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477A - A refrigeraotr - Google Patents
A refrigeraot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0477A KR20140110477A KR1020130024875A KR20130024875A KR20140110477A KR 20140110477 A KR20140110477 A KR 20140110477A KR 1020130024875 A KR1020130024875 A KR 1020130024875A KR 20130024875 A KR20130024875 A KR 20130024875A KR 20140110477 A KR20140110477 A KR 201401104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basket
- door basket
- fram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장실, 즉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device capable of cooling a storage room, that is, a freezing room or a refrigerating room while repeating a refrigeration cycle, so that food can be kept fresh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며, 사용자는 상기 저장물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defining a storage chamber and a do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main body. The storage room is filled with a stored product, and the user can open the door to take out the stored product.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도어 바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바스켓은 도어의 내측면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도어 바스켓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바스켓이 구비됨으로써,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basket for storing stored contents. A plurality of the door basket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In general, a plurality of door baske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providing the basket on the door,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can be increased.
그러나, 종래의 다수의 도어 바스켓은 일률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고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바스켓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conventional door baskets are equally sized and spaced apart by the same d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ability of the basket is deteriorated.
즉, 냉장고에 저장되는 수납물의 높이 또는 폭이 서로 다른데, 동일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바스켓만이 제공되므로, 바스켓의 저장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바스켓의 저장공간이 특정 수납물을 저장하기에 충분치 않은 경우, 도어 바스켓은 비워놓고 저장물을 저장실 내부에 저장해야 하므로, 저장실의 저장공간은 부족하고 도어 바스켓의 저장공간은 남아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heights or widths of the stored items stored in the refrigerat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since only the basket having the same storage space is provided, the storage space of the basket can not be efficiently used. For example, if the storage space of the basket is not sufficient to store a particular object, the door basket must be emptied an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insufficient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basket remains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출원인은 종래에 도어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저장공간을 가변할 수 있는 도어 바스켓을 제안한 바 있다 (출원번호 10-2010-0009339).In recognition of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door basket which can be vertically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door so as to vary the storage space thereof (Application No. 10-2010-0009339).
그러나, 위 도어 바스켓에 의하면, 도어 바스켓의 저장공간을 가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레버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upper door baske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using a lever or the like in order to vary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 bask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측에서의 저장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enlarging a storage space on a door s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실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1 도어 바스켓;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프레임 개구부가 규정되는 바스켓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도어 바스켓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일방향 폭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of a storage chamber; A first door basket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door; A basket frame rotatabl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the basket frame defining a frame opening; And a second door basket disposed at the frame opening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door basket, wherein the unidirectional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Directional width of at least a part of the basket.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1 도어 바스켓;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의 전방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 프레임; 및 상기 바스켓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 바스켓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과 제 2 도어 바스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first door that selectively shields a storage compartment and has an opening; A first door basket mounted inside the first door;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oor and opening or blocking the front of the opening; A basket fram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basket mounted on the basket fram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wherein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second door bask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스켓 프레임 및 상기 바스켓 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 바스켓이 제공되므로, 냉장고의 도어측에 저장물의 수납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ket fram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door and the door basket provided in the basket frame are provided,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can be increased on the door side of the refrigerator .
또한, 도어에 제공되는 도어 바스켓은 외면부와, 상기 외면부로부터 함몰되는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에는 바스켓 프레임이 안착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door basket provided on the door has an outer surface portion and a depressed portion that is depressed from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basket frame can be seated on the depressed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sability.
또한, 도어에 구비되는 제 1 도어 바스켓과, 바스켓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 2 도어 바스켓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도어로부터 바스켓 프레임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 및 제 2 도어 바스켓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door basket provided on the door and the second door basket provided on the basket fram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second door basket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access to the door baskets.
또한, 제 1 도어 바스켓과 바스켓 프레임에 서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부재가 제공되므로, 제 1 도어 바스켓과 바스켓 프레임(또는 제 2 도어 바스켓)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basket frame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basket frame (or the second door basket) can be stably coupled.
또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하측에는 인출 가능한 트레이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저장물을 인출하여 트레이에 임시로 올려 놓을 수 있다. 결국,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 drawable tray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tray may protrude from the first door basket while the second door baske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oor basket, The storage can be withdrawn and placed temporarily in the tray. Eventually, ease of use can be increased.
