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168A -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168A
KR20140112168A KR1020130026501A KR20130026501A KR20140112168A KR 20140112168 A KR20140112168 A KR 20140112168A KR 1020130026501 A KR1020130026501 A KR 1020130026501A KR 20130026501 A KR20130026501 A KR 20130026501A KR 20140112168 A KR20140112168 A KR 2014011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tient
chest
rotation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9742B1 (en
Inventor
선동윤
Original Assignee
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동윤 filed Critical 선동윤
Priority to KR102013002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42B1/en
Publication of KR2014011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A pectus carinatum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frame installed on the body of a patient; and a pressing unit including a fixed block combined to be fixed on the body frame, and a rotating block combined with the side of the fixed block facing the chest of the patient in a rotatable structure,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getting close or far from the chest of the patient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When the pectus carinatum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pressure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a patient can be simply controlled without tightening or loosening the body frame surrounding the body of the patient, and the pressure force is not easily removed in a controlled state to increase the pressure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to have an advantage of having a stable correction effect.

Description

새가슴 교정기{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흉골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흉벽 기형인 새가슴(Pigeon breast) 환자의 흉부를 가압하기 위한 새가슴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 스스로가 압박 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가슴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ctoral calibrator for pressurizing a chest of a pigeon breast patient having a chest wall deformed to protrude forw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ctoral calibrator configured to allow the patient to easily adjust the pressing force will be.

새가슴이란 가슴의 흉골이 과도하게 돌출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새가슴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활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종종 외형상의 문제로 인해 대인 기피증 등이 나타나는 환자가 있으며, 이로 인해 고통을 받고 정신과적인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부 환자들에게는 호흡곤란이나 부정맥 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통계적으로 보면, 외국에는 4000명 내지 5000명중에 1명 꼴로 이러한 환자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Breastfeeding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ternum of the chest is excessively protruded. Most people with a breast have no problem in living, but there are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gangrene due to external problems. There is a case that you receive treatment. In addition, some patients may have difficulty breathing or arrhythmia. Statistically, in about 4,000 to 5,000 foreign patients are known to have such patients.

지금까지는 이러한 일부 환자들에 대해서 전신마취 하에 가슴을 절개하고 돌출된 가슴뼈를 제거하는 수술이 유일한 치료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적 교정술은 흉터가 남게 되고 장기간의 입원기간 및 합병증 발생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술시 금속물을 삽입하였다가 1년이 지난 후에 다시 금속물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을 받아야 하며, 그 경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Until now, the only treatment for some of these patients was to open the chest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remove the protruding chest bone. However, such surgical correction has a problem that scar is left and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s are hig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condary operation to remove metal water again after one year after inserting metal water during surgery, and the cost is also increa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새가슴을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흉추 교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흉추 교정장치는 환자의 가슴 부위를 압박하여 흉부 돌출 높이를 낮추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장착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환자의 가슴 부위를 압박하는 압박강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감으로써 환자의 흉부 돌출 높이를 점진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흉추 교정장치는, 환자의 몸통을 두르는 바디프레임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환자의 흉부를 가압하는 쿠션부가 나사결합 구조로 바디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환자의 흉부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apparatuses for calibrating a breast have been proposed in a non-surgical manner. Generally, the thoracic corr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lower the height of the chest protrusion by pressing the chest area of the patient, and gradually increases the compressive strength that presses the patient's chest area with the lapse of the fitting period, To be gradually lowered. In general, the conventional thoracic correction apparatus is configured to tighten and loosen the body frame covering the patient's body, or the cushion unit for pressing the patient's chest is mounted on the body frame in a screwed structure and is close to the patient's chest Or away from each other.

