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165A -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165A
KR20140110165A KR1020130023030A KR20130023030A KR20140110165A KR 20140110165 A KR20140110165 A KR 20140110165A KR 1020130023030 A KR1020130023030 A KR 1020130023030A KR 20130023030 A KR20130023030 A KR 20130023030A KR 20140110165 A KR20140110165 A KR 2014011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dynamic content
progra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3002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0165A/ko
Publication of KR2014011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2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06F21/445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by mutual authentication, e.g. between devices or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은,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이종 단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 중 제1 단말의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제2 단말의 통신 접속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은 제1 단말을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로 제공되기로 지정된 동적 컨텐츠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제각기 표시된다.

Description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Method for Safety Using of Sit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 중 사이트에 접속할 어느 한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다른 단말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한 단말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어느 한 단말로 상기 다른 단말에 표시된 동적 컨텐츠와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한 단말을 통해 상기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사이트에 안심하고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피싱(phishing)은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어 악용하기 위한 사기수법이다. 대표적으로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는 보이스 피싱과 진성 사이트와 같은 피싱 사이트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는 사이트 피싱 등으로 구분된다.
파밍(Pharming)은 합법적인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DNS 또는 프록시서버의 주소를 변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더라도 이를 자동으로 피싱 사이트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알아내기 위한 사기수법이다. 대부분 사용자의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심어놓고 사용자가 ‘즐겨찾기’ 또는 ‘포털사이트검색’을 통해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하는 분명한 의도와 절차를 거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했던 진성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의 피싱 사이트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자동 연결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파밍은 사용자가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정확한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악성코드에 의해 자동으로 피싱 사이트로 연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재 접속한 사이트가 진성 사이트인지 피싱 사이트인지 구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피싱 또는 파밍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제한된 기술들은, i)피싱 사이트를 탐지 또는 차단하는 방식, ii)단말 측에 설치된 악성코드를 주기적으로 탐지 또는 차단하는 방식, iii)사용자의 인증 과정에 제3자 개입이나 해킹의 가능성을 탐지 또는 차단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주로 이용되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도 피싱/파밍이 방지될 수도 있다. 그러나 i)의 방식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는 수많은 피싱 사이트들을 끊임없이 탐지하고 차단해야 하는 끊임없는 무한의 노력이 반복되어야 하고, ii)의 방식은 단말 측에 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해야 하고, iii)의 방식은 사용자 인증 과정이 복잡해지고 불편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부하거나 어느 한 순간이라도 소홀히 하면 무효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다른 단말로 제공 또는 표시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을 통해 입력받고,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어느 한 단말로 상기 다른 단말에 표시된 동적 컨텐츠와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종의 단말에 표시된 동적 컨텐츠를 근거로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된 후에 상기 이종의 단말 중 적어도 일 측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은,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이종 단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 중 제1 단말의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제2 단말의 통신 접속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은 제1 단말을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로 제공되기로 지정된 동적 컨텐츠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제각기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로서 상기 제2 단말의 통신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 데이터는, 지정된 유효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통해 표시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되는 동적 컨텐츠는 상기 인증 데이터와 커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와 함께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는, 저장된 N(N>1)개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제n(1≤n≤N) 컨텐츠가 선택되거나, 또는 지정된 컨텐츠 생성 규칙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되어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회용코드,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서버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기 제1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과 서버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서버가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입증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가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메모리(또는 IC칩)에 저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수신된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가 상기 서버와 제휴된 별도의 서버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 정보를 수신한 별도의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 정보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가 수신 또는 인증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접속한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 입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 동적으로 결정된 동적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았지만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음이 명백한 별도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이용하는 단말을 통해 현재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가 정당한 서버 또는 사이트인지 명백하게 실시간 입증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음이 명백한 별도의 단말로 인증 데이터를 제공 또는 표시한 후에 이를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가 이용하며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이종 단말을 매칭 식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로 표시되는 동적 컨텐츠는 고정된 컨텐츠가 아니라 서버 또는 사이트 접속 시점에 동적으로 결정되는 컨텐츠이기 때문에 해커가 이를 감지하여 피싱 사이트를 통해 가짜로 구현하려고 해도 구현 자체가 불가능함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이용하는 단말을 통해 현재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가 정당한 서버 또는 사이트인지 명백하게 실시간 입증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로 표시되는 동적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요청하지도 않고 설령 해커가 입력을 요청하여 탈취하려고 해도 입력될 수 없기 때문에 해커가 이를 탈취하여 피싱 사이트를 통해 가짜로 구현하려고 해도 구현 자체가 불가능함으로,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현재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가 정당한 서버 또는 사이트인지 명백하게 실시간 입증하는 이점이 있다.
