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090A -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090A
KR20140109090A KR1020130023330A KR20130023330A KR20140109090A KR 20140109090 A KR20140109090 A KR 20140109090A KR 1020130023330 A KR1020130023330 A KR 1020130023330A KR 20130023330 A KR20130023330 A KR 20130023330A KR 20140109090 A KR20140109090 A KR 2014010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atient
skeleton frame
fo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창준
박재현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9090A/en
Publication of KR2014010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0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which includes: a lower limb bon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articulate structur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bone frame; a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support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an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lower limb bone frame; and a guide plate connecting the lower limb bone frame and the support to perform an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lower limb bone frame while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to be moved along a rail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scular strength of a patient′s leg which cannot move at all, for example, due to damage to a spinal cord or a brain even if the leg is not damaged can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or can be recovered.

Description

다리 근력 재활장치{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리 근력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수 손상이나 뇌 손상과 같이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다리의 재활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다리 근육량을 일정 이상 유지시키거나 회복시켜주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rehabilitate a leg in a patient who can not act like a spinal cord injury or a brain injury, To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근래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성 질환 예를 들면, 중풍 등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고, 고령이거나 질환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다리 근력을 회복하는 재활치료가 병행되고 있다. 재활치료에는 환자가 하지에 착용하여 걸음을 보조하거나, 러닝 머신 위에서 로봇 의복을 착용하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 기구 등이 이용된다.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has caused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geriatric diseases such as paralysis. In addition, rehabilitation therapy for restoring leg strength is being performed for elderly people who are unwell due to aging or diseases. Rehabilitation includes assistive devices that assist the patient in stepping on the foot, helping him to wear robotic clothing on the treadmill and walk safely.

그런데, 상술한 재활치료는 어느 정도 거동이 가능한 환자인 경우에 한한다. 척수 손상 환자나 뇌손상 환자와 같이 전혀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인 경우에는 보조 기구 등을 이용한 재활 치료가 불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물리 치료사나 간병인 등을 통해 재활치료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재활치료를 안전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물리 치료사나 간병인의 육체적 노력 및 시간, 숙련도 등이 필요하다. 이는 결코 적지 않은 비용 발생을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대다수의 환자들은 상술한 재활치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rehabilitation treatment is limited to a patient who can perform a certain degree of behavior. Rehabilitation using ancillary devices is not possible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or brain injuries who can not perform at all. Of course, in this case, rehabilitation can be done through physical therapists or carers. However, in order to perform rehabilitation therapy safely and repeatedly, the physical effort of the physical therapist or the caregiver, the time and skill of the caregiver are needed. This leads to a considerable cost incurrence, and therefore the majority of patients are not actively utiliz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escribed above.

이처럼 장시간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누워서 생활하게 될 경우 다리의 근육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다리 근육량의 감소는 거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걷는데 상당한 지장이 있고, 이 경우 다리 근육량의 회복을 위하여 추가적인 재활 치료가 수반된다. If you live without lying on your leg for a long time, your leg muscles will decrease significantly. The decrease in leg muscle mass has a considerable hindrance to walking even if it can move, and in this case, additional rehabilitation is required to restore leg muscle mass.

한국공개특허 10-2012-005708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7081 한국공개특허 10-2012-004189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189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척수 손상이나 뇌 손상 등으로 인해 다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거동할 수 없는 환자 다리를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다리 근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 근력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leg muscles from being reduced by repeatedly moving a patient's leg which can not be used properly or can not act due to a spinal cord injury, And to provide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관절 구조가 구비된 하지 골격 프레임;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며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고 펴는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과 지지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펴짐 동작을 수행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lower skelet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keleton frame; Driving means provided on the supporting fram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lower frame; And a guide plate for connecting the lower skeleton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and performing a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while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eans and moving along the rails of the support member .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자성을 센싱하는 자기센서 수신부가 구성되고, 상기 자기센서 수신부는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 상태 또는 펴짐 상태를 센싱하도록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2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support base is provided with a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for sensing the magnetism of the driving means and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is provided with two support members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so as to sense the folded state or the expanded state of the lower skeleton frame .

그리고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환자의 근전도 값을 입력받고, 상기 근전도 값과 대응하여 기 설정된 운동 레벨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펴짐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박스를 더 포함한다. And a control unit box for inputting the electromyogram value of the patient sensed from the electromyogram sens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and controlling the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at a predetermined movement leve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myogram value .

