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262A -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262A
KR20140110262A KR1020130024283A KR20130024283A KR20140110262A KR 20140110262 A KR20140110262 A KR 20140110262A KR 1020130024283 A KR1020130024283 A KR 1020130024283A KR 20130024283 A KR20130024283 A KR 20130024283A KR 20140110262 A KR20140110262 A KR 20140110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de
mapping area
area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삼
박경태
백승엽
정윤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소프테이션
Priority to KR102013002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262A/en
Publication of KR2014011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2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using a cursor.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touch-sensitive screen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peration screen; a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unit which activates or deactivates a touch mapping area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to correspond to a user control operation; and a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which maps the coordinate range of an area allocated as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coordinate range of the entire display unit onto each other to recognize the touch point in contact with a touch member in the touch mapping area as the mapping point in the display area to display a cursor.

Description

휴대형 장치 및 커서를 이용한 조작 방법{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using a cursor,

본 발명은 휴대형 장치 및 커서를 이용한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using a cursor.

타블렛 피씨,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들이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인터넷 접속,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 기기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tablet PCs,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have become more and more divers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Internet access, music and video file playback, .

이와 같이 복합 기기화되고 있는 휴대형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해 점차 구비된 구동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의 크기가 3.5인치, 4.5인치, 5인치 등으로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해상도 역시 1280x768까지 증가하고 있다.In order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riving screen gradually increases to 3.5 inches, 4.5 inches, 5 inches, etc., and the resolution also increases to 1280 x 768 have.

그리고 일반적으로 휴대형 장치는 터치 감응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상에서 임의의 기능 버튼이나 하이퍼링크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거나 하이퍼링크에 해당하는 웹 주소에 접속할 수 있다.In general, the portable device has a touch sensitive screen, and a user can touch a function button or a hyperlink on a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r access a web address corresponding to a hyperlink.

이와 같은 휴대형 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고정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일반적이지만, 지하철 등에 승차하여 이동하는 중에도 동영상 파일 재생,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이 이용되고 있다. Such a portable device is generally used in a fixed space such as a home or an office. However, various functions such as playing a moving image file and accessing the Internet are being used while moving on a subway or the like.

이처럼 사용자의 편의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휴대형 장치의 표시부의 크기가 커지고 있지만, 휴대형 장치 외형의 크기 증대는 대부분의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형 장치의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는(즉, 한 손만으로는) 표시부에 표시된 기능 버튼이나 하이퍼링크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없는 불편함을 야기시키고 있다. In order to satisfy user's convenien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device gradually increases. However, the size of the portable device is increased by the thumb of the hand held by one hand of the portable device , It is inconvenient that the function button or the hyperlink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an not be smoothly operat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은 휴대형 장치의 일 측 모서리로부터 휴대형 장치 표시부의 중심 부분을 향해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That is, when gripping the portable device with one hand as shown in Fig. 1, the thumb of the gripped hand is positioned to extend from the one side edge of the portable device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display.

그러나 이 경우, 휴대형 장치의 표시부 크기가 크거나 사용자의 손이 작은 이유 등으로 인해 표시부의 영역 중 외곽에 위치한 일부 영역(100)이 엄지 손가락이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에 해당하게 되고, 사용자는 해당 영역(100)에 표시된 기능 버튼이나 하이퍼링크를 조작하기 위해 다른 손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a part of the area 100 located outside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the thumb can not reach due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device or the user's hand being small,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nother hand must be additionally used to operate a function button or a hyperlink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

본 발명은 표시부의 크기 증대에 관계없이 한 손만으로도 휴대형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형 장치 및 커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using a cursor that facilitat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with only one hand regardless of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표시부 터치 조작만으로 다양한 동작 모드(예를 들어, 화면 드래그, 확대/축소 등)의 선택 및 동작 모드별 차별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형 장치 및 커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using a cursor that enable selection of various operation modes (for example, dragging of a screen, enlargement / reduction, etc.) .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에 있어서, 구동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 스크린; 사용자의 미리 지정된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지정된 일 영역에 터치 매핑 영역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 및 상기 터치 매핑 영역으로 할당된 구역의 좌표 범위와 상기 표시부 전체의 좌표 범위가 상호 매핑되도록 관리하여, 상기 터치 매핑 영역 내에서 터치 부재가 접촉된 터치 위치를 커서가 표시될 상기 표시부 내의 매핑 위치로 인식하는 터치 좌표 매핑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including a display portion on which a driving screen is displayed; A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unit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touch mapping area in a predetermined area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user's predetermined operation; And a coordinate range of the area allocated to the touch mapping area and a coordinate range of the entire display unit are mapped to each other so that a touch position in which the touch member is touched in the touch mapping area is mapped to a mapping position And a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for recognizing the touch coordinates.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는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더블 클릭 모드, 양손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lection mode, a drag mode, a double-click mode, and a two-hand mode.

상기 휴대형 장치는, 모드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의 변경 순서에 상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가압 이벤트, 상기 휴대형 장치의 흔들림 이벤트 및 터치 감지 수단에 대한 터치 이벤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that sets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change order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hen a mode change event is generated. Here, the mode chang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ing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a shaking eve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touch event for the touch sensing unit.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동일한 사용자 조작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Differ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in one or more operation modes for the same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커서가 이동 조작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커서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가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lection mod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and when the touch release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is generated The functional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can be selected.

