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676A -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676A
KR20140105676A KR1020130019468A KR20130019468A KR20140105676A KR 20140105676 A KR20140105676 A KR 20140105676A KR 1020130019468 A KR1020130019468 A KR 1020130019468A KR 20130019468 A KR20130019468 A KR 20130019468A KR 20140105676 A KR20140105676 A KR 2014010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inder
information
electronic token
toke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259B1 (ko
Inventor
박경태
강정한
박수은
박동욱
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타입에 대응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자토큰의 토큰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반영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TOKE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전자지갑과 관련된 기술로써, 특히 전자지갑에 사용되는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mobile)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바일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키들(shortcut keys)이 아이콘 형태로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특히, 각종 티켓이나, 할인 쿠폰, 멤버십 카드 등과 같은 전자토큰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지갑 서비스에 대한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전자토큰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많지 않고, 사용성이 낮아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전자토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점이나 위치를 기반으로 전자토큰의 사용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점이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전자토큰의 알람 시점이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점이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전자토큰의 알람 시점이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 시점이나 위치를 설정한 전자토큰과 관련있는 다른 전자토큰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람 시점이나 위치를 설정한 전자토큰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점이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전자토큰의 알람을 사용하여 전자토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1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타입에 대응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자토큰의 토큰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반영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된 제1전자토큰과 관련된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자토큰이 존재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전자토큰 또는 제2전자토큰에 대한 토큰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 또는 제2전자토큰과 관련된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는 과정은, 감추기, 접어두기, 다시 알림, 상세 위치 표시, 및 전자토큰 공유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택 옵션 메뉴를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감추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 발행을 종료하는 과정과, 접어두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다시 알림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재발행하는 과정과, 상세 위치 표시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전자토큰 공유하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토큰을 공유할 공유 대상자를 확인하고, 상기 공유 대상자에게 상기 전자토큰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 인터페이스부,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리마인더 타입에 대응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고, 상기 전자토큰의 토큰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반영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된 전자토큰과 관련된 다른 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전자토큰이 존재함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고,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큰에 대한 리마인더를 사용자가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필요한 시간, 장소에 맞춰서 서비스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알림 설정 화면을 별도로 제공하여 상점 연계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토큰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토큰에 대한 리마인더를 발행하고, 리마인더 발행시 토큰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토큰을 보다 편리하게 활성화시킬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UI의 일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전자토큰의 상세 정보의 일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리마인더 타입 설정 UI의 일 예시도,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의 일 예시도,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의 일 예시도,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시간/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의 일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의 다른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 사용되는 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자토큰 정보의 포맷의 일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토큰을 추천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토큰에 대한 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캘린더 UI의 일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일정정보를 공유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리마인더 알람 이벤트를 발행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사용죄는 이벤트 팝업창의 일 예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아이콘화되어 표시되는 토큰정보의 일 예시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아이콘화된 토큰정보의 선택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선택된 토큰정보를 예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팝업창의 다른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이벤트 팝업창에 포함된 메뉴에 대응되는 처리 동작의 예를 정리한 표.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위치확인모듈(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터치스크린(171),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싱글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과 같이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수는 단말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모듈(120)은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모듈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구동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30)은 버튼(131),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3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3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는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의 설정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장치(100)의 볼륨운영모드는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진동모드, 무음모드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스피커(132) 또는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소리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셀룰러 모듈(또는 무선랜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에 의한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호 수신을 알리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32)에 제공함으로써, 스피커(132)가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셀룰러 모듈(또는 무선랜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에 의한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호 수신을 알리는 진동신호를 진동모터(133)에 제공함으로써, 진동모터(133)가 상기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 수신에 대응하여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제어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71)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71)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는 출력(예컨대, 음성신호 또는 진동신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위치확인모듈(140)은 단말에 내부에 구비된 센서 또는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모듈이다. 