이때, 환자가 누워있는 경우에는 흉골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서있는 경우에 비해 흉부에 가해지는 압박력이 현저히 감소되어 새가슴 교정효과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취침 시와 같이 장시간동안 환자가 누워있는 경우, 흉추 교정장치의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잠자리에 누운 상태에서 환자 스스로가 바디프레임을 조이거나 쿠션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흉부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환자 스스로가 벨트를 조이고 푸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나사결합 구조로 장착되는 쿠션부를 회전시켜 상기 쿠션부를 환자의 흉부에 압착시킬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쿠션부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초기 위치로 쉽게 되돌아 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ternum is lowered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chest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atient is standing,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chest. In particular,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t bed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 of the thoracic correction apparatus is hardly observed. Of course, when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the patient can keep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chest over a certain level by tightening the body frame 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but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tighten and loosen the belt himself, The cushion part may be rotated to rotate the cushion part to be pressed against the patient's chest, but in this case, the cushion part can be easi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rotating the cushion part in the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환자의 몸통을 두르는 바디프레임을 조이거나 풀지 아니하고서도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이 증가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력이 쉽게 해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새가슴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a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a chest of a patient without tightening or loosening a body frame, So that the pushing force can not be released easi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는, 환자의 몸통에 장착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중 환자의 흉부를 향하는 측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회전 각도에 따라 환자의 흉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블록을 구비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nty brace comprising: a body frame mounted on a body of a patient; And a rotating block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ide of the patient's chest and which is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patient's ches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 ≪ / RTI >

상기 고정블록은, 환자의 흉부를 향해 돌출되되 돌출높이가 상이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록은 일측면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회전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을 타고 슬라이딩된다.The fixed block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hest of the patient, the protruding portion having a different protruding height, and the rotating block is mounted such that a part of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is slid on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during rota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its tip is inclined so that the projecting height gradually change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는 인입부를 구비한다.The rotary block has a lead-in portion into which the projecting portion is led.

상기 인입부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블록 회전 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리벳을 더 포함한다.And a slide groove having a length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block is formed in the inlet portion, a slide rivet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slide groove and sliding along the slide groove during rotation of the rotary block .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a circular arc having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lock as a rotation center.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둘 이상 형성된다.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wo or more shapes so as to form a radial shape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ry block.

상기 고정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한다.And elastic mean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block in a direction toward the fixed block.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체결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체결샤프트 중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한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된다.And a coupling shaft mounted to penetrate through the rotary block and the fixed block along the rotary shaft of the rotary block, wherein the elastic means is a coil spring mount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oupl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rotary block do.