또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접고 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Further, the lower skeleton fram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upport so as to be capable of folding and stretching the leg in a lying state of the pati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리 근력 재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은 환자 다리에 하지 골격 프레임을 착용시킨 상태에서 환자 자신이 원하는 운동레벨 또는 환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하지 골격 프레임이 지지대 위에서 접고 펴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혀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상태인 환자의 경우에도 환자의 다리 근력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시키거나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since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lower skeleton frame on the support frame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desired exercise level or the body condition of the patient while the lower skeleton frame is worn on the patient's legs, The patient's leg strength can be maintained or restored to a certain level even when the patient is inoperable or the patient is in an uncomfortable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 근력 재활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다리 근력 재활장치의 제어 유닛박스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메모리에 저장된 수동/자동 모드별 테이블 예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box of the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of Fig. 1
Figures 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manual / automatic mode tables stored in the memory of Figure 2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리 근력 재활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리 근력 재활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본 실시 예를 이루는 구성 중, 하지 골격프레임 및 지지대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제외한 본 실시 예의 다른 구성 예컨대 제어 유닛박스 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할 것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only the lower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he constitution of this embodiment, and other configurations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box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도 1을 보면 다리 근력 재활 장치(100)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하지 골격 프레임(110)은 환자의 다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다리의 외골격을 모델링 한 프레임 형상이고,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를 접고 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절 구조를 갖는다. 즉 하지 골격 프레임(110)은 무릎 및 발목 부분의 프레임 부분에 관절이 구성된다. 아울러 하지 골격 프레임(110)에 다리를 지지하였을 때 하지 골격 프레임(110)에서 다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다리의 정강이 및 발등 부분을 감싸는 밴드(112)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하지 골격 프레임(110)은 도면에서 한쪽 다리만 착용 가능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환자의 한쪽 다리 또는 양쪽 다리를 모두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리의 무릎을 기준으로 정강이 부분만을 착용하거나 허벅지까지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을 갖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lower skeleton frame 110. The lower skeletal frame 110 has a frame shape modeling the exoskeleton of the leg so as to be worn on the leg of the patient and has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such that the leg can be folded and stretched when the patient wears it. In other words,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has joints in the frame portions of the knees and ankles. When the leg is supported on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a band 112 is formed to surround the shank and the foot portion of the leg so that the leg is not separated from the lower skeletal frame 110.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leg skeletal frame 110 of this embodiment shows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leg can be worn, the leg skeleton frame 110 can be worn by one leg or both legs of the patient,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so that it can be worn to the thigh.

하지 골격 프레임(110)에는 가이드 판(120)이 연결된다. 가이드 판(120)은 후술하는 지지대(130)의 상면에 위치하고,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후진 동작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접고 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가이드 판(120)이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고 펴는 동작을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판(12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인 실린더와 결합하고 있다. A guide plate 1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The guide plate 1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s the cylinder is driven. The lower skeletal frame 110 can be folded and stretched according to suc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guide plate 120 supports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Therefore, the guide plate 120 is coupled to the cylinder, which is the driving means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하지 골격 프레임(110)과 그 하지 골격 프레임(110)을 착용한 환자 다리를 지지하는 지지대(130)가 구성된다. A support frame 130 for supporting the patient's legs wearing the skeletal frame 110 and the skeletal frame 110 thereof is constructed.

지지대(1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지대(130)는 대략 직육면체로 구성되고, 그 상면에는 가이드 판(120)이 전후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레일(132)이 설치된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ase 130, the support base 1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rail 132 serving as a guid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guide the guide plate 120 back and forth.

또한 지지대(130)에는 상기 가이드 판(120)이 레일(132)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인 실린더(134)가 장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134)는 환자의 신체에서 감지한 근전도 센싱값을 기초로 하여 환자의 다리 근력에 맞게 운동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직접 설정한 운동 레벨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A cylinder 134 is mounted on the support 130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guide plate 120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132. The cylinder 13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exercise level according to the leg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based on the EMG sensed value sensed by the patient's body or provide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set exercise level do.