또한, 제 2 도어 바스켓의 전후 방향 폭이 제 1 도어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을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제 2 도어 바스켓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ront door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door basket,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second door basket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second door basket.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전후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회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프레임 어셈블리와 제 1 도어 바스켓의 결합되는 일면을 무리하게 이격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과 제 2 도어 바스켓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no need to excessively separate the one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and the first door basket to secure the rotating space of the second door basket, So that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second door basket can be firm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프레임이 도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refrigerator in a state in which a second do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inner side construction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ket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doo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다수의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장실 및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냉동실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a
상기 다수의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1,100) 및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31,35)가 포함된다.The doors includ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21, 100) for block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freezing chamber doors (31, 35) for blocking the freezing chamber.
상기 냉장실 도어(21,100)에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냉장실 도어(21) 및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2 냉장실 도어(1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100)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의 일측면과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의 일측면은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와 제 2 냉장실 도어(10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제 1 핸들(23)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에는, 제 2 핸들(25)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핸들(23) 또는 제 2 핸들(25)을 조작하여,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다.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1) is provided with a first handle (23) capable of holding the user. The second door (100) is provided with a second handle (25). The user can open the first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에는, 상기 제 2 핸들(25)에 제공되며 누름 조작 가능한 누름부(26) 및 상기 누름부(26)의 후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에 결합되는 래치 어셈블리(28)가 포함된다.The second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에는, 제 1 도어(110) 및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2 도어(150)가 포함된다. 상기 누름부(26)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제 1,2 도어(110,150)가 함께 개방되거나, 상기 제 2 도어(150)만 개방될 수 있다.The second
상세히, 상기 래치 어셈블리(28)에는, 상기 제 1 도어(110)와 제 2 도어(15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걸림부재(미도시)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상기 누름부(26)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 2 핸들(25)을 당기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의 결합작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150)만 개방된다. 반면에, 상기 누름부(26)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핸들(25)을 당기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의 결합작용이 이루어져 상기 제 1 도어(110)와 제 2 도어(150)가 함께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는 하나의 도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는 상기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5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도어(110,150)의 결합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의 두께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냉장고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1) 또는 제 2 냉장실 도어(100)가 개방될 때, 상기 본체(10) 내부의 저장실을 조명하는 본체 조명장치(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 조명장치(미도시)가 작동되면, 상기 저장실이 밝게 유지되어 저장물의 수납 또는 인출이 용이할 수 있다.A main body lighting apparatus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상기 냉동실 도어(31,35)에는, 상기 냉동실의 상부를 차폐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상부 냉동실 도어(31) 및 상기 냉동실의 하부를 차폐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하부 냉동실 도어(35)가 포함된다.The
상기 냉동실 도어(31,35)의 후측에는, 저장물이 수납될 수 있는 바스켓(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On the rear side of the
이하에서는, 제 2 냉장실 도어(1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100)를 "냉장실 도어" 또는 "도어 어셈블리"라 이름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refrigerator in a state where a second door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100)에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어(150)는 상기 제 1 도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상부 및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50)에 결합되는 힌지장치(160)가 제공된다. In detail, a
상기 힌지장치(160)에는, 상기 본체(10)에 제공되는 제 1 고정부(161)와, 상기 제 1 고정부(16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브라켓(162) 및 상기 제 1 브라켓(162)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도어(11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제 1 힌지축(163)이 포함된다.The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제 1 힌지축(16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냉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도어(110)의 후면과, 상기 본체(10)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본체 조명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 1 도어 스위치(18)가 제공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도어 스위치(18)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A
상기 제 1 도어(110)가 닫히면, 상기 제 1 도어 스위치(18)가 눌러져서 OFF 되며, 이에 따라 본체 조명장치가 OFF 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도어(110)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도어 스위치(18)가 ON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 조명장치가 ON 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힌지장치(160)에는, 상기 제 1 도어(110)에 제공되는 제 2 고정부(164)와, 상기 제 2 고정부(16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브라켓(165) 및 상기 제 2 브라켓(165)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어(15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제 2 힌지축(166)이 더 포함된다.The
상기 제 2 도어(150)는 상기 제 2 힌지축(166)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 1 도어(110)의 개구부(112)를 개방할 수 있다.The
상기 제 2 도어(150)의 후면과,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도어(110)에 구비되는 조명장치(미도시)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 2 도어 스위치(118)가 제공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도어 스위치(118)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A
상기 제 2 도어(150)가 닫히면, 상기 제 2 도어 스위치(118)가 눌러져서 OFF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OFF 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도어(150)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도어 스위치(118)가 ON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ON 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개구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개구부(112)에 의하여, 상기 제 1 도어(110)는 대략 사각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개구부(112)를 규정하는 도어 측면부(112a), 도어 하면부(112b) 및 도어 상면부(112c)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측면부(112a)는 상기 개구부(112)의 양측에 제공된다.Specifically, the