상기 회전블록의 타측에 결합되어 환자의 흉부에 압착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바디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제1 고정블록과 제2 고정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은, 환자의 흉부와 등판에 각각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과 버클을 포함한다.And a cushion par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lock and pressed on the chest of the patient, wherein the fixed block is composed of a first fixed block and a second fixed block, which are coupled in a laminated structure with the body frame therebetween, The body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are respectively seated on a chest and a back plate of a patient, a strap that connect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djust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를 이용하면, 환자의 몸통을 두르는 바디프레임을 조이거나 풀지 아니하고서도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이 증가되도록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압박력이 쉽게 해제되지 아니하므로 안정적인 교정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ith the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without tightening or loosening the body frame covering the body of the patien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is increased Since the pressing force is not easily released, a stable calibration effec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에 포함되는 가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가압유닛의 후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회전블록이 회전된 가압유닛의 후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ncreatectomy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ectoral cal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ectoral cal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izing unit included in a pancreatectom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ressurizing unit.
8 to 10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unit in which the rotating block is rotated.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ancreatectom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는 환자의 흉부를 가압하여 돌출된 가슴뼈를 교정하기 위한 의료기기의 일종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몸통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바디프레임(100)과, 상기 바디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환자의 흉부를 가압하는 가압유닛(200)과, 상기 바디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환자의 등판을 지지하는 등판지지부(300)와,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어깨끈(미도시)이 연결되는 어깨끈 고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판지지부(300)는 착용감 향상을 위해 스펀지나 패드 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어깨끈 고리(400)는 환자의 좌측어깨와 우측어깨에 어깨끈이 걸쳐질 수 있도록 바디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등판지지부(300)와 어깨끈은 종래에 제시되었던 흉추 교정장치에도 유사하게 제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ype of medical device for calibrating a protruded chest bone by pressing a chest of a patient, and includes a body frame 100 mounted to surround a patient's body as shown in FIGS. 1 to 4, A pressing unit 200 coupled to the body frame 100 to press the chest of the patient, a back plate support 300 coupled to the body frame 100 to support the back plate of the patient, And a shoulder strap ring 400 to which a shoulder strap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strap 100 from flowing down is connected. Preferably, the shoulder strap ring 4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a sponge or a pad to improve the comfort of the shoulder strap 400. The shoulder strap ring 400 includes a shoulder strap 400, It is preferable that two frame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100, respectively. The backrest supporting part 300 and the shoulder strap are similarly shown in the conventional thoracic orthosi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바디프레임(100)은 환자의 몸통 크기나 요구되는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프레임(100)은, 환자의 흉부와 등판에 각각 안착되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과,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연결하되 상기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130)과 버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랩(130)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2 프레임(12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버클(140)은 제1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바, 환자는 버클(140)을 관통한 스트랩(130)을 잡아당김으로써 바디프레임(100)을 조일 수 있고, 버클(140)을 해제하고 스트랩(130)을 뒤로 밀어냄으로써 바디프레임(100)을 느슨하게 풀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트랩(130)과 버클(140)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frame 100 can be adjusted in its overall leng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tient's body or the required pressing force. That is, the body frame 100 includes a first frame 110 and a second frame 120, which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chest and back plate of the patient, and a second frame 120 connecting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nd a strap 130 and a buckle 14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he strap 130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20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uckle 140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0. The strap 130 passes through the buckle 140 The body frame 100 can be loosened by pulling on the strap 130 by releasing the buckle 140 and pushing the strap 130 back. The strap 130 and the buckle 14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gap betwee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는 스트랩(130)을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만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흉부에 접촉되어 가압하는 가압유닛(200)의 전체 두께를 가변시키는 방법으로도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가압유닛(200)은, 바디프레임(100)(더 명확하게는 환자의 흉부를 감싸는 제1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블록(210)과, 상기 고정블록(210) 중 환자의 흉부를 향하는 측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회전 각도에 따라 환자의 흉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블록(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djust the magnitude of the urging force exerted on the chest by only tightening or loosening the strap 130, but can adjus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ushing unit 200, The size of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chest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chest. That is, the pressing unit 200 includes a fixing block 210 fixedly coupled to the body frame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110 surrounding the patient's chest) And a rotation block 220 coupled to the patient's chest in a rotatable manner and moving toward or away from the patient's ches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이와 같이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킴에 따라 환자의 흉부를 가압하는 가압유닛(200)의 전체 두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면, 환자는 자신의 흉부에 좀 더 큰 압박력이 인가되기를 원하는 경우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킴으로써 자신의 흉부에 더 큰 압박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스트랩(130)을 좀 더 당김으로써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가압유닛(200)이 환자의 흉부 가운데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좌우측 스트랩(130)을 동일한 길이만큼 당겨야하므로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이 너무 지나치게 크게 설정된 경우에는 버클(140)을 해제시켜 스트랩(130)을 풀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트랩(130)에는 인장력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버클(140)을 해제하는 즉시 스트랩(130)이 순간적으로 버클(140)로부터 빠져나가 바디프레임(100)이 환자의 몸통에서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I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essure unit 200 for pressing the chest of the patient is changed by rotating the rotary block 220 as described above, if the patient wishes to apply a larger compression force to his or her chest, 220 may be rotated to apply a greater urging force to the chest of the user. Of course,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chest can be increased by pulling the strap 130 a little further. However,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straps 130 may have the same length So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buckle 140 is released and the strap 130 is loosened. In this case, since the strap 130 is in a state of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buckle 140, The strap 130 may be instantaneously removed from the buckle 140 and the body frame 100 may be detached from the body of the patient.