도면1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3는 본 발명의 제2 단말과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단말의 회원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단말의 회원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8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의 동기화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125)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100)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100)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125)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100) 중 사이트에 접속할 어느 한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다른 단말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 또는 표시하여 상기 어느 한 단말로 입력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어느 한 단말과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다른 단말로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한 단말을 통해 상기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사이트에 안심하고 접속하도록 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매체 분리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둘 이상의 이종의 단말(100)과, 상기 이종의 단말(100) 중 사이트에 접속할 어느 한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다른 단말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 또는 표시하여 상기 어느 한 단말로 입력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어느 한 단말과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다른 단말로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처리한 후에, 필요에 따라 상기 이종의 단말(100) 중 적어도 일 측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하는 서버 측(125)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서버 측(125)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되며, 서버 측(125)이 구현되는 사업자 또는 기관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란, 사용자가 이용하는 둘 이상의 단말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조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매체 분리는 ‘전자금융감독규정 제34조(전자금융거래시 준수사항) 제2항 제5호’의 매체 분리일 수 있으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유선단말(예컨대, 개인 컴퓨터)와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무선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은 물리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접속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각기 독립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별도의 단말이라면, 설령 각 단말이 동종의 통신망에 접속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들어, 가정에 동종의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와 IPTV가 구비된 경우, 상기 컴퓨터와 IPTV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다중 접속/통신 가능한 단말이라면, 설령 그 단말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단말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인증 데이터가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제공 또는 표시된 후 입력되어 수신되는 조건 또는 본 발명의 동적 컨텐츠가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조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들어, 교환기를 경유하는 이동전화망과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는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은 물리적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조건을 매체 분리의 독립성으로 간주하여 이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 본 발명의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유지되는 이종의 단말(100)’이란,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단말일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후 입력되어 수신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동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분리된 단말일 수도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유지되는 이종의 단말(100)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에 접속하는 어느 한 단말과, 상기 어느 한 단말과 매체 분리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어느 한 단말에 표시되는 동적 컨텐츠와 동일한(또는 당업자가 정한 기준 범위 내에서 유사성이 인정되는)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이종의 단말(100) 중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에 접속하고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는 어느 한 단말을 ‘제1 단말(105)’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될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되고 상기 제1 단말(105)에 표시되는 동적 컨텐츠와 동일한(또는 당업자가 정한 기준 범위 내에서 유사성이 인정되는)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는 다른 단말을 ‘제2 단말(115)’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의 개수와 각 단말의 형태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확장 또는 변형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확장 또는 변형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에 접속하는 제1 단말(10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고 제2 단말(115)로 인증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제2 단말(11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은 제1 단말(105)로 인증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제1 단말(10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되고 제2 단말(11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는 실시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105)에도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또는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모듈(바람직하게,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 대응)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단말(105)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둘 이상의 이종의 단말(100) 중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 측(125)에 접속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컴퓨터,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단말,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단말,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 상기 사용자의 유선음성통화장치, 무선음성통화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단말, 상기 사용자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단말, 사용자의 TV시청을 위한 IPTV, 스마트TV 등의 TV단말,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금융단말, 키오스크(KIOSK)를 포함하는 정보단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가전단말, 통신 기능이 구비된 운동기기,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둘 이상의 이종의 단말(100) 중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개인컴퓨터, 노트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단말,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단말,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 상기 사용자의 유선음성통화장치, 무선음성통화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단말, 상기 사용자의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단말, 사용자의 TV시청을 위한 IPTV, 스마트TV 등의 TV단말, 상기 사용자의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금융단말, 키오스크(KIOSK)를 포함하는 정보단말,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가전단말, 통신 기능이 구비된 운동기기, RFID 리더를 구비한 RFID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5)은 제1 통신망을 통해 서버 측(125)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115)은 상기 제1 통신망 이외에 이종의 제2 통신망을 통해 서버 측(125)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단말(105)이 유선 통신망(예컨대, TCP/IP 기반의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다면 상기 제2 통신망을 무선 통신망(예컨대, 이동 통신망(CDMA, LTE 등), 휴대인터넷, 무선랜, 와이파이,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망 등)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105)이 데이터망(예컨대,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는 패킷교환방식 망)을 통해 접속한다면 상기 제2 단말(115)은 전화망(예컨대, 교환기를 경유하는 회선교환방식 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이 반드시 이종의 통신망을 통해 서버 측(125)에 접속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매체 분리의 독립성만 유지된다면 동종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서버 측(125)은 매체 분리의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둘 이상의 이종의 단말(100) 중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제1 단말(105) 이외에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의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한 후에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수신하여 인증하거나,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동시에 표시되도록 처리한 후에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105)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측(125)은, 제1 단말(105)이 접속함에 따라 제1 단말(10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제1 단말(105)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110)와, 제2 단말(11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제1 단말(105)과 통신하는 제2 서버(120) 및 제1 단말(105) 및 제2 단말(115)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제2 단말(115)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한 후에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증하고,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동시에 표시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중 일 측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105)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서버 측(125)이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가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가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1 서버(110)와 제2 서버(120) 및 서버(200)가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등,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예를 조합/응용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1 서버(110)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1 단말(105)이 접속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통해 서버 정당성을 입증 받아야 하는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 받아야 하는 진성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이다. 즉, 피싱(Phishing) 또는 파밍(Pharming)의 대상이 되는 서버는 모두 본 발명의 제1 서버(110)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서버(110)는 금융기관(예컨대, 시중은행, 카드사, 증권사, 보험사, 저축은행, 대출은행, 펀드운영사 등 관련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금융업을 제공하는 모든 기관을 포함)이 운영하는 서버, 게임(예컨대, MMORPG 게임 등)을 제공하는 서버, 전자상거래(예컨대, 쇼핑몰, 아이템거래, 컨텐츠 제공 등)를 제공하는 서버 등을 포함하며, 피싱/파밍의 대상이 되는 서버라면 모두 본 발명의 제1 서버(110)에 해당한다.
상기 제1 서버(110)는 제1 단말(105)의 접속 요청(예컨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접속 요청)에 따라 제1 단말(105)이 이용하는 통신망(또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단말(105) 측에 대한 제1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받아 회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10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서버(200)와 공유하여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식별 값(예컨대, 회원정보의 회원ID, 또는 회원정보와 매칭되는 매칭ID 등)을 획득(예컨대, 제1 서버(11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서버(200)로 공유, 서버(20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제1 서버(110)로 공유)하여 상기 회원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10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를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예컨대, 제2 단말(115)의 전화번호, 고정 네트워크 주소 등)와 상기 고유 식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을 식별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서버(200)로 상기 확인된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5) 측에 대한 제2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할 사용자의 제1 단말(105)을 식별하는 제1 단말 식별 값(예컨대, 제1 단말(105)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H/W 구성품에 할당된 고유 값)을 획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등록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제1 단말(105)의 접속에 따라 상기 제1 단말 식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105)의 식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저장된 제1 단말 식별 값과 비교(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의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서버(200)와 공유하여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식별 값을 획득(예컨대, 제1 서버(11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서버(200)로 공유, 서버(20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제1 서버(110)로 공유)하여 상기 제1 단말 식별 값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단말(10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를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와 상기 고유 식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 식별 값은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을 식별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서버(200)로 상기 확인된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5) 측에 대한 제3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내지 제2 식별 방법을 조합하여 제1 단말(105) 및/또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서버(200)로 상기 고유 식별 값 및/또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는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12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에서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115)과 통신 가능한 서버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105)과의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사용자의 제2 단말(115)과 통신 가능한 서버라면 모두 본 발명의 제2 서버(120)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1 단말(105)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이고, 상기 제2 단말(115)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폰이라면,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폰이 접속한 통신사에 구비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105)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이고, 상기 제2 단말(115)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이라면,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이 접속한 통신사에 구비된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을 제공 및 운영하는 기관(또는 사업자 측)에 구비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받아 회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11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이다.