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562A -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 Google Patents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562A
KR20140111562A KR1020130025879A KR20130025879A KR20140111562A KR 20140111562 A KR20140111562 A KR 20140111562A KR 1020130025879 A KR1020130025879 A KR 1020130025879A KR 20130025879 A KR20130025879 A KR 20130025879A KR 20140111562 A KR20140111562 A KR 20140111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ld
ambulance
ho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재
Original Assignee
오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재 filed Critical 오석재
Priority to KR102013002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1562A/ko
Publication of KR2014011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급차 내부에 설치된 온도교환기를 이용한 구급차 주 들것용 자연순환식 냉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 들것 매트 내부에 4분하여 일정 간격으로 열매체유가 내포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를 매설하고 주 들것의 측면에 냉온 전도성이 있는 재질의 튜브형 냉온 충전부(30a, 40a, 50a, 60a)와 연결되며 상기 주 들것의 메인프레임의 일측부에 냉온 충전기(70)가 설치되며 구급차 내에 마련된 냉온 교환기(71)는 냉각수 열 교환부(72) &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100)와 연결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회로(73)(온도센서부착(74)), 냉방용 냉매 교환부(75)로 세분되며 내열성 호스 열매체유에 열 또는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냉온 교환기(71)는 냉각수의 순환 열 교환부(72)와 뚜껑 삽입식 외부단자 전원(100)을 공급받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온도센서부착(74))와 차량 내부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로 구성되며 구급차의 운행시 발생되는 냉각수의 열(동절기)과 내부 에어콘 작동시 생성되는 냉기(하절기)를 매트(20)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에 열 또는 냉기를 충전하며 상기 구급차의 뚜껑 삽입식 외부단자(100)는 외부전원의 공급과 시동시 연결 전기코드가 자동 이탈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전원 투입시 냉각수를 히팅 시켜 매트(20)의 열 충전과 차량엔진의 히팅(Heating), 밧데리 충전(미표기)에 사용하고 내열성 호스 열매체유에 충전된 열 또는 냉기는 겨울철 저체온증, 사고부상 등 환자 온열의 공급뿐만 아니라 여름철 열성 환자(일사병, 열사병) 체온 상승을 방지하며 외부전원의 연결은 누전차단기 등 안전장치가 마련된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식 온열장치나 온수매트를 대신한 냉온 충전장치를 이용한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발열체 사용에 따른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고, 온수매트의 물 공급장치 등의 부속품 및 주 들것에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상 차량내의 전기를 이용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순수한 주 들것의 모양에 변형이 필요치 않으며 화재의 위험성과 온수 공급장치의 물 넘침에 의한 화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Heat exchange way ambulance main stretcher cold and warmth equipment}
본 발명은 구급차량의 냉각수 열(72)과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100)와 연결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 (온도센서부착(74)),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를 통한 주 들것 매트(20) 냉온 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급차 내부에 설치된 냉각수 순환 열 교환부(72)와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100)을 공급받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온도센서부착 (74)),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를 통한 구급차 주 들것 매트(20)내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에 냉온을 공급하는 냉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급차(ambulance)란 응급환자나 사고 부상자를 신속하게 병원 등의 의료기관으로 단순 수송하기 위한 차량을 말하며, 사고 현장에서 병원 등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도중에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응급의료장비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환자를 눕히거나 이송의 목적으로 구급차에 주 들것이 적재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급차용 주 들것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급차용 주 들것은 사각틀 형태의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의 하단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바퀴가 장착된 접이식 다리부와,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쿠션부재가 내장된 매트(20)를 포함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구급차용 주 들것은 환자의 보온이나 체온 상승 방지를 위한 필요한 장치가 부착된 주 들것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보온 응급처치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해 모포 등으로 보온하여 주는 것이 전부이며 열성환자(일사병, 열사병)는 별도의 얼음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체온을 유지시키고 있다.
2013년 1월 14일 mbc 뉴스에 의하면 체온이 떨어져 병원으로 옮겨진 사람들은 다른 어떤 심각한 병을 가진 사람보다도 사망률이 8배 이상 높다고 보도하고 있다.
