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511A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511A
KR20140108511A KR1020140107638A KR20140107638A KR20140108511A KR 20140108511 A KR20140108511 A KR 20140108511A KR 1020140107638 A KR1020140107638 A KR 1020140107638A KR 20140107638 A KR20140107638 A KR 20140107638A KR 20140108511 A KR20140108511 A KR 20140108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ticulated frame
articulated
kickboar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신일
정대현
Original Assignee
오신일
정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신일, 정대현 filed Critical 오신일
Priority to KR102014010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511A/ko
Publication of KR2014010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킥보드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상부의 위치하여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잡고 끌도록 하는 U자형 핸들;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바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보조바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의 구조로 마련되는 접철부; 일측이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 일측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발판; 상기 접철부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며 좌우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원형 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가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제2 원형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가 접이되게 하는 제3 원형관절; 및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와 상기 발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제3 원형관절이 지탱하는 힘을 분산 시켜 상기 제3 원형관절의 유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니버셜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형의 관절에 의하여 관절형 프레임의 접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하 또는 좌우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관절형 프레임을 접고 발판과 보조바퀴프레임을 결합한 후 U자형 핸들을 이용하여 끌도록 하여 킥보드의 속도 향상과 접이 구조의 개선 및 관절 유격현상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취미생활 및 레포츠의 일환으로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성인에게 까지 스케이트보드, 킥보드 등의 여가생활이 증대되고 있다.
이중에서 여가생활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킥보드는 근래에 들어서 전진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발판에 대한 복원력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인 전진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의 킥보드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킥보드는 발판프레임과 손잡이 프레임이 연결된 접철부의 관절이 유격될 수 있는 단점, 발판의 프레임이 일자형 이므로 좌우의 운동만 가능할 뿐, 상하의 운동이 불가능한 단점, 프레임이 일자형 이므로 접이하여 끌고 다니기에 유용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원형관절에 의해 운동하는 관절형 프레임과 전방향 운동이 가능한 유니버셜관절 및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과 U자형 핸들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킥보드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상부의 위치하여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잡고 끌도록 하는 U자형 핸들;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바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보조바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의 구조로 마련되는 접철부; 일측이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 일측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발판; 상기 접철부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며 좌우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원형 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가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제2 원형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가 접이되게 하는 제3 원형관절; 및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와 상기 발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제3 원형관절이 지탱하는 힘을 분산 시켜 상기 제3 원형관절의 유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니버셜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은 일면에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고정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장치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니버셜관절에 의해 상기 발판을 접이하여, 상기 발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고정 장치를,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달려있는 보조바퀴 프레임에 위치한 발판고정장치삽입부에 결합시켜 상기 킥보드를 접이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킥보드는, 상기 U자형 핸들에 위치한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의 신호에 의해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높이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킥도드에 의하면, 관절의 접힘/펼침에 의해 관절형 프레임을 접힘과 펼칠 수 있고 이와 함께 U자형 핸들을 통하여 지하철, 강의실, 도서관 같이 타고 다닐 수 없는 곳에 갈 경우와 오랫동안 서있어야 할 경우에 손쉽게 접이하여 캐리어처럼 끌고 다닐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킥도드에 의하면, 기존의 좌우로만 구동 되던 발판이 좌우 또는 상하로도 구동이 되어 속도향상 및 관절유격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관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관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접이모습 및 킥보드의 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보조바퀴프레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손잡이 프레임의 높이조절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관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관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적인 관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킥보드(100)는 U자형 핸들(520)을 포함하는 손잡이 프레임(110),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 상기 손잡이 프레임(110)과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철부(150) 및 보조바퀴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U자형 핸들(520)은 손잡이 프레임(110)의 상부의 위치하여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잡고 끌게 하는 추가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접철부(150)의 하단에는 앞바퀴가 연결되어 부착되며, 도 4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보조바퀴 프레임(140)이 손잡이 프레임(110) 및 접철부(1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철부(150)는 도 4에서 확대 도시된 것처럼 상단 및 하단의 구조로 마련되며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원형 관절(530) 및 제2 원형관절(550)을 포함한다.
도 4에 확대도시된 상기 접철부(150)의 제1 원형 관절(530)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110)을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와 연결하며, 킥보드(100)의 좌우 수평방향의 운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을 돕는다.