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를 상기 서버(200)와 공유하여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식별 값(예컨대, 회원정보의 회원ID, 또는 회원정보와 매칭되는 매칭ID 등)을 획득(예컨대, 제2 서버(12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서버(200)로 공유, 서버(200)에서 고유 식별 값을 생성하여 제2 서버(120)로 공유)하여 상기 회원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115)의 접속 또는 사용자 로그인을 근거로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를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120)는 제2 단말(115)이 이용하는 통신망(또는 제2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단말(115)로 지정된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예컨대, 문자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푸시 메시지(예컨대, APNS/C2DM을 통해 발송되는 푸시 메시지) 등)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에 상기 제2 서버(12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2 단말(115)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2 서버(120)는 제2 단말(115)이 이용하는 통신망(또는 제2 통신망)을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 측에 대한 제1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버(120)가 상기 제2 단말(115)이 가입한 통신사의 서버인 경우,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를 가입자로 가입받아 가입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115)의 망 접속을 근거로 상기 제2 단말(115) 및/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 측에 대한 제2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버(120)가 상기 제2 단말(115)로 메시지 발송이 가능한 서버인 경우, 상기 제2 서버(120)는 메시지 발송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저장 및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서버(120)가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은 상기 제2 단말(115)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서버(120)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은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푸시 식별 값(예컨대, 푸시 토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 측에 대한 제3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115)에 상기 제2 서버(12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을 식별하는 앱 식별 값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말(115)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또는 동작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315)과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프로그램(315)과의 통신 결과로서 상기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앱 식별 값은 상기 제2 단말(115)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탑재(또는 최초 구동)되는 시점에 상기 제2 단말(115) 또는 제2 서버(120) 중 일 측에 의해 생성되어 다른 측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제2 서버(120)가 지정된 키 교환 프로토콜에 따라 키를 교환하여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 측에 대한 제4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식별 방법을 조합하여 제2 단말(115) 및/또는 사용자 및/또는 프로그램(315)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단말(105)과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서버로서, 동적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예컨대,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하는 서버의 총칭이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직접 연결된 통신채널 또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105)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서버(200)는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서버(110)와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는 동일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이거나 또는 다른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서버(110)는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이고, 상기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과 제휴하여 각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기관에 구비된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서버(110)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직접 제1 서버(110)의 정당성을 입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가 운영하는 진성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는 동일한 사업자(또는 기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 구현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단말(105)과 간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 구현되더라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단말(115)과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서버로서, 동적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예컨대,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하는 서버의 총칭이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직접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를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2 단말(11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예컨대, 인증 데이터는 서버 측(125)에서 생성되어 제2 단말(115)로 제공된 후 프로그램(315)을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생성되어 표시 가능)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서버(120)와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는 동일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이거나 또는 다른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서버(120)는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이고,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기관에 구비된 서버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단말(115)에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2 서버(120)는 프로그램(315)을 운영하는 사업자 측에 구비된 서버 또는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푸시 서버이고,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기관에 구비된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는 동일한 사업자(또는 기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 구현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단말(115)과 간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 구현되더라도,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직접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100) 중 사이트에 접속할 어느 한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다른 단말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 또는 표시하여 상기 어느 한 단말로 입력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어느 한 단말과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다른 단말로 동일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이종의 단말(100) 중 적어도 일 측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2의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에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1 단말(105)이 접속하는 제1 서버(110)와 통신하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에서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인정되는 제2 단말(115)과 통신 가능한 제2 서버(120)와 통신하는 서버(200)에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 시스템이 상기 서버(200)에만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2에 도시된 구성부의 일부는 제1 서버(110) 및/또는 제2 서버(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제1 서버(110) 및/또는 제2 서버(120) 및/또는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과 통신하여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받는 회원 등록부(205)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상기 제1 서버(11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특정 사용자를 상호 공유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된 경우,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상기 제2 서버(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특정 사용자를 상호 공유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로 회원 가입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예컨대, 웹페이지 형태의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제공,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을 통해 표시되는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로부터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회원 가입에 이용되는 사용자의 단말(100)은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중 어느 한 단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이외에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단말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예컨대, 성명과 주민번호 또는 아이핀 등)을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의 계정정보(예컨대, ID/PW 등)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받아 지정된 저장매체(220)(예컨대, 회원DB)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을 식별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더 포함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1 서버(110)를 통해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되는 경우,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상기 제1 서버(11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제공받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서버(110)에 등록된 회원정보와 매칭되는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서버(120)를 통해 사용자가 회원으로 등록되는 경우, 상기 회원 등록부(205)는 상기 제2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제공받거나 및/또는 상기 제2 서버(120)에 등록된 회원정보와 매칭되는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과 통신하여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115)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단말 등록부(210)와, 상기 제2 단말(115)이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에 이용 가능하지 검증하는 단말 검증부(215)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제2 서버(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2 단말(115)을 등록 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제1 서버(11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2 단말(115)을 등록 받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상기 제2 서버(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2 단말(115)을 검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상기 제1 서버(11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2 단말(115)을 검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제2 단말(115)에 대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은 상기 회원정보 및/또는 고유 식별 값과 매핑되어 저장된다.