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736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736A
KR20140109736A KR1020130024108A KR20130024108A KR20140109736A KR 20140109736 A KR20140109736 A KR 20140109736A KR 1020130024108 A KR1020130024108 A KR 1020130024108A KR 20130024108 A KR20130024108 A KR 20130024108A KR 20140109736 A KR20140109736 A KR 2014010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emergency
smartphone
situation
emergency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은보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736A/ko
Publication of KR2014010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및; ⅳ)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응급관리 방법은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을 맞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약물의 즉시 투여로 인해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질병인 고혈압, 심장부정맥 또는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주치의에게 신속히 상황을 전달하여 적절한 원격 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인체신호에 비례하여 약물을 환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하여 응급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EMERGENCY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및 ⅳ)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건강 관리 비용이 함께 증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는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IT 기술과 의료 분야가 결합된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분야의 연구 개발 역시 상당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의료비의 지출 증가 및 새로운 의료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응급 구조 및 처치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에는 여러 응급 구조 체계가 있음에도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급속한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맞벌이 세대의 증가,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간의 물리적 거리 증가, 산후조리원, 실버타운 등의 노약자가 집중된 시설 급증, 농어촌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공백 등에 의해 응급 사태 발생시에 이를 응급 의료 기관에 신고하거나 직접적인 응급 처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그러하지 못하다. 예를 들어, 장시간에 걸쳐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인 고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 등의 건강상태는 주기적으로 모니티링 되어야 한다. 혈압이 매우 불규칙한 고혈압 환자는 혈압, 맥박 등의 상태를 적어도 하루에 몇번씩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모니터링된 결과 혈압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매우 신속하게 그 증상에 알맞은 약물을 투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및 응급조치는 당뇨병 환자에게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외출시에도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언제든지 피측정자 신체의 맥박, 호흡수, 혈압 및 체온 등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소형ㆍ경량화된 혈압계, 당뇨측정기 등이 현재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으나, 이용상 불편함,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한 후속 처리 불편 등의 원인에 의해 많이 이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담당 의사 등의 의료인이 모니터링하거나, 모니터링된 데이터가 가공되어 관계의료인 및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는 응급 의료 체계와 환자 혼자 독립된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응급 의료 체계가 구현되지 않아 많은 수의 인명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인체로부터의 생리학적 신호들은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신호들을 감지하기 위한 Ag/AgCl 전극들, 혈중 산소(blood oxygenation)(SpO2)를 감지하기 위한 펄스 산소 농도계(pulse oximeter)들, 신체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3D 가속도계(3D-accelerometer)들과 같은 미세 전자 기계(MEM: microelectro-mechanical)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함으로써 감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러한 신호들은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들에 대한 접속성을 갖는 신체 부착형(body worn)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자동 프로그램들 및/또는 의료(healthcare) 제공자들이 이러한 생물 물리학적 신호들로부터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들을 해석하고, 피측정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거나 적절히 치료에 개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29398호에는 a) 피측정자의 심전도, 혈압, 피부돈도 및 활동량을 포함한 건강정보를 건강정보측정단말기를 통해 측정하는 건강정보측정단계와; b) 상기 건강정보측정단말기가 측정한 건강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블루투스통신단계와; c) 상기 스마트폰과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연결되는 건강관리서버로 상기 스마트폰이 수신한 건강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건강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은 정보를 계속적으로 서버에 보내야 하는 방식이어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또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스마트폰의 트래픽을 유발하여 비용부담이 큰 문제가 있으며, 정작 응급상황 발생시에는 이러한 상황을 주치의가 인식하지 못해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방서 등 기존의 응급출동구조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응급상황 시에 활용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29398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측정자 특히,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을 맞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약물의 즉시 투여로 인해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질병인 고혈압, 심장부정맥 또는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주치의에게 신속히 상황을 전달하여 적절한 원격 처방을 받아 신속한 약물투여를 가능케 하여 응급상황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게 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및 ⅳ)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통신수단이 블루투스 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리학적 정보가 심전도, 혈압 및 활동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물투여유닛이 약물을 보관하기 위한 챔버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는 플런저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표면이 파릴렌 또는 파릴렌 유도체로 1 내지 100 nm 두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치의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것이 주치의 병원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주치의의 피씨단말기 또는 주치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약물투입유닛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ⅱ)단계와 ⅲ)단계 사이에 실제 응급상황인지를 피측정자에게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인이 피측정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피측정자가 응급상황이 아님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ⅳ)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주치의로부터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이 없을 경우 미리 프로그램된 양의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ⅴ)스마트폰의 위치정보 및 응급상황을 긴급출동기관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응급관리 방법은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을 맞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약물의 즉시 투여로 인해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질병인 고혈압, 심장부정맥 또는 당뇨병 등의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응급상황 발생시 주치의에게 신속히 상황을 전달하여 적절한 원격 