특히, 환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해 자리에 눕는 경우에는 환자의 몸통 두께(환자의 등판부터 흉부까지의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가압유닛(200)이 환자의 흉부를 정상적으로 압박하지 못하게 되는바, 환자는 잠자리에 들 때 자신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기상을 했을 때에는 자신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켜야 한다. 즉, 새가슴 교정을 위한 환자는 자신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작업을 하루에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스트랩(130)과 버클(140)을 조작하는 방법으로는 압박력을 정확하게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과 요령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를 이용하면, 단순히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압박력 조절이 매우 용이하고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when the patient lays down to take a sleep, the thickness of the patient's body (the distance from the back plate to the chest) is reduced so that the pressurizing unit 200 can not normally compress the chest of the patien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hest should be increased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hest sh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the patient for the fresh breast correction needs to repeat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his or her chest several times a day. As a method of operating the strap 130 and the buckle 140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and skill is required for accurate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ze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hest can be adjusted by simply rotating the rotary block 220, the pressing force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한편, 상기 회전블록(220)은 일측이 고정블록(210)을 덮도록 결합되고 타측(환자의 흉부를 향하는 측)에 인입부(221) 및 탄성수단(224) 등이 구비되는바, 상기 회전블록(220)이 환자의 흉부에 직접 접촉되면 환자의 흉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록(220)의 타측에는 별도의 쿠션부(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230)는, 환자의 흉부를 향하는 측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되므로, 환자의 흉부에 압착되더라도 환자의 흉부에 상처를 주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230)가 강성이 큰 재료로 제작되면 환자의 흉부에 압착되었을 때 환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 쿠션부(230)는 환자의 흉부에 압착되는 측이 설정치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료 즉, 스펀지나 탄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rotation block 220 is coupled with one side to cover the fixed block 210 and has an inlet 221 and an elastic means 224 on the other side (the side facing the patient's chest) If the block 2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tient's chest, it may injure the patient's ches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cushion portion 2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lock 220. Since the cushion part 230 is formed as a smooth surface on the side of the patient's chest, even if it is squeezed on the patient's chest, the patient's chest is not scarred. Further, when the cushion part 2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he patient may feel pain when being pressed on the chest of the patient, so that the cushion part 230 has the elasticity of more than the set value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a sponge or an elastic resi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에 포함되는 가압유닛(2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가압유닛(200)의 후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ssurizing unit 200 included in a pancreatectom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ressurizing unit 200.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회전블록(220)은 외력에 의해 회전될 때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에 단순히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면, 고정블록(2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블록(220)에 외력이 인가될 때 인가되는 외력을 버티는 힘은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간의 마찰력에 국한되므로, 회전블록(220)으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간의 마찰력보다 큰 경우 상기 회전블록(220)은 회전되어 고정블록(210) 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2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환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박력의 크기가 변경되는바, 새가슴 교정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Even when the rotary block 220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210 in a screwed connection structure, the rotary block 220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when the rotary block 220 is simply coupled to the fixed block 210 in a screwed manner, the external force appli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ry block 220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fixed block 210, The rotation block 220 is rotated and pushed toward the fixed block 210 when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block 220 is larger tha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female screw thread and the male thread. If the rotation block 220 can not be maintained in the fixed state and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magnitude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patient's chest is changed, There arises a problem of falling.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블록(210)에는 돌출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220)은 상기 돌출부(213)의 끝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돌출부(213)는 환자의 흉부를 향해 돌출되되 돌출 높이가 회전블록(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바, 상기 회전블록(220)은 외력에 의해 회전될 때 돌출부(213)의 경사진 끝단을 타고 슬라이딩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의 돌출부(213) 끝단에 안착되는 구조는,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이 나사결합되는 구조에 비해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접촉 면적이 크게 증가되는바, 고정블록(2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블록(22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회전블록(220)이 쉽게 회전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회전블록(22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 되고, 이에 따라 새가슴 교정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A protrusion 213 is formed on the fixing block 210 and the rotation block 220 is seated on the end of the protrusion 213.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protrusion 213 protrudes toward the chest of the patient and is inclined such that the protrusion height gradually change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220. The rotation block 220 has a protrusion 2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block 220 is seat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213 of the fixed block 210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otary block 220 is fixed to the rotary block 220, The rotating block 220 is not easily rotat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ng block 220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fixed block 210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locks 210 is greatly increased. And thu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fresh breast is improved.