상기 동작 모드가 드래그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스크롤 처리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mode is the drag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동작 모드가 양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mode is the both-handed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enlarged or reduced in correspondence with a direction of the dragging in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터치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된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커서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거리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크기와 상기 표시부의 크기 사이의 크기 비율에 따른 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that the cursor is moved and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distance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in the touch mapping area is configured to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iz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size of the display part .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이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세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커서가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부 또는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세부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 menu ic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one or more detailed menus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mapping area is activated, and when the cursor is located above the menu icon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커서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휠 컨트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휠 컨트롤의 조작을 위한 드래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above the wheel contr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drag mode for operation of the wheel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미리 지정된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가 터치 감응 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의 미리 지정된 일 영역에 터치 매핑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매핑 영역 내에서 터치 부재가 접촉되면, 터치 좌표 매핑부가 접촉된 터치 위치를 커서가 표시될 상기 표시부 내의 매핑 위치로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매핑 영역으로 할당된 구역의 좌표 범위는 상기 표시부 전체의 좌표 범위가 상호 매핑되도록 관리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는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더블 클릭 모드, 양손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a user's predetermined operation is input, the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unit activates a touch mapping area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display unit formed with a touch sensitive screen ; And a step of interpreting the touch position where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is touched as a mapp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where the cursor is to be displayed when the touch member is touched in the touch mapping area,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is at least one of a selection mode, a drag mode, a double-click mode, and a two-hand mode A method for operating a portable device is provided.

상기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은, 동작 모드 인식부가 모드 변경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 모드 인식부가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의 변경 순서에 상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가압 이벤트, 상기 휴대형 장치의 흔들림 이벤트 및 터치 감지 수단에 대한 터치 이벤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portable device may include: monitor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generates a mode change event; And when the mode change event is generated, the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may set an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a change order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Here, the mode chang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ing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a shaking eve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touch event for the touch sensing unit.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동일한 사용자 조작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Differ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in one or more operation modes for the same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커서가 이동 조작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커서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가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lection mod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and when the touch release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is generated The functional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can be selected.

상기 동작 모드가 드래그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스크롤 처리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mode is the drag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sc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동작 모드가 양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될 수 있다.If the operation mode is the both-handed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enlarged or reduced in correspondence with a direction of the dragging in the touch mapping area.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터치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된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커서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거리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크기와 상기 표시부의 크기 사이의 크기 비율에 따른 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that the cursor is moved and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distance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in the touch mapping area is configured to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 siz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size of the display part .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이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의 세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커서가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부 또는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세부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 menu ic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one or more detailed menus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mapping area is activated, and when the cursor is located above the menu icon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커서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휠 컨트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휠 컨트롤의 조작을 위한 드래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above the wheel contr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drag mode for operation of the wheel control.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의 크기 증대에 관계없이 한 손만으로도 휴대형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with only one hand regardless of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isplay portion.

또한 사용자의 표시부 터치 조작만으로 다양한 동작 모드의 선택 및 동작 모드별 차별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select various operation modes and differentially use them according to operation modes only by touching the display portion of the us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사용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매핑 영역의 활성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메뉴 활성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환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form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ation process of a touch mapp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tivating a function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vert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part," "unit," "module," "devic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Lt; / RTI >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multipl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gain in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매핑 영역의 활성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메뉴 활성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모드의 변환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tivating a touch mapping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process of activating a function menu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형 장치는 터치 감응 스크린(210), 매핑 처리 유닛(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휴대형 장치는 해당 장치가 구비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지상파 DMB 수신 수단 등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요지와는 다소 거리감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device may include a touch sensitive screen 210, a mapping processing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Of course,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multimedia processor, a terrestrial DMB receiving means, and the like in order to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device, but the descrip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somewhat remote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터치 감응 스크린(210)은 시각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여 입력부로서의 기능도 병행하여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이다. 터치 감응 스크린(210)은 통상적으로 스마트폰, 타블렛 피씨 등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touch sensing screen 210 is an input / output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as an input unit by sensing a touch operation of a user as well as performing a function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Since the touch sensing screen 210 is commonly used in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매핑 처리 유닛(220)은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221), 터치 좌표 매핑부(223), 동작 모드 인식부(225), 터치 요소 인식부(227) 및 조작 정보 처리부(2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pping processing unit 220 includes a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part 221, a touch coordinate mapping part 223, an operation mode recognition part 225, a touch element recognition part 227 and an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art 229 .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221)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터치 매핑 영역(320, 도 3 참조)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The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section 221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touch mapping area 320 (see FIG. 3) by a user operation.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 매핑 영역(320)은 표시부(305) 내의 일 영역으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터치 매핑 영역(3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표시부(305)를 통해 차별화되도록 표시되지는 않으나(예를 들어, 투명 처리) 미리 지정된 영역이 터치 매핑 영역(320)으로 기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물론, 활성화된 터치 매핑 영역(320)이 터치 패드나 표시부(30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등의 형태로 표시부(305)를 통해 이미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와 차별화되도록 표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preset to one area within the display unit 305 or may be assigned by a user. Whe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activa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activated so that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transparent processing) is not displayed to be differentiated through the display unit 305 but functions as the touch mapping area 320 . Of course, the activated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displayed so a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display information alread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05 in the form of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touch pad or the display unit 305 Of course.