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인체신호에 비례하여 약물을 환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하여 응급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응급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 중 인체신호 처리장치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응급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응급관리 시스템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20)과, 상기 배터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40)과, 상기 처리 유닛(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30)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40)은 전극(30)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40)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50)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200)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200)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3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응급관리 시스템 중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20)와, 상기 배터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40)과, 상기 처리 유닛(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30)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40)은 전극(30)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40)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50)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2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생리학적 정보는 심전도, 혈압, 혈당 및 활동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전극(30)을 통해 전류흐름의 형태로 분석 가능한 그 외의 생리학적 정보, 예를 들면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또는 뇌전도(EEG,electroencephalogram) 등의 생체전위, 피부저항(GSR), 안구운동(EOG), 신체온도, 맥박 및 신체 움직임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의 경우 전극(30)이 하우징(10)에 고정된 경우에는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전극(30)이 하우징(10)과 분리되어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측정자의 다른 의복 등에 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처리 유닛(40)은 전극(30)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며, 상기 전류 흐름은 공지의 전류흐름을 통한 심전도, 심부정맥, 혈압, 당뇨 수치 등과 함께 피측정자의 움직임 등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를 처리하여 제1통신수단(50)을 통해 스마트폰(2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극(30)은 특별히 그 형태나 재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인체측정용 전극(30)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극(30)의 경우 일상적으로 피측정자가 착용을 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내화학성, 내부식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고 오염이 되지 않는 방오성 등도 요구된다. 이러한 생체용 전극(30)은 금 또는 은 등의 귀금속 재질로 되어 있어 고가이나,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땀이나 피부각질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어 소모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생체용 전극(30)을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생체용 전극(30)을 교체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기의 소형화와 무선네트워크의 발달로 생체전극(30)을 상시착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전극(30)의 오염으로 인해 전극(30)교체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30)의 경우 그 표면이 파릴렌 또는 파릴렌 유도체가 1 내지 100 nm 두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릴렌 코팅층의 두께가 1nm 미만이면 코팅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면 100nm를 초과하면 전극(30)의 감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파릴렌은 p-xylene이 중합되어 있는 폴리머로 기화, 열분해, 중합공정을 거쳐 각종 기질에 박막형태로 증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파릴렌 박막은 투명하고, 방수, 내화학성, 내식성을 갖추고 있으며 기질모양과 상관없이 균일한 코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파릴렌은 박막성장이 느린 특성으로 인해 수십나노미터 이내 두께를 갖는 박막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이 균질하고 치밀하여 방수특성 및 전기절연성을 갖기 때문에 코팅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통상, 증착에 사용되는 파릴렌은 일반적으로 p-xylene 다이머를 가리키는 것으로 파릴렌 N으로 지칭된다. 파릴렌 N의 유도체로는 아래 화학식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파릴렌 박막의 친수성을 강화하기 위해 p-xylene에 아민기를 연결한 파릴렌 A, 파릴렌 AM 등이 있으며, 내열성을 강화하기 위해 불소를 첨가한 파릴렌 F, 파릴렌 SF 등이 알려져 있으며, 모두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1통신수단(50)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유무선통신수단이 될 수 있다. 피측정자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1통신수단(50)은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방식과 같이 스마트폰(200)과 무선방식으로 통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에 사용되는 응급관리 시스템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거나 또는 주치의로부터 피드백되는 상황을 체크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피드백이 없을 경우 응급출동기관에 위치정보 및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200)을 포함한다. 스마트폰(200)은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하여 계산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에 해당하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이러한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에서 전달되는 인체의 신호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달될 경우 주치의에 응급상황을 전달하여 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을 기다려 원격처방에 따라 약물투여유닛(300)에 저장된 약물을 처방에 따라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에 투여하여 응급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고, 주치의로부터 피드백되는 상황을 체크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피드백이 없을 경우 응급출동기관에 위치정보 및 응급상황을 전달하여 응급출동기관이 출동하여 환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응급상황이 실제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기 전에 피측정자에게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의 신호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실제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 상황오판으로 인한 약물투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치의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것은 주치의 병원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주치의의 피씨단말기 또는 주치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물투여유닛(300)은 주치의의 원격처방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상황에서 환자를 구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약물투여유닛(300)은 약물을 보관하기 위한 챔버(310)와, 상기 챔버(310)에 고정되는 플런저(320)와, 상기 챔버(310)에 고정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투여유닛(300)은 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응급상황의 환자에 주입되도록 한다. 