2784904B1/en
Priority to JP2014049388A priority patent/JP2014183737A/ja
Priority to CN201410093575.2A priority patent/CN104052099B/zh
Publication of KR2014011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별로 전원을 충전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또는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에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셀에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장치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장치를 말한다.
전기·전자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장치를 가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원인 전원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며, 상기 전원의 공급은 장치가 스스로 자체 발전하여 조달하지 않는 한 외부로부터 공급받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원 공급 설비로부터 상기 전기·전자장치로 전원을 전달해 주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battery)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선 방식의 전원 공급 장치가 주로 사용되거나,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분리형 랩탑 PC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대형 화면 등의 사용자 요구에 인해 많은 전력 소모가 문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와 같은 배터리의 대용량화에 의해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13-0054897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터리 셀별로 전원을 충전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유선으로 상기 충전부에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독립된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거나,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독립된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무선으로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사전에 설정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의 전원을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부의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전 코일; 및 상기 수전 코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수전 코일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의 송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에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부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각각 해당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전원이 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그룹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별로 전원을 충전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4 및 제5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장치(A)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 장치(B)를 구비한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등에 배터리 셀별로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 방식으로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장치(A)는 전원 공급부(110) 및 충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유선으로 충전부(120)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충전부(120)는 복수의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은 각각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 각각은 전원 공급부(110)의 독립된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 각각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의 급속 충전 중에도 해당 기기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방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부(130)는 배터리 장치(B)에 채용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은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130)는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 그룹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 그룹은 각각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배터리 셀(BC11)과 제1-2 배터리 셀(BC12)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제2-1 배터리 셀(BC21)과 제2-2 배터리 셀(BC22)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 들은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셀 그룹은 적어도 두 그룹이 도시되었으나,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 셀 그룹의 배터리 셀 또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이 도시되었으나,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하나의 배터리 셀 그룹에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는 각각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이 일대일 대응될 수 있으며, 충전 유닛(121-1,121-2,122-1,122-2)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해당 배터리 셀의 허용 최대 전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가 1A일 경우,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에 하나의 충전 유닛이 전원을 충전하게 되면 복수의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의 총합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갖는 전원을 충전시켜야 되나, 이는 충전 유닛에 발생될 수 있는 발열 및 회로의 크기 및 고가의 소자 채용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충전 유닛에서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에 충전시키는 전원의 전류값을 낮추면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에 전원이 충전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복수의 충전 유닛을 구비하여,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정상상태 또는 급속 충전일 경우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로 유지시키고,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전원이 만충에 가까워 지면,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시 충전 유닛에 발생되는 발열, 회로 크기 및 고가의 소자 채용을 해소하면서도 배터리 셀에 전원을 급속 충전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장치(A)는 전원 공급부(210,310)에서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10,310)는 사전에 설정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변환부(211,311) 및 전원 변환부(211,311)로부터의 전원을 무선 전송하는 송전 코일(P1,P11,P12,P21,P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하나의 송전 코일(P1)을 구비할 수도 있고, 전원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송전 코일(P11,P12,P21,P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송전 코일(P11,P12,P21,P22)의 개수는 수전 코일(S11,S12,S21,S22)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충전부(220,320)는 복수의 충전 유닛(221-1,221-2,222-1,222-2,321-1,321-2,322-1,322-2)를 배터리부(230,330)의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 일대일 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221-1,221-2,222-1,222-2,321-1,321-2,322-1,322-2)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해, 수전 코일(S11,S12,S21,S22) 및 충전 제어부(L11,L12,L21,L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 코일(S11,S12,S21,S22)는 전원 공급부(210,310)의 송전 코일(P1,P11,P12,P21,P22)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과 같이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충전 제어부(L11,L12,L21,L22)는 수전 코일(S11,S12,S21,S22)로부터의 전원을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21,BC22)에 충전시키며,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정상상태 또는 급속 충전일 경우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로 유지시키고,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전원이 만충에 가까워 지면,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1 충전 제어부(L11), 제1-2 충전 제어부(L12), 제1-3 충전 제어부(L13), 제2-1 충전 제어부(L21), 제2-2 충전 제어부(L22) 및 제2-3 충전 제어부(L23)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정상상태 또는 급속 충전일 경우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로 유지시키고,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전원이 만충에 가까워 지면,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활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는 6개의 배터리 셀(BC11~BC23)이 채용되며, 6개의 배터리 셀(BC11~BC23)은 3개의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이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 셀 그룹을 형성하고, 2개의 배터리 셀 그룹(BC11,BC12,BC13),(BC21,BC22,BC23)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등에 채용될 수 있으나 그 각각의 상세한 도면은 생략한다.)
더하여,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받을 경우 6개의 배터리 셀(BC11~BC23)에 각각 대응되는 6개의 수전 코일(S11~S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6개의 수전 코일(S11~S23)은 충전 장치(A)의 송전 코일(P1)로부터 전원을 무선 전송받을 수 있다.
반면에, 충전 장치(A)는 6개의 수전 코일(S11~S23)에 대응되는 6개의 송전 코일(P11,P12,P13,P21,P22,P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랩탑 PC에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6개의 배터리 셀이 채용되며, 6개의 배터리 셀은 3개의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배터리 셀 그룹을 형성하고, 2개의 배터리 셀 그룹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는 일 예로 2개의 배터리 셀 그룹으로 구성된 6개의 배터리 셀을 도시하였으나,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고, 더하여 복수의 배터리 셀 그룹이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셀 그룹 각각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의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는 각각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배터리 셀(BC11,BC21)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배터리 셀(BC11,BC21)에 전원을 각각 충전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배터리 셀(BC11,BC21)에 하나의 배터리 셀에는 유선으로 충전하고, 다른 하나의 배터리 셀에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a 및 도 6b의 혼합 형태로,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배터리 셀(BC11,BC21)에 각각 유선 및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하여 보다 빠른 급속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의 제4 및 제5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의 제4 실시형태는 충전부(520)는 복수의 충전 유닛(521-1,521-2,521-3,522-1,522-2,5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521-1,521-2,521-3,522-1,522-2,522-3)은 외부로부터 유선으로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유닛(521-1,521-2,521-3,522-1,522-2,522-3)는 배터리부(530)의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 각각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521-1,521-2,521-3,522-1,522-2,522-3)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유닛(521-1,521-2,521-3,522-1,522-2,522-3) 각각은 충전 제어부(L11,L12,L13,L21,L22,L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1 충전 제어부(L11), 제1-2 충전 제어부(L12), 제1-3 충전 제어부(L13), 제2-1 충전 제어부(L21), 제2-2 충전 제어부(22) 및 제2-3 충전 제어부(L23)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정상상태 또는 급속 충전일 경우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로 유지시키고,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전원이 만충에 가까워 지면,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장치(B)의 제5 실시형태는 충전부(620)는 복수의 충전 유닛(621-1,621-2,621-3,622-1,622-2,6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621-1,621-2,621-3,622-1,622-2,622-3)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받을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유닛(621-1,621-2,621-3,622-1,622-2,622-3)는 배터리부(630)의 복수의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 각각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으며, 복수의 충전 유닛(621-1,621-2,621-3,622-1,622-2,622-3)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충전 유닛(621-1,621-2,621-3,622-1,622-2,622-3) 각각은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전송받을 수 있는 수전 코일(S11,S12,S13,S21,S22,S23)과 수전 코일(S11,S12,S13,S21,S22,S23)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충전시키고, 충전시 전류값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L11,L12,L13,L21,L22,L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1 충전 제어부(L11), 제1-2 충전 제어부(L12), 제1-3 충전 제어부(L13), 제2-1 충전 제어부(L21), 제2-2 충전 제어부(L22) 및 제2-3 충전 제어부(L23)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BC11,BC12,BC13,BC21,BC22,BC23)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정상상태 또는 급속 충전일 경우 배터리 셀의 최대 허용 전류로 유지시키고,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전원이 만충에 가까워 지면,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이 최대 허용 전류 이하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별로 전원을 충전하여 충전 유닛에 발생되는 발열, 회로 크기 및 고가의 소자 채용을 해소하면서도 배터리에 최대 전류로 전원을 급속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10,210,310: 전원 공급부
120,220,320,420,520,620: 충전부
130,230,330,430,530,630: 배터리부

