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94A -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994A
KR20140107994A KR1020130022331A KR20130022331A KR20140107994A KR 20140107994 A KR20140107994 A KR 20140107994A KR 1020130022331 A KR1020130022331 A KR 1020130022331A KR 20130022331 A KR20130022331 A KR 20130022331A KR 20140107994 A KR20140107994 A KR 2014010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item
psychiatrist
medical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3002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994A/ko
Publication of KR2014010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면서 의료 진료의 내용을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진료 기록 시스템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정신과 의사 단말로 진단명의 카테고리별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선택된 항목을 수신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부; 결정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구성하여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을 수신하는 진단 평가부;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부; 및 진단명, 선택된 진단 항목 및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부를 포함하는 진료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신과 질환의 진단명 및 진단 내용을 카테고리별로 제공하여 의사에 의해 선택된 항목의 내용을 진료 기록물로 생성한다.

Description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System for recording medical treatment of psychiatris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면서 진단한 내용을 진료 기록으로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를 진료하면서 진료 차트를 기록한다. 정신과 의사는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다면적 항목으로 환자의 정신 분석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리고 정신병의 특성상 정신과 의사는 진료 과정에서 환자에 대한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정신 분석과 상담 및 관찰이 요구된다.
여기서, 정신과 의사는 동일한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매회 진료시마다 관찰 대상의 항목에 대해 진료 결과를 차트에 기록한다. 대부분의 정신과 의사들은 진료 차트에 환자의 진단명과 환자의 진단된 내용의 특이 사항을 진료 일지의 형식으로 수기로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정신과 의사는 정신 분석의 항목 평가, 환자의 생활 습관으로부터 질병의 원인을 분석하는 생활 평가 및 심리 상태를 분석하는 심리 평가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항목을 평가한다. 하지만, 정신과 의사가 진료 차트에 환자의 진료 결과를 기록할 때에는 최종 진단내리는 진단명과 특이 사항과 관련된 중요 진단 내용의 결과만을 압축하여 기재한다. 상세한 진찰을 하려면 그만큼 진찰 결과의 기록이 부담되기에 정신과 의사는 주요 사항만을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요약 기재하는 경향이 있다. 진료 차트의 기록에는 공통된 규약이 없고 자유 형식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정신과 의사마다 선호하는 진료 습관에 의거하여 개인별 관용 문구를 이용하여 진료 차트를 기록한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가 타 정신과 의사에 의해 기록된 차트를 볼 경우에는 다양한 정신 분석의 항목 평가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신 분석 과정과 진단 과정의 내용은 기록의 부재로 볼 수 없고 기재된 진단 결과의 중요 사항만 보게 된다. 또한, 진료 차트에 기록된 진단 내용이나 진단 내용의 순서가 의사의 주관적 소견에 기반하는 문장으로 기록되어 진단 기록의 형식과 내용에 통일성과 객관성을 갖추고 있지 않다. 심지어 정신과 의사가 본인이 직접 작성한 이전 차트의 기록을 볼 경우에도, 차트의 기록만으로는 환자에 대해 어떤 진료 과정을 수행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기억력에 의존하여 환자와의 진료 과정을 유추해 내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 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정신과 진료 과정에서 수반되는 진료 항목을 카테고리별로 제공하여 진단명, 진단 내용 및 진단 처방을 통일성과 객관성이 유지되는 결과물로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신과 의사에 의해 진단된 진단명에 따라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진단 내용으로 진료 차트가 기록되고, 대응하는 진단 처방을 추천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정신과 의사 단말로 진단명의 카테고리별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선택된 항목을 수신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부; 결정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구성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을 수신하는 진단 평가부; 상기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부; 및 상기 진단명, 선택된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부를 포함하는 진료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생각, 감정, 행동, 대인 관계, 신체 증상 및 지각의 카테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명의 결정과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진단명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 항목의 구성과 데이터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진료 서버는, 정신과 질환의 복수개 진단명을 포함하는 진단명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명 DB(DataBase); 각각의 진단명에 대해 평가되는 진단 항목을 포함하는 항목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 항목 DB; 및 각각의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내용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 내용 D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단 항목에 대해 증세의 정도에 따라 복수개 등급을 제공하고,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부터 선택된 진단명, 카테고리명, 진단 항목 및 등급별로 대응되는 상기 진단 내용이 포함되는 진료 기록물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료 기록물과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약물 치료 및 심리 치료가 포함되는 처방 정보를 추천하고,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진료 기록물에 추가하여 기록하는 진료 처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의 선택 정보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진료 기록물에 대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집된 진료 기록물을 저장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방법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정신과 의사 단말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서버가 실행하는 진료 기록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진단명의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선택된 항목을 이용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 단계; (b)결정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진단 평가 단계; (c)상기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 단계; 및 (d)상기 진단명, 선택된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신과 질환의 진단명 및 진단 내용을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된 진단 항목으로 제공하여 정신과 의사가 환자의 증세를 상세히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된 항목의 내용을 진료 기록물로 생성한다.