예컨대, 위치확인모듈(140)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GPS 모듈, 무선랜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 구동 모듈, 및 셀룰러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셀 기반 위치 확인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터치스크린(17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7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171)의 출력값을 제어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터치스크린(171)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71)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단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a 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71)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은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71)에 락 스크린(170a)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락 스크린(170a)은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를 입력하여, 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화면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보안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락 스크린의 해제를 진행하여 홈 스크린(도 2b, 170b)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또한, 락 스크린(170a)은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보안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별도의 보안정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비밀번호 또는 보안 패턴을 입력받지 않고 사용자의 터치입력 또는 드레그 입력에 의해 홈 스크린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홈 스크린(170b)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스크린들 중 첫 번째 홈 스크린은 메인 홈 스크린일 수 있다. 홈 스크린(170b)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71a, 171b, 171c), 메인메뉴 전환키(171d),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71d)는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 볼륨운영모드와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바(Status Bar, 17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71)의 하부에는 홈 버튼(131a), 메뉴 버튼(131b), 및 뒤로 가기 버튼(131c)이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홈 버튼(131a)은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71)에 상기 메인 홈 스크린과 다른 홈 스크린(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31a)가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71)에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7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71)상에는 도 2b에 도시된 메인 홈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31a)은 상기 터치스크린(17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31b)은 터치스크린(17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3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장치(100)의 전면(100a) 상부 중앙부분에는 스피커(132)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31d), 볼륨버튼(131e)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스크린(171)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구비하고, 별도의 입력 수단, 예컨대 키 패드 등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0)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0)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7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토큰(이하, '전자토큰'이라 함)은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객체로써,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장치에서 생성된 것을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정의 대가(화폐 등)를 지급하고 티켓을 구임함에 따라, 상기 티켓을 제공하는 사용자가 운영하는 서버 장치가 상기 구입한 티켓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단말이 상기 구입한 티켓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자토큰의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 보유하고 있는 티켓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자토큰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토큰은 사용자가 소정의 대가(화폐 등)를 지급하고 구입한 티켓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티켓 토큰(예컨대, 항공 티켓(401), 영화 티켓(402), 음식점 티켓(403) 등), 상품에 대한 할인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쿠폰 토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은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에서 그 동작이 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은, 도 4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자토큰(401, 402, 403, 404)의 리마인더 설정을 요청하는 동작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즉,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전자토큰이 디스플레이되는 환경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토큰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도 4b와 같이, 상기 선택된 전자토큰(401)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전자토큰(401)의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메뉴 버튼이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 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전자토큰(401)의 리마인던 정보를 설정하는 리마인더 타입 설정 UI(도 4c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마인더 타입 설정 UI(도 4c 참조)를 통해 리마인더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리마인더의 타입을 설정하게 된다(S301). 예컨대, 리마인더 설정 UI는 시간 리마인더 선택 버튼(410)과, 거리 리마인더의 선택 버튼(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간 리마인더 선택 버튼(410)과, 거리 리마인더의 선택 버튼(420)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리마인더 선택 버튼(410)과, 거리 리마인더의 선택 버튼(420)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게 되므로, 상기 리마인더 타입은 시간 리마인더, 거리 리마인더, 시간/거리 리마인더, 또는 리마인더 미 설정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S302에서, 제어부(110)는 리마인더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S301에서, 리마인더 타입이 설정되면, 그에 대응되는 리마인더 상세 설정 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를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S301에서, 리마인더 타입이 시간 리마인더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10)는 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d)를 제공하고, 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d)에 구비된 시간 설정바(415)를 통해 시간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S301에서, 리마인더 타입이 거리 리마인더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10)는 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e)를 제공하고, 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e)에 구비된 거리 설정바(425)를 통해 거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다. 