상기 도어 측면부(112a), 도어 하면부(112b) 및 도어 상면부(112c)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두께를 규정하는 방향 또는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개구부(112)의 내측면을 구성한다.The door
상기 제 2 도어(150)는 상기 개구부(112)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door (150) is configured to shield the opening (112).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150)에는, 상기 개구부(11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2)를 차폐하는 도어 라이너(15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52)는 상기 제 2 도어(150)의 이면을 형성하며, 도어 바스켓(120,130)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152)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개구부(112)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돌기부(152a)가 포함된다.The
상기 제 2 도어(150)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152)의 돌기부(152a)의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도어(110)와 제 2 도어(150) 사이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54)가 포함된다.The
상기 제 2 도어(15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154)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개구부(112)와 상기 도어 라이너(152)의 돌기부(152a)가 결합되는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개구부(112)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120,130)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 바스켓(120)은 양측의 도어 측면부(112a)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상세히, 상기 다수의 도어 바스켓(120,130)에는, 상기 개구부(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0) 및 상기 개구부(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30)이 포함된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 바스켓(120) 및 하부 바스켓(130)은 서로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50)는, 상기 다수의 도어 바스켓(120,130)의 전방을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The
상기 하부 바스켓(130)은 상기 도어 하면부(112b)에 안착되거나 상기 도어 하면부(112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스켓(120)은 상기 도어 상면부(112c)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하부 바스켓(130)은 상기 상부 바스켓(120)보다 큰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바스켓(120)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상부 바스켓(120)이 2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The lower basket (130) forms a storage space larger than the upper basket (120). Meanwhile,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내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프레임이 도어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inner side construction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basket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a door,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개구부(112)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0) 및 하부 바스켓(130)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도어 바스켓(120,130)은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제 1 도어(110)의 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4 to 6, the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상부 바스켓(120)에 접근할 수 있다. The user can access the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15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방에서 저장물을 상기 상부 바스켓(120)에 저장하거나 인출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110)의 이면측에서 저장물을 상기 상부 바스켓(120)에 저장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In detail, the user can store or retrieve the stored product in the
반면에,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100)의 전방에서 상기 하부 바스켓(130)에 접근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15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110)의 전방에서 저장물을 상기 하부 바스켓(130)에 저장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access the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상부 바스켓(120) 및 하부 바스켓(130)을 지지하는 바스켓 지지부(1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바스켓 지지부(115)는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상기 제 1 도어(1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상부 바스켓(120) 및 하부 바스켓(13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결합된다. The
상세히,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상부 바스켓(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 프레임(210)이 포함된다. In detail, the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의 내측에는, 프레임 개구부(211)가 규정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을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117)가 제공된다. 상기 회동부(117)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120,130)의 양측에 제공되는 바스켓 지지부(115) 중 일측의 바스켓 지지부(115)에 결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회동부(117)는 상기 바스켓 지지부(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동부(117)와 바스켓 지지부(115)은 힌지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장치는, "나비형 경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voting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에는, 상기 회동부(117)와 결합되는 회동 결합부(212)가 포함된다. 상기 회동 결합부(212)는 상기 회동부(117)의 상부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17)와 회동 결합부(2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 프레임(212)은 회동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1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바스켓(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110)는 냉장고 저장실의 전방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 또한 냉장고 저장실의 전방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4 and 5, the
도 4와 같이,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이 상기 상부 바스켓(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 바스켓(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과의 구분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바스켓(120)을 "제 1 도어 바스켓"이라 이름한다.The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프레임 개구부(211)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양측부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에 지지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다수 개가 제공되며,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이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한편, 다수의 제 2 도어 바스켓(220) 중 최하측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다수의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최하측의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lowermost
상세히, 상기 최하측의 제 2 도어 바스켓(220)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최하측의 제 1 도어 바스켓(12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후술할 트레이(25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most
그리고, 다수의 제 2 도어 바스켓(220) 중 상부에 위치한 2개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다수의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상부에 위치한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설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은 상기 2개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two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에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차폐부(2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차폐부(230)는 상기 다수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에 수납된 저장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 또는 제 2 도어 바스켓(220)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저장공간은 상기 차폐부(230)에 의하여 차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을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The storage space of the
즉,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차폐부(230)에 의하여 차폐되며,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4, the