또한, 정신과 의사의 선택에 의해 기록되는 진단 내용은 객관성과 통일성을 가진 데이터로서 체계적으로 기록되며 항목 선택만으로도 진단 내용이 자동 기록되어 의사의 수기 기록에 대한 부담을 해결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기록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진료 서버가 제공하는 병명 진단 서비스의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7은 도 2의 진료 서버가 제공하는 진단 평가 서비스의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진료 서버가 제공하는 치료 추천 서비스의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기록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기록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정신과 의사 단말(3)의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물을 생성하는 진료 서버(2) 및 진료 서버(2)로부터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기록물의 생성을 위해 진단 항목을 선택하는 정신과 의사 단말(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의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상기 진료 서버(2)는 홈 페이지(200)를 제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정신과 의사 단말(3)을 대상으로 진료물 기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진료물 기록 서비스는 정신과 의사가 환자의 증상을 진단하거나 관찰한 진찰 내용을 진료 기록물(예 : 진료 차트)로 기록하여 자동 생성하는 서비스이다.
정신과 진료는 타 진료 분야와 다르게 환자의 다면적 정신 분석이 요구되며 심리, 생활 습관 등 다면적 관찰과 기록이 요구된다. 정신과 진료는 진료 시간이 길며 진료 내용의 기록량이 많다. 또한, 장기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진찰 결과의 기록이 요구된다. 이런 상황에서 상기 홈 페이지(200)는 객관성과 통일성을 기반으로 정의된 진단 항목을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하고, 의사의 선택 정보에 따라 진료 내용의 문장으로 구성된 진료 기록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정신과 의사는 평가 항목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증세, 정도 등의 세부 진찰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진찰 항목에 대응하는 내용의 문장으로 구성된 진료 기록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정신과 의사는 진료 과정에서 진료 차트의 수기 기록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고 환자의 치료에 더욱 집중할 수 있다.
즉, 정신과 의사는 차트 기록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기에 환자에게서 관찰된 세부 사항까지도 항목으로 선택할 수 있고 선택 이력의 정보로 남길 수 있다. 과거의 수기 작성된 진료 기록은 환자로부터 진찰된 중요점을 위주로 기록되었고, 요점만 간단히 기재되었다. 따라서, 본인은 물론이며 타인이 진료 기록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반면에, 진료 서버(2)가 기록한 진료 기록물은 의사에 의해 다양한 항목이 선택된 정보로서 진찰 수행 과정과 기록이 보존되며, 선택된 정보를 대표하는 진료 내용이 문장으로 완성되어 있다.
상기 진료 서버(2)는 진료물 기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처리 기준으로서 원인, 평가, 처방의 3가지 기준을 이용한다. 아래 표 1은 진료물 기록 서비스의 상기 처리 기준을 나타낸다.