특히,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은 내구성을 위해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금속으로 제작된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은 상호 간의 마찰력이 작아 쉽게 회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장치와 같이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과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되면,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을 마찰력이 큰 재료로 제작하거나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이 상호 접촉되는 면에 마찰력이 큰 시트를 추가로 부착함으로써,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수단(215) 없이도 회전블록(22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female threads and male threads are usually made of metal for durability. The female threads and the male threads made of metal have a problem that their frictional force is small and can be easily rotated. However, if the rotating block 220 is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ationary block 2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lock 220 and the stationary block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Sin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ting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can be greatly increased by additionally attaching a sheet having a large frictional force to the surface where the movable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ix the rotation block 220 more stably.

이때, 상기 회전블록(220) 중 돌출부(213)와 접촉되는 면이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면 돌출부(213) 중 가장 많이 돌출된 끝단에만 접촉되므로,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키더라도 회전블록(220)이 돌출부(213)의 돌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록(220)은 돌출부(213)와 접촉되는 부위에 상기 돌출부(213)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 즉, 인입부(22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인입부(221)가 구비되면 회전블록(220)이 회전됨에 따라 돌출부(213)의 돌출방향(환자의 흉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전블록(220)이 최대한 고정블록(210)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에 면접촉을 이루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if the surface of the rotary block 2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13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s a whole, the protrusion 213 contacts only the most protruded end of the protrusion 213. Therefore, even if the rotary block 220 is rotated, 220 are not mov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13. Therefore, the rotation block 220 includes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213 can be inserted, that is, an inlet 221, at a portion contacting the protrusion 213. The rotation block 220 can be mov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213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patient's chest) Since the rotary block 22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tationary block 210 when the rotary block 220 is moved toward the stationary block 210, the stationary block 210 can be stably installed.

한편, 회전블록(220)이 회전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이나 돌출부(213)의 끝단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인입부(221)에는 상기 회전블록(220)의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3)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22)으로 인입되는 슬라이드리벳(21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리벳(214)은 일측이 돌출부(213)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홈(222)을 관통하여 슬라이드홈(222)의 외측단을 덮는 리벳머리와 결합되는바, 상기 회전블록(220)이 회전될 때 상기 슬라이드리벳(214)은 슬라이드홈(222)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리벳(214)이 구비되면 회전블록(220)의 인입부(221)가 고정블록(210)의 돌출부(213)를 타고 슬라이딩되는 경로가 일정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블록(220)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블록(220)의 기울어짐이나 흔들림도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rotation block 22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block 220 on which the rotation block 220 is mounted so that the rotation block 22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or is not tilted or swung to one side in a state of being seated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213. [ A slide groove 222 having a length in the rotating direction is formed and the protrusion 213 is further provided with a slide rivet 214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222. The slide rivet 214 is coupled to a rivet head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protrusion 213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slide groove 222 to cover an outer end of the slide groove 222, 220 are rotated, the slide rivets 214 slide along the slide grooves 222. When the slide rivet 214 is provided,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let 221 of the rotary block 220 slides along the protruding portion 213 of the fixed block 210 is fixed at a constant level, So that the rotation block 220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or swaying.