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직접 통신하여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정보(예컨대, 제2 단말(115)의 전화번호 등)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으로서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근거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예컨대,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에 대한 앱 식별 값(또는 앱 식별 값과 매칭되는 매칭 식별 값),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푸시 식별 값(또는 푸시 식별 값과 매칭되는 매칭 식별 값) 등)을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서버(110)를 통해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제1 서버(110)로부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으로서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근거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115)과 직접 통신하여 상기 제2 단말(115)로부터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 입증을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예컨대, 제2 단말(115)의 전화번호,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에 대한 앱 식별 값(또는 앱 식별 값과 매칭되는 매칭 식별 값),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푸시 식별 값(또는 푸시 식별 값과 매칭되는 매칭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값)을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이 상기 제2 서버(120)를 통해 등록되는 경우, 상기 단말 등록부(210)는 상기 제2 서버(120)로부터 제2 단말 식별 값을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등록부(210)를 통해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이 등록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에 대응하는 제2 단말(115)이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인지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단말(115)이 휴대폰/스마트폰 등의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단말(115)이 가입된 통신사 측 서버로 상기 전화번호와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115)이 상기 사용자 명의로 가입된 무선단말인지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105)로 전송 처리한 후 제2 단말(115)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인증하는 절차,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115)로 전송 처리한 후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인증하는 절차, 상기 제2 단말(115)에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경우에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115)로 전송 처리한 후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받아 인증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절차를 통해 상기 제2 단말(115)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단말(115)이 IPTV/스마트TV 등의 TV단말이라면, 상기 단말 검증부(215)는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이 경우 무선단말은 제1 단말(105)일 수도 있고, 또는 제1/2 단말의 범주에 속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의 범주에 속하는 단말일 수 있음)로 제공하고, 이를 TV단말에 입력받아 인증하는 절차 등과 같은 검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100) 중 제1 단말(105)의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제2 단말(115)의 통신 접속을 확인하는 통신 접속 확인부(225)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 또는 표시되어 상기 제1 단말(105)로 입력될 인증 데이터가 결정되도록 처리하는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인증 데이터 제공부(235)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 저장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접속 확인부(225)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100) 중 제1 단말(105)의 서버 또는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제2 단말(115)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 또는 활성화되어 서버 측(125)(예컨대, 제2 서버(120) 또는 서버(200) 등)에 접속하는지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2 서버(120)가 분리된 경우, 상기 통신 접속 확인부(225)는 상기 제2 서버(12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서버(12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2 단말(115)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이 구동 또는 활성화되어 서버 측(125)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통신 접속 확인부(225)는 상기 프로그램(315)에 지정된 접속 또는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상기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회원정보(예컨대, ID/PW 등)를 수신하거나, 상기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고유 식별 값을 수신 또는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을 수신 또는 확인함으로써, 상기 단말 검증부(215)에 의해 검증된 제2 단말(115)의 통신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05)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22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회원 정보의 일부, 제1 단말 식별 값, 고유 식별 값, 제2 단말 식별 값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을 확인 가능한 경우, 상기 통신 접속 확인부(225)는 상기 저장매체(220)를 통해 확인된 제2 단말 식별 값으로 메시지(예컨대, 접속 정보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 데이터망을 이용한 푸시 메시지 등)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115)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지정된 난수알고리즘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예컨대, MD4, MD5, SHA계열 등의 알고리즘)에 지정된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지정된 일정한 유효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는 유일성이 유지되는 인증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지정된 D/B(도시생략)에 저장된 L(L>)개의 인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l(1≤l≤L) 인증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표시하고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될 인증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L개의 인증 데이터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가 임의로 생성하여 저장한 데이터 또는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L개의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는 동일(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 또는 제작된 데이터 또는 컨텐츠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증 데이터 제공/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되어 표시될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키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단말(105)이 카메라 또는 바코드리더를 구비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카메라 또는 바코드리더를 통해 인식 가능한 코드 이미지(예컨대, 1차원 코드 이미지, 2차원 코드 이미지, 3차원 코드 이미지, 컬러 코드 이미지 등)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1 단말(105)을 통해 출력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중에서 선택 가능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는 NFC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코드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 제공부(235)는 상기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되도록 처리(예컨대,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 구비된 인증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값을 제공)하며,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 저장부(240)는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가 확인될 때까지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또는 인증 데이터의 인덱스 값)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데이터 저장부(240)는 상기 때까지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와 상기 제2 단말(115)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값(예컨대, 고유 식별 값 또는 제2 단말 식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 데이터 제공/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결정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동적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는 상기 서버(200)로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하여금 상기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의해 동적 결정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는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과 서버 측(125)(예컨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측(125)의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 또는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 등)이 동일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또는 동적으로 씨드를 결정하는 규칙)을 미리 공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제공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단말(105)에 상기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하는 프로그램모듈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에 의해 동적 결정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1 단말(105)로 제공되고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입력 가능한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키 입력부(303)를 통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 상기 무선단말의 카메라부(306)를 통해 촬영되어 인식 가능한 코드 이미지(예컨대, 1차원 코드 이미지, 2차원 코드 이미지, 3차원 코드 이미지, 컬러 코드 이미지 등) 형태의 데이터, 상기 제2 단말(115)의 NFC모듈(310)을 통해 인식 가능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된 데이터 이외에도 상기 제2 단말(115)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취하더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의 서버 또는 사이트 접속을 식별하는 단말 식별부(245)와,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사용자의 제1 단말(105)을 확인하는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200)와 제1 서버(1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단말 식별부(245) 또는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는 상기 제1 서버(110)에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버(110)와 서버(200)에 분산 구현되어 제1 단말(105)의 사이트 접속을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식별부(245)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 서비스 이용을 위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컨대, 회원 정보, 고유 식별 값, 제2 단말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어 사용자가 인증되기 전에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단말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 식별부(245)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100)에 세션ID를 할당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100)에 할당된 세션ID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말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 식별부(245)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100)의 쿠키를 참조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단말(100)의 쿠키를 참조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단말 식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 식별부(245)는 상기 제1 단말(105)을 고유 식별하는 제1 단말 식별 값이 등록된 경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에 대한 제1 단말 식별 값을 수신 또는 확인함으로써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는 상기 단말 식별부(245)에 식별된 제1 단말(105)로 제공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는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단말(100),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식별부(245)에 의해 식별된 사용자의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지정된 통신망(또는 제1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로 입력되어 지정된 통신망(또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인증 데이터를 확인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 바람직하게 제2 단말(115)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값(예컨대, 고유 식별 값 또는 제2 단말 식별 값)을 매핑되어 저장된 인증 데이터와 상기 수신/확인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제2 단말(115)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으로 제공된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또는 동일한) 인증 데이터가 수신/확인된 단말을 상기 특정 사용자의 제1 단말(105)로 확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는 상기 단말 식별부(245)에 식별된 제1 단말(105)로 제공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를 구비한다.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동적 결정한다. 