그리고 지지대(130)에는 센서(136)가 설치된다. 센서(136)는 실린더(134)의 자성을 검출하는 자기센서 수신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센서(136)는 자기센서 수신부로 표기한다. 따라서 자기센서 수신부(136)의 수신 값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고 펴진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센서 수신부(110)는 2개가 사용된다. 하나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완전하게 접힌 상태를 검출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완전하게 펴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자기센서 수신부(136)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완전하게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자기센서 수신부(136)가 반드시 2개일 필요는 없다. 즉 운동 횟수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펴지고 접히는 횟수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때 펴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만을 검출하더라도 운동 횟수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한 부분에만 자기센서 수신부가 장착되어도 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는 상술한 자기센서 수신부(136)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안을 고려하여 운동 횟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완전히 접힐 때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접촉 센서를 제공하고, 그 접촉 센서의 접촉 횟수에 따라 운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 sensor 136 is installed on the support 130. The sensor 136 is constituted by a magnetic sensor receiving section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cylinder 134. Hereinafter, the sensor 136 is referred to as a magnetic sensor receiving sec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can be checked according to the received value of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 To this end, two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s 110 are used. One for detecting the fully folded state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and the other for detecting the fully opened state of the lower skeletal frame 110. Therefore, each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is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can detect the fully folded state and the unfolded state. However,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section 136 of this embodi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wo.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i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stretched and fold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can be determined even if only the opened state or the folded state is detected. Therefore,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portion may be mounted in only one portion. Also, the embodiment may detect the number of motions in consideration of other measures without using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tact sensor at a portion where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completely folded, and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count of the contact sensor.

한편, 도면 부호 140은 제어 유닛박스이다. 제어 유닛박스(140)는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142) 및 입력버튼(144a)(144b)(144c)(144d)이 구성되는데, 이를 포함한 제어 유닛박스(140)의 구성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박스의 구성을 블록 구성도로 보인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 control unit box. The control unit box 140 is formed with a display 142 and input buttons 144a, 144b, 144c and 144d on its front surfa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box 140 including the control unit box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do.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box shown in Fig. 1. Fig.

도 2를 보면 제어 유닛박스(140)는 환자가 운동을 하면서 각종 정보를 확인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용이한 정보 확인 및 입력이 가능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환자가 손으로 들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 및 무게를 가지면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box 140 provides a function for a patient to confirm or input various information while exercising. And is sized to allow easy identification and input of information. That is, the patient can have a size and a weight so that the patient can hold it by hand.

제어 유닛박스(1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부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2)와 정보 입력을 위한 각종 입력 버튼(144)이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box 14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and as shown in Fig. 1, a display 142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put buttons 144 for inputting information are formed on the front face.

디스플레이(142)는 환자의 운동 상태정보인 운동 횟수나 운동 레벨, 선택된 모드 정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142 displays the number of exercises, the exercise level, the selected mode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the exercis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tient.

입력 버튼(144)은 디스플레이(142)의 하측에 형성되며, 실시 예에서 입력 버튼(144)은 총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있다. 즉 운동 횟수를 리셋하고 운동 모드를 자동 모드를 선택하는 제1 버튼(144a), 메뉴 변경 및 자동 모드를 취소하는 제2 버튼(144b), 운동 레벨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 타입의 제3 및 제4 버튼(144c)(144d)을 포함한다. 물론 이외에도 전원버튼, 일시 중지버튼 등이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button 14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142, and in the embodiment, the input button 144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buttons. A first button 144a for resetting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and selecting an automatic mode for the exercise mode, a second button 144b for canceling the menu change and automatic mode, an up / down type 3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Of course, a power button, a pause button, and the like may be configured.

여기서, 상술한 디스플레이(142) 및 입력버튼(144)의 구성은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예컨대, 입력 버튼(144)이 전원버튼, 자동/수동버튼, 리셋 버튼, 운동횟수 저장버튼, 업/다운 레벨 조절버튼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추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부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142) 및 입력버튼(144)이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지 않고 터치 방식의 모니터로 대처할 수도 있다. 터치 방식인 경우 모니터는 정보 표시기능 및 정보 입력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display 142 and the input button 144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nput button 144 may be configured as a power button, an automatic / manual button, a reset button, a number of times of exercise storing button, an up / down level adjusting button, or the like, . Also, the display 142 and the input button 144 may not b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may be handled as a touch-type monitor. In the touch type, the monitor performs both an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an information input function.

제어 유닛박스(140)에는 메모리(146)가 구비된다. 메모리(146)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운동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운동 정보는 운동시간 및 운동 횟수 정보, 환자의 근전도 센싱 값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6)에는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에 따른 제1 및 제2 테이블(146a)(146b)이 각각 구비된다. The control unit box 140 is provided with a memory 146. The memory 146 basically serves to store exercise information of the patient. The exercise information includes exercise time and exercise frequency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EMG sensing value. Also, the memory 146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tables 146a and 146b according to a manual mode and an automatic mode, respectively.