진단물 기록 서비스
처리기준 원인
- 진단 분석
- 진단명 결정(병명 진단)
평가
- 결정된 진단명에 따른 고유한 진단 항목의 평가
- 평가된 진단 항목에 따른 진단 내용이 결정
처방
- 결정된 진단명 및 평가된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처방
진단/평가 기준
(진단 카테고리)
1. 생각, 2. 감정, 3. 행동, 4. 대인 관계
5. 신체 증상, 6. 지각
상기 원인은 환자의 증세를 분석 처리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상기 평가는 결정된 진단명에 따라 세부 증상, 증세, 발현 등 상세 정보와 특이 사항을 평가하는 것과 관련된다. 그리고 상기 처방은 진단명 및 평가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여 적합한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진료 서버(2)는 정신과 의사 단말(3)을 상대로 원인 분석(진단명 정의), 평가(진단 항목 평가) 및 처방(약물 및 치료의 추천)의 기준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진료 서버(2)는 정신과 의사가 상기 기준에 따른 처리 과정에서 선택한 결과물을 이용하여 진료 기록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서버(2)는 진단명과 진단 내용을 진단/평가하는 결정 기준으로서 생각, 감정, 행동, 대인 관계, 신체 증상 및 지각의 6개 카테고리를 이용한다. 진단명과 카테고리 사이에는 상호 관계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진단명은 속성 정보로서 6개의 카테고리를 가지며, 진단명에 속하는 6개의 카테고리 속성에 따라 진단 내용이 평가될 수 있다. 역으로, 각각의 카테고리는 특정 진단명의 인자로서 병의 발현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료 서버(2)는 6개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진단명과 진단 내용을 정의하고 분류함으로써 정신과 진료의 접근 및 결과물에 대해 통일성과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3)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홈 페이지(2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정신과 의사 단말(3)은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후 진료 서버(2)로부터 원인, 평가, 처방의 3개 기준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환자 진료를 수행한다. 그리고 진단명을 결정하고, 결정된 진단명에 따른 세부 항목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세 항목들을 평가한다. 따라서, 진료 서버(2)가 정신과 의사의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진료 기록물은 내용 면에서 원인, 평가, 처방의 정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원인 및 평가에 대해서는 6개 카테고리에 따른 진단명과 진단 내용이 기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8은 진료 서버(2)가 제공하는 진료 처리 과정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서버(2)는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부(21), 결정된 진단명에 의해 따르는 진단 항목을 결정하고 진단 항목의 선택을 받는 진단 평가부(22), 선택된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부(23) 및 의사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의거하여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병명 진단부(21)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진단명을 결정하기 위한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의사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정신과 질환의 병명을 진단한다. 상기 진단명을 예시하면, 조현병(정신병, 정신분열병), 우울증, 불안증, 중독, 노인 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병명 진단부(21)는 상기 6개 진단 카테고리의 진단 항목과 진단명을 이용하여 병명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병명 진단부(21)는 6개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하여 의사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병명 진단부(21)는 진단명과 대응되는 카테고리별 항목 정보가 저장된 진단명 DB를 참조하여 진단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 카테고리는 복수개 항목을 가질 수 있고, 의사에 의해 카테고리별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진단명의 대상이 결정된다. 한편, 병명 진단부(21)는 의사의 진료 편의에 따라 진단명을 선택받은 후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항목을 선택받아도 무방하다.
도 4를 참조하면, "DSM 진단 체크"의 화면에서 정신과 의사가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병명 진단부(21)가 항목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진단명 DB로부터 조회되는 항목 내용, 주요 특징 등을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한다. 그러면, 정신과 의사 단말(3)은 진단명 항목창(202)에 수신된 상기 항목 내용 및 상기 주요 특징 등을 표시한다. 또한, 병명 진단부(21)는 선택된 항목 정보로 진단명 DB로부터 조회된 "조현병", "주요우울장애", "사회공포증"의 3개의 진단명을 제공한다. 그러면, 정신과 의사 단말(3)은 병명창(201)에 수신된 진단명을 표시한다.
여기서, 의사가 카테고리별 항목을 선택할수록 3개의 진단명은 하나의 진단명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는, 의사는 가장 중증 질환에 해당하는 "조현병"으로 환자의 진단명을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진단명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진단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진단 평가부(22)는 결정된 진단명에서 분석 및 평가가 필요되는 진단 항목을 진단 항목 DB로부터 조회하여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하는 진단 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진단 항목 DB는 진단명, 진단명에 속하는 카테고리, 카테고리에 속하는 진단 항목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진단 평가부(22)는 의사에 의해 결정된 진단명별로 고유하게 대응하는 진단 항목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의사 단말(3)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 평가부(22)는 의사에 의해 선택된 항목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단명이 "조현병"이라 가정할 때, 조현병에 대응하는 6개 카테고리의 "평가 항목"이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평가 항목은 "양호", "평범", "악화"의 상태로 구분되고, 개별 상태에는 항목의 "내용"이 대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신과 의사는 진단명을 결정하고 환자의 세부 증상을 진료하기 위해 화면에서 "[차트 입력 폼]"을 선택한다. 정신과 의사가 진단명을 "조현병"으로 결정한 후 "[차트 입력 폼]"을 선택하면, 진단 평가부(22)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의 페이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의사가 카테고리창(203)에서 "1. 생각"을 선택하면, 진단 평가부(22)는 진단 항목 DB로부터 "조현병" 및 "1. 생각"으로 조회되는 평가 항목의 정보를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한다. 그러면, 화면의 평가 항목창(204)에는 수신된 평가 항목의 정보가 표시된다. 항목별로 의사가 "양호", "평범"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하면, 진단 평가부(22)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부터 진단 항목의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정신과 의사는 결정내린 진단명에 대해 6개의 상기 카테고리로 분류된 진단 항목의 페이지를 제공받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해 환자를 면밀히 진찰한다.