현재 기술에 따른 구급차용 주 들것들(또는 온열장치)은 환자를 구급차로 후송하는 도중에 구급차의 전원을 이용 하여 매트리스에 내장된 전기발열체(또는, 보온백 )를 가열하거나 구급차 내부전원을 이용한 전기 온수보일러를 설치하여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시켜주고 환자를 사고현장에서 구급차로 이송하거나 환자를 치료할 장소로 후송할 때에도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시켜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구급차용 주 들것들은 환자의 이송 또는 후송 도중에 온열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시켜줌으로써 비응급환자에게는 심리적 및 육체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한편, 응급환자에게는 생존률 향상에 필수적인 환자의 저체온 및 체온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의 생존률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온열장치들은 전기적인 발열을 이용하거나 온수보일러를 부착시키는 등 주 들것의 모양을 변형 시키며 부수적인 장치를 주 들것에 설치하는 등 하여 온열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은 전자파(electroma gnetic wave)가 필연적으로 발생과 들것의 크기를 변형시켜 응급처치시 공간의 협소함을 가중시켜 불편하다. 이러한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자파에 근접하여 장시간 노출될 수밖에 없어 상황으로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특히, 응급환자의 경우 건강상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전기 발열체를 사용하므로 항상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온수보일러 방식의 경우 물의 증발에 따른 점검과 보충이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며 물탱크의 물 넘침으로 인한 화상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열성환자(일사병, 열사병)에 대해서 체온유지에 필요한 장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기 발열체 및 온수보일러 사용에 따른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고, 화재와 화상의 위험성 차단과 열성환자(일사병, 열사병)의 체온유지를 할 수 있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구급차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차량의 구동에 의한 온열을 공급과 냉기를 공급토록 할 수 있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급차 외부전원을 이용한 구급차량 냉각수 히팅(Heating)과 주 들것 냉온 장치 열 충전을 도모하여 구급차량의 동절기 긴급 출동시 무리한 시동 등의 차량 고장요인을 보완할 수 있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구급차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 및 차량 밧데리 충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전원공급, 냉각수 히팅(Heat ing)을 포함하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 들것 매트(20) 내부에 일정 간격 및 부위별로 분리하여 열매체유가 봉입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를 매설하고 주 들것의 상부에 안착 되는 매트와, 상기 주 들것의 메인프레임(10)의 일측부에 냉온 전도성이 있는 재질의 튜브형 냉온 충전부(30a, 40a, 50a, 60a)가 포함된 냉온 충전기(70)를 설치, 구급차 내에 마련된 냉각수 &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100) 단자용 PTC(po -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온도센서부착(74)),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로 구성된 냉온 교환기(71)와 결합 열과 냉기를 공급받아 상기 열매체유가 봉입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로 열 또는 냉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냉온 교환기(71)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 교환기(71)는 냉각수의 순환 열 교환부(72)와 뚜껑 삽입식 외부단자 전원(100)을 공급받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온도센서부착(74))와 차량 내부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로 구성되며 구급차의 운행시 발생되는 냉각수의 열(동절기)과 내부 에어콘 작동시 생성되는 냉기(하절기)를 매트(20)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에 열 또는 냉기를 충전하며 상기 구급차의 뚜껑 삽입식 외부단자(100)는 외부전원의 공급과 시동시 연결 전기코드가 자동 이탈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외부전원 투입시 냉각수를 히팅 시켜 매트(20)의 열 충전과 차량엔진의 히팅(Heating), 밧데리 충전(미표기)에 사용하고 내열성 호스 열매체유에 충전된 열 또는 냉기는 겨울철 저체온증, 사고부상 등 환자 온열의 공급뿐만 아니라 여름철 열성 환자(일사병, 열사병) 체온 상승을 방지하며 외부전원의 연결은 누전차단기 등 안전장치가 마련된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충전에 제공하며 상기 구급차 운행시 발생 되는 열을 주로 이용하여 열매체유가 봉입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를 발열토록 하여 완전한 전자파(electrom agnetic wave) 차단과 구급차량 운행 후 차고 주차시 잠재된 냉각수 열을 이용하고 구급차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100)는 차량 밧데리 충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 전원공급, 냉각수 히팅(Heating)을 포함하고 