수동 모드의 제1 테이블(146a)에 저장된 정보는 제3 및 제4 버튼(144c)(144d) 조작으로 인한 운동 레벨과 그 운동 레벨에 맞게 기 설정된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힘/펴짐 횟수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운동 레벨이 '0'인 경우 접힘/펴짐 횟수는 10회, '1'인 경우 접힙/펴짐 횟수는 15회와 같은 정보가 미리 셋팅된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table 146a of the manual mode is a motion level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and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 expansion of the predetermined lower skeleton frame 1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motion level is '0',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 spreading is 10 times, and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 spreading is 15 when the motion level is '1'.

자동 모드인 경우 제2 테이블(146b)에 저장된 정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 레벨을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다. 즉 후술하는 근전도 센서의 센싱 값과 그 센싱 값과 대응되어 수행되어야 할 운동 레벨이 서로 매칭되어 저장된다. 예컨대, 도 4와 같이 센싱 값이 '0~ 99'이라고 한다면 운동 레벨은 '0'로 수행되게 하고, '100~199'이라고 한다면 운동 레벨은 '1'로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운동 레벨은 하지 골격 프레임(110)이 접히고 펴지는 횟수와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해 환자의 근력이 약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강하다고 판단된 경우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히고 펴지는 횟수가 더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실린더(134)의 피스톤 공기압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In the automatic mod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table 146b stores information for automatically providing the exercise level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at is, the sensed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described later and the exercise level to be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sensed value are matched and stored. For example, if the sensing value is '0 to 99' as shown in FIG. 4, the motion level is set to '0'. If the sensing value is '100 to 199', the motion level is set to '1'. Here, the motion level is related to the number of times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folded and unfolded. In other words, when the strength of the patient is determined to be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strength of the patient, the skeleton frame 110 can be folded and stretched more frequently. This can be practically accomplished by adjusting the piston air pressure of the cylinder 134.

상기의 운동 모드에 따른 제1 및 제2 테이블(146a)(146b)에 저장된 정보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를 고려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tables 146a and 146b according to the exercise mode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of each individual patient.

제어 유닛박스(140)는 환자의 신체 즉 다리 부분에 부착되는 다수의 근전도 센서(150)로부터 센싱 값 및 자기센서 수신부(136)의 측정값을 전달받기 위한 입력단자(148)가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근전도 센서(150)의 센싱 값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및 안정된 파형을 획득하기 위한 적분기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근전도 센서(150)의 센싱 값이 너무 작아 환자의 신체 상태를 센싱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센싱 값을 증폭할 필요가 있고, 또한 증폭된 센싱 값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control unit box 140 includes an input terminal 148 for receiving a sensing value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myography sensors 150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that is, a leg portion,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ensed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and an integrator for acquiring a stable waveform may be further configured. In other words, the sensing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may be too small to sense the body condition of the patien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mplify the sensed value and also to stabilize the amplified sensed value Because.

한편 제어 유닛박스(140)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9)가 구성된다. 즉,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힘/펴짐 동작 제어, 근전도 센서(150)를 이용한 자동 모드 제어, 운동 정보의 표시 제어, 자기센서 수신부(136)의 측정 값에 따른 운동 횟수 표시 등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box 140 constitutes a control unit 149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That is, control of the folding / unfol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automatic mode control using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display control of motion information, and display of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are performed .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리 근력 재활장치를 이용한 재활치료 과정을 설명한다. 재활치료 과정은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로 구분할 수 있고, 구분하여 설명한다. Next, 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using the leg muscle force rehabilitation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he manual mode and the automatic mode, and is described separately.

1. 수동 모드에 따른 재활치료 과정이다. 1. Rehabilitation process according to manual mode.

수동 모드는 환자 자신이 제어 유닛박스(140)에 구비된 업/다운 타입의 제3 및 제4 버튼(144c)(144d)을 조작함으로써 할 수 있다. The manual mode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of the up / down typ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box 140 by the patient himself / herself.

우선, 환자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을 착용한다. 그 상태에서 환자는 자신이 소화할 수 있는 운동 레벨을 제3 및 제4 버튼(144c)(144d)을 조작하여 결정한다. 통상 초기 상태에서는 운동 레벨은 최하 레벨로 정해져 있다. First, the patient wears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n this state, the patient determines the exercise level at which the patient can digest by manipulating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Normally, the exercise level is set to the lowest level in the initial state.