예를 들어, 터치 매핑 영역(320)의 활성화를 위해 사용자는 터치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표시부(305)의 가장자리 영역 일 측으로부터 표시부(305)의 내측 영역으로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터치 위치(310)를 이동(즉, 드래그)시키거나(즉, 슬라이딩 방식인 도 3의 (a) 참조), 터치 매핑 영역(320)으로 미리 지정된 영역 내의 임의 위치에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즉, 롱 터치 방식인 도 3의 (b) 참조)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터치 매핑 영역(320)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activate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user can use the touch unit (e.g., a finger, a touch pen, etc.) to move from one side of the edge area of the display unit 305 to the inside area of the display unit 305 3 (a)). In this case, the touch location 310 is moved (i.e., dragged) to the touch mapping area 320 (See FIG. 3 (b), which is a long touch method), can be used. In addition, the manner in which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activated may vary.

이 경우, 터치 매핑 영역(320)의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조작인지 판단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제1 시간 이상 및 제2 시간 미만으로 터치가 유지되는지 여부, 조작된 드래그 거리가 미리 지정된 거리 이상인지 여부 등의 검증 알고리즘이 더 수행되도록 하여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 user operation is for activating the touch mapping area 320,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touch is maintained for a first time longer than the first time and less than the second time when the sliding method is used, Whether or not the distanc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further performed so that accurate determination can be made possible.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221)의 처리에 의해 터치 매핑 영역(320)이 활성화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5)의 일 영역(예를 들어, 표시부(305)에 표시된 표시 정보를 가리지 않는 위치 등)에 메뉴 기능 버튼(410)이 표시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Whe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activated by the process of the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section 221, the display area 305 of the display section 305 (for exampl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305) A menu function button 41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임의 위치에 대한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터치 위치(310)를 이동(드래그)시킴으로써, 표시부(305)에 표시된 커서(330)(예를 들어, 마우스 포인터 등)가 메뉴 기능 버튼(410)의 상부 또는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메뉴 기능 버튼(410)의 주변에 세부 메뉴(420)가 추가적으로 표시되고, 커서(330)가 임의의 서브 메뉴(420)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거나 더블 클릭된 경우 해당 세부 메뉴(420)가 실행되며, 커서(330)가 메뉴 기능 버튼(410) 및 세부 메뉴(420)가 표시되는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표시된 세부 메뉴(420)가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by moving (dragging) the touch position 310 while the user maintains the touch state for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cursor 330 (for example, When the cursor 330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the submenu 420 is additionally displayed around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The submenu 420 is executed when the user's touch is released or double-clicked. When the cursor 330 is outside the area where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and the submenu 420 are displayed The displayed detailed menu 420 may disappear.

커서(330)의 이동에 의해 표시되는 세부 메뉴(420)들은 사용자의 한 손 조작시 용이한 사용이 어려운 기능 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용이한 수행을 위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정보바(notification bar)(즉, 시간, 신호 수신 세기 등이 표시되는 바) 확장 메뉴, 홈 메뉴, 백 메뉴 등으로 다양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정 설정될 수도 있다.The submenus 420 displayed by the movement of the cursor 330 can be set for easy operation such as a function that is difficult for a user to easily operate with one hand of the user or a function or an application frequently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bar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i.e., the time, the signal reception intensity, etc.) may be expanded, or may be modified by a user hav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좌표 매핑부(223)는 터치 매핑 영역(320)의 크기와 표시부(305)의 크기 비율에 의해 각 영역 내의 위치 좌표가 상대 좌표로서 1:1 매핑되도록 처리함으로써,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에 대응되는 표시부(305) 내의 매핑 위치를 인식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즉, 터치 매핑 영역(320)의 좌측 상단 모서리는 표시부(305)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매핑되고, 터치 매핑 영역(320)의 우측 하단 모서리는 표시부(305)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매핑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223 processes the position coordinates in each area by 1: 1 mapping as relativ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and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305, And recognizes the mapp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305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310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see FIGS. 3 and 4). That is,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mapped to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display unit 305,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mapped to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display unit 305.

예를 들어, 표시부(305)의 크기가 가로 x 세로 2m x 2n이고, 터치 매핑 영역(320)의 크기가 m x n인 경우를 가정할 때,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임의의 위치(예를 들어, 위치 좌표 (10, 15))를 터치하였다면, 터치 좌표 매핑부(223)는 각 영역간의 크기 비율을 고려하여 표시부(305) 내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위치 좌표 (20, 30))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305 is width x length 2m x 2n and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mxn, when the user selects any posi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touch coordinates mapping unit 223 may calculate the position coordinates (e.g., position coordinates 20 and 30) in the display unit 305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ratio between the respective regions, ) Is recognized as being touched.