Claims (15)

  1.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유선으로 상기 충전부에 전원으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독립된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전달받는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절연된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무선으로 상기 충전부에 전원을 전송하는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사전에 설정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의 전원을 무선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전 코일
    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전 코일; 및
    상기 수전 코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 유닛의 수전 코일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의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9. 서로 병렬 연결된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부; 및
    상기 적어도 둘의 배터리 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을 가지며, 사전에 설정된 방식으로 전달받은 전원을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에 충전시키는 충전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유선으로 전원을 전달받는 배터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독립된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전달받는 배터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서로 절연된 배터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무선으로 전원을 수신하는 배터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적어도 둘의 충전 유닛 각각은
    무선 전송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전 코일; 및
    상기 수전 코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원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는
    서로 직렬 연결되어 각각 해당하는 충전 유닛으로부터 전원이 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그룹은 서로 병렬 연결된 배터리 장치.
KR1020130104472A 2013-03-15 2013-08-30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 KR20140113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99,718 US9502910B2 (en) 2013-03-15 2014-03-06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EP14275046.2A EP2784904B1 (en) 2013-03-15 2014-03-07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JP2014049388A JP2014183737A (ja) 2013-03-15 2014-03-12 充電装置及びバッテリー装置
CN201410093575.2A CN104052099B (zh) 2013-03-15 2014-03-13 充电设备和电池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9319P 2013-03-15 2013-03-15
US61/799,319 2013-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267A true KR20140113267A (ko) 2014-09-24

Family

ID=5175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472A KR20140113267A (ko) 2013-03-15 2013-08-30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2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904B1 (en)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EP2908404B1 (en) Non-contact power supply apparatus,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CN104348216B (zh) 配备有辅助电源的无线充电器以及辅助电力设备
US201703735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075352B1 (ko) 배터리 다직렬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CN203840064U (zh) 无线供电系统
US9450439B2 (en) Secondary batte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y
WO2012086825A1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104184218A (zh) 无线电力发射器及其无线电力传送方法
JP2013146183A (ja) 近距離の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方法
CN104810880A (zh) 消耗由电池所提供的能量的系统、方法及电池
US9634525B2 (en) 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KR20140029876A (ko) 밸런싱 장치, 밸런싱 방법 및 배터리 모듈
KR102366739B1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배터리 제어 방법
US1098556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lectric energy production and storage
US20140176064A1 (en) System
CN102856947B (zh) 无接点和接点兼用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151812A (zh) 一种无线充电移动电源
CN104578349A (zh) 无线充电装置及无线充电系统
KR20140113267A (ko)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장치
CN104901358A (zh) 一种供电电路、供电方法及终端
KR100777421B1 (ko) 용량결합방식의 비접촉식 충전시스템
KR20140028393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Sahay et al. Development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ith internet of things
US20150130410A1 (en) Battery packa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