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306A -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306A
KR20140105306A KR1020130019411A KR20130019411A KR20140105306A KR 20140105306 A KR20140105306 A KR 20140105306A KR 1020130019411 A KR1020130019411 A KR 1020130019411A KR 20130019411 A KR20130019411 A KR 20130019411A KR 20140105306 A KR20140105306 A KR 2014010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ortable terminal
interne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392B1 (ko
Inventor
오준수
이범호
이신영
Original Assignee
오준수
이신영
이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이신영, 이범호 filed Critical 오준수
Priority to KR102013001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3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앱 프로그램과 부가장치가 외장 설치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끊어짐이나 열화 없는 VoIP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무선접속하며 2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저장하고 난수표 값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선택된 포맷 정보로 송신할 VoIP 신호를 포매팅하여 송신시키는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접속하고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처리와 시그널링을 부가하는 쉽처리하여 출력하며 VoIP 신호는 시그널링을 제거하는 쉽처리와 디코딩 처리한 오디오신호로 출력하는 부가장치부를 포함하는 특징과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된 2 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포맷저장부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난수표부가 선택한 포맷 정보를 읽어 활성화 시키는 기초단계; 호출번호 정보가 입력되고 VoIP 통신을 시작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준비단계 및 VoIP 통신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포트를 활성화 제어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 다시 입력하는 변환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Apparatus of enhanced data processing speed in mobilephon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앱(APP) 프로그램과 부가장치가 외장 설치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끊어짐이나 열화 없는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사용하도록 하는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휴대단말기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지정한 상대방을 즉시 무선 호출하여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은 한정되므로 일정한 거리 간격마다 기지국을 반복 시설하여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 기지국의 시설, 운용, 유지보수 등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운영 특성이 있으므로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비용은 비교적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인터넷(INTERNET) 또는 인터넷망은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전용의 네트워크이고 거의 전 세계를 모두 연결하고 있으며 고유하게 할당된 호출번호 정보 또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상대방이 세계 어디에 있던지 무료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넷 관련 기술의 계속적인 발달과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은 점차 고속 데이터 송수신 환경으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데이터 통신망인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는 기술로써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와 시그널링의 표준을 규정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의 기술이 국제표준화 기구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하여 제시되고 있다.
VoIP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을 이용하여 음성급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통신용 패킷으로 변환하므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음성급 신호로 통신하는 종래기술로 특허등록 제10-0677482호(등록일 2007.01.26.)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랜부(10), 제어부(20), 이동통신부(50), 무선랜부용 안테나와 스피커(30)와 마이크(40), 이동통신부용 안테나와 스피커(35)와 마이크(4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무선랜부(10)는 별도 할당된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수 미터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AP(Access Point)와 무선접속하므로 인터넷에 연결되고 IP 주소가 포함되는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로 구분되는 상대방과 접속하여 음성급 신호로 통신한다.
이동통신부(50)는 이동통신용으로 할당된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므로 이동통신 시스템이 할당하는 음성 채널을 점유하고 상대방과 음성급 신호로 통신한다.