한편, 회전블록(220)이 회전될 때 돌출부(213)의 경사진 끝단을 타고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돌출부(213) 끝단의 경사각이 크면 고정블록(21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회전블록(220)이 쉽게 미끄러져 뒤로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13)는 끝단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최대한 길게 즉, 회전블록(220)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블록(210) 상에 돌출부(213)가 하나만 구비되면 상기 회전블록(220)은 돌출부(213)가 없는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213)는 회전블록(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end of the protrusion 213 is larg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220 may be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xed block 210, The block 220 can easily slip backwar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213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is as long as possible, that is,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c having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lock 220 as the rotation center, so that the tip inclination angle can be gently formed. Since the rotation block 220 can be inclined to the side where the protrusion 213 is not provided when the protrusion 213 is provided on the fixed block 210, Preferably, at least two are formed radially about the center.

회전블록(220)이 환자의 흉부를 향해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블록(210) 측으로 밀리지 아니하기 위해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어야 한다. 이때,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은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밀착력에 비례하므로, 상기 가압유닛(200)에는 고정블록(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블록(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22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수단(224)이 추가로 구비되면, 회전블록(220)을 회전시켜 환자의 흉부 측을 향해 이동시켰을 때 상기 회전블록(220)은 탄성수단(22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블록(210)에 밀착되므로,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은 증대되고, 이에 따라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 측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block 220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fixed block 210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block 220 is moved toward the patient's chest, a larg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tion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should b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is proportional to the adhesion between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so that the pressing unit 2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xed block 210 Elastic means 22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block 2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elastic block 224 is additionally provided, when the rotary block 220 is rotated and moved toward the chest side of the patient, the rotation block 22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ans 224,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is increased so that the rotary block 220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to the fixed block 210 side.

회전블록(220)이 고정블록(2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회전블록(220)의 회전축을 따라 고정블록(210)과 회전블록(22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체결샤프트가 요구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체결샤프트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탄성수단(224)은 체결샤프트 중 회전블록(220)을 관통한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224)이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되면, 회전블록(220)이 환자의 흉부를 향해 이동되었을 때 탄성수단(224)이 압축되어 회전블록(22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샤프트(223)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탄성수단(224)의 장착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order for the rotary block 220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lock 210, a fastening shaft is required which is mounted to pass through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along the rotary axis of the rotary block 220 When the fastening shaft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ans 224 is applied as a coil spring which is mount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astening shaft which passes through the rotary block 220. When the elastic means 224 is applied as a coil spring, the elastic means 224 can be compress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on block 220 when the rotation block 220 is moved toward the patient's che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elastic means 224 can be fixed constantly as long as the rotating shaft 223 is not broken.

한편 상기 고정블록(210)은 바디프레임(100)(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바디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제1 고정블록(211)과 제2 고정블록(21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블록(210)이 제1 고정블록(211)과 제2 고정블록(212)으로 구성되면, 제1 고정블록(211)과 제2 고정블록(212)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215)이 추가로 요구되지만,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fixed block 210 includes a first frame 110 coupled to the body frame 100 through a body frame 100 so as to be stably mounted on the body frame 100 (the first frame 110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block 211 and the second fixed block 212 are constituted. When the fixed block 210 is composed of the first fixed block 211 and the second fixed block 212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fix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fixed block 211 and the second fixed block 212 There is an advantage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도 8 내지 도 10은 회전블록(220)이 회전된 가압유닛(200)의 후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8 to 10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unit 200 in which the rotating block 220 is rotated.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블록(2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220)이 돌출부(213)의 경사진 끝단을 타고 올라가기 시작하여, 종국에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3) 중 가장 많이 돌출된 지점까지 위치하여 환자의 흉부와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회전부가 환자의 흉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돌출부(213)의 최대 돌출거리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돌출부(213)의 돌출 높이 및 경사도 등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rotary block 2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rotary block 220 starts to ride on the inclined end of the protrusion 213 as shown in FIG. 9, 8 and 10, it is located up to the point where the protrusion 213 is most protruded and becomes close to the patient's chest. At this time, since the distance by which the rotation unit can move toward the patient's ches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ximum protrusion distance of the protrusion 213, the protrusion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213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한편, 탄성수단(224)은 회전블록(220)이 돌출부(213)의 경사진 끝단을 타고 올라갈수록 점차적으로 압축되어,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블록(220)과 고정블록(210) 간의 마찰력이 증대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220)이 돌출부(213)의 중단에 걸쳐진 상태에서도 고정블록(210) 측으로 밀려 내려가지 아니하게 되므로, 환자는 회전블록(220)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블록(220)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특성에 맞게 압박력 조절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The elastic means 224 is gradually compressed as the rotary block 220 rides up the inclined end of the protrusion 213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do. I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tary block 220 and the fixed block 210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9, the rotary block 220 is not pushed down toward the fixed block 210 even when the rotary block 220 is interrupted by the protrusion 213 So that the patient can freely set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tation block 220. The ability to freely set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tary block 220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magnitude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can be freely adjusted.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ing force can be easily controlled.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의 사용상태도이다.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ancreatectom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환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쿠션부(230)를 환자의 흉부에 압착시켰다 하더라도, 환자가 바닥에 눕는 경우 흉골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230)와 환자의 몸통(10) 간에는 이격공간이 발생된다.Even if the cushion 230 is pressed against the patient's chest while the patient is standing, if the patient lies on the floor, the sternum will be lowered. Thus, the cushion 230 and the patient's body 10).