상기 동적 컨텐츠는, 일회용코드,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지정된 컨텐츠D/B(도시생략)에 저장된 N(N>1)개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제n(1≤n≤N)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컨텐츠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가 임의로 생성하여 저장한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컨텐츠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로 제공된 컨텐츠 선택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가 임의로 생성한 M(M≥N)개의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조합 규칙(예컨대, 둘 이상의 컨텐츠를 배열하거나 드래그&드롭하는 규칙)이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화된 컨텐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 고유 식별 값, 제2 단말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N개의 컨텐츠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로 제공된 컨텐츠 등록 인터페이스를 근거로 사용자가 생성하거나 입력하여 등록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컨텐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인화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 고유 식별 값, 제2 단말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지정된 컨텐츠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생성 규칙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대입될 씨드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생성 규칙을 통해 생성되는 컨텐츠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라면, 상기 컨텐츠 생성 규칙은 사용자의 감각기관을 통해 식별 가능한 패턴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컨텐츠 생성 알고리즘에 대입될 입력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1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미리 저장된 N개의 컨텐츠 중에서 제n 컨텐츠를 동적 컨텐츠로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컨텐츠 생성 규칙에 따라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동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정되는 동적 컨텐츠는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일회용코드인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일회용코드이고 상기 제2 단말(115)에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315)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또는 일회용코드의 인덱스 값, 또는 씨드 값 등)를 수신하거나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는 생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115)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가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일회용코드를 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문자 컨텐츠인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저장된 N(N>1)개의 문자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제n 문자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문자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확인/생성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문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를 확인/생성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확인/생성된 문자 데이터(또는 문자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값)를 수신 또는 확인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저장된 N(N>1)개의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이미지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확인/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생성 규칙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를 확인/생성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확인/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값)를 수신 또는 확인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사운드 컨텐츠인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저장된 N(N>1)개의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사운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확인/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생성 규칙은, 가청 주파수 영역 대에서 사용자의 청각으로 식별 가능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를 확인/생성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확인/생성된 사운드 데이터(또는 사운드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값)를 수신 또는 확인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저장된 N(N>1)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멀티미디어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확인/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미디어 생성 규칙은, 사용자의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가청 주파수 영역 대에서 사용자의 청각으로 식별 가능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적 컨텐츠를 확인/생성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확인/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인덱스 값)를 수신 또는 확인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적 컨텐츠가 확인/생성되는 시점은,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결정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통신 접속 확인부(225)에 의해 상기 제2 단말(115)의 통신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결정되기 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결정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에 의해 인증 데이터가 결정된 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방식의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는 커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커플로 이루어진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와 커플로 이루어진 동적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230)에 의해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 또는 표시된 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되기 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는 상기 인증 데이터 확인부(250)를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된 후에 상기 제1 단말(10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제1 또는 제2 동적 컨텐츠 결정 방법에 따라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상기 동적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255)에 의해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가 결정되면,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상기 동적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된 후에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이 확인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동적 컨텐츠는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단말(115)에 대한 제1 동적 컨텐츠 제공/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되기 전에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방식의 시점 중 어느 한 시점에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후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는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후에 제2 단말(115)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함께 제공 또는 표시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는 커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함께 표시된 경우,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단말(105)을 식별할 필요 없이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입력된 인증 데이터와 커플로 이루어진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단말(115)에 대한 제2 동적 컨텐츠 제공/표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8 실시 방식의 시점 중 어느 한 시점에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 또는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는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인증 데이터가 제공 또는 표시된 후에 제2 단말(115)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1 단말(105)이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반복적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만약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반복 제공되는 경우 제2 단말(115)로는 한번만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 단말(105)로 반복 제공되는 동적 컨텐츠가 변경(예컨대, 제1 단말(105)에 표시되는 웹페이지가 변경됨에 따라 직전의 동적 컨텐츠와 다른 동적 컨텐츠가 확인/생성되어 제공)된다면, 상기 변경된 동적 컨텐츠는 제2 단말(115)로도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말(105)이 상기 제1 서버(110)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고유 식별 값과 함께 상기 동적 컨텐츠를 상기 제1 서버(11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서버(110)로 하여금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105)이 브라우져를 구동하여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브라우져를 통해 표시되는 웹페이지 상의 지정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브라우져의 타이틀 영역, 주소 영역, 상태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브라우져에 상기 지정된 서버 또는 사이트에서 제공한 툴 바가 설치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툴 바 영역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2 단말(115)이 상기 제2 서버(120)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 및/또는 고유 식별 값과 함께 상기 동적 컨텐츠를 상기 제2 서버(12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서버(120)로 하여금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2 단말(115)에 구비된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에 따라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에 프로그램(315)이 구비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프로그램(315)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 간 직접 통신 또는 제2 서버(120)를 경유하는 간접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적 컨텐츠가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생성 또는 확인됨으로써 상기 제2 단말(115)에 상기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제공부(260)는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절차를 생략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입증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동기화 확인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확인 정보에 인증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동기화 인증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된 후,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입증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정보의 총칭이다. 예를들어, 제1 단말(105)에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후, 사용자가 제1 단말(105)을 통해 서비스 제공을 요청했다면, 상기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후에 상기 제1 단말(105)로부터의 서비스 제공 요청 자체가 상기 확인 정보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확인 정보는 인증 가능한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단말(115)이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단말로서,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후, 사용자가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지정된 버튼(또는 메뉴)을 입력하거나 또는 키 입력 값을 입력하여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었음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15)의 메모리(또는 제2 단말(115)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USIM 등의 IC칩)으로부터 추출된 저장 인증 값,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 받은 키 입력 인증 값,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이 동적 생성한 동적 인증 값(예컨대, 일회용으로 생성된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확인 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는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될 인증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저장하며,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된 인증 값을 추출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추출된 인증 값을 비교(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기화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에 제2 단말(115)의 메모리(또는 IC칩)에 저장된 저장 인증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상기 저장 인증 값을 미리 제공받아 저장하며,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를 통해 상기 저장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된 저장 인증 값을 추출하고, 상기 저장된 인증 정보의 저장 인증 값과 상기 추출된 저장 인증 값을 비교하여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기화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에 제2 단말(115)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인증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상기 키 입력 인증 값을 미리 제공받아 저장하며,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를 통해 상기 키 입력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된 키 입력 인증 값을 추출하고, 상기 저장된 인증 정보의 키 입력 인증 값과 상기 추출된 키 입력 인증 값을 비교하여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동기화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 정보에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생성된 동적 인증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동적 생성되는 동적 인증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값 인증 규칙(예컨대,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서 동적 인증 값을 생성하는 알고리즘과 동일한 알고리즘과 씨드 값, 또는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에서 동적 생성된 동적 인증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지정된 인증서버의 정보)을 저장하며,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를 통해 상기 동적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된 동적 인증 값을 추출하고, 상기 인증 값 인증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동적 인증 값을 인증(예컨대, 지정된 알고리즘과 씨드 값을 통해 검증 값을 생성하여 추출된 동적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동적 인증 값을 인증하는 지정된 인증서버로 추출된 동적 인증 값을 제공하여 인증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동기화 인증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동기화 인증 방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 정보가 수신 또는 인증된 경우,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 입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105) 또는 제2 단말(115)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입증 결과 제공부(275)를 구비한다.