나아가, S301에서, 리마인더 타입이 시간/거리 리마인더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110)는 시간/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f)를 제공하고, 시간/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도 4f)에 구비된 시간 설정바(433)와, 거리 설정바(435)를 통해 거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 정보와 거리 정보를 각각 입력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UI는 사용자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a를 참조하면, 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511)는 기본적으로 시간 정보를 입력받는 시간 설정바(515)와 함께, 해당 전자토큰의 사용 가능 시간을 가이드 하는 시간 가이드 창(51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511)에 구비된 시간 설정바(515)의 설정 범위를, 상기 해당 전자토큰의 사용 가능 시간을 고려하여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거리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521)는 기본적으로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 거리 설정바(525)와 함께, 상기 거리 설정바(525)에 의해 입력되는 거리 반경에서 상기 해당 전자토큰을 사용 가능한 상점의 갯수를 가이드 하는 거리 가이드 창(52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전자토큰 정보의 포맷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토큰 정보(610)는 전자토큰 식별자(611), 전자토큰 상세정보(612), 전자토큰 시간정보(613), 및 전자토큰 위치정보(6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토큰 식별자(611)는 전자토큰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써, 상기 전자토큰의 사용시, 상기 전자토큰을 발행한 장치가 해당 전자토큰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토큰 상세정보(612)는 전자토큰 이름, 전자토큰을 발행한 사업자 이름, 전자토큰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예컨대, 상품 식별자, 상품 명 등), 전자토큰 사용자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토큰 시간정보(613)는, 전자토큰의 사용시간(유효한 날자, 유효한 시간, 사용가능 시간, 사업자의 운영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토큰 위치정보(614)는, 전자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사업장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303에서, 제어부(110)는 S301 및 S302에서 입력된 리마인더 타입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토큰의 리마인더를 설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마인더 타입이 시간 리마인더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토큰 정보(610)에 포함된 전자토큰 시간정보(613)로부터 전자토큰의 사용이 유효한 날자와, 유효한 시간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로서 입력된 값을 상기 전자토큰의 사용이 유효한 날자와, 유효한 시간에 적용하여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할 날자 및 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리마인더 타입이 거리 리마인더인 경우, 제어부(110)는 전자토큰 정보(610)에 포함된 전자토큰 위치정보(614)로부터 전자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사업장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로서 입력된 값을 전자토큰을 사용할 수 있는 사업장의 위치에 적용시켜, 이벤트를 발행할 영역을 설정한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S303에서 설정한 정보를 리마인더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리마인더 정보는 리마인터 타입(621)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마인더 정보는 토큰정보(610) 내부에 결합되어 저장 및 관리 되거나, 토큰정보(610)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제1토큰과 연관된 제2토큰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기 제1토큰과 연관된 제2토큰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에 저장된 모든 토큰들을 인식하고 있지않더라도, 유사한 사용시간 또는 장소에서 연관된 토큰들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토큰을 추천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추가적으로 토큰을 추천하는 동작은, 도 3에서 예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을 완료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우선, S701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리마인더 정보가 설정된 제1토큰의 토큰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토큰정보에 대응되는 제2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110)는 우선적으로, 단말에 저장된 토큰정보로부터,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유사한 토큰정보를 갖는 제2토큰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유사한 토큰정보를 갖는 제2토큰이 존재하는 경우(S702-예), 상기 제2토큰의 토큰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2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정보를 설정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703). 예컨대, S703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제2토큰의 리마인더 정보 설정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리마인더 설정 윈도우를 팝업한다. 상기 리마인더 설정 윈도우는 상기 제2토큰의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마인더 설정에 대한 허락 또는 거절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04에서, 상기 리마인더 설정에 대한 허락을 입력받는 경우(S704-예), 제어부(110)는 상기 제2토큰의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S705). 예컨대, S705에서, 제어부(110)는 전술한 제1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정보 및 리마인더 상세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1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정보 및 리마인더 상세정보와 동일하게, 상기 제2토큰의 리마인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제어부(110)는 리마인더 타입 설정 UI와 리마인더 상세 설정 UI를 순차적으로 제공하여, 제2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정보 및 리마인더 상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제2토큰의 리마인더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S705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확인된 상기 제2토큰의 리마인더 정보를 설정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나아가, S701에서 확인한 결과, 단말 장치 내부에,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유사한 토큰정보를 갖는 제2토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702-아니오), 제어부(110)는 전술한 S703 내지 S706을 진행하지 않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S711, S712, 및 S713 단계를 진행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제2토큰을 단말에 저장한 후, 전술한 S703 내지 S706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1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 내부에,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토큰의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유사한 토큰정보를 갖는 제2토큰이 존재하지 않음을 터치스크린(171)을 통해 표시하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제2토큰의 발행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S71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제2토큰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제2토큰의 발행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토큰 발행 확인 윈도우를 팝업한다. 상기 제2토큰 발행 확인 윈도우는 상기 제2토큰의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큰 발행에 대한 허락 또는 거절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토큰 발행에 대한 허락을 입력받는 경우(S712-예), 제어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서버 장치로 상기 제2토큰의 토큰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의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제2토큰의 토큰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713).