만일, 주치의에게 원격처방이 소정의 시간 내에 내려지지 않으면 주치의에게 응급상황이 전달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와 약물투유닛(30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은 상기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되,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200)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및 ⅳ)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약물투여유닛(300)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은 상기 ⅱ)단계와 ⅲ)단계 사이에 실제 응급상황인지를 피측정자에게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등의 오류나 센서가 피측정자의 피부에서 이탈하는 경우 인체신호 처리장치(100)에서는 응급상황에 해당하는 신호를 스마트폰(200)에 전달할 수 있는데, 이때 응급관리 프로세스가 미리 프로그램한대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주치의 또는 응급출동기관에 잘못된 응급상황을 전달하거나 피측정자에게 약물이 자동으로 주입되는 등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염려가 있어 스마트폰(200)의 경고신호 등을 통해 피측정자에게 응급상황의 발생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응급상황시에는 통상 피측정자가 정신을 잃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확인은 피측정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피측정자가 응급상황이 아님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치의에게서 원격처방이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응급관리 방법은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200)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ⅳ)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주치의로부터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이 없을 경우 미리 프로그램된 양의 약물투여유닛(300)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ⅴ)스마트폰(200)의 위치정보 및 응급상황을 긴급출동기관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하우징 20: 배터리
30:전극 40: 처리유닛
50: 제1통신수단 100: 인체신호 처리장치
200:스마트폰 300: 약물투여유닛
310:챔버 320:플런저
330: 마이크로니들

Claims (1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및
    ⅳ)주치의의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에 의해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투여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수단은 블루투스 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적 정보는 심전도, 혈압, 혈당 및 활동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투여유닛은 약물을 보관하기 위한 챔버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는 플런저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그 표면이 파릴렌 또는 파릴렌 유도체가 1 내지 100 nm 두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치의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것은 주치의 병원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주치의의 피씨단말기 또는 주치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약물투입유닛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와 ⅲ)단계 사이에 실제 응급상황인지를 피측정자에게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은 피측정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피측정자가 응급상황이 아님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0.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처리 유닛과, 상기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부에 고정되거나 이격되어 피측정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전극을 통해 피측정자의 생리학적 정보를 전류 흐름의 형태로 검출 및 수집하고, 상기 전류 흐름을 포함한 처리 유닛의 신호를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전달가능한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주치의에 상황을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및; 주치의의 원격처방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프로세스에 따라 미리 준비한 약물을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투여유닛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관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ⅰ)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에서 응급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ⅱ)상기 제1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스마트폰에 응급상황임을 전달하는 단계,;
    ⅲ)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응급상황을 주치의에 전달하는 단계.;
    ⅳ)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주치의로부터 원격진료 및 원격처방이 없을 경우 미리 프로그램된 양의 약물투여유닛의 약물이 피측정자에게 자동으로 투여하는 단계 및;
    ⅴ)스마트폰의 위치정보 및 응급상황을 긴급출동기관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수단은 블루투스 통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학적 정보는 심전도, 혈압, 혈당 및 활동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투여유닛은 약물을 보관하기 위한 챔버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는 플런저와, 상기 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피측정자의 피부를 관통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그 표면이 파릴렌 또는 파릴렌 유도체가 1 내지 100 nm 두께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치의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것은 주치의 병원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주치의의 피씨단말기 또는 주치의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를 통해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신호 처리장치와 약물투입유닛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ⅱ)단계와 ⅲ)단계 사이에 실제 응급상황인지를 피측정자에게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은 피측정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피측정자가 응급상황이 아님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KR1020130024108A 2013-03-06 2013-03-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KR20140109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08A KR20140109736A (ko) 2013-03-06 2013-03-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08A KR20140109736A (ko) 2013-03-06 2013-03-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36A true KR20140109736A (ko) 2014-09-16

Family

ID=5175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108A KR20140109736A (ko) 2013-03-06 2013-03-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331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8130095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8284046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8094009B2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US20230414102A1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KR100981137B1 (ko) 손목형 건강관리장치
Indrakumari et al. The growing role of Internet of Things in healthcare wearables
US20100056873A1 (en) Health-related signaling via wearable items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US20160262636A1 (en) Health-abnormal condition alarm system using multi bio-signal
EP3701858A1 (en) Advanced health monitoring system
EP3016580B1 (en) Method for identify and reduce artifact noise in a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Lymberis et al. Wearable health systems: from smart technologies to real applications
Kavitha et al. Smart wireless healthcare monitoring for drivers community
WO2022108712A1 (en) Wearable continuous emergency medical monitoring system
Konstantas Section 4: Sensor, Signal and Imaging Informatics: An Overview of Wearable and Implantable Medical Sensors
CN207020988U (zh) 一种养老监护系统
JP2008253560A (ja) 擬似低血糖検知・警報発信装置
KR102617292B1 (ko) 뇌전증 모니터링 방법 및 뇌전증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097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시스템
Braecklein et al. Wireless telecard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the homecare area
US20210219909A1 (en) Wearable personal healthcare sensor apparatus
KR2014010973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관리 방법
Rani Nanosensors and their potential role in internet of medical things
Chun et al. IT-based diagnostic instrumentation systems for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