나아가, 도 7을 참조하면, 진단명이 "우울증"이라 가정할 때, 우울증에 대응하는 6개 카테고리의 "평가 항목"이 예시되어 있다. 도 5의 "조현병"과 대비하면, 우울증에 따라 6개 카테고리의 평가 항목에 대해 평가 내용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상기 진단 내용 제공부(23)는 평가 항목창(204)에서 의사가 개별 진단 항목의 라디오 버튼을 선택한 상기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진단 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진단 내용 제공부(23)는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진단 내용 DB로부터 조회한다. 진단 내용 제공부(23)가 조회된 상기 진단 내용을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하면, 진단 내용창(205)에 수신된 진단 내용이 표시된다.
여기서, 정신과 의사 단말(3)은 진단 내용창(205)에 사용자가 선택한 진단 항목의 진단 내용을 추가적으로 표시하면서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내용을 편집받을 수 있다. 즉, 의사는 진단 내용창(205)에서 자신의 선택으로 디폴트 제공된 진단 내용의 내용을 조회, 수정, 삭제할 수 있고, 신규 내용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료 결과 기록부(24)는 진단명, 진단 내용창(205)에 추가되는 진단 내용을 이용하여 진료 기록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생성된 진료 기록물은 진료 차트, 의무 기록(예 : EMR, 전자 의무 기록)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무 기록은 의사에게 법적으로 강제되는 사항이기도 하다. 당연히,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상대로 진찰, 상담, 관찰 등을 수행하여 수기로 진료 차트를 작성할 때보다 진료 서버(2)로부터 진단명, 6개 카테고리별 및 진단 항목별로 선택안을 제시받고 항목 선택을 통해 진료 기록물이 자동 생성되기 때문에 진료 기록물의 내용은 보다 충실해지고 작성 시간도 단축됨은 물론이다.
데이터 구조의 측면에서, 상기 진단 내용은 다차원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진단명 "조현병", 카테고리 "생각", 진단 항목 "망상"이라고 가정할 경우, 진단 내용은 다음의 예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예시 1>
$ spr [ evaluation ][ thought ][ delusion ] = “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친다는 믿음을 갖고 있음 ”;
여기서, 상기 진단 내용은 "망상"의 항목의 하위 항목으로서 빈도(frequency), 심각한 정도(severity), 지속 기간(duration), 영향(influence), 인식/이해도(insight), 대처/반응(coping), 치료 반응(treatment reaction) 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정신과 의사는 상기 하위 항목들 중에서 환자의 증상과 일치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하위 항목의 경우 다음의 예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예시 2>
$ spr [ evaluation ][ thought ][ delusion ][ persecutary ][ frequency ]
$ spr [ evaluation ][ thought ][ delusion ][ persecutary ][ severity ]
...
상기 예시 2의 데이터 구조는 다음의 예시 3과 같이 축약될 수 있다.
<예시 3>
$ spr _ etdpd = “피해망상이 한번 생기면 두 세달 이상은 지속되고 있음”;
$ spr _ ephas = “환청이 매우 심해서 일상생활이 안될 정도임.”