한편,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과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은 상기 제 1 도어(110)의 개구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 및 제 2 도어 바스켓(220)에 접근하여,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 또는 제 2 도어 바스켓(220)에 저장물을 편리하게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다.5, the user approaches the
상기 재 1 도어 바스켓(12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면부(121) 및 상기 외면부(121)로부터 함몰되도록 구성되는 함몰부(122)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122)가 함몰되는 방향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두께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이해된다. 상기 함몰부(122)는 상기 외면부(12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상기 외면부(121)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함몰부(122)가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내부 저장공간에는, 제 1 수납공간(123) 및 제 2 수납공간(124)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수납공간(123)은 상기 외면부(121)에 의하여 규정되는 외면부(121)의 내측 공간이며, 상기 제 2 수납공간(124)은 상기 함몰부(122)에 의하여 규정되는 함몰부(122)의 내측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납공간(123)과 제 2 수납공간(124)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상기 제 1 수납공간(123)의 전후방향 폭(W1, 도 7 참조)은 상기 제 2 수납공간(124)의 전후방향 폭(W2, 도 7 참조)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수납공간(123)에는 폭이 큰 저장물이 수납되고, 상기 제 2 수납공간(124)에는 폭이 작은 저장물이 수납될 수 있다.7) of the first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은 그 폭이 변하도록 구성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저장물 수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저장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상기 다수의 제 2 도어 바스켓(220) 중 최하측의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다수의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최하측의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함몰부(122) 외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제 2 수납공간(12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한편, 상기 함몰부(122)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122)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은 상기 함몰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The lateral width of the
도 7은 도 4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 바스켓(120)에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결합되면,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 및 제 2 도어 바스켓(220)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상기 함몰부(122)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이 때, 상기 제 1 저장공간(123)의 전후방향 폭(W1)은, 상기 제 2 저장공간(124)의 전후방향 폭(W2)과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의 전후방향 폭(W3)의 합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이와 같이, 별도의 바스켓을 구비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제공되어 도어의 수납공간을 증대시키면서도,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과 프레임 어셈블리(200)에 의한 전체 바스켓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과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합시키는 걸림장치가 더 포함된다.The
상기 걸림장치에는,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구비되는 제 1 돌기부(125) 및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 2 돌기부(215)가 포함된다.The hooking device includes a
상기 제 1 돌기부(125)는 상기 외면부(121)와 함몰부(122)의 경계를 규정하는 경계면(121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돌기부(215)는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경계면(121a)은 상기 외면부(121)로부터 상기 함몰부(122)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제 1 돌기부(125)와 제 2 돌기부(215)는 서로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과 프레임 어셈블리(20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10)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요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반면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즉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돌기부(215)는 상기 제 1 돌기부(125)로부터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Other embodiments are suggested.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와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걸림장치의 다른 예로서, 걸림부 및 슬롯(slot)이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 및 바스켓 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of the hooking device of the
도 8은 도 5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5,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어(110)에는,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하측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트레이(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트레이(250)는 사용자가 저장물을 수납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저장물을 임시로 놓아둘 수 있는 "받침대"로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일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제 1 도어 바스켓(120)은 다수의 제 1 도어 바스켓(120) 중 최하측의 제 1 도어 바스켓(120)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제 1 도어(110)에는, 상기 트레이(25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55) 및 상기 트레이(2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부(252)가 더 포함된다.The
상기 트레이 지지부(252)에는, 상기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부 및 상기 트레이(25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가 포함된다. The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5)는 상기 트레이(250)와 후방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255)의 일단은 상기 트레이(250)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후방 지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255)에는, 압축 스프링이 포함된다.The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즉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50)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252)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255)는 인장될 수 있다.8, when the
상기 트레이(250)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바스켓(120,220)으로부터 꺼낸 저장물 또는 상기 바스켓(120,220)에 투입할 저장물을 상기 트레이(250)에 놓을 수 있다. In the state that the
한편,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220)에 결합된 상태, 즉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250)는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하측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9, in a state where the
이 때, 상기 트레이(250)의 전단부는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5)는 압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220)에 결합되어 저장물의 인출 또는 수납이 제한될 때에는, 상기 트레이(25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하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트레이(25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반면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개방되어 저장물의 인출 또는 수납이 가능할 때에는, 상기 트레이(25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저장물의 안착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전후 방향 폭(W4)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제 1 수납공간(123)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width W4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폭(W4)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W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 또는 제 2 도어 바스켓(220)을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22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폭방향 부분에 사용자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width W4 of the
즉, 사용자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회동 경로를 벗어나기 위하여 뒤로 물러서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정리하면,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이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폭이 작게 되므로, 상기 회동 결합부(212)로부터 상기 바스켓 프레임(210)의 일측 모서리부까지의 회동 반경과, 상기 회동 결합부(212)로부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일측 모서리부까지의 회동 반경은 크게 차이나지 않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width of the