이와 같이, 터치 좌표 매핑부(223)가 각 영역간의 크기 관계를 고려하여 각 영역 내의 위치 매핑을 수행하기 때문에, 터치 매핑 영역(32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에 상응하도록 매핑된 표시부(305)의 특정 위치에 커서(330)를 위치시키고, 커서(330)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를 드래그시키면 커서(330)는 각 영역 간의 크기 비율에 따른 이동 스케일로 표시부(305) 내의 해당 위치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터치 매핑 영역(320)과 표시부(305)간의 크기 비율이 1:2이라면,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터치 위치(310)가 2픽셀 거리만큼 이동된 경우 표시부(305) 내에서 커서(330)는 4픽셀 거리만큼 이동되어 표시될 것이다.In this way, since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223 performs position mapping in each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re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areas, the touch coordinate area 320 is set to the touch posi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cursor 330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05 mapped to correspond to the touch mapping area 320 and the user moves the touch position 310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for movement of the cursor 330, 330 are move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305 at a moving scale according to the size ratio between the respective areas and displayed. For example, if the size ratio between the touch mapping area 320 and the display unit 305 is 1: 2, if the touch position 310 is shifted by 2 pixels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cursor 330 will be shifted by 4 pixels and displayed.

도 3 및 도 4에는 터치 매핑 영역(320)과 표시부(305)간의 크기 비율이 1:2인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터치 매핑 영역(320)의 크기가 이와 다르게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증감 변경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3 and 4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size ratio between the touch mapping area 320 and the display part 305 is 1: 2.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specified differently, Lt; / RTI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모드 인식부(225)는 터치 매핑 영역(320)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위한 동작 모드를 인식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operation mode recognition unit 225 recognizes an operation mode for processing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320.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유지 상태, 터치 유지 상태에서의 이동(드래그), 숏 터치, 롱 터치 등)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동작이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n the touch mapping area 320 (e.g., the user's touch holding state, the movement (drag) in the touch holding state, the short touch, the long touch, Lt; / RTI >

예를 들어, 동작 모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확대/축소 모드(양손 모드), 더블 클릭 모드 등으로 다양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자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표시부(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커서(330)의 형상도 변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mode may be a selection mode, a drag mode, an enlargement / reduction mode (two-handed mode), a double-click mode,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cursor 330 displayed on the hazard display portion 305 may also be set to be deformed.

예를 들어,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터치 유지 상태가 종료된 경우, 선택 모드로 동작하는 상황에서는 해당 위치에 상응하는 표시부(305)의 위치(즉, 커서(330)의 표시 위치)에 대한 선택 동작으로 인식되어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기능 요소(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기능 버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등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지만, 드래그 모드나 확대/축소 모드(양손 모드)에서는 아무런 동작도 수행되지 않거나 터치 매핑 영역(320)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더블 클릭 모드에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숏 클릭이 2회 존재하는 경우에만 표시부(305)의 커서(330) 위치에 존재하는 기능 요소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touch holding state for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terminate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05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sition (i.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ursor 330) (For example, one or more of hyperlinks, function buttons, application icons, and the like) existing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ut the drag mode or the zoom mode , No operation may be performed or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deactivated. In addition, in the double-click mode, the functional element existing 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of the display unit 305 may be recognized as being selected only when there are two short-click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터치 유지 상태에서의 이동(드래그)이 있는 경우, 선택 모드나 더블 클릭 모드에서는 커서(330)의 이동 조작이 수행되지만, 드래그 모드인 경우에서는 상응하는 방향으로 표시부(305)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의 스크롤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고, 확대/축소 모드(양손 모드)에서는 드래그 방향에 상응하여 표시 정보의 확대 또는 축소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When there is a movement (drag) in the touch holding state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cursor 330 is performed in the selection mode or the double-click mode, but in the drag mode, The scroll operation of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may be performed and in the zoom mode (both-hand mode), enlargement or reduction processing of the display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drag direction.

또한 각 동작 모드에서 또는 선택 모드 등에서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특정 위치에 대한 롱 터치는 표시부(305)의 대응되는 위치(즉, 커서 위치) 주변의 소정 영역에 대한 확대 명령으로 인식되거나,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롱 터치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되었다면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명령으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 Also, the long touch for a specific posi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n each operation mode or selection mode can be recognized as an enlargement instruction for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corresponding position (i.e., cursor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05, It may be recognized as a command for executing the function if the predetermined function is set to be executed at the time of the long touch.

확대 명령으로 인식되는 경우, 작은 텍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다수의 기능 버튼들이 밀집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확대 명령에 의해 커서(330)의 위치 주변의 표시 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정보 영역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롱 터치 상태 유지(즉, 지정 시간 이상의 터치 상태 유지)에 의해 실시간 생성될 수 있고, 정보 영역의 표시 위치는 커서(330)의 주변 영역이거나 미리 지정된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If the enlarged command is recognized, enlarged small text can be displayed or an area in which a large number of function buttons are densely displayed can be enlarged and displayed for convenience of the user. The information area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display information around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by the enlarge command can be generated in real time by, for example, maintaining the long touch state of the user (that is, holding the touch state for more than the designated tim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rea may be a peripheral area of the cursor 330 or an arbitrary predetermined position.

그리고, 정보 영역 내에 커서(330)가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드래그 조작을 하는 경우 해당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되는 정보가 상응하는 방향으로 스크롤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cursor 330 is positioned in the information area,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can be scrolled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다만, 정보 영역에 다수의 기능 버튼들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드래그 조작을 수행하면, 정확한 기능 버튼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보 영역 내의 표시 정보가 스크롤되지 않고 커서(330) 이동 조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드래그 조작을 수행한 경우, 정보 영역 내의 정보에 대한 스크롤 조작이 수행되지만,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된 시점에서 커서(330)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 버튼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However, when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ar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if the user performs the drag opera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display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is not scrolled, (330) mov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erforms the drag opera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scrol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area. However, when the touch to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released The selection of the function butt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may be input.