종래기술은 하나의 휴대단말기에 이동통신부(50)와 무선랜부(10) 그리고 각각의 안테나, 마이크, 스피커를 구성하므로 휴대단말기의 부피가 커지고 복잡해지며 가격이 비싸지고 고장 발생률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무선랜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 인터넷 기반 음성신호로 통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기반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 제10-677482호(2007.01.26.등록), “휴대단말기의 인터넷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기반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즉시 이용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본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별도의 앱(APP) 프로그램 설치와 데이터 포트에 연결된 별도의 신호처리장치 또는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연속적이면서 고품질 음성 신호로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장치를 칩 형태로 구성하여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또는 보조케이스에 탈부착 상태로 설치하므로 음성급 신호의 처리속도를 높이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 휴대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부착 상태로 연결되어 음성신호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부가장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칩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속하고 정합되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며 구성된 각 기능부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제어하고 감시하는 부가장치제어부;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되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디코딩하는 코덱모듈부;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에게 송신할 오디오 신호를 시그널링 처리하는 쉽모듈부; 및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다수의 데이터 신호와 알고리즘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검색하여 출력하는 부가메모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뒷면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탈되는 보조케이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부가장치부와 접속하고 구성된 각 기능부를 제어하며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집된 다종 다수의 포맷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검색된 포맷 정보를 출력하는 포맷저장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맷저장부에 저장된 다종 다수의 포맷 정보를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하는 일련번호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난수표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앱 프로그램과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앱 프로그램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키는 단말메모리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외부와 데이터 통신하는 데이터포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저대역 신호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처리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부로부터 인가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저대역부에 전달하는 오디오부; 상기 기저대역부에 접속하고 데이터 또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저대역부에 전달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이동통신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하고 무선 수신된 이동통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무선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단말메모리부에 저장된 알고리즘으로 각 기능부를 제어와 운용하며 상기 난수표부가 선택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포맷 정보를 상기 포맷저장부로부터 검색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상기 검색된 포맷으로 포매팅하며 수신할 호출번호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포트는 직렬통신 방식과 병렬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되, 상기 직렬통신 방식은 USB, I2C, RS232C, RS422, SATA, LAN, IEEE-1394, PCIE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병렬통신 방식은 PATA, IDE, PCI, SCSI, AGP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칩은 PGA, DSP, FPGA, PROM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은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부가장치부가 포함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의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된 2 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포맷저장부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난수표부가 선택한 포맷 정보를 읽어 활성화 시키는 기초단계;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호출번호 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시작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포트를 활성화 제어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 다시 입력하는 변환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루틴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된 포맷 정보로 포매팅하고 수신측 호출번호 정보를 포함시켜 이동통신무선부에 인가하여 무선송신하는 포맷송신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은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부가장치부가 포함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의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이동통신무선부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무선수신하면 수신측 호출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무선단계;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호출번호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된 포맷 정보로 언포매팅 처리하는 포맷해독과정; 및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언포매팅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 제어된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상기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처리한 후 다시 입력하는 복구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부가장치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과정;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틴과정은 상기 부가장치부의 부가장치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코덱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코딩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쉽모듈부에 인가하여 시그널링 신호를 부가하는 쉽처리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쉽모듈부를 제어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신호를 제거하는 쉽처리에 의하여 해독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쉽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코덱모듈부에 인가하여 디코딩 처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에서 디코딩 처리된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음성급 신호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기본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별도 설치된 앱 프로그램과 부가장치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신호를 고속처리하므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이 불연속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고 열화 발생이 없는 고품질 음성신호로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장치를 칩 형태로 구성하여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일측 또는 보조케이스의 일측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설치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데이터 처리속도를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칩 형태의 부가장치를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또는 보조케이스에 직접 부착하거나 홈을 형성하여 삽입 시키고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접속시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므로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가장치부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루틴처리하는 방법의 순서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부가장치부가 휴대단말기에 접속되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참고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60)은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100)와 무선접속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61), 다수의 기지국(61)과 고용량의 T1/E1 트렁크(67)로 접속하며 각 기지국(61)을 제어, 감시, 운용하는 이동통신교환국(62), 이동통신교환국(62)에 접속하고 호출번호 정보를 식별하며 디지털 스위칭으로 데이터용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게이트웨이(63), 게이트웨이(63)에 접속하고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에 의한 패킷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며 전 세계를 망으로 연결한 인터넷(64), 이동통신교환국(62) 및 게이트웨이(63)의 요청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된 휴대단말기(100)의 홈위치, 방문위치, 번호이동 내역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65), 이동통신교환국(62)의 요청에 의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공중통신망(PSTN)(66)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T1/E1 트렁크(67)는 실선의 음성신호, 일점쇄선의 제어신호, 점선의 패킷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호출번호 정보에는 각 휴대단말기에 고유하게 할당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또는 IP 주소 등과 같이 자신 및 상대방을 구분할 수 있고 지정하여 선택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61)과 무선접속하고 이동통신교환국(62), 데이터베이스(65), 게이트웨이(63), 인터넷(64)을 경유하여 호출번호 정보에 의한 상대방과 연결되므로 패킷 데이터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통신을 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의 통신에는 음성통신, 데이터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이 포함된다.