비록,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토큰(예컨대, 제1전자토큰)의 리마인더 설정 시, 추가적으로 이(제1전자토큰)와 관련이 있는 전자토큰(예컨대, 전자토큰)을 추천하는 동작이 진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전자토큰(예컨대, 제1전자토큰)의 리마인더 설정 동작과 별도의 동작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시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시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토큰정보(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내부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전자토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10)는 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정보를 설정한 후, 상기 토큰에 대한 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전자지갑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토큰에 대한 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게 일정을 등록하여, 효율적으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토큰에 대한 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은, 도 3에서 예시한, 제1토큰의 리마인더 정보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진행되거나, 또는 도 7에 예시된 제2토큰의 리마인더 정보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토큰 또는 제2토큰의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가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8a 및 8b의 설명에서 지시하는 토큰은 상기 제1토큰 및 제2토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지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토큰에 대한 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S8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전술한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토큰정보 일정 등록 확인창을 팝업하고, 상기 토큰정보 일정 등록 확인창을 통해,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받는다. 상기 토큰정보 일정 등록 확인창은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상기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의 적용을 수락 또는 거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락 또는 거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값을 확인하여,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를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10)는 토큰정보 또는 리마인더 정보와 관련된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진행한다(S802). 예컨대, 제어부(110)는 쿠폰 상세 정보(612) 포함된 전자토큰 이름을 일정정보 명으로 설정하고, 전자토큰 시간정보(613)에 포함된 유효 날자, 유효 시간 등을 일정의 시간정보로 설정하고, 전자토큰 위치정보(614)를 일정정보의 장소정보로 설정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10)는 상기 리마인더 정보를 일정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리마인더 타입이 시간 리마인더인 경우,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에 포함된 리마인더 시간정보를 일정정보의 리마인더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생성된 일정정보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8b에 예시되는 캘린더 UI(811) 상에 일정 이벤트 아이콘(812)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S802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일정정보를 관리하는 동작을 더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일정정보가 근접하게 됨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 사이의 차이가 적어짐에 따라, 일정을 표시하는 색상정보를 단계적으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일정의 우선순위정보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토큰정보에 대응하는 일정이 근접하게 됨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를 확인하여, 하기의 표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맞게 재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으면, 즉 토큰정보를 사용할 시간이 근접하게 되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주일 전이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3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3일 전이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2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일 전이면,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1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재설정 기준 일정정보 우선순위 일정 이벤트 아이콘 표시 색상
1일 전 1순위 적색
3일 전 2순위 주황색
1주일 전 3순위 노란색
나아가, 사용자가 일정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는 일정정보의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캘린더 UI(811)에 표시되는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제어부(110)는,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일정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를 확인하여 일정정보에 반영하되,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재설정하지 않고, 캘린더 UI(811)에 표시되는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만을 재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주일 전이면,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을 노란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3일 전이면,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을 주황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일정정보로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일 전이면,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정정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을 일부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을 직접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기능에 준하여 설정되거나,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의 채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전술한 S802단계에서 생성된 일정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동작을 더 진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추가적으로 일정정보를 공유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정정보를 공유하는 동작은 전술한 도 8의 S802단계의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S901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제어부(110)는 상기 일정정보를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일정공유 확인창을 팝업하고, 상기 일정공유 확인창을 통해, 상기 일정정보를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받는다. 상기 일정공유 확인창은 상기 일정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와 함께, 상기 일정정보의 공유를 수락 또는 거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락 또는 거절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값을 확인하여, 일정정보를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일정정보를 공유할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S901-예), 제어부(110)는 일정정보를 공유할 대상자 정보를 입력받아 일정을 공유할 대상자를 확인하고(S902), 상기 확인된 대상자에게 상기 일정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903). 상기 일정정보는 e-mail,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는 전술한 S303단계에서 설정된 리마인더 정보를 사용하여, 리마인더 알람 이벤트를 발행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토큰의 제어 방법에서 리마인더 알람 이벤트를 발행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10)는 리마인더 상세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리마인더 상세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만족하는 경우(S1001-예), 알람 이벤트를 발행하고, 상기 알람 이벤트를 표시하는 이벤트 팝업창(도 11a, 1101)을 터치스크린(171)에 표시하게 된다(S1002). 