정보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확대된 표시 정보가 텍스트인지, 기능 버튼 등인지의 해석 및 판단은 예를 들어 표시 정보에 상응하도록 소스코드 등에 내재되는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interpretation and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nlarged displa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rea, such as text, function buttons, etc., can be performed using class information for each object embedded in the source code or the like, for examp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 information.

이와 같이 다양한 동작 모드 간의 변경은 예를 들어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이벤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압 횟수에 따라 각 동작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가압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실제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엄지 손가락 끝으로 표시부(305)를 누르는 동작을 의미한다. The change between the various operation modes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a pressing event of the user for the touch mapping area 320. As illustrated in FIG. 5, each operation mode is sequenti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ressing times It will be possible. In this specification, pressurization refers to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display unit 305 with the thumb end, for example, as if the user actually presses the button while keeping the touch on the touch mapping area 320 with the thumb.

만일 터치 감응 스크린(210)이 표시부(305)에 가해지는 압력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면 소정의 압력값 이상인 압력이 감지되면 가압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 끝으로 표시부(305)를 누르는 동작을 하는 경우 터치 감응 스크린(210)과 손가락이 접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인식된 접촉 면적의 소정의 크기 이상인 경우 가압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가압 이벤트의 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f the touch sensing screen 210 is implemented to recogniz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305,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re is a pressure event when a press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is sensed. Of course,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305 with the tip of the thumb,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uch sensing screen 210 and the finger becomes large. If the touch area is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contact area, You may. In addition, the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pressurized event is occurring may be various and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a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동작 모드 인식부(2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이벤트의 인식에 의해 동작 모드의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5)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휠 컨트롤(610)의 상부에 커서(330)가 위치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드래그 모드로 자동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매핑 영역(320)을 이용한 드래그 조작에 의해 표시부(305)에 디스플레이된 휠 컨트롤(610)이 회전 조작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커서(330)가 휠 컨트롤(610)이 표시된 영역 외부로 이동되는 경우 드래그 모드로의 자동 변경 이전에 설정된 동작 모드로 복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을 것이다.The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225 may perform the operation mode changing process by recognizing the press event as described above.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 6, the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225 may include a wheel control unit 610 The wheel control 6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by the drag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320 of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drag mode when the cursor 3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t may be rotated. At this time, the cursor 330 may be programmed to return to the operation mode set before the automatic change to the drag mode when the wheel control 610 is moved out of the displayed area.

표시부(305)에 표시된 커서(330) 위치에 존재하는 표시 정보가 텍스트인지, 휠 컨트롤(610) 등인지의 해석 및 판단은 예를 들어 표시 정보(예를 들어, 웹 페이지, 원격 제어되는 퍼스널 컴퓨터 디스플레이 화면 등)에 상응하는 소스코드 등에 내재되는 각 오브젝트들에 대한 클래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interpretation and judgment of whether the display information present 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is a text or a wheel control 610 can be performed by using display information (for example, a web page, A display screen, or the like), and the like.

이제까지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가압 이벤트 발생 방법, 커서(330)의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정보의 클래스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The method of generating the press event and the method of using the class information of the display information located under the cursor 330 have been mainly described as a method of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그러나 가압 이벤트는 동작 모드의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이벤트의 일 예로서, 모드 변경 이벤트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형 장치가 미리 지정된 패턴으로 흔들리는지 여부에 대한 흔들림 이벤트 또는, 표시부(305) 이외의 터치 감응 스크린이나 터치 패드 등의 터치 감지 수단이 휴대형 장치의 일측(예를 들어, 휴대형 장치의 배면 영역 등)에 추가로 구비되고 해당 터치 감지 수단에 대한 터치 여부인 모드 변경용 터치 이벤트 등이 이에 해당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surized event is an example of a mode change event for chang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mode change event, for example, a swing event about whether or not the portable device shak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using a gyro sensor or the like, 305) is addition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for example, a rear area of the portable device, etc.), and a touch for mode change This may be an event.

추가로 예시된 모드 변경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 및 요구되는 구성 수단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사항을 토대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mode change event further exemplified and the required configuration mean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요소 인식부(227)는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에 대응되도록 터치 좌표 매핑부(223)에 의해 인식된 표시부(305) 내의 위치(즉, 커서(330)의 표시 위치)에 존재하는 기능 버튼 및/또는 하이퍼링크 등에 해당되는 기능 요소를 인식한다. 터치 요소 인식부(227)는 다양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예를 들어 선택 모드, 더블 클릭 모드 등에서 터치가 해제된 시점 또는 더블 클릭된 시점에서의 커서(330)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2, the touch element recognizing unit 227 recognizes the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305 recognized by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223 so as to correspond to the touch position 310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ursor 330) and / or the hyperlink. The touch element recognizing unit 227 recognizes a func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at a point of time when the touch is released or double-clicked, for example, in a selection mode or a double-click mode among various operation modes You can do it.