나아가, 상기의 진단 내용의 데이터 구조는 증세의 정도를 "1 : 양호", "3 : 보통", "5 : 심각"으로 구분하여 아래 예시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예시 4>
$spr_etdps1 = “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친다는 믿음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음. ”;
$spr_etdps3 = “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친다는 믿음은 존재하지만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님. ”;
$spr_etdps5 = “ 환자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해친다는 믿음이 심각하여 대인관계, 정서, 행동에 심각한 해를 끼치고 있음. ”;
상기와 같이 진단 내용에 대해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것은 정신과 의사가 환자를 세부 항목별로 관찰하여 관련 항목을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와 정확한 진료 기록을 남길 수 있다. 나아가, 상세한 증세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약물이나 기타 치료에 적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진료 처방부(25)는 정신과 의사의 요청에 의해 환자의 진단명 및 진단 항목의 내용에 대응되어 치료를 추천하는 치료 추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신과 의사 단말(25)은 도 6의 화면에서 "정신의학적 처치"를 선택하여 치료 추천 정보를 요청하고, 진료 처방부(25)로부터 치료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정신과 의사는 추천된 정보를 이용하여 복용약을 처방하고 치료법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해 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치료 추천 서비스에서 진료 처방부(25)가 진단명에 대해 추천하는 치료 항목의 추천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진단명은 "1. 약물 치료" 및 "심리 사회적 치료"의 분야로 추천 항목이 구분된다. 진료 처방부(25)는 각각의 약물에 따라 복용법, 주의 사항, 부작용 등의 추천 정보를 제공한다. 정신과 의사는 진단명 "조현병"에 대해 약물 치료를 추천받고, 환자의 진단 증세에 따른 약물 처방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정신과 의사는 추천된 심리 사회적 치료 정보 중에서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여 환자의 교육과 생활 개선을 지도할 수 있다.
<2. 방법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정신과 의사 단말(3)은 진료 서버(2)의 홈 페이지(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 환자의 진찰이 개시되면, 진료 서버(2)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부터 환자 정보를 등록받는다.
진료 서버(2)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진단명을 선택받는다(S21). 여기서,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정신 질환의 원인이 무엇으로부터 비롯되었는지 진단명을 결정하기 위해 진단 항목을 선택한다. 정신과 의사는 병명의 진단과 관련된 항목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단명을 결정하거나 또는 진단명을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단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진단명이 결정되면, 진료 서버(2)는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증세에 대해 세부 사항을 선택하여 평가한다(S22). 여기서, 진료 서버(2)는 결정된 진단명에 대해 상기 6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 진단 항목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한다. 상기 진단 항목은 진단명 및 진단 카테고리에 속하는 복수개 선택항으로 구성되며, 정신과 의사는 환자의 증세를 평가하여 관련되는 항목을 선택한다. 따라서, 진료 서버(2)는 진단명에 맞춤화된 최적의 진단 항목의 선택안을 정신과 의사 단말(2)로 제공할 수 있다.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진료 서버(2)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정신과 의사 단말(3)로 제공한다(S23). 필요에 따라 정신과 의사는 진단 내용을 보면서 환자의 증세에 적합하도록 진단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증세를 세밀히 진단할수록 수기 기록해야 하는 정신과 의사의 업무가 경감된다.
그러면, 진료 서버(2)는 의사의 선택 정보에 따라 결정된 진단명 및 진단 내용이 포함되는 진단 기록물을 기록한다(S24). 진료 서버(2)는 주별, 월별 등으로 기간에 따른 진단 기록물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서버(2)는 조회를 요청하는 정신과 의사 단말(3)로 관련되는 진단 기록물의 조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 항목의 선택을 완료하면, 진료 서버(2)의 의사의 요청을 수신하여 진단명 및 진단 항목에 따르는 치료 정보를 추천하고 의사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환자의 치료 정보로서 진단 기록물에 기록한다(S25). 여기서, 진료 서버(2)는 약물 처방을 추천하고 의사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등록받는다. 상기 처방전은 약품 구매를 위해 환자에게 발행될 수 있다. 또한, 진료 서버(2)는 심리 사회적 치료 요법을 추천하여 환자의 사고, 습관, 행동 등의 치료를 지원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진료 기록 시스템 2 : 진료 서버
3 : 정신과 의사 단말 200 : 홈 페이지

Claims (12)

  1.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정신과 의사 단말로 진단명의 카테고리별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선택된 항목을 수신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부;
    결정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구성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을 수신하는 진단 평가부;
    상기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부; 및
    상기 진단명, 선택된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부
    를 포함하는 진료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생각, 감정, 행동, 대인 관계, 신체 증상 및 지각의 카테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명의 결정과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진단명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진단 항목의 구성과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정신과 질환의 복수개 진단명을 포함하는 진단명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명 DB(DataBase);
    각각의 진단명에 대해 평가되는 진단 항목을 포함하는 항목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 항목 DB; 및
    각각의 진단 항목에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내용 정보가 저장되는 진단 내용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단 항목에 대해 증세의 정도에 따라 복수개 등급을 제공하고,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부터 선택된 진단명, 카테고리명, 진단 항목 및 등급별로 대응되는 상기 진단 내용이 포함되는 진료 기록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료 기록물과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약물 치료 및 심리 치료가 포함되는 처방 정보를 추천하고,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진료 기록물에 추가하여 기록하는 진료 처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의 선택 정보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진료 기록물에 대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집된 진료 기록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7. 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정신과 의사 단말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이용하여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서버가 실행하는 진료 기록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진단명의 분석 항목을 제공하고, 선택된 항목을 이용하여 진단명을 결정하는 병명 진단 단계;