이때, 터치스크린(171)에는 이벤트 팝업창(1101)의 처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이 종료되도록 하는 제1방향(1102)을 가이드 하는 정보와,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에 대응되는 토큰정보를 사용할 있도록 설정하는 제2?향(1103)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방향(1102)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을 종료하게 되고, 리마인더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반면,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방향(1103)으로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S1003-예),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에 대응되는 토큰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 11b와 같이,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에 대응되는 토큰정보를 락스크린 또는 홈스크린 상에 아이콘(1110)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04).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을 종료하거나,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에 대응되는 토큰정보를 아이콘(1110)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한 대안으로써, 단말 장치를 흔들거나, 단말 장치에 구비된 버튼(131) 또는 키패드(134)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을 종료하거나, 상기 이벤트 팝업창(1101)에 대응되는 토큰정보를 아이콘(1110)화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가 일정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부(110)는, 상기 락스크린 또는 홈스크린 상에 표시된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를 반영하여,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의 색상 등을 단계적으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상기 현재의 시간정보와, 상기 토큰정보의 시간정보 사이의 시간 차이를 반영하여,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단계적으로 재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하기의 표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토큰정보에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일전이면,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노란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토큰정보에 설정된 시간에 비해 12시간전이면,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주황색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의 시간이 상기 토큰정보에 설정된 시간에 비해 1시간전이면,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빨간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재설정 기준 토큰전보의 아이콘 표시 색상
1시간 전 적색
12시간 전 주황색
1일 전 노란색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일부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을 직접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큰정보의 아이콘(1110)을 표시하는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이벤트 아이콘(812)을 표시하는 색의 채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상기 락스크린 또는 홈스크린 상에 아이콘(1110)으로 표시된 토큰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1005). 상기 락스크린 또는 홈스크린 상에 아이콘(1110)으로 표시된 토큰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되면(S1005-예)(도 11c),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콘(1110)에 대응되는 토큰을 활성화하고, 해당 토큰정보(도 11d, 1120)를 터치스크린(171)에 표시하게 된다(S1006).
이와 같이, S1003 내지 S1006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토큰정보를 이용하기에 근접한 시간 또는 위치에서 해당 토큰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받으로써, 단말 장치에 존재하는 토큰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토큰정보를 이용하기에 근접한 시간 또는 위치에서 제공받은 후, 해당 토큰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존재하는 토큰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벤트 팝업창(1101)에 리마인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 팝업창(1201)은 상기 리마인더 정보(1210)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1220)는 감추기(1221), 다시 알림(1222), 상세 위치 표시(1223), 및 토큰 공유(1224) 등의 선택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메뉴에서 선택되는 선택 옵션에 맞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감추기(1221)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팝업창(1201)을 종료 함으로써 리마인더 알림 동작을 종료하게 되고, 다시 알림(1222)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리마인더 시간을 정정하여, 정정된 시간에 도달했을 때, 상기 이벤트 팝업창(1201)을 다시 활성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세 위치 표시(1223)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을 호출하여 표시하고,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토큰의 위치정보와, 현재 단말 장치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토큰 공유(1224)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이벤트 팝업창(1201)에 대응되는 토큰을 공유하기 위한 동작으로써, 공유 대상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공유 대상자에게 상기 토큰을 전송하는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이 특정 장소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전자토큰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타입에 대응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자토큰의 토큰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반영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는 과정은,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리마인더 타입 설정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타입 설정 환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리마인더 타입을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은,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시간정보 및 리마인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리마인더 상세정보 설정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상세정보 설정 환경을 통해 상기 리마인더 시간정보 및 리마인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더 상세정보 설정 환경은
