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963A - 제빙 장치 - Google Patents

제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963A
KR20140108963A KR1020130022947A KR20130022947A KR20140108963A KR 20140108963 A KR20140108963 A KR 20140108963A KR 1020130022947 A KR1020130022947 A KR 1020130022947A KR 20130022947 A KR20130022947 A KR 20130022947A KR 20140108963 A KR20140108963 A KR 2014010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ear
motor
ejector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3002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963A/ko
Publication of KR2014010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이빙시키는 이젝터, 아이스 뱅크 내에 형성되고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얼음 이송부, 및 이젝터 및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 장치{APPARATUS FOR ICE MAK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이젝터 및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는 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이때, 냉장실과 냉동실의 위치는 냉장고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종래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에 병립하는 형태의 냉장고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하부에 냉동실이 위치하고, 상부에 냉장실이 위치하는 형태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및 도 2에서 냉장실은 그 내부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냉장고(10)는 하부에 냉동실(11)이 형성되고, 상부에 냉장실(13)이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10)는 냉동실(13)에 제빙기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 몸을 숙여 제빙기 내의 얼음을 꺼내야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냉동실(13)이 아닌 냉장실(13)의 일측에 별도의 제빙실(20)을 설치한다.
제빙실(20)은 냉장실(13)의 일측에 형성된 제빙실 격벽(21)을 통해 냉장실(13)과 단열되며 냉장실(13)과 구별된 독립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제빙실(20) 내에는 제빙기(23), 아이스 뱅크(25), 얼음 이송 구동부(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아이스 뱅크(25)는 제빙실 격벽(21) 상에서 제빙기(23)의 하부에 형성되고, 얼음 이송 구동부(27)는 제빙실 격벽(21) 상에서 아이스 뱅크(25)의 후방에 형성된다.
제빙기(23)는 아이스 트레이(31), 이젝터(33), 제빙기 모터(35), 및 제어 박스(37)를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31) 내에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제빙 공간이 형성된다. 이젝터(33)는 아이스 트레이(31)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25)로 이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빙기 모터(35)는 아이스 트레이(31)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이젝터(33)를 회전시켜 아이스 트레이(31) 내의 얼음을 이빙시킨다. 제빙기 모터(35)는 아이스 트레이(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어 박스(37) 내에 설치된다.
아이스 뱅크(25)는 제빙기(23)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아이스 뱅크(25)는 얼음 이송부(41), 얼음 분쇄부(43), 및 얼음 배출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얼음 이송부(41)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이스 뱅크(25)의 내부를 가로 지르며 형성된다. 얼음 이송부(41)의 일단은 얼음 이송 구동부(27)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얼음 이송부(41)의 타단은 얼음 분쇄부(43)와 연결된다. 여기서, 얼음 이송부(41)가 회전함에 따라 아이스 뱅크(25) 내의 얼음이 얼음 이송부(41)에 의해 얼음 분쇄부(43)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얼음 분쇄부(43)는 얼음 이송부(41)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얼음 분쇄부(43)는 고정 블레이드(43-1) 및 가동 블레이드(4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블레이드(43-1) 및 가동 블레이드(43-2)는 얼음 이송부(41)의 타단과 각각 연결된다.
얼음 배출부(45)는 아이스 뱅크(25)의 하부면을 일부 개폐하여 얼음 이송부(41)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아이스 뱅크(25)의 하부에 형성된 아이스 슈트(7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스 슈트(70)로 배출된 얼음은 디스펜서(미도시)를 통해 냉장고(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얼음 배출부(45)는 고정 블레이드(43-1) 및 가동 블레이드(43-2)를 기준으로 아이스 뱅크(25)의 하부면 중 소정 부분만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얼음 배출부(45)의 개폐 여부에 따라 사용자는 통얼음과 분쇄된 얼음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빙실(20)은 이젝터(33)를 회전시키는 제빙기 모터(35) 및 얼음 이송부(41)를 회전시키는 얼음 이송 모터(53)를 각각 구비한다. 이때, 제빙기 모터(35)는 제어 박스(37) 내에 설치되고, 얼음 이송 모터(53)는 얼음 이송 구동부(27)에 설치되는 바, 각 모터(35, 53)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며, 그로 인해 전력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제빙실(20)은 두 개의 모터(35, 53)를 구비하는 데 따른 비용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얼음 이송 구동부(27)는 제어 박스(37)와는 별도의 케이스(51)를 구비하기 때문에, 얼음 이송 구동부(27)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제빙실(20)의 전체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제빙실(20)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얼음 이송 구동부(27)는 별도의 케이스(51)가 제빙실 격벽(21) 상에서 아이스 뱅크(25)의 후방에 결합되기 때문에, 얼음 이송 모터(53)가 구동할 때 케이스(51)와 아이스 뱅크(25) 및 케이스(51)와 제빙실 격벽(21) 간의 미세한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제빙기(23)는 제어 박스(37), 트레이 수납부(미도시), 급수컵(미도시), 아이스 뱅크(25) 등의 구성 부품들을 각각 별도로 제조한 후 조립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각 구성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번의 사출 성형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고, 각 구성 부품들을 조립하여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며, 치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로 이젝터와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제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제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아이스 뱅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얼음 이송부; 및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로 이젝터와 얼음 이송부를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이젝터 및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제빙실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빙실의 전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제빙실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젝터 및 얼음 이송부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제빙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 하고 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 장치의 구성 중 트레이 수납부, 급수컵, 제어 박스, 및 아이스 뱅크 중 적어도 하나를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트레이 수납부, 급수컵, 제어 박스, 및 아이스 뱅크 등을 제빙실 격벽에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빙 장치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가 제빙실 격벽 및 아이스 뱅크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 시 제어 박스와 제빙실 격벽 및 아이스 뱅크 간의 상호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빙 