도 5에 확대도시된 제3 원형관절(510)은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를 연결한다. 제2 원형관절(550)은 도 5에 확대 도시된 제3 원형관절(510)과 같은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3 원형 관절(510)을 통해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와 연결된다.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에는 발판(62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니버셜관절(540)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와 상기 발판(620) 사이에 위치해 서로를 연결하며 상기 발판(62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제3 원형관절(510)이 지탱하는 힘을 분산 시켜 상기 제3 원형관절(510)의 유격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유니버셜관절(540)은 도 6에 확대되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제1 원형관절(530), 상기 제2 원형관절(550) 및 제3 원형 관절(510)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를 접이토록 함으로써 상기 킥보드(100)의 상하 또는 좌우 운동(또는 움직임)을 수행가능토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1 원형관절(530)은 상기 킥보드(100)의 좌우 수평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관절이고, 상기 제2 원형관절(550) 및 제3 원형 관절(510)은 상기 킥보드(100)의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120)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130)의 상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접이모습 및 킥보드의 발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는 보조바퀴프레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킥보드(100)가 제2 원형 관절(550)에 따라 접이된 모습, 및 제3 원형 관절(510)에 따라 접이된 모습(610)이 도시되고, 유니버셜관절(540)에 따라 발판(620)이 접이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유니버셜관절(540)에 의해 상기 발판(620)을 접이하여, 상기 발판(620)의 일면에 위치하는 고정 장치(630)를, 상기 손잡이 프레임(110)에 연결된 보조바퀴 프레임(140)에 위치한 발판고정장치삽입부(640)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U자형 핸들(520)을 잡고, 손쉽게 접이하여 캐리어처럼 끌고 다닐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손잡이 프레임의 높이조절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U자형 핸들(520)에는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660)이 위치한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660)이 눌러지면 상기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장치(650)가 구동되어 손잡이 프레임(110)의 높이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킥보드에 있어서,
    손잡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상부의 위치하여 사용자가 무게 중심을 잡고 끌도록 하는 U자형 핸들;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연결되는 보조바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보조바퀴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의 구조로 마련되는 접철부;
    일측이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
    일측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발판;
    상기 접철부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위치하며 좌우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연결되는 제1 원형 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가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철부와 연결되는 제2 원형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관절형 프레임 상단부와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가 접이되게 하는 제3 원형관절;
    상기 관절형 프레임 하단부와 상기 발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 상기 제3 원형관절이 지탱하는 힘을 분산 시켜 상기 제3 원형관절의 유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유니버셜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일면에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바퀴 프레임은,
    상기 고정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장치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니버셜관절에 의해 상기 발판을 접이하여, 상기 발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고정 장치를,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달려있는 보조바퀴 프레임에 위치한 발판고정장치삽입부에 결합시켜 상기 킥보드를 접이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상기 U자형 핸들에 위치한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프레임은,
    상기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버튼의 신호에 의해 손잡이 프레임 높이조절 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높이를 자동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1020140107638A 2014-08-19 2014-08-19 킥보드 KR20140108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38A KR20140108511A (ko) 2014-08-19 2014-08-19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638A KR20140108511A (ko) 2014-08-19 2014-08-19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511A true KR20140108511A (ko) 2014-09-11

Family

ID=5175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638A KR20140108511A (ko) 2014-08-19 2014-08-19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5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0272A (ja) * 2018-12-07 2020-06-11 ナインボット(ベイジ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Ninebot(Beijing)Tech.Co.,Ltd スクー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0272A (ja) * 2018-12-07 2020-06-11 ナインボット(ベイジ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Ninebot(Beijing)Tech.Co.,Ltd スクーター
US11150661B2 (en) 2018-12-07 2021-10-19 Ninebot (Beijing) Tech Co., Ltd. Scooter having a contracting steering handle for unmanned ope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03514B (zh) 可调整托盘和座垫高度的高脚椅
TWI533905B (zh) 可調整行程跨距的運動裝置
EP3184401B1 (en) Baby stroller
US10631648B1 (en) Folding chair
CN103706084B (zh) 一种椭圆轨迹俯卧式运动健身器
US20080179849A1 (en) Scooter
CN101263992B (zh) 折叠椅
US20110298193A1 (en) skate car structure
TWI607927B (zh) 推車
EP2572957A3 (en) Foldable stroller
TW201524550A (zh) 具有橢圓運動軌跡的運動裝置
EP1640239A3 (en) Folding baby buggy
US7985165B1 (en) Elliptical exercise machine
GB2491713A (en) A folding stroller
WO2016008309A1 (zh) 一种活动沙发无停顿打开装置及其机械伸展装置
EP2497538A1 (en) Multi-function exerciser
KR20140108511A (ko) 킥보드
TWI542382B (zh) 可調整行程跨距的運動裝置
CN102525754B (zh) 一种折叠式电动轮椅车
KR100928688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접이장치
CN207311714U (zh) 一种儿童三轮车
JP3196677U (ja) エリプティカルトレーナー
US20030195088A1 (en) Lifting device for a treadmill
CN104401379B (zh) 儿童推车
KR101537907B1 (ko) 다기능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