    상기 입력받은 상기 상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의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된 제1전자토큰과 관련된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자토큰이 존재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상기 제2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에 반영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단말 장치 내부에 상기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단말 장치 내부에 상기 제2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 장치 내부에 상기 제2전자토큰이 존재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상기 제2전자토큰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상기 제2전자토큰이 존재함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2전자토큰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 내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9. 제1항에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토큰 또는 제2전자토큰에 대한 토큰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 또는 제2전자토큰과 관련된 일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과 상기 일정정보의 시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일정정보의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일정정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캘린더 UI 상에 상기 일정정보에 대한 이벤트 아이콘을 표시하되,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일정정보의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이벤트 아이콘을 표시하는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정보를 공유할 공유 대상자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공유 대상자에게 상기 일정정보와 함께 상기 제1전자토큰 또는 제2전자토큰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는 과정과,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현재 시간과 상기 일정정보의 시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과 상기 일정정보의 시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아이콘화되어 표시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화되어 표시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을 선택받는 과정과,
    상기 전자토큰의 상세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는 과정은,
    감추기, 접어두기, 다시 알림, 상세 위치 표시, 및 전자토큰 공유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선택 옵션 메뉴를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감추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 발행을 종료하는 과정과,
    접어두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다시 알림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제1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재발행하는 과정과,
    상세 위치 표시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1전자토큰의 위치정보와 상기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전자토큰 공유하기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토큰을 공유할 공유 대상자를 확인하고, 상기 공유 대상자에게 상기 전자토큰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토큰 제어 방법.
  18. 단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입력 인터페이스부,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전자토큰의 리마인더 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리마인더 타입에 대응하여, 리마인더를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하고, 상기 전자토큰의 토큰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반영한 리마인더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리마인더가 설정된 전자토큰과 관련된 다른 전자토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전자토큰이 존재함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타임과 리마인더 상세 정보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토큰을 사용하는 전자지갑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토큰에 대한 리마인더 이벤트를 발행하고, 상기 리마인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토큰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아이콘화하여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30019468A 2013-02-22 2013-02-22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68A KR102117259B1 (ko) 2013-02-22 2013-02-22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68A KR102117259B1 (ko) 2013-02-22 2013-02-22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76A true KR20140105676A (ko) 2014-09-02
KR102117259B1 KR102117259B1 (ko) 2020-06-01

Family

ID=5175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68A KR102117259B1 (ko) 2013-02-22 2013-02-22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973A1 (en) * 2022-03-08 2023-09-14 Dunamu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cha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13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쿠폰정보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4235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에 일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10400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90103344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이메타 자기계획도구를 이용한 쿠폰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JP2010020590A (ja) * 2008-07-11 2010-01-28 Casio Comput Co Ltd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13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쿠폰정보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4235A (ko) * 2005-05-31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에 일정을 상호 공유하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10400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90103344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이메타 자기계획도구를 이용한 쿠폰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JP2010020590A (ja) * 2008-07-11 2010-01-28 Casio Comput Co Ltd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973A1 (en) * 2022-03-08 2023-09-14 Dunamu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non-fungible tokens based on block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259B1 (ko)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388A4 (en) User interfaces for transfer accounts
KR102607560B1 (ko)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05045461B (zh) 在电子设备上启用定制通知的系统和方法
CN106797553B (zh) 用于连接到外部设备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KR102635945B1 (ko)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05307736A (zh) 基于位置的票券簿
CN104050559A (zh) 用于电子设备中电子支付的方法和装置
KR102390973B1 (ko) 결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1412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566690A (zh) 一种基于场景推荐应用的方法及装置
EP338933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50133989A (ko)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12889A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1100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폴더 내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EP2741208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20140112911A (ko) 표시부 미확인 모드에서 액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394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677697A (zh) 提供兴趣点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5518634A (zh) 与外部终端交互的方法、装置和记录介质
US103728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JP6475919B2 (ja) 電子取引を行う装置及び方法
KR20140108858A (ko) Nfc 태그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17259B1 (ko) 전자토큰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00414A (ko) 미디어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