이와 같이 쿠션부(230)가 환자의 흉골에 압착되지 못하면 새가슴 교정 효과를 전혀 볼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를 재조정해야 하는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랩(130) 및 버클(140)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압박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조절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새가슴 교정기는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230)를 환자의 흉부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압박력 조절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블록(220)을 회전시키는 각도를 조절해 가면서 환자의 흉부에 인가되는 압박력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바,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If the cushion 230 is not squeezed on the patient's sternum,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pectoralectomy can not be observed at all. Therefore, the pectoral rect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strap 130 and the buckle 140 are adjusted It is difficult to finely control the pressing force and the control procedure is complicated. 12, the cushion 23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patient only by rotating the rotation block 22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ressing force of the pace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 addition, sinc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rotary block 220 can be adjusted, the magnitude of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chest of the patient can be finely adjust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바디프레임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130 : 스트랩
140 : 버클 200 : 가압유닛
210 : 고정블록 211 : 제1 고정블록
212 : 제2 고정블록 213 : 돌출부
214 : 슬라이드리벳 215 : 고정수단
220 : 회전블록 221 : 인입부
222 : 슬라이드홈 223 : 회전샤프트
224 : 탄성수단 230 : 쿠션부
300 : 등판지지부 400 : 어깨끈 고리
100: body frame 110: first frame
120: second frame 130: strap
140: buckle 200: pressure unit
210: fixed block 211: first fixed block
212: second fixing block 213:
214: Slide rivet 215: Securing means
220: rotation block 221:
222: slide groove 223: rotary shaft
224: Elastic means 230: Cushion part
300: backing support 400: shoulder strap ring

Claims (10)

환자의 몸통에 장착되는 바디프레임;
상기 바디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 중 환자의 흉부를 향하는 측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되 회전 각도에 따라 환자의 흉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블록을 구비하는 가압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A body frame mounted on a patient's body;
And a rotating block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side of the patient's chest and which is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patient's ches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
And a pacema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환자의 흉부를 향해 돌출되되 돌출높이가 상이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록은, 일측면 일부가 상기 돌출부의 끝단에 접촉되도록 장착되어 회전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block has a protrusion which protrudes toward the chest of the patient but has a different protrusion height,
Wherein the rotary block is mounted so that a part of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is slid on an end of the protrusion when rotat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its tip is inclined so that the projecting height gradually changes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돌출부가 인입되는 인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block includes a lead-in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에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블록 회전 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리벳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slide groove having a length in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block is formed in the inlet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lide rivet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sliding through the slide groove and sliding along the slide groove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호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along a direction of a circular arc having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lock as a rotation cen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wo or more shapes to form a radial shap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block.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블록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elastic means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rotating block in a direction toward the fixed bloc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축을 따라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체결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체결샤프트 중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한 부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shaft mounted to penetrate the fixed block and the rotary block along a rotation axis of the rotary block,
Wherein the elastic means is a coil spring that is mount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asten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rotation block.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의 타측에 결합되어 환자의 흉부에 압착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바디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제1 고정블록과 제2 고정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은, 환자의 흉부와 등판에 각각 안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과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가슴 교정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block and pressed against the chest of the patient,
Wherein the fixed block is composed of a first fixed block and a second fixed block which are coupled in a laminated structure with the body fram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ody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are respectively seated on a chest and a back plate of a patient, a strap that connect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can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buckle.
KR1020130026501A 2013-03-13 2013-03-13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KR101469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01A KR101469742B1 (en) 2013-03-13 2013-03-13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01A KR101469742B1 (en) 2013-03-13 2013-03-13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68A true KR20140112168A (en) 2014-09-23
KR101469742B1 KR101469742B1 (en) 2014-12-05