하절기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75)를 통해 냉기를 공급하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들것 매트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는 매트의 부위별로 4개로 차등 배열하여 자연순환토록 하며 냉온 충전기(70)에서 주 들것의 먼 곳과 가까운 곳의 발열과 냉기를 같은 열량으로 냉온 할 수 있도록 냉온 충전부 또한 4단위로 세분하여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발열식 온열장치나 전기온수장치를 대신한 냉온 충전방식을 이용한 냉온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발열체 사용에 따른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고, 화재의 위험성을 차단할 수 있으며 온수사용에 의한 화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냉각수 열과 차량 에어콘과 연결하여 냉매를 이용하는 냉온 공급수단으로 환자이송시 어떠한 전기적 장치가 필요치 않아 완벽한 전자파 차단은 물론 운행시나 주차시에도 일정한 온도로 장시간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할 수 있으며 열성환자(일사병, 열사병)의 체온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구급차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잔존 에너지에 대한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탄소배출 방지, 친환경 에너지 사용 등 녹색성장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주 들것의 메인프레임에 냉온 충전기(70)를 부착하여 주 들것의 고유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동성과 들것의 기능(의자형태로 변형)에 어떠한 방해나 제한이 없음은 물론 구급차 내부 응급처치시 협소한 구급차 내부공간 제한적 사용의 회피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급차용 주 들것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냉온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4는 도 2와 도3에 도시된 주 들것용 냉온충전장치와 구급차 냉온 교환기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매트(2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그림.
도 6은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매설 매트(20)부착 의자형 들것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7은 뚜껑삽입형 외부 전원단자(100)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8은 뚜껑삽입형 외부 전원단자(100)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9는 외부전원단자 뚜껑(11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10은 뚜껑삽입형 외부전원단자 체결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11은 기존 외부전원단자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
도 12는 도 2 및 도 3과 도 4의 기능과 냉온 충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들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 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충전장치와 냉온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냉온 충전장치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냉온 교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장치는 냉온 충전기(70)을 포함하고, 냉온 충전기(70)은 메인들것(20)의 메인프레임 (10)에 부착되어 구급차 내부에 설치된 냉온 교환기(71) ⊃모양의 홀더에 삽입된 다.
도 4는 주 들것 냉온충전기(70)와 구급차 내부에 설치된 냉온 교환기(71)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냉온 교환기(71)는 동절기에 외부전기를 통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 ent)(73) 및 구급차 엔진 열 냉각을 위한 냉각수 열(72)을 공급받아 냉온 충전기 (70)를 통하여 온열을 열매체유 봉입된 내열성 호스 매설 매트(20)에 온열 충전하며 하절기에는 구급차 내부 에어콘 냉매(75)를 공급받아 냉온 충전기(70)를 통하여 냉기를 열매체유 봉입된 호스 매설 매트(20)에 냉기 충전하여 구동된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는 전자장치로서, 구급차 외부전원을 뚜껑 삽입식 전원단자 (100)를 통하여 누전차단기(미도시), 온도센서(74) 등 안전장치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전원공급을 받아 구급차 주차시 운행중 발생한 냉각수 열 보충 역할을 수행하며 장기 주차시 주도적인 열원으로 사용된다. 시동시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100)는 전기코드를 자동 이탈하게 된다.
주 들것은 구급차에서 사고 현장, 혹은 구급차에서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이송 또는 후송할 필요가 있다.
즉, 주 들것은 구급차로부터 사고현장 또는 의료기관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주차와 운행중에 발생한 열을 충전하고 있으므로 이동의 물리적인 거리의 한계나 도 6처럼 주 들것의 기능(의자형 들것)에 아무런 제약을 주지 않는다.
자동차의 엔진 내부 연소온도는 엔진의 종류에 따라 500 ~ 1,000℃에 가까운 고열을 발생하게 된다. 이런 엔진의 금속부위가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이 냉각수의 기능 때문이며 엔진의 표면 온도가 항상 90℃ 전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엔진의 물펌프를 통하여 순환 차량에 설치된 라지에이터(radiator)에서 방열시켜 일정온도를 유지한다.