결국,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내측에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또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1 돌기부(125)가 제공되는 제 1 도어 바스켓(220)의 경계면(121a)과 상기 제 2 돌기부(215)가 제공되는 바스켓 프레임(210)의 측면부 사이의 거리가 크게 확보될 필요가 없게 된다.The width of the
즉,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220)의 회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220)의 일면과 바스켓 프레임(210)의 일면이 무리하게 이격될 필요가 없게 된다. 결국,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200)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120)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1 : 냉장고 10 : 본체
15 : 본체 조명장치 18 : 제 1 도어 스위치
21 : 제 1 냉장실 도어 26 : 누름부
23,25 : 핸들 28 : 래치 어셈블리
31 : 상부 냉동실 도어 35 : 하부 냉동실 도어
100 : 제 2 냉장실 도어 110 : 제 1 도어
112 : 개구부 117 : 회동부
120 : 상부 바스켓 121 : 외면부
122 : 함몰부 123 : 제 1 수납공간
124 : 제 2 수납공간 130 : 하부 바스켓
150 : 제 2 도어 152 : 도어 라이너
200 : 프레임 어셈블리 210 : 바스켓 프레임
211 : 프레임 개구부 220 : 제 2 도어 바스켓
230 : 차폐부1: Refrigerator 10: Body
15: main body lighting device 18: first door switch
21: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6:
23, 25: handle 28: latch assembly
31: upper freezing chamber door 35: lower freezing chamber door
100: second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10: first door
112: opening 117:
120: upper basket 121: outer surface
122: depression 123: first compartment
124: second storage space 130: lower basket
150: second door 152: door liner
200: frame assembly 210: basket frame
211: frame opening 220: second door basket
230: shield
Claims (16)
상기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1 도어 바스켓;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프레임 개구부가 규정되는 바스켓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을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 2 도어 바스켓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일방향 폭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chamber;
A first door basket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door;
A basket frame rotatabl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the basket frame defining a frame opening; And
A second door basket disposed at the frame opening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door basket,
Wherein the one-way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is smaller than the one-way width of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door basket.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는,
제 1 수납공간을 규정하는 외면부; 및
상기 외면부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제 1 수납공간에 연통하는 제 2 수납공간을 규정하는 함몰부가 포함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door basket,
An outer surface defining a first storage space; And
And a depression that is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defines a second storage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torage space.
상기 제 2 수납공간의 일방향 폭은,
상기 제 1 수납공간의 일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way width of the second storage space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ne-way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함몰부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door basket is disposed outside the depression of the first door basket.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일방향 폭은, 상기 제 1 수납공간의 일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way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is smaller than the one-way width of the first storage space.
상기 제 1 수납공간의 폭은,
상기 제 2 수납공간의 폭과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폭의 합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6. The method of claim 5,
The width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width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width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width of the second door basket.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측방에는,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을 회전하기 위한 회동부가 제공되는 냉장고.3.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And a pivoting portion for rotating the second door basket is provided.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트레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doo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Further comprising a tray selectively withdraw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door basket.
상기 바스켓 프레임에는,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이 배치되는 프레임 개구부; 및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돌기부가 포함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ket frame,
A frame opening in which the second door basket is disposed; And
And a protrusion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door basket.
상기 바스켓 프레임 및 제 2 도어 바스켓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바스켓 프레임 및 제 2 도어 바스켓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수용되는 슬롯(slot)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gaging member provided on one of the basket frame and the second door basket; And
And a slot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basket frame and the second door basket and in which the latching member is received.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가지는 제 1 도어이며,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 2 도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is a first door having an opening,
And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oor and opening or shielding the opening.
상기 제 1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1 도어 바스켓;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구부의 전방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스켓 프레임; 및
상기 바스켓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도어 바스켓이 포함되며,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과 제 2 도어 바스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first door selectively shielding the storage chamber and having an opening;
A first door basket mounted inside the first door;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oor and opening or blocking the front of the opening;
A basket fram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basket mounted on the basket fram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Wherein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second door bask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의 일측에 제공되는 차폐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은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부재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door basket,
Wherein the second door basket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member when the second door basket is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 및 제 2 도어 바스켓의 저장공간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4. The method of claim 13,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baske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oor basket,
Where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door basket and the second door basket is opened.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에 의하여 가압되는 트레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ate that the second door basket is coupled to the first door basket,
Further comprising a tray which is pressurized by the second door basket.