상기 동기화 확인부(265)를 통해 상기 확인 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동기화 인증부(270)를 통해 상기 확인된 확인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입증 결과 제공부(275)는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을 입증하는 결과(예컨대,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는 정당한 서버 또는 사이트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105) 또는 제2 단말(115)로 상기 생성된 정당성 입증 결과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제1 입증 결과 제공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입증 결과 제공부(275)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말(10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1 단말(105)이 상기 제1 서버(110)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입증 결과 제공부(275)는 상기 고유 식별 값과 함께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상기 제1 서버(11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서버(110)로 하여금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입증 결과 제공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입증 결과 제공부(275)는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 간 직접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말(115)과 서버(200)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2 단말(115)이 상기 제2 서버(120)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입증 결과 제공부(275)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 및/또는 고유 식별 값과 함께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상기 제2 서버(12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서버(120)로 하여금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는 상기 제2 단말(115)에 구비된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에 따라 문자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푸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2 단말(115)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제2 단말(115)과 프로그램(3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본 발명의 제2 단말(115)이 무선단말인 경우에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를 표시하고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315)과 무선단말(115)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단말(115)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115)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단말(115)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15)은, 제어부(301)와 메모리부(313)와 화면 출력부(302)와 키 입력부(303)와 사운드 출력부(304)와 사운드 입력부(305)와 카메라부(306)와 무선망 통신모듈(3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과 NFC모듈(310)과 위치 측위모듈(311)과 USIM 리더부(3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07)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무선단말(11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15) 구성을 본 제어부(3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13)는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저장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15)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15)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2)는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출력자원에 대응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303)는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입력자원에 대응되는 키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3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키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04)는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출력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305)는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입력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306)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상기 무선단말(115)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상기 무선단말(115)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과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15)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NFC모듈(310)은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무선통신 규격 중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단말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접 통신모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NFC모듈(310)은 13.56Mz 주파수 대역 이외에 ISO 18000 시리즈 규격이 지원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예컨대, 900Mhz 대역 등)의 근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아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NFC모듈(310)이 근접하여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상기 NFC모듈(310)은 상기 무선단말(115)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311)은 상기 무선단말(115)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115)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311)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115)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115)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3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15)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15)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프로그램(3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3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315)은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과 통신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메시지 수신에 의해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315)을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미리 구동 중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나 또는 사용자의 회원 자격을 인증받는 회원 가입/인증부(320)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프로그램 인증부(325)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320)는 상기 화면 출력부(302)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의 회원 등록부(205)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은 상기 무선단말(115) 이외에 별도의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가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이미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320)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의 회원 등록부(205)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지 인증시킨다.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의 단말 검증부(215)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그램(315)과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는 앱 식별 값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며, 이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앱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상기 앱 식별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115)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앱 식별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무선단말(115)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기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푸시 식별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푸시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상기 푸시 식별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115)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푸시 식별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무선단말(115)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이 설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315)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정의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115)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 절차에 더 이용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무선단말(115)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은 상기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115)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번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무선단말(115)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 인증부(3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말 식별 값과 고유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식별 값 등록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식별 값 등록부(330)는 상기 동적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제2 단말 식별 값과 고유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값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식별 값을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식별 값을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확인 정보에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될 인증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인증 정보 등록부(335)를 구비한다.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될 확인 정보에 하나 이상의 인증 값(예컨대, 저장 인증 값, 키 입력 인증 값, 동적 인증 값 등)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335)는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될 인증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인증 정보를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한다.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는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될 저장 인증 값과 비교될 저장 인증 값,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될 키 입력 인증 값과 비교될 키 입력 인증 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동적 인증 값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 식별 값, 씨드 값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동적 결정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인증 데이터 결정부(340)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달하는 인증 데이터 전달부(345)와, 상기 인증 데이터를 표시하는 인증 데이터 표시부(35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가 동적 결정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340)는 프로그램(315)이 구동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데이터 생성/표시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지정된 난수알고리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을 이용하여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생성되는 인증 데이터는 제1 단말(105)로 키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단말(105)이 카메라 또는 바코드리더를 구비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는 코드 이미지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데이터는 NFC를 통해 송수신 가능한 코드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 표시부(355)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인증 데이터의 인증을 위해 상기 서버 측(125)으로 상기 인증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전달부(345)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데이터 결정부(340)에 의해 결정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달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서버 측(125)에서 동적 결정된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증 데이터 수신부(350)와,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표시하는 인증 데이터 표시부(35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수신부(350)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데이터 표시부(355)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동적 컨텐츠 결정부(360)와,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달하는 동적 컨텐츠 전달부(365)와, 상기 동적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적 컨텐츠 표시부(37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360)는 프로그램(315)이 구동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동적 컨텐츠 생성/표시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360)는 상기 도면2에 기재된 제1 내지 제5 동적 컨텐츠 확인/생성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상기 동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컨텐츠 전달부(365)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 결정부(360)에 의해 결정된 동적 컨텐츠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전달하며, 상기 동적 컨텐츠 표시부(375)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는 동적 컨텐츠 수신부(370)와, 상기 수신된 동적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적 컨텐츠 표시부(37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서버 측(125)으로부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 수신부(350)와 동적 컨텐츠 수신부(370)는 하나의 수신부로 통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동적 컨텐츠 수신부(370)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동적 컨텐츠 표시부(375)는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동적 컨텐츠를 표시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이 포함된 확인 정보를 구성하는 확인 정보 구성부(380)와,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상기 구성된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확인 정보 제공부(385)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 입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입증 결과 표시부(3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컨텐츠 표시부(375)에 의해 동적 컨텐츠가 표시된 후, 상기 확인 정보 구성부(380)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상기 동적 컨텐츠가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확인하는 사용자의 키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확인 정보 구성부(380)는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335)를 통해 등록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예컨대, 무선단말(115)의 메모리(또는 IC칩)에 저장된 저장 인증 값, 무선단말(115)의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되는 키 입력 인증 값, 지정된 알고리즘과 씨드 값을 통해 동적 생성되는 동적 인증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를 구성한다.