냉온교환기(71)내 열교환부(72) 냉각수의 온도는 대략 70~90℃의 온도로 구급차 운행시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열을 열교환부(72)로 공급하며 냉온 교환기(71)와 냉온 충전기(70)의 결합을 통하여 냉온 전도성이 있는 재질의 튜브형 냉온 충전부(30a, 40a, 50a, 60a)를 거쳐 매트(20)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 60)에 열을 충전시키며 주차시 구급차 외부전원을 뚜껑 삽입식 전원단자(100)를 통하여 누전 차단기(미도시), 온도센서(74) 등 안전장치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전원공급 받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에 의하여 운행중 발생한 냉각수 열 보충 역할을 수행하며 장기 주차시 주도적인 열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온도센서(74)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 온도를 80℃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온도센서(74)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 온도가 80℃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신호(예를 들면,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는 상기 온도센서(74)에서 생성된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하고 80℃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동작한다.
냉온 교환기(71)의 열 교환부(72)와 냉매 교환부(75)는 차량의 냉각수 호스(76b, 77b), 에어콘 냉매호스(78b, 79b)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도 3과 같이 냉온 교환기(71)의 열 교환부(72)와 냉매 교환부(75) 호스 연결의 용이성을 위해 호스 커플링 타입의 연결이 바람직하다. 호스 커플링은 연결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구급차 내부에 설치되는 냉온 교환기(71) 고장 수리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목적 또한 있다.
열 교환부(72) 냉각수 입, 출 커플링(76, 77)과 연결되는 연결호스(76b, 77b)와 연결호스(76b, 77b)의 종단에 설치된 커플러(76a, 77a)와 냉매 교환부(75) 냉매 입, 출 커플링(78, 79)과 연결되는 연결호스(78b, 79b)와 연결호스(78b, 79b)의 종단에 설치된 커플러(78a, 79a)를 포함한다. 커플러(76, 76a, 77, 77a, 78, 78a, 79, 79a )는 각각 암수 한 쌍의 커플러를 구비하며, 간편하게 버튼 방식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호스 커플링(76, 77, 78, 79)은 커플러(76a, 77a, 78a, 79a)를 상호 분리시 냉각수나 냉매가 배출되지 않도록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매설 매트(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냉온 충전기(70)는 4개의 충전부(30a, 40a, 50a, 60a)를 가지며 각 충전부는 4개의 열매체유 봉입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에 각각 연결되며 냉온의 순환은 자연순환식(온도전달)이며, 냉온을 충전하여 발열, 흡열 할 수 있으며, 매트에는 어떠한 전기장치나 순환펌프 등의 전자기구가 설치되지 않으며 전자파(electromagne tic wave)의 영향이나 고온의 물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 매트에 일정한 온도를 배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매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 이외에도, 상부 외피(21), 상부 보온보냉 시트(22), 하부 보온보냉 시트(23), 하부외피(24)를 포함한다. 하부외피(24)는 폴리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외피(21)는 하부외피(24)와 동일 원단 또는 항균성 폴리방수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외피(21)와 하부외피(24)는 상부 보온보냉 시트(22), 하부 보온보냉 시트(23)가 내부에 설치된 후 박음질을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보온보냉 시트(22), 하부 보온보냉 시트(23)는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 40, 50, 60)가 매트(20) 내에서 일정한 형태(예를 들면, 王자 형태)로 배치되고, 매트(20)의 움직임에도 이동되지 않도록 그 상부 보온보냉 시트(22)나 하부 보온보냉 시트(23)에 홈부를 마련하거나 고정핀을 이용 내부에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가 매설되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매트(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온보냉 시트(22), 하부 보온보냉 시트(23)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보온보냉 시트(22)만 포함하거나 하부 보온보냉 시트(2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트(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 상부에 쿠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쿠션 부재는 예를 들어 스폰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보온보냉 시트(22)나 하부 보온보냉 시트(23)에 홈부를 마련하거나 고정핀을 이용 내부에 삽입되어 매설될 수 있으며,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 40, 50, 60)는 매트(20)를 접고 펴는 과정에서 끊어지지 않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단자는 크게 몸체(100), 외부전원코드 삽입 가이드 블록 (120), 뚜껑(110)으로 구성 되며 상기 몸체는 구급차의 외부에 기밀하게 결합 되어 외부전원코드(200)를 투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뚜껑의 저면을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장착하고 외부전원코드(200)를 투입하기 위한 상하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된다.