장치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모터 기어의 회전에 따른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빙 장치에서 트레이 수납부, 급수컵, 제어 박스, 및 아이스 뱅크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빙 장치(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104), 아이스 뱅크(106), 얼음 이송부(108), 모터(110), 모터 기어(112), 제1 기어(114), 및 제2 기어(116)를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 복수 개의 격벽(101)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트레이 수납부(12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트레이 수납부(121)의 일측에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04)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상부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로 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104)는 이젝터(104)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미도시)을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제빙수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이젝터(104)가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106)로 이빙시키게 된다. 이젝터(104)의 일측은 제1 기어(114)와 결합된다. 이때, 이젝터(104)는 제1 기어(11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아이스 뱅크(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된다. 아이스 뱅크(106)는 아이스 트레이(102)로부터 취출된 얼음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스 뱅크(106)의 내부에는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얼음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아이스 뱅크(106)에는 얼음 배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 배출부(125)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이송부(108)는 아이스 뱅크(106)의 내부를 가로 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이송부(108)는 아이스 뱅크(106)의 내부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 배출부(125) 쪽으로 이송시켜 아이스 뱅크(106)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얼음 이송부(108)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 이송부(108)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스 뱅크(106) 내의 얼음이 얼음 이송부(108)에 의해 얼음 배출부(125)로 이송되게 된다. 얼음 이송부(108)의 일측은 제2 기어(116)와 결합된다. 이때, 얼음 이송부(108)는 제2 기어(11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모터(110)는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모터(110)로 이젝터(104)와 얼음 이송부(108)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10)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젝터(104)만을 구동시키고, 모터(110)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얼음 이송부(108)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모터(110)는 제어 박스(12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 박스(127)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기어(112)는 모터(110)와 결합된다. 모터 기어(112)는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모터 기어(112)는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1 기어(114)를 통해 이젝터(10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모터 기어(112)는 모터(110)의 회전력을 제2 기어(116)를 통해 얼음 이송부(108)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기어(114)는 이젝터(104)와 결합되어 이젝터(104)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기어(114)는 모터 기어(112)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1 기어(114)는 모터 기어(112)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변속 기어(129)를 통해 모터 기어(11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변속 기어(129)를 통해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기어(114)는 예를 들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젝터(104)와 연동되어 이젝터(10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젝터(104)와의 연동이 중단되어 이젝터(104)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제2 기어(116)는 얼음 이송부(108)와 결합되어 얼음 이송부(108)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기어(116)는 모터 기어(112)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2 기어(116)는 예를 들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얼음 이송부(108)와 연동되어 얼음 이송부(108)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얼음 이송부(108)와의 연동이 중단되어 얼음 이송부(108)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110), 모터 기어(112), 제1 기어(114), 및 제2 기어(116)는 제어 박스(127)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110)로 이젝터(104)와 얼음 이송부(108)를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제빙실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빙실의 전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제빙실 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제빙 장치(100)의 구성을 간소화 하고 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어(114)는 제1 외측 기어(114-1) 및 제1 내측 기어(114-2)를 포함한다. 제1 외측 기어(114-1)는 모터 기어(112)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제1 외측 기어(114-1)는 모터 기어(112)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변속 기어(129)를 통해 모터 기어(11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외측 기어(114-1)가 모터 기어(112)와 직접 결합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제1 외측 기어(114-1)의 내주면에는 제1 외측 기어(114-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걸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 기어(114-2)는 제1 외측 기어(114-1)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 내측 기어(114-2)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홈(141)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 돌기(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 돌기(144)는 제1 내측 기어(114-2)의 외주면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내측 기어(114-2)는 이젝터(104)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1 내측 기어(114-2)에는 제1 결합홀(14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젝터(104)의 일측은 제1 결합홀(147)에 삽입되어 제1 내측 기어(114-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젝터(104)는 제1 내측 기어(114-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외측 기어(114-1)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외측 기어(114-1)의 제1 걸림홈(141)에 제1 내측 기어(114-2)의 제1 걸림 돌기(144)가 걸림되어 제1 내측 기어(114-2)가 제1 외측 기어(114-1)와 함께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젝터(104)는 제1 기어(114)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반면, 제1 외측 기어(114-1)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내측 기어(114-2)의 제1 걸림 돌기(144)가 제1 외측 기어(114-1)의 제1 걸림홈(141)에 걸림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내측 기어(114-2)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이젝터(104)는 제1 기어(114)와의 연동이 중단되게 된다.