Family

ID=5175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01A KR101469742B1 (en) 2013-03-13 2013-03-13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671A (en) * 2018-08-13 2019-01-15 张力克 A kind of chronic apparatus for correcting of chest wall deformity and its antidote
CN110215328A (en) * 2019-06-10 2019-09-1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The bracket system postoperative for Breast Surgery
CN112006822A (en) * 2020-08-25 2020-12-01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Peripheral skin nursing auxiliary device of brea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7438A (en) * 1989-04-14 1991-03-05 Constance Crane Langmann Pressure applicator for thoracic wounds
JP5073445B2 (en) * 2006-10-20 2012-11-14 レルダル メディカル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Support for chest compression system
KR100892736B1 (en) * 2007-04-11 2009-04-15 주식회사 솔빛메디칼 A Styptic Band
KR101081150B1 (en) * 2008-11-07 2011-11-07 이성수 Orthotic compression brace for pegeon ches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9671A (en) * 2018-08-13 2019-01-15 张力克 A kind of chronic apparatus for correcting of chest wall deformity and its antidote
CN110215328A (en) * 2019-06-10 2019-09-1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The bracket system postoperative for Breast Surgery
CN113288546A (en) * 2019-06-10 2021-08-24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Mammary gland surgery postoperative bracket convenient to dress
CN112006822A (en) * 2020-08-25 2020-12-01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Peripheral skin nursing auxiliary device of breast
CN112006822B (en) * 2020-08-25 2022-10-25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Peripheral skin nursing auxiliary device of bre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742B1 (en)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4422A1 (en) Sleep apnea CPAP headgear
CA2271131A1 (en) Nasal and oral air passageway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KR101469742B1 (en)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EP3932377A1 (en) Body joint support device with inflatable airbag, electrode or both
US20140323937A1 (en) Knee brace with adjustable bolster
JP2583689B2 (en) Pressing hemostat
RU2463997C2 (en) Device of external fixation of thoracolumbar spine
WO2021104118A1 (en) Abdominal pressure-type waist support
KR20150051196A (en) Shoulder stretching massager
CN205698177U (en) The knee joint fixed support of unitary adjustable joint
KR102183964B1 (en) Belt for Protecting Spine
CN110368169A (en) A kind of leg type rectifier
US11452632B2 (en) Abdominal sacral waist support belt
KR20150109189A (en) (leg remedy device
KR101530484B1 (en) Correction belt for backbone
JP2013215246A (en) Orthopedic appliance for spinal deformity
KR200457098Y1 (en) Leg remedy device
KR20050095042A (en) Pigeon breast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200279878Y1 (en) Scoliotome
KR200476376Y1 (en) Ergonomic belly band for medical use
CN113288553A (en) Adjustable knee joint brace
CN214908829U (en) Fixing device used after foot operation
US11944563B2 (en) Wearable device for body correction
KR20160133122A (en) rail type adjustable pressing points of face pressing device
CN217886317U (en) Adjustable knee joint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