제3 및 제4 버튼(144c)(144d) 조작으로 운동 레벨이 결정되면, 제어부(149)는 메모리(146)에 저장된 제1 테이블(146a)을 액세스한다. 그 결과 제어부(149)는 운동 레벨과 대응되는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힘/펴짐 횟수를 알 수 있고, 그에 맞게 실린더(134)의 구동력을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149 accesses the first table 146a stored in the memory 146.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9 accesses the first table 146a, which is stored in the memory 146, when the movement level is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As a result, the controller 149 can recognize the number of times of folding / expansion of the lower frame 110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level, and adjusts the driving force of the cylinder 134 accordingly.

실린더(134)가 구동하면, 실린더(134)의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가이드 판(120)은 레일(132)을 따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가이드 판(120)과 연결된 하지 골격 프레임(110)도 함께 구동한다. 따라서 하지 골격 프레임(110)을 착용한 환자 다리 역시 하지 골격 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움직이게 되어 다리 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When the cylinder 134 is driven, the guide plate 120 connected to the piston rod of the cylinder 134 reciprocates forward / backward along the rail 132. The lower frame 110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120 is also driven. Therefore, the patient's legs wearing the skeleton frame 110 move in the same manner as the skeleton frame 110, so that the leg exercises are performed.

환자는 운동을 하면서 선택적으로 제3 및 제4 버튼(144c)(144d)을 조작하여 운동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운동레벨에 따라 현재 운동 상태에서 다리가 접히는 횟수(또는 펴지는 횟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The patient can selectively adjust the exercise level by operating the third and fourth buttons 144c and 144d while exercising. Depending on the exercise level, the number of times the legs are folded (or the number of times it is stretched) in the current exercise state increases or decreases.

이와 같은 운동 레벨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힘/펴짐 동작이 수행될 때 자기센서 수신부(136)는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그 접힘/펴짐 상태를 센싱한다. 그 센싱 결과는 입력단자(148)를 통해 제어부(149)로 전달되고, 제어부(149)는 이를 디스플레이(142)에 표시한다. 따라서 환자는 운동을 하면서 제어 유닛박스(140)의 디스플레이(142)를 통해 운동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movement level,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senses the folding / spreading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ston. The sen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9 via the input terminal 148, and the control unit 149 displays the sensing result on the display 142. Therefore, the patient can confirm the number of exercises through the display 142 of the control unit box 140 while exercising.

2. 자동모드에 따른 재활치료 과정이다. 2. Rehabilitation process according to automatic mode.

자동모드는 기본적으로 환자 다리에 적어도 하나의 근전도 센서(150)가 부착되고, 제어 유닛박스(140)가 근전도 센서(150)의 센싱 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근전도 센서(150)의 케이블이 입력단자(148)와 연결되어야 한다. In the automatic mode, at least one electromyogram sensor 150 is attached to the patient leg and the cabl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not shown) to receive the sensing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148).

그 상태에서, 환자가 1번 버튼(144a)을 조작하여 자동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49)는 우선적으로 근전도 센서(150)의 센싱값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49)는 입력받은 센싱 값과 대응하는 운동 레벨을 확인하기 위해 제2 테이블(146b)을 액세스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patient operates the first button 144a to select the automatic mode, the control unit 149 receives the sensing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preferentially. The controller 149 accesses the second table 146b to check the mo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nsing value.

상기 제2 테이블(146b)에 저장된 정보의 액세스 결과, 현재의 센싱 값과 대응하는 운동 레벨이 확인되면, 제어부(149)는 상기 운동 레벨에 맞게 실린더(134)의 구동력을 조절한다. 상기 실린더(134) 구동에 따라서 피스톤 로드와 연결된 가이드 판(120)이 레일(132)을 따라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고, 하지 골격 프레임(110)은 접힘/펴짐 동작을 하게 된다. When the access level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table 146b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acc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nsing value, the controller 149 adjusts the driving force of the cylinder 134 according to the exercise level. As the cylinder 134 is driven, the guide plate 120 connected to the piston rod performs a forward /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rail 132, and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performs a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이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110)을 착용한 환자 다리도 접힘 및 펴짐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자기센서 수신부(136)는 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그 접힘/펴짐 상태를 센싱하고, 제어부(149)는 센싱 결과 즉 운동 횟수를 디스플레이(142)에 표시한다. Accordingly, the patient's leg, which wears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also repeatedly folded and unfolded. Also in this case, the magnetic sensor receiving unit 136 senses the folding / spreading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ston, and the controller 149 displays the sensing result,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on the display 142.