만일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에 대응되는 표시부(305) 내의 커서(330) 위치에 둘 이상의 기능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터치 요소 인식부(227)는 예를 들어 해당 커서(330)의 위치에 가장 인접된 기능 요소가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If there are two or more function elements 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in the display unit 305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310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touch element recognition unit 227 recogniz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functional element closest to the position of the functional element 330 is selected.

조작 정보 처리부(229)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동작 모드에서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의 터치 유지 상태, 터치 유지 상태에서의 이동(드래그), 숏 터치, 롱 터치 등)에 따른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사용자 조작이 동일할지라도 각 동작 모드별로 처리되는 동작이 상이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9 is configured to perform a user operation on the touch mapping area 320 in the operation mode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a user's touch holding state, a movement in a touch holding state, a short touch, Etc.) to be performed. Although the user operation is the same, the operations to be performed for the respective operation mod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저장부(230)에는 터치 매핑 영역(320)의 지정 위치(예를 들어, 좌측 하단, 우측 하단, 우측 상단 등), 크기, 메뉴 기능 버튼(410)의 표시 위치, 표시될 세부 메뉴(420), 동작 모드의 종류, 각 동작 모드 간의 변경 순서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에는 각 동작 모드 별로 표시부(305)에 표시될 커서(330)의 형상 이미지가 더 저장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30 stores a designation position (e.g., a left lower end, a lower right end, a right upper end, etc.)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a size, a display position of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 The type of the operation mode, the order of change between the operation modes, and the like can be stored. The storage unit 230 may further store a shape image of the cursor 33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for each operation mode.

제어부(240)는 도시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치 좌표 매핑부(223)로부터 터치 매핑 영역(320)의 터치 위치(310)에 상응하는 표시부(305)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위치에 커서(330)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동작 모드 인식부(225)에 의해 구동될 동작 모드 정보가 제공되면 표시부(305)에 표시되는 커서(330)의 형상 이미지가 갱신되도록 처리하며, 터치 요소 인식부(227)에 의해 사용자 조작에 따른 표시부(305) 내의 커서(330) 위치가 결정되면 해당 커서(330)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가 실행되도록 하고, 조작 정보 처리부(229)로부터 지정된 동작 모드에 상응하는 사용자 조작 정보(예를 들어, 터치 상태 해제, 드래그 등)가 제공되면 해당 사용자 조작 정보가 해당 동작 모드에 상응하여 기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305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310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provided from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223, the cursor 330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operation mode information to be driven by the operation mode recognition unit 225 is provided, the shape image of the cursor 33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is updated so that the touch element recognition unit 227 When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in the display unit 305 is determined, a func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is executed, and the user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specifi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29 (for example, Touch state release, drag, etc.) is provided, the corresponding user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so as to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휴대형 장치는 단계 710에서 터치 매핑 영역(320)의 지정 위치(예를 들어, 좌측 하단, 우측 하단, 우측 상단 등), 크기, 메뉴 기능 버튼(410)의 표시 위치, 표시될 세부 메뉴(420), 동작 모드의 종류, 각 동작 모드 간의 변경 순서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710, the portable device displays the designated location (e.g., lower left, lower right, upper right, etc.)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siz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nu function button 410, The detailed menu 420 to be set, the type of operation mode, the change order between the operation modes, and the like.

단계 715에서 휴대형 장치는 터치 매핑 영역(320)이 활성화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터치 매핑 영역(320)은 예를 들어 메뉴 항목의 선택, 기능 버튼의 선택,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슬라이딩 방식, 롱 터치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In step 715, the port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requested to be activated.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activated by one or more of, for example, selection of a menu item, selection of function buttons, a sliding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long touch method, and the like.

만일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활성화 요청이 없다면 단계 710으로 다시 진행하거나 단계 715에서 대기한다. If there is no activation request for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710 or waits at step 715.

그러나 만일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활성화 요청이 있다면, 표시부(305) 영역 중 일 영역(즉, 단계 710에서 저장된 설정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및 크기)에 터치 매핑 영역(320)을 할당하고 단계 720으로 진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매핑 영역(320)은 지정된 크기 및 위치로 할당된 투명한 가상의 제어 영역으로 할당되거나, 표시 정보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 등의 형태로 차별화 표시될 수 있다.However, if there is an activation request for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touch mapping area 320 is allocated to one area of the display area 305 (i.e., the position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step 710) Proceed to 720.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allocated to a transparent virtual control area allocated to a designated size and position, or differentiated in the form of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information.

휴대형 장치는 단계 720에서 터치 매핑 영역(320) 내부의 임의 위치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The portable device senses a touch to any location with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at step 720. [

감지된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위치(310)는 터치 좌표 매핑부(223)에 의해 표시부(305) 내의 매핑 위치로 해석되고, 제어부(240)의 처리에 의해 해석된 매핑 위치에 지정된 동작 모드에 상응하는 커서(330)의 형상 이미지가 표시될 것이다. The touch position 310 in the sensed touch mapping area 320 is interpreted as a mapp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305 by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223 and the operation specified in the mapping position interpreted by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 unit 240 The shape image of the cursor 330 corresponding to the mode will be displayed.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매핑 영역(320) 내에서 드래그 조작(즉,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터치 위치(310)를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을 수행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된 동작 모드에 상응하여 표시부(305)에 표시된 커서(330)가 이동 조작되거나, 표시부(305)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가 스크롤 또는 확대/축소 조작될 것이며, 임의의 위치에서 롱 터치 상태가 유지(즉, 지정 시간 이상의 터치 상태 유지)되면 커서(330)의 현재 위치 주변의 소정 영역이 확대되어 할당된 정보 영역 내에 표시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performs a drag operation (i.e., an operation of moving the touch position 310 to an arbitrary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touch is maintained)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The cursor 33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is operated to move or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5 is to be scrolled or zoomed in or out. A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ursor 330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allocated information area.