상기 확인 정보 제공부(385)는 상기 통신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된 확인 정보를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 제공하며, 상기 입증 결과 표시부(390)는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서버(200)(또는 제2 서버(120))로부터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 입증 결과를 수신하고, 미리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정당성 입증 결과를 표시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단말(105)의 회원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용자가 제1 단말(105)을 통해 접속할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의 회원 가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5)이 제1 서버(110)로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해 회원 가입을 요청하면(400), 상기 제1 서버(110)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상기 서버(200)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며(405). 상기 서버(200)는 상기 고유 식별 값을 획득하여(410), 미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415). 한편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인증서버로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으며(400),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410), 회원 정보를 저장한다(415). 한편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이 처리되는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상기 서버(200)는 지정된 제1 서버(110)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하고(410),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와 고유 식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415).
상기 제1 단말(105)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에서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420),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서버(200)로 전달되거나(425), 또는 상기 제1 단말(105)에서 서버(200)로 전달된다(42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43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단말(115)의 회원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의 제1 단말(105)을 통해 접속하는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제2 단말(115)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단말(115)의 회원 가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제2 단말(115)이 제2 서버(120)로 상기 제1 단말(105)을 통해 접속할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해 회원 가입을 요청하면(500), 상기 제2 서버(12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 상기 서버(200)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며(505). 상기 서버(200)는 상기 고유 식별 값을 획득하여(510), 미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515). 한편 상기 제2 단말(115)은 상기 인증서버로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으며(500),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 가입을 처리하고(510), 회원 정보를 저장한다(515). 한편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이 처리되는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상기 서버(200)는 지정된 제2 서버(120)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값을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하고(510),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와 고유 식별 값을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515).
상기 제2 단말(115)은 동적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등록할 수 있으며(520), 상기 제2 단말 식별 값은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서버(200)로 전달되거나(525), 또는 상기 제2 단말(115)에서 서버(200)로 전달된다(52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단말 식별 값을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220)에 저장한다(530).
한편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었음을 확인하는 확인 정보에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이 포함될 경우, 상기 제2 단말(115)은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535),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서버(200)로 전달되거나(525), 또는 상기 제2 단말(115)에서 서버(200)로 전달된다(520).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105)을 통해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 또는 표시된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을 매칭 식별한 후, 상기 매칭 식별된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동적 결정된 동적 컨텐츠를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105)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1 서버(110) 또는 제1 서버(110)가 운영하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면(600),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제1 단말(105)을 식별한다(605).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 또는 표시된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데(610), 상기 제1 단말(105)에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모듈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610).
상기 제1 단말(105)이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115)은 프로그램(315)을 구동 또는 활성화하여 제2 서버(120) 또는 입증 서버에 접속하며(615), 상기 제2 서버(120) 또는 서버(200)는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된 제2 단말(115)의 통신 접속을 확인한다(62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을 매칭 식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매칭 식별을 위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625). 상기 인증 데이터는 지정된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15)로 제공되거나(630), 상기 서버(200)에서 제2 단말(11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625).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며(635),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제1 서버(110) 또는 서버(200)로 전송된다(640). 상기 인증 데이터는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서버(200)로 제공되거나(645), 상기 제1 단말(105)에서 서버(200)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64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제1 단말(105) 중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을 확인함으로써(650), 상기 인증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105)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을 매칭하여 식별한다(655).
상기 서버(200)는 상기 매칭 식별된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한다(66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665),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제1 단말(105)로 제공되거나(670), 상기 서버(200)에서 제1 단말(10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665).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675).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665)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680), 상기 동적 컨텐츠는 지정된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15)로 제공되거나(685), 상기 서버(200)에서 제2 단말(11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680).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690).
도면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를 제공한 후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 또는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105)을 통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아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을 매칭 식별한 후, 상기 매칭 식별된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를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단말(105)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제1 서버(110) 또는 제1 서버(110)가 운영하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면(700),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접속한 제1 단말(105)을 식별한다(705).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으로 제공 또는 표시된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는데(710), 상기 제1 단말(105)에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모듈이 구비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그램모듈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710).
상기 제1 단말(105)이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단말(115)은 프로그램(315)을 구동 또는 활성화하여 제2 서버(120) 또는 입증 서버에 접속하며(715), 상기 제2 서버(120) 또는 서버(200)는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된 제2 단말(115)의 통신 접속을 확인한다(720).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을 매칭 식별하기 위한 인증 데이터를 동적 결정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의해 매칭 식별될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한다(725).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함께 결정되는 경우, 상기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는 커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결정된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를 제고한다(730).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는 지정된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15)로 제공되거나(735), 상기 서버(200)에서 제2 단말(11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730).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며(740), 상기 인증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105)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제1 서버(110) 또는 서버(200)로 전송된다(745). 상기 인증 데이터는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서버(200)로 제공되거나(750), 상기 제1 단말(105)에서 서버(200)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745).
상기 서버(200)는 상기 인증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제1 단말(105) 중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105)을 확인함으로써(755), 상기 인증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100) 중 상기 제1 서버(110) 또는 진성 사이트에 접속한 제1 단말(105)을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면서 상기 제1 단말(105)의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사용자의 제2 단말(115)을 매칭하여 식별한다(760). 한편 상기 인증 데이터와 동적 컨텐츠가 커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을 매칭 식별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제1 단말(105)을 통해 입력된 인증 데이터와 커플로 이루어진 동적 컨텐츠를 제1 단말(105)로 제공할 수 있다(765).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765),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제1 단말(105)로 제공되거나(770), 상기 서버(200)에서 제1 단말(10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765).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775).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765)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105)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780), 상기 동적 컨텐츠는 지정된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15)로 제공되거나(785), 상기 서버(200)에서 제2 단말(11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780).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동적 컨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한다(790).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또는 사이트의 정당성 입증을 위한 동적 컨텐츠의 동기화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6 또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된 후, 상기 제2 단말(115)의 프로그램(315)을 통해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동적 컨텐츠의 동기화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확인 정보는 제1 단말(105)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유효성 인증을 위한 인증 값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 또는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제2 단말(115)에 동적 컨텐츠가 표시됨에 따라, 상기 제2 단말(115)은 제1 단말(105)에 상기 표시된 동적 컨텐츠와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었는지 확인하고, 만약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동일한 동적 컨텐츠가 표시되었다면 동기화 확인 명령을 입력하도록 요청한다(800).