이와 같이 수동 모드 및 자동 모드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110)은 접힘 및 펴지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거동할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다리 근력을 회복시켜 줄 수 있다. Since the lower skeletal frame 110 is repeatedly folded and unfolded according to the manual mode and the automatic mode, it is possible to restore leg muscular strength in a patient who can not move or is uncomfortable to move.

한편, 상술한 자동 모드에서는 근전도 센서(150)의 센싱 값을 기초로 하여 하지 골격 프레임(110)의 접힘/펴짐 동작이 반복 수행되었다. 그러나, 환자가 운동횟수나 운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되면, 그 운동횟수나 운동시간을 셋팅하여 다리 운동을 하는 모드도 가능하다. 즉, 환자 자신이 어느 정도의 운동 횟수나 운동시간만큼 운동하고자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49)는 그 입력된 운동 횟수 또는 운동시간만큼 실린더(134)를 구동시키고, 그 운동횟수 또는 운동시간 조건이 만족하면 실린더(134)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mode, the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110 is repeat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electromyogram sensor 150. However, if the patient is provided with a button for inputting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or the exercise time, a mode of exercising the leg by setting the number of exercises or the exercise time is also possible. That is, when the patient himself / herself inputs information to exercise by a certain number of times of exercise or exercise time, the controller 149 drives the cylinder 134 by the inputted number of exercise or exercise time,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34 is stopp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 다리에 하지 골격 프레임을 착용하고 환자 상태나 환자 자신이 원하는 운동 레벨에 따라 하지 골격 프레임이 지지대 상에서 왕복 이동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환자 다리가 접히고 펴지는 동작이 수행되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거동할 수 없는 환자 다리의 재활 치료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keleton frame is worn on the patient's leg, and the lower skeleton frame is reciprocated on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atient's state or the desired motion level of the patient, thereby practically folding and unfolding the patient's leg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patient's legs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즉 상술한 예에서는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의 다리 근육을 회복하고 재활하는 예로 한정하고 있으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노인, 장애인, 그리고 스포츠 분야에서 다리 재활을 위한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although the above example is limited to restoring and rehabilitating the leg muscles of a patient who can not perform the move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fields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sports in the uncomfortable age.

100 : 다리 근력재활 장치 110 : 하지 골격 프레임
120 : 가이드 판 130 : 지지대
132 : 레일 134 : 실린더
136 : 자기센서 수신부 140 : 제어 유닛박스
142 : 디스플레이 144a ~ 144d : 제1 내지 제4 입력버튼
146 : 메모리 148 : 입력단자
149 : 제어부 150 : 근전도 센서
100: leg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device 110: lower skeletal frame
120: guide plate 130: support
132: rail 134: cylinder
136: magnetic sensor receiver 140: control unit box
142: displays 144a to 144d: first to fourth input buttons
146: memory 148: input terminal
149: controller 150: electromyogram sensor

Claims (4)

복수의 관절 구조가 구비된 하지 골격 프레임;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구성되며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고 펴는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과 지지대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지지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펴짐 동작을 수행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
A lower skeleton frame hav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keleton frame;
Driving means provided on the supporting frame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lower frame; And
And a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lower skeleton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perform a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while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moving along the rails of the suppor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구동수단의 자성을 센싱하는 자기센서 수신부를 구성하고,
상기 자기센서 수신부는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 상태 또는 펴짐 상태를 센싱하도록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2개가 장착되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table constitutes a magnetic sensor receiver for sensing the magnetism of the drive means,
Wherein the magnetic sensor receiver is mounted with tw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so as to sense a folded state or an extended state of the lower skeleton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신체에 부착된 근전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환자의 근전도 값을 입력받고, 상기 근전도 값과 대응하여 기 설정된 운동 레벨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의 접힘/펴짐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박스를 더 포함하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box for inputting the electromyogram value of the patient sensed from the electromyogram sens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patient and controlling the folding / spreading operation of the lower skeleton frame at a predetermined movement level corresponding to the electromyogram value Leg muscle strength rehabilit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골격 프레임은,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다리를 접고 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 상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리 근력 재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keleton frame comprises:
Wherein the leg support member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upport so that an operation of folding and stretching the leg when the patient is lying down can be performed.