한편, 제2 기어(116)는 제2 외측 기어(116-1) 및 제2 내측 기어(116-2)를 포함한다. 제2 외측 기어(116-1)는 모터 기어(112)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외측 기어(116-1)의 내주면에는 제2 외측 기어(116-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걸림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 기어(116-2)는 제2 외측 기어(116-1)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2 내측 기어(116-2)의 외주면에는 제2 걸림홈(151)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걸림 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 돌기(154)는 제2 내측 기어(116-2)의 외주면에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내측 기어(116-2)는 얼음 이송부(108)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2 내측 기어(116-2)에는 제2 결합홀(15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 이송부(108)의 일측은 제2 결합홀(157)에 삽입되어 제2 내측 기어(116-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얼음 이송부(108)는 제2 내측 기어(116-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외측 기어(116-1)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외측 기어(116-1)의 제2 걸림홈(151)에 제2 내측 기어(116-2)의 제2 걸림 돌기(154)가 걸림되어 제2 내측 기어(116-2)가 제2 외측 기어(116-1)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얼음 이송부(108)는 제2 기어(116)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반면, 제2 외측 기어(116-1)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내측 기어(116-2)의 제2 걸림 돌기(154)가 제2 외측 기어(116-1)의 제2 걸림홈(151)에 걸림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2 내측 기어(116-2)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얼음 이송부(108)는 제2 기어(116)와 연동이 중단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에서, 모터 기어의 회전에 따른 제1 기어 및 제2 기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외측 기어(114-1)는 모터 기어(112)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외측 기어(114-1)의 제1 걸림홈(141)에 제1 내측 기어(114-2)의 제1 걸림 돌기(144)가 걸림되어 제1 내측 기어(114-2)가 제1 외측 기어(114-1)와 함께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이젝터(104)는 제1 내측 기어(114-2)를 통해 제1 기어(114)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반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외측 기어(116-1)는 모터 기어(112)에 의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내측 기어(116-2)의 제2 걸림 돌기(154)는 제2 외측 기어(116-1)의 제2 걸림홈(151)에 걸림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2 내측 기어(116-2)는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모터(110)가 회전하더라도 제2 기어(116)와 얼음 이송부(108) 간의 연동이 중단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얼음 이송부(108)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외측 기어(114-1)는 모터 기어(112)에 의해 제1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내측 기어(114-2)의 제1 걸림 돌기(144)는 제1 외측 기어(114-1)의 제1 걸림홈(141)에 걸림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1 내측 기어(114-2)는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즉, 모터(110)가 회전하더라도 제1 기어(116)와 이젝터(104) 간의 연동이 중단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젝터(104)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반면, 모터 기어(112)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외측 기어(116-1)는 모터 기어(112)에 의해 제1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외측 기어(116-1)의 제2 걸림홈(151)에 제2 내측 기어(116-2)의 제2 걸림 돌기(154)가 걸림되어 제2 내측 기어(116-2)가 제2 외측 기어(116-1)와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얼음 이송부(108)는 제2 내측 기어(116-2)를 통해 제2 기어(116)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 기어(112)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 중 이젝터(104)만 회전시키고, 모터 기어(112)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 중 얼음 이송부(108)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110)를 통해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젝터(104) 및 얼음 이송부(108)를 필요한 때에만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는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가 18 rpm인 경우,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는 3 rpm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어(114) 및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기어(116)를 통해 얼음 이송부(108)를 회전시키는데, 얼음 이송부(108)로 아이스 뱅크(106) 내의 얼음을 외부(예를 들어, 아이스 슈트)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얼음 이송부(108)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아이스 뱅크(106) 내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신속하게 얼음을 배출할 필요가 있으며 그로 인해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한다.