이외에도, 사용자의 터치 상태 해제, 터치 상태 해제 이전에 숏 터치 상태 또는 롱 터치 상태 유지, 더블 클릭 등의 다양한 사용자 조작이 각 동작 모드에서 달리 기능하거나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In addition, various user operations such as a user's touch state release, a short touch state, a long touch state maintenance, and a double click prior to the release of the touch state may function differently in each operation mode or may function in the same oper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단계 725에서 휴대형 장치는 단계 72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됨에 관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725, the portable device determines whether a touch-release event related to the disconnection of the user's touch sensed in step 720 has occurred.

만일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단계 730에서 휴대형 장치는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에서의 터치 매핑 영역(320) 내의 터치 해제 위치에 매핑되는 표시부(305) 내의 커서(330) 위치에 임의의 기능 요소(예를 들어, 하이퍼링크, 기능 버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등)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f the touch cancel event has occurred, the portable device at the position of the cursor 330 in the display unit 305, which is mapped to the touch release position in the touch mapping area 320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touch release event, (E.g., a hyperlink, a function button, an application icon, etc.) exists.

만일 기능 요소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 720으로 다시 진행한다.If none of the functional elements are present, step 720 is performed again.

그러나 만일 임의의 기능 요소가 존재한다면, 휴대형 장치는 단계 735에서 해당 기능 요소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However, if there is any functional element, the portable device execute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al element in step 735. [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터치 매핑 영역(320)이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터치 매핑 영역(320)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touch cancel event as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maintained in an activated state, but the touch mapping area 320 may be inactivated.

다시 단계 725를 참조하여, 만일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단계 740에서 터치 감응 스크린(210)에 대한 가압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Referring again to step 725, if a touch release event has not occurred, it is determined in step 740 whether a press event for the touch response screen 210 has occurr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이벤트는 사용자가 임의의 터치 부재(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 펜 등)으로 터치 매핑 영역(320)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실제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터치 부재의 끝으로 표시부(305)를 누르는 동작(즉, 터치 감응 스크린(210)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s event, when the user holds the touch of the touch mapping area 320 with an arbitrary touch member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the like) (That is, an operation of increasing the pressure or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touch sensitive screen 210).

만일 가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면, 휴대형 장치는 단계 745에서 가압 이벤트의 발생에 부합되도록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확대/축소 모드(양손 모드), 더블 클릭 모드 등)를 변경하고, 단계 720으로 다시 진행한다. If a pressurization event has occurred, the portable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operating mode of the portable device (e.g., select mode, drag mode, zoom mode (double-handed mode), double-click mode, etc.) And proceeds to step 720 again.

동작 모드의 변경은 앞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압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각 동작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 지정될 수 있으며, 변경될 동작 모드의 유형 및 변경 순서는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de can be sequen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ccurrence of the pressurization event, and the type and change order of the operation mode to be changed can be specified in advance or changed by the user .

상술한 휴대형 장치의 커서를 이용한 조작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method using the cursor of the portable device may be performed by an automated procedure in a time series sequence by a built-in program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readable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is read and execut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method.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210 : 터치 감응 스크린 220 : 매핑 처리 유닛
221 :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 223 : 터치 좌표 매핑부
225 : 동작 모드 인식부 227 : 터치 요소 인식부
229 : 조작 정보 처리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305 : 표시부
310 : 터치 위치 320 : 터치 매핑 영역
330 : 커서 410 : 메뉴 기능 버튼
610 : 휠 컨트롤
210: touch sensitive screen 220: mapping processing unit
221: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part 223: Touch coordinate mapping part
225: Operation mode recognition unit 227: Touch element recognition unit
229: Ope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0:
240: control unit 305: display unit
310: touch location 320: touch mapping area
330: Cursor 410: Menu function button
610: Wheel Control

Claims (20)