KR1020130023330A 2013-03-05 2013-03-05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KR201401090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30A KR20140109090A (en) 2013-03-05 2013-03-05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30A KR20140109090A (en) 2013-03-05 2013-03-05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090A true KR20140109090A (en) 2014-09-15

Family

ID=5175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330A KR20140109090A (en) 2013-03-05 2013-03-05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9090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175A1 (en) * 2015-12-31 2017-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assive and active driving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
CN108553264A (en) * 2018-01-12 2018-09-21 孙琳琳 A kind of postoperative nursing rehabilitation device of neurosurgery
CN109199796A (en) * 2018-10-29 2019-01-1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附属医院 A kind of pneumatic electromagnetic levitation type recovery set for lower limbs
PL422318A1 (en) * 2017-07-23 2019-01-28 Politechnika Warszawska Device for mechanical excitation of a generator of the rodent and four-legged mammal patterns, simulating the effect of hind legs stepping
KR101988167B1 (en) * 2018-04-09 2019-06-11 주식회사 엠비젼 Therapeutic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related pain event
KR102001200B1 (en) 2018-03-21 2019-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KR20200068594A (en) * 2018-12-05 2020-06-15 (주)비빔플래닛 Apparatus for joint mobilization
CN112168551A (en) * 2020-11-06 2021-01-05 宁波奥达智能家居有限公司 Shank rehabilitation device and nursing bed
KR20210048624A (en)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쎄텍 Personalized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CN113440378A (en) * 2021-07-19 2021-09-28 广西科技大学 Leg adjusting device of self-locking exoskeleton robot and using metho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6175A1 (en) * 2015-12-31 2017-07-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assive and active driving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
US11369821B2 (en) 2015-12-31 2022-06-28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assive and active driving device for strengthening muscle
PL422318A1 (en) * 2017-07-23 2019-01-28 Politechnika Warszawska Device for mechanical excitation of a generator of the rodent and four-legged mammal patterns, simulating the effect of hind legs stepping
CN108553264A (en) * 2018-01-12 2018-09-21 孙琳琳 A kind of postoperative nursing rehabilitation device of neurosurgery
KR102001200B1 (en) 2018-03-21 2019-07-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lay apparatus for exercise of hand
KR101988167B1 (en) * 2018-04-09 2019-06-11 주식회사 엠비젼 Therapeutic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related pain event
CN109199796A (en) * 2018-10-29 2019-01-15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附属医院 A kind of pneumatic electromagnetic levitation type recovery set for lower limbs
KR20200068594A (en) * 2018-12-05 2020-06-15 (주)비빔플래닛 Apparatus for joint mobilization
KR20210048624A (en) * 2019-10-23 2021-05-04 주식회사 쎄텍 Personalized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CN112168551A (en) * 2020-11-06 2021-01-05 宁波奥达智能家居有限公司 Shank rehabilitation device and nursing bed
CN113440378A (en) * 2021-07-19 2021-09-28 广西科技大学 Leg adjusting device of self-locking exoskeleton robot and us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9090A (en) A leg muscular strength rehabilitation apparatus
US9895282B2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JP6175050B2 (en) Active robotic walk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Veneman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LOPES exoskeleton robot for interactive gait rehabilitation
KR101553379B1 (en) Portable 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US7322904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US20070043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limb rehabilitation
Pietrusinski et al. Robotic gait rehabilitation trainer
US7641591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US20120046578A1 (en) Powered orthosis systems and methods
CN107106398B (en) Method for enhancing rehabilitation or training of exoskeleton wearer
KR1019219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lower-limb rehabilitation robot
KR20100027570A (en) Apparatus for static, dynamic balance and gait training of hemiplegic patients
KR101793828B1 (en) Functional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using a folding frame
KR101988644B1 (en)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KR102021349B1 (en) Standing table for rehabilitation
JP2014061106A (en) Lower limb training device
TWI778760B (en) Stretching and stretching system
KR101783313B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for musculus quadriceps femoris
Sugihra et al. Ankle Joint Stretching Device by Using Tension Rod Structure for Self Rehabilitation
KR20230024499A (en) Active walking assistance robot for rehabilitation training
KR20220077309A (en)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for muscle strengthening
KR20230155641A (en)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N116999775A (en) Medical rehabilitation balance exercise robot
KR20160069929A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using a pneuma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