도 9는 뚜껑(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뚜껑(110)은 축(111)에는 비틀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2)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112)는 상기 뚜껑(110)의 저면을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110)은 상기 몸체(100)의 연통부 내에 축(111)에 의하여 회전 설치된다.
시동시 마그네틱 S/W(미도시)에 의해 이탈되는 외부전원코드(200)이 완전히 이탈되면 뚜껑(110)은 탄성부재(112)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0은 외부전원코드(200)을 몸체(100)의 연통부내에 투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외부전원 단자함을 나타낸 것으로 현재 사용하는 단자함은 뚜껑을 위로 올리 고 외부전원코드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시동시 마그네틱S/W(미도시)에 의해 이탈시 뚜껑의 탄성부재에 의해 이탈 방해가 일어나 구급차량 이동시 외부전원코드 파손과 전선의 파손으로 전기적인 합선 등의 원인 이 될 수 있다.
외부전원코드(200)을 몸체(100)에 투입하게 되면 뚜껑(110)은 축(111)의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몸체의 연통부가 개방되어 구급차 외부전원 내부 연결단자(220)에 결합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장치의 동작 특성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 2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 장치는 주 들것의 적재 또는 이동에 따라 2가지 동작 특성을 제공한다. 먼저, 주 들것이 구급차 내부에 적재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급차 내 소정 장소에 설치한 냉온 교환기(71)의 홀더에 주 들것 메인프레임(10)에 부착된 냉온 충전기(70)를 넣어 냉온을 교환 한다.
냉온충전기(70)내에 설치된 냉온 충전부(30a, 40a, 50a, 60a)와 매트(20)에 매설된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30,40, 50, 60)는 커플링을 통해 상호 연결한다.
냉온 교환기(71)의 열 교환부(72)는 도 3과 같이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단자(100)으로부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주차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를 가열 열 교환부(72)를 통하여 냉각수 온도를 80℃로 가열한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 온도센서(74)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냉각수는 자연순환에 의한 엔진 히팅(Heating)과 냉온 충전기(70)을 통해 매트(20) 내부에 매설된 내열성 호스(30, 40, 50, 60)로 열을 충전하고, 구급차 밧데리 충전에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급차 내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구급차의 구동시 발생하는 엔진 열 및 에어콘 냉매에 의한 냉온 교환기(71)로부터 공급되며, 주차시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단자(100)의 외부전원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73)회로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가열 매트(20) 매설 내열성 호스(30, 40, 50, 60)를 열 충전시켜 후송 중이나 주차시에도 환자를 따뜻하게 보온시켜줄 수 있다.
하지만, 환자를 의료기관으로 후송, 사고현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주 들것(40)을 구급차 외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 들것 매트(20)에 구급차 내에 설치된 냉온 교환기(71)로부터 냉온을 공급받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에 냉온 충전부 (30a, 40a, 50a, 60a)를 통해 내열성 호스(30, 40, 50, 60)에 충전시킨 냉온을 상, 하부 보온보냉 시트(22, 23)에 의해 냉온을 보온보냉 시켜 주 들것과 함께 이동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주 들것은 구급차의 운행이나 주차시에도 냉온을 공급하게 되므로 연속적으로 환자의 체온유지를 위한 기능을 갖춘 기능성 주 들것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급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를 버리지 않고 회수하여 환자의 체온유지 방안과 동절기 차량의 고장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 및 예산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러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주 들것 메인프레임
20 : 주 들것 매트 21 : 주 들것 매트 상부 외피
22 : 주 들것 매트 상부 보온보냉 시트 23 : 주 들것 매트 하부 보온보냉 시트
24 : 주 들것 매트 하부 외피

30 : 1번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30a : 1번 냉온 충전부
40 : 2번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40a : 2번 냉온 충전부
50 : 3번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50a : 3번 냉온 충전부
60 : 4번 열매체유 봉입 내열성 호스 60a : 4번 냉온 충전부
70 : 냉온 충전기 71 : 냉온 교환기
72 : 열교환부 73 : PTC 회로