상기 제 2 도어 바스켓이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바스켓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트레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13. The method of claim 12,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oor baske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door basket,
Further comprising a tray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door bask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875A KR102072724B1 (en) | 2013-03-08 | 2013-03-08 | A refrigeraot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4875A KR102072724B1 (en) | 2013-03-08 | 2013-03-08 | A refrigeraot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0477A true KR20140110477A (en) | 2014-09-17 |
KR102072724B1 KR102072724B1 (en) | 2020-03-11 |
Family
ID=5175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4875A KR102072724B1 (en) | 2013-03-08 | 2013-03-08 | A refrigeraot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2724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2410A (en) * | 2015-11-04 | 2017-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0066866B2 (en) * | 2014-03-11 | 2018-09-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KR20190135970A (en) * | 2015-11-04 | 2019-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190135972A (en) * | 2015-11-04 | 2019-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1725874B2 (en) | 2015-11-04 | 2023-08-15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20230280091A1 (en) * | 2022-03-04 | 2023-09-07 | Bsh Home Applicances Corporation | Can dispenser rack for refrigerator do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416Y1 (en) * | 1985-12-30 | 1991-03-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oor pocket of refrigerator |
JPH10311669A (en) * | 1997-05-13 | 1998-11-24 | Matsushita Refrig Co Ltd | Door device of refrigerator |
KR20110046403A (en) * | 2008-05-30 | 2011-05-04 |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 Refrigerator |
KR20130015988A (en) * | 2011-08-05 | 2013-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atachable door basket |
-
2013
- 2013-03-08 KR KR1020130024875A patent/KR1020727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1416Y1 (en) * | 1985-12-30 | 1991-03-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oor pocket of refrigerator |
JPH10311669A (en) * | 1997-05-13 | 1998-11-24 | Matsushita Refrig Co Ltd | Door device of refrigerator |
KR20110046403A (en) * | 2008-05-30 | 2011-05-04 |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 Refrigerator |
KR20130015988A (en) * | 2011-08-05 | 2013-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atachable door basket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66866B2 (en) * | 2014-03-11 | 2018-09-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US10203148B2 (en) | 2014-03-11 | 2019-02-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US10782063B2 (en) | 2014-03-11 | 2020-09-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US11543170B2 (en) | 2014-03-11 | 202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
KR20170052410A (en) * | 2015-11-04 | 2017-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190135970A (en) * | 2015-11-04 | 2019-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20190135972A (en) * | 2015-11-04 | 2019-12-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US11725874B2 (en) | 2015-11-04 | 2023-08-15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12072142B2 (en) | 2015-11-04 | 2024-08-27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20230280091A1 (en) * | 2022-03-04 | 2023-09-07 | Bsh Home Applicances Corporation | Can dispenser rack for refrigerator door |
US11808515B2 (en) * | 2022-03-04 | 2023-11-07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Can dispenser rack for refrigerator d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2724B1 (en) | 2020-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60720B1 (en) | Ice-mak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 |
US8302423B2 (en) |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40110477A (en) | A refrigeraotr | |
US8960826B2 (en) | Refrigerator | |
KR100900292B1 (en) | Food stor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US10393425B2 (en) |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 |
KR101627935B1 (en) | Refrigerator | |
US8016160B2 (en) |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 |
KR101349982B1 (en) |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EP3789700A1 (en) | Refrigerator | |
KR20110010405A (en) | Refrigerator | |
US20130119849A1 (en) | Refrigerator | |
US20200263917A1 (en) | Refrigerator | |
KR100621110B1 (en) | Refrigerator | |
KR101350056B1 (en) | Refrigerator | |
KR20130053593A (en) | Refrigerator | |
KR20150074285A (en) | Refirgerator | |
KR101392524B1 (en) | Open and close structure of inner door for refrigerator | |
KR20140116620A (en) | Refrigerator | |
JP2003095022A (en) | Housing box for vehicle | |
KR100334646B1 (en) | Refrigerator for kimchi | |
KR20150074233A (en) | Refirgerator | |
KR20140085645A (en) | Refrigerator by subsidiary shelf | |
KR101742828B1 (en) | Refrigerator and ice maker assembly for refrigerator | |
KR20080109144A (en) | Home bar for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