만약 상기 사용자의 동기화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단말(115)은 확인 정보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을 추출 및/또는 입력 및/또는 생성하고(805), 상기 추출 및/또는 입력 및/또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를 구성한 후(810), 상기 인증 값을 포함하는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815).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달되거나(820), 또는 상기 제2 단말(115)에서 서버(20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815). 상기 서버(200)는 상기 동적 컨텐츠에 대한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825), 상기 확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확인한다(830).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다(835). 만약 상기 확인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과 제2 단말(115)에 표시된 동적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105)이 접속한 서버 또는 사이트 정당성을 입증한 결과를 생성하고(840), 상기 제2 단말(11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845),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는 상기 제2 서버(120)를 경유하여 제2 단말(115)로 제공되거나(850), 상기 서버(200)에서 제2 단말(11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840). 상기 제2 단말(115)은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85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는 상기 제1 단말(105)로도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105)로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며(860),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는 상기 제1 서버(110)를 경유하여 제1 단말(105)로 제공되거나(865), 상기 서버(200)에서 제1 단말(105)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860). 상기 제1 단말(105)은 상기 정당성 입증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870).
100 : 단말 105 : 제1 단말
110 : 제1 서버 115 : 제2 단말
120 : 제2 서버 125 : 서버 측
200 : 서버 205 : 회원 등록부
210 : 단말 등록부 215 : 단말 검증부
220 : 저장매체 225 : 통신 접속 확인부
230 : 인증 데이터 결정부 235 : 인증 데이터 제공부
240 : 인증 데이터 저장부 245 : 단말 식별부
250 : 인증 데이터 확인부 255 : 동적 컨텐츠 결정부
260 : 동적 컨텐츠 제공부 265 : 동기화 확인부
270 : 동기화 인증부 275 : 입증 결과 제공부

Claims (32)

  1.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 사용자의 이종 단말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종의 단말 중 제1 단말의 사이트 안심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제2 단말의 통신 접속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증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
    상기 인증 데이터를 입력받은 제1 단말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로 제공되기로 지정된 동적 컨텐츠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제각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로서 상기 제2 단말의 통신 접속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지정된 유효 시간 동안 중복되지 않게 결정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통해 표시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는,
    상기 인증 데이터와 커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인증 데이터와 함께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 매체 분리 독립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증 데이터가 입력된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로 제공할 동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동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상기 결정된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는,
    저장된 N(N>1)개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제n(1≤n≤N) 컨텐츠가 선택되거나, 또는
    지정된 컨텐츠 생성 규칙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되어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는,
    일회용코드,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7.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일회용코드인 경우,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8.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일회용코드이고 상기 제2 단말에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 가능한 프로그램이 구비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수신 또는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19.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문자 컨텐츠인 경우,
    저장된 N(N>1)개의 문자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제n 문자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문자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0.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이미지 컨텐츠인 경우,
    저장된 N(N>1)개의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이미지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 규칙은,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2.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사운드 컨텐츠인 경우,
    저장된 N(N>1)개의 사운드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사운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생성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4. 제 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인 경우,
    저장된 N(N>1)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제n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멀티미디어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로 이용할 문자 데이터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생성 규칙은,
    지정된 이미지 패턴과 사운드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서버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기 제1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1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1 서버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단말과 서버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제2 서버가 상기 제2 단말과 통신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2 서버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동적 컨텐츠가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동시에 표시되었음을 입증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가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의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확인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메모리(또는 IC칩)에 저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상기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동적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수신된 확인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가 상기 서버와 제휴된 별도의 서버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 정보를 수신한 별도의 서버로부터 상기 확인 정보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32.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정보가 수신 또는 인증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접속한 사이트에 대한 정당성 입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단말 또는 제2 단말로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KR1020130023030A 2013-03-04 2013-03-04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KR20140110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030A KR20140110165A (ko) 2013-03-04 2013-03-04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030A KR20140110165A (ko) 2013-03-04 2013-03-04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165A true KR20140110165A (ko) 2014-09-17

Family

ID=5175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030A KR20140110165A (ko) 2013-03-04 2013-03-04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0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68A1 (ko) * 2015-10-07 2017-04-13 김윤정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피싱 및 파밍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68A1 (ko) * 2015-10-07 2017-04-13 김윤정 포털 사이트를 이용한 피싱 및 파밍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9615B2 (en)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559783B (zh) 一种对wifi网络的认证方法、装置和系统
US9680841B2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US9319882B2 (en) Method for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remote server by means of a third-party portal
KR101926020B1 (ko) 동적 결정된 인증번호를 이용한 결제 운영 시스템
EP3376421A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and corresponding device, first and second servers and system
KR20160143333A (ko) 이중 채널을 이용한 이중 인증 방법
KR101812765B1 (ko) 일회용코드와 매핑된 객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18061A (ko) 비연결형 네트워크 씨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운영 방법 및 시스템
EP2282563B1 (en) Method for releasing a mobile communication card for the use of a servci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r equipment for intera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916510B1 (en) Network authentication method for secure use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KR20140110165A (ko)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KR101972972B1 (ko) 근접 통신을 이용한 매체 분리 방식의 일회용코드 운영 방법
KR20120126468A (ko) 인증번호 중계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2163676B1 (ko) 동적 분할 코드를 이용한 다중 인증 방법
KR20140104615A (ko) 사이트 정당성 입증 방법
KR20160093197A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102210898B1 (ko) 일회용 인증코드의 거래 연동 방법
KR102358598B1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2채널 인증 방법
KR101576039B1 (ko) 사용자 위치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원 인증을 안전하게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증 방법
KR20150034863A (ko) 거래 연동 인증코드 제공 방법
KR20180034369A (ko) 다중 통신을 이용한 무선 거래 방법
KR20130100641A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3194A (ko) 비접촉 매체를 이용한 2채널 결제 방법
KR101962471B1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