    (b)결정된 진단명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별 진단 항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고, 선택된 진단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진단 평가 단계;
    (c)상기 진단 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대응하는 진단 내용을 조회하여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제공하는 진단 내용 제공 단계; 및
    (d)상기 진단명, 선택된 진단 항목 및 상기 진단 내용을 포함하는 진료 기록물을 기록하는 진료 결과 기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진료 서버가 생각, 감정, 행동, 대인 관계, 신체 증상 및 지각의 분석 카테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기 분석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진료 서버가 정신과 의사에 의해 결정된 진단명에 속하는 생각, 감정, 행동, 대인 관계, 신체 증상 및 지각의 분석 카테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기 진단 항목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단 항목에 대해 증세의 정도에 따라 복수개 등급을 제공하고,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부터 선택된 진단명, 카테고리명, 진단 항목 및 등급별로 계층적 구성된 속성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내용을 조회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e)상기 진료 서버가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로 상기 진료 기록물과 환자 정보에 대응하여 약물 치료 및 심리 치료가 포함되는 처방 정보를 추천하고,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진료 기록물에 추가하여 기록하는 진료 처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서버는,
    상기 정신과 의사 단말의 선택 정보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진료 기록물에 대해 편집 서비스를 제공하여 편집된 진료 기록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기록 방법.
KR1020130022331A 2013-02-28 2013-02-28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KR20140107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31A KR20140107994A (ko) 2013-02-28 2013-02-28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331A KR20140107994A (ko) 2013-02-28 2013-02-28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994A true KR20140107994A (ko) 2014-09-05

Family

ID=5175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331A KR20140107994A (ko) 2013-02-28 2013-02-28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9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535943A (zh) * 2020-04-14 2021-10-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医疗记录的分类方法及装置、数据记录的分类方法及装置
KR20230156245A (ko) * 2022-05-04 2023-11-14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면담 내용을 이용하여 검사 세트를 제공하는 처방 보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748B1 (ko) * 2016-12-22 2018-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535943A (zh) * 2020-04-14 2021-10-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医疗记录的分类方法及装置、数据记录的分类方法及装置
KR20230156245A (ko) * 2022-05-04 2023-11-14 주식회사 타이로스코프 면담 내용을 이용하여 검사 세트를 제공하는 처방 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ating et al. Patient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associated with trust in specialist physicians
Grisot et al. Data-work for personalized care: Examining nurses’ practices in remote monitoring of chronic patients
Sparreboom et al. Sequential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in children: quality of life
Kirst et al. Referral to health and social service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health care settings: a realist scoping review
US201601251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linical trials
Salmon et al. Why do primary care physicians propose medical care to patients with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A new method of sequence analysis to test theories of patient pressure
US20050144042A1 (en)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iological data and providing data interpretation tools
Abdullah et al. What influences patients’ acceptance of a blood pressure telemonitoring service in primary care? A qualitative study
JP2019160273A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処理方法
US20110313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citing an expert opinion from a care provider and managing health management protocols
Migongo et al. Factors relating to patient visit time with a physician
KR20140000389A (ko)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101177712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
US80103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analyzing clinical pictures and the causes thereof and for determining proposals for appropriate therapy
JP2023099761A (ja) 処方された光学デバイスを評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ldeamanuel et al. Computerized migraine diagnostic tools: a systematic review
Lyu et al. Designing and optimizing a healthcare kiosk for the community
Ponathil et al.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a dental care provider by older adults based on online consumer reviews
Khodambashi Lean analysis of an intra-operating management process-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health information systems
KR20140107994A (ko) 정신과 의사의 의료 진료를 기록하는 진료 기록 시스템 및 진료 기록 방법
US20170103171A1 (en) More-intelligent health care advisor
KR20230077787A (ko) 정신건강을 위한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efferson et al. The effect of physician gender on length of patient consultations: observational findings from the UK hospital setting and synthesis with existing studies
Larson et al. Consumer search and satisfaction with mental health services
Rein et al. Establishing a vision and eye health surveillance system for the nation: a status update on the vision and eye health surveill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03

Effective date: 2016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