휴대단말기(100)가 인터넷(64)에 접속하고 호출번호 정보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음성통신을 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00)와 기지국(61)은 각각 VoIP, SIP, 실시간 프로토콜(RTP: Real Time Protocol) 등의 기능이 구비되는 동시에 음질 향상을 위한 전용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기지국(61), 이동통신교환국(62), 게이트웨이(63), 데이터베이스(65)가 포함된 이동통신 시스템(6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기지국(61)은 휴대단말기(100)와 동일하게 VoIP, SIP, RTP 및 코덱을 구비하여야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61)과 무선접속하고 이동통신교환국(62), 데이터베이스(65), 공중통신망(66)을 경유하여 전화번호로 구분되는 상대방 또는 다른 휴대단말기(100)와 연결되므로 통신 할 수 있다.
기지국(61), 이동통신교환국(62), 게이트웨이(63), 데이터베이스(65)가 포함된 이동통신 시스템(6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기지국(61)에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VoIP, SIP, RTP 및 코덱을 위한 H/W 및 S/W를 구비하는 것은 성능, 크기, 부피 등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게 확보할 수 있으나 경박단소를 추구하는 휴대단말기(100)에서는 비교적 어렵다.
특히, 인터넷 기반의 시그널링 표준을 규정하는 SIP 및 음질을 높여 통신품질을 개선하는 코덱(codec) 등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설치 및 운용하기에 해당 데이터의 처리량이 많아 단말제어부(110) 등에 부하(load)가 많이 걸리므로 휴대단말기의 기본 성능(기능)에 대한 처리 속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부품 등에 의하여 부피를 크게 하여야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SIP 기능 또는(과) 코덱 기능을 별도의 부가장치에 구비하고 휴대단말기(100)에 외부로부터 연결시키면서 전용 앱 프로그램을 설치시켜 휴대단말기의 기본 기능의 처리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끊김 없고 음성신호에 열화가 발생되지 않는 양호한 통신품질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 사상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블록 구성도 이다.
상기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는 휴대단말기(100)와 부가장치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휴대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기지국(BS: base station)에 무선접속하며 2 개 이상의 다종이며 다수에 의한 포맷(Format) 정보를 저장하고 난수표 값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선택된 포맷 정보로 송신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포매팅(formating)하여 송신시킬 수 있다.
포맷 정보는 디지털에 의한 바이너리(binary) 데이터 신호를 일정한 규격으로 구획(구분)하여 단위화 시키는 것이며, 단위화의 규격은 소정의 시간(time) 또는 소정 크기(size)의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단위화 시간으로 구분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포매팅하는 경우의 시간 값은 1 마이크로 세크(us) 내지 1 초(sec)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단위 시간 값이고, 더 빠른 시간 또는 더 늦은 시간 값이 선택될 수도 있다.
시간 단위로 포매팅(formating)하는 경우는 선택된 단위 시간 동안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하나의 포맷(Format)으로 포매팅하는 방식이다.
상기 단위 시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망(network)의 조건 및 해당 장치의 하드웨어(H/W) 적인 성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데이터를 크기 단위로 구분하여 포매팅하는 경우는 1 바이트(byte) 내지 10 킬로바이트(K-byte)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 크기를 하나의 포맷으로 포매팅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포매팅하는 데이터의 크기는 더 크거나 더 작아질 수 있다.
부가장치부(200)는 휴대단말기(100)에 구비된 데이터 포트(150)에 접속하고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인코딩(encoding) 처리와 시그널링(signaling)을 부가하는 쉽(SIP) 처리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VoIP 신호를 휴대단말기(100)에 출력한다.
부가장치부(200)는 휴대단말기(100)의 케이스 또는 보조케이스에 칩 형태로 내장되며, 칩은 PGA, DSP, FPGA, PROM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휴대단말기(100)는 단말제어부(110), 포맷저장부(120), 난수표부(130), 단말메모리부(140), 데이터포트(150), 기저대역부(160), 오디오부(170), 키패드부(180), 이동통신무선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단말제어부(110)는 부가장치부(200)와 접속하고 휴대단말기(100)에 구성된 각 기능부를 해당 알고리즘 프로그램, 운용 파라미터 등에 의하여 제어하고 감시하며 운용한다.
포맷저장부(120)는 사전에 수집된 2 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저장된 포맷 정보 중에서 검색된 포맷 정보를 단말제어부(110)에 출력한다.