반면, 제1 기어(114)를 통해 이젝터(104)를 회전시키는데, 이젝터(104)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에 붙어있는 얼음을 히터(미도시)로 녹이면서 이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는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한다. 이때,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는 변속 기어(129)를 통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기어(114)의 회전 속도를 제2 기어(116)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하려면, 제1 기어(114)의 크기를 제2 기어(116)보다 크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부피가 커지므로 제1 기어(114)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 제2 기어(116)보다 느리게 회전시키기 위해 변속 기어(129)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빙 장치(100)에서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 중 적어도 하나는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빙 장치에서 트레이 수납부, 급수컵, 제어 박스, 및 아이스 뱅크가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빙실 격벽(170)에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가 제빙실 격벽(1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가 모두 제빙실 격벽(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 중 적어도 하나가 제빙실 격벽(17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박스(127)에는 모터(110), 모터 기어(112), 제1 기어(114), 제2 기어(116), 및 변속 기어(129)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박스(127)에는 이젝터(104)의 일측을 제1 기어(114)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3 결합홀(16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박스(127)에는 얼음 이송부(108)의 일측을 제2 기어(116)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4 결합홀(1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 장치(100)의 구성 중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 중 적어도 하나를 제빙실 격벽(17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공정을 줄일 수 있고, 트레이 수납부(121), 급수컵(123), 제어 박스(127), 및 아이스 뱅크(108) 등을 제빙실 격벽(170)에 조립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빙 장치(100)의 전체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110)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127)가 제빙실 격벽(170) 및 아이스 뱅크(108)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110)의 구동 시 제어 박스(127)와 제빙실 격벽(170) 및 아이스 뱅크(108) 간의 상호 충돌 및 떨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빙 장치(100)의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빙 장치 101 : 격벽
102 : 아이스 트레이 104 : 이젝터
106 : 아이스 뱅크 108 : 얼음 이송부
110 : 모터 112 : 모터 기어
114 : 제1 기어 114-1 : 제1 외측 기어
114-2 : 제1 내측 기어 116 : 제2 기어
116-1 : 제1 외측 기어 116-2 : 제2 내측 기어
121 : 트레이 수납부 123 : 급수컵
125 : 얼음 배출부 127 : 제어 박스
129 : 변속 기어 141 : 제1 걸림홈
144 : 제1 걸림 돌기 147 : 제1 결합홀
151 : 제2 걸림홈 154 : 제2 걸림 돌기
157 : 제2 결합홀 161 : 제3 결합홀
164 : 제4 결합홀 170 : 제빙실 격벽

Claims (8)

  1.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아이스 뱅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얼음 이송부; 및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이젝터의 일측에서 상기 이젝터와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얼음 이송부의 일측에서 상기 얼음 이송부에 결합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모터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연동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얼음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제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 및 상기 얼음 이송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제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모터 기어에 연동되고, 내주면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 외측 기어; 및
    상기 제1 외측 기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의 일측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걸림홈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제1 내측 기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모터 기어에 연동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 외측 기어; 및
    상기 제2 외측 기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얼음 이송부의 일측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2 걸림홈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제2 내측 기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제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장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어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2 기어, 상기 모터 기어, 및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 박스 내에 형성되는, 제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장치는,
    냉장고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빙실 격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수납하는 트레이 수납부, 상기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뱅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빙실 격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 장치.
KR1020130022947A 2013-03-04 2013-03-04 제빙 장치 KR20140108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947A KR20140108963A (ko) 2013-03-04 2013-03-04 제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947A KR20140108963A (ko) 2013-03-04 2013-03-04 제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63A true KR20140108963A (ko) 2014-09-15

Family

ID=5175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947A KR20140108963A (ko) 2013-03-04 2013-03-04 제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9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95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095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5182B1 (ko)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EP2584293B1 (en) Ice bucket for unlaying ice curdling
US8011202B2 (en)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8459055B2 (en)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551167B1 (ko) 냉장고
US7698901B2 (en) Icemak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EP2808627B1 (en) Refrigerator
KR101718021B1 (ko) 제빙 유니트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2541173B1 (en) Ice bank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CN1752676A (zh) 具有刨冰供给装置的电冰箱
KR101555755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분쇄 방법
KR20050028225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20070076751A (ko) 냉장고
US20170292752A1 (en) Ice bin and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ice bin
KR2008001440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55756B1 (ko) 아이스 빈 및 이를 이용한 얼음 이송 방법
KR20090043971A (ko) 제빙장치
CA2492567C (en) Ice transfer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236771B1 (ko) 제빙기의 얼음 분리 저장 장치
US8650899B2 (en) Power transmission assembly and ice-making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40108963A (ko) 제빙 장치
KR20100113193A (ko) 냉장고
KR101917184B1 (ko) 제빙 장치
KR100565604B1 (ko) 냉장고의 제빙기
KR10129120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