휴대형 장치에 있어서,
구동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 스크린;
사용자의 미리 지정된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의 미리 지정된 일 영역에 터치 매핑 영역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 및
상기 터치 매핑 영역으로 할당된 구역의 좌표 범위와 상기 표시부 전체의 좌표 범위가 상호 매핑되도록 관리하여, 상기 터치 매핑 영역 내에서 터치 부재가 접촉된 터치 위치를 커서가 표시될 상기 표시부 내의 매핑 위치로 인식하는 터치 좌표 매핑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
In a portable device,
A touch response screen including a display portion on which a driving screen is displayed;
A touch mapping area management unit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touch mapping area in a predetermined area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user's predetermined operation; And
The coordinate range of the area allocated to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coordinate range of the entire display unit are mapp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ouch position in which the touch member is touched in the touch mapping area is recognized as a mapp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And a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는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더블 클릭 모드, 양손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lection mode, a drag mode, a double-click mode, and a two-hand mode.
제2항에 있어서,
모드 변경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의 변경 순서에 상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모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가압 이벤트, 상기 휴대형 장치의 흔들림 이벤트 및 터치 감지 수단에 대한 터치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n operation mode recognizing unit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order of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hen a mode change event is generated,
Wherein the mode change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ss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a shake eve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touch event for the touch sensing mean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동일한 사용자 조작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different processes are performed in one or more operation modes for the same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커서가 이동 조작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커서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lection mod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and when the touch release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is generated And a func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cursor position is sel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드래그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스크롤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drag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c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being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양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mapping area is dragge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wo-handed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터치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된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커서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거리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크기와 상기 표시부의 크기 사이의 크기 비율에 따른 비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that the cursor is moved and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distance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in the touch mapping area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 ratio of magnitude between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size of the display part.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이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세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커서가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부 또는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세부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ouch mapping area is activated, a menu ic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one or more detailed menus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nu icon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휠 컨트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휠 컨트롤의 조작을 위한 드래그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is switched to the drag mode for operation of the wheel control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wheel contr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미리 지정된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터치 매핑 영역 관리부가 터치 감응 스크린으로 형성된 표시부의 미리 지정된 일 영역에 터치 매핑 영역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매핑 영역 내에서 터치 부재가 접촉되면, 터치 좌표 매핑부가 접촉된 터치 위치를 커서가 표시될 상기 표시부 내의 매핑 위치로 해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매핑 영역으로 할당된 구역의 좌표 범위는 상기 표시부 전체의 좌표 범위가 상호 매핑되도록 관리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는 선택 모드, 드래그 모드, 더블 클릭 모드, 양손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portable device,
Activating a touch mapping area in a pre-designated area of a display unit formed with a touch sensitive screen, when the user's predetermined operation is input; And
And a step of interpreting the touch position where the touch coordinate mapping unit is touched as a mapping position in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cursor is to be displayed when the touch member is touched in the touch mapping area,
The coordinate range of the area allocated to the touch mapping area is managed so that the coordinate ranges of the entire display area are mutually mapped,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lection mode, a drag mode, a double-click mode, and a two-hand mode.
제11항에 있어서,
동작 모드 인식부가 모드 변경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 모드 인식부가 미리 지정된 동작 모드의 변경 순서에 상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변경 이벤트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가압 이벤트, 상기 휴대형 장치의 흔들림 이벤트 및 터치 감지 수단에 대한 터치 이벤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Monitor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recognizing attachment mode change event has occurred;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mode change event occurs, setting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 change order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herein the mode change ev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ress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a shake event of the portable device, and a touch event for the touch sensing me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을 이용한 동일한 사용자 조작에 대해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서 상이한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ifferent processes are performed in one or more operation modes for the same user operation using the touch mapping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선택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커서가 이동 조작되고, 상기 터치 매핑 영역에 대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의 커서 위치에 상응하는 기능 요소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lection mod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and when the touch release event for the touch mapping area is generated And a func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a cursor position is selec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드래그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터치 위치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스크롤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drag mode, the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c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uch position dragged in the touch mapping are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가 양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드래그되는 방향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정보가 확대 또는 축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of the dragging in the touch mapping area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wo-handed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내부에서 터치 상태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된 거리에 상응하여 상기 커서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거리는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의 크기와 상기 표시부의 크기 사이의 크기 비율에 따른 비례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istance that the cursor is moved and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ragged distance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in the touch mapping area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a ratio of magnitude between the size of the touch mapping area and the size of the display part. The method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매핑 영역이 활성화되면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세부 메뉴의 선택 및 실행을 위한 메뉴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커서가 상기 메뉴 아이콘의 상부 또는 미리 지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세부 메뉴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touch mapping area is activated, a menu icon for selecting and executing one or more detailed menus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curso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nu icon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휠 컨트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휠 컨트롤의 조작을 위한 드래그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device is switched to the drag mode for operation of the wheel control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wheel contro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형 장치의 조작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for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9.
KR1020130024283A 2013-03-07 2013-03-07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KR201401102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83A KR20140110262A (en) 2013-03-07 2013-03-07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283A KR20140110262A (en) 2013-03-07 2013-03-07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262A true KR20140110262A (en) 2014-09-17

Family

ID=5175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283A KR20140110262A (en) 2013-03-07 2013-03-07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26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396A (en)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20170097751A1 (en) * 2015-10-05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US11079895B2 (en) 2014-10-1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396A (en) * 2014-10-15 2016-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11079895B2 (en) 2014-10-15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70097751A1 (en) * 2015-10-05 2017-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0242B2 (en) Edge-based hooking gestures for invoking user interfaces
EP323231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101810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101384857B1 (en)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102058990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48587B2 (en)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48714B2 (en)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EP3244296A1 (en) Touch event model
EP229935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5993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4061098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US91707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interacting according to recognized user approach
WO2013039521A1 (en) Control area for a touch screen
US20140055385A1 (en) Scaling of gesture based input
WO2010032268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aphical objects
CN103384872A (en) Control area for facilitating user input
US20130239032A1 (en) Motion based screen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58455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40110262A (en)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cursor
JP2011081447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KR101598671B1 (en) Keyboard hav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6327B1 (en) A touch and cursor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6095527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executabl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