74 : 온도센서 75 : 냉매 교환부
76 : 냉각수 인입호스 커플링 76a : 냉각수 인입호스 커플러
76b : 냉각수 인입호스
77 : 냉각수 출수호스 커플링 77a : 냉각수 출수호스 커플러
77b : 냉각수 출수호스
78 : 에어콘 냉매 인입호스 커플링 78a : 에어콘 냉매 인입호스 커플러
78b : 에어콘 냉매 인입호스
79 : 에어콘 냉매 출매호스 커플링 79a : 에어콘 냉매 출매호스 커플러
79b : 에어콘 냉매 출매호스 80 : 냉각수, 에어콘 냉매 인입호스 4방밸브

100 : 뚜껑 삽입형 외부전원단자 몸체 110 : 뚜껑 삽입형 외부전원단자 뚜껑
111 : 뚜껑 축 112 : 스프링
120 : 외부전원 코드 삽입 가이드 블록
200 : 외부전원 코드 200a : 외부전원 코드 삽입 가이드 오목
200b : 외부전원 전선 200c : 외부전원 오목코드
220 : 구급차량 외부전원 내부 연결단자 220a : 구급차량 외부전원 내부연결 전선
220b : 구급차량 외부전원 내부 블럭코드

Claims (1)

  1. 열매체유가 봉입된 실리콘 내열성호스 매설된 주 들것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
    상기 주 들것의 메인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된 4개 튜브형 냉온 충전부 부착된 냉온 충전기

    구급차 내부에 설치된 냉각수 순환 열 교환부와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회로(온도센서부착), 차량 내부 에어콘과 연결된 냉매 교환부를 통한 상기 열매체유 봉입된 내열성호스에 냉온을 공급하는 냉온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냉온 공급수단은,
    냉각수 순환 열 교환부와 외부전원을 공급받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 ient)회로(온도센서부착)를 통해 공급하는 열교환부
    에어콘과 연결하여 냉매를 통해 냉기를 공급하는 냉매교환부
    구급차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뚜껑 삽입식 외부전원 단자 및 차량 밧데리 충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전원공급, 냉각수 히팅(Heating)을 포함하는 구급차 주 들것용 냉온장치.
KR1020130025879A 2013-03-11 2013-03-11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KR20140111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79A KR20140111562A (ko) 2013-03-11 2013-03-11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79A KR20140111562A (ko) 2013-03-11 2013-03-11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62A true KR20140111562A (ko) 2014-09-19

Family

ID=5175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879A KR20140111562A (ko) 2013-03-11 2013-03-11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15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5181A (zh) * 2018-12-12 2019-05-14 钟卿 一种具有冷敷功能的担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5181A (zh) * 2018-12-12 2019-05-14 钟卿 一种具有冷敷功能的担架
CN109745181B (zh) * 2018-12-12 2020-07-17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具有冷敷功能的担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314B2 (en) System for altering and maintaining temperatures of objects
US4026299A (en)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US20200405535A1 (en) Cooling pad; cooling apparatus;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oling pad and a cooling apparatus
US20140233184A1 (en) Phase change material as a dynamic heat sink for trancutaneous energy transmission systems
US20080288033A1 (en) Heat transfer pad having occlusion-resistant ports
US8647375B2 (en) Multi-function bedside care and therapy system
GB2447287A (en) Cooling sheet with internal fluid flow conduits
KR100526791B1 (ko) 온수 자동순환장치
KR20140111562A (ko) 온도교환 방식 구급차 주 들것 냉온장치
CN210519751U (zh) 防抓咬宠物加热板
KR20130115635A (ko) 냉온 겸용 매트리스
CN206933849U (zh) 一种通过流体来调节温度的变温睡垫
CN103582439A (zh) 双面取暖床
KR101033668B1 (ko) 난방장치
KR20180098812A (ko) 수액 가온장치
KR200194421Y1 (ko) 온수온돌매트
CN112641559A (zh) 一种康复科室中适用于全身的冷热疗床垫
KR101310812B1 (ko) 매트의 가열장치
KR102584823B1 (ko) 체온조절이 가능한 응급시트
CN206478888U (zh) 一种便携式半导体制冷或制热设备
KR20140148085A (ko) 다수의 착탈식 냉온수단을 구비한 냉온 장치
WO2023108795A1 (zh) 一种医用固态变温毯
US20220054305A1 (en) Heated sleeve for a prosthetic limb
KR100412418B1 (ko) 침대용 물순환 매트리스
KR101679817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찜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