포맷저장부(120)에는 많은 수의 포맷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수표부(13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포맷저장부(120)에 저장된 다종 다수의 포맷 정보를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하는 일련번호를 반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모든 휴대단말기(100)의 포맷저장부(120)에는 동일한 숫자, 동일한 내용의 포맷 정보가 저장되고, 난수표부(130)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므로 통신하는 특정 시점에 동일하며 특정된 포맷정보가 활성화된다.
이동통신 시스템(60)은 접속된 모든 휴대단말기(100)에 동일한 시간 정보를 제공하므로 모든 휴대단말기(100)는 동일한 시간 정보 값으로 일치(동기) 될 수 있고, 난수표부(130)에서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하여 출력된 일련번호가 각각의 휴대단말기에서 동일하게 일치된 값이 된다.
단말메모리부(14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앱(APP) 프로그램과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 등을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앱 프로그램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킨다.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RTP(Real Time Protocol) 프로토콜용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앱(APP) 프로그램은 활성화되어 난수표부(130)가 불규칙한 순서로 일련번호를 선택하는 과정을 제어시킨다.
데이터포트(15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외부와 데이터 통신하며 직렬통신 방식과 병렬통신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활성화되어 운용된다.
기저대역부(16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에서 운용되는 모든 종류의 기저대역 신호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각각 처리한다.
오디오부(170)는 기저대역부(160)와 접속하는 동시에 도면에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 스피커 등과 접속된다.
오디오부(170)는 기저대역부(16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출력하거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저대역부(160)에 전달하는 일반적인 구성이 포함된다.
키패드부(180)는 기저대역부(160)에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 또는 명령신호 등을 직접 입력하여 기저대역부(160)에 전달한다.
이동통신무선부(190)는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여 이동통신 방식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무선부(190)는 단말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이동통신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하고 무선 수신된 이동통신 신호를 복조하여 단말제어부(110)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이동통신용 송수신 기능의 구성이 포함된다.
한편, 부가장치부(200)는 부가장치 제어부(210), 코덱모듈부(220), 쉽모듈부(230), 부가메모리부(240), 정합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부가장치부(200)가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포트(150)에 접속하고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는 데이터 포트(15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및 케이블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구성이 포함되므로 도면 도시와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지 않기로 한다.
부가장치 제어부(210)는 데이터 포트(150)에 접속하고 활성화된 데이터 포트(15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와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부가장치 제어부(210)는 해당 알고리즘에 의하여 구성된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감시하며 운용한다.
코덱모듈부(220)는 부가장치제어부(210)에 접속하고 부가장치제어부(210)의 해당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encoding)하고 또한,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인코딩되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디코딩(decoding)한다.
여기서 코덱모듈부(220)의 인코딩과 디코딩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G.711 규정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쉽모듈부(230)는 부가장치제어부(210)에 접속하고 부가장치제어부(210)의 해당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가 상대방에게 송신할 오디오 신호를 시그널링 처리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쉽모듈부(230)는 부가장치제어부(210)의 해당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가 상대방으로부터 무선 수신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입력하고 시그널링 신호를 제거하는 해독 처리한다.
여기서 쉽모듈부(230)는 휴대단말기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나 부가장치부에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으로 처리할 수도 있으나 하드웨어로 구성하여 처리속도를 높이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부가메모리부(240)는 부가장치제어부(210)에 접속하고 부가장치제어부(210)의 해당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다수의 데이터 신호와 알고리즘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검색하여 출력한다.
부가메모리부(240)는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RTP(Real Time Protocol) 프로토콜용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정합부(250)는 부가장치제어부(210)에 접속하고 부가장치제어부(210)가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모든 데이터 신호를 정합(matching)시켜 최대의 레벨(level) 상태로 입력시키거나 출력시킨다.
즉, 정합부(250)는 휴대단말기(100)에 송신할 신호와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최대의 레벨로 출력하고 또한 입력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부가장치부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루틴처리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 및 첨부된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여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100)의 단말제어부(110)는 사전에 수집되어 입력된 2 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포맷저장부(120)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S310).
단말제어부는 기지국이 모든 휴대단말기에 동일한 내용으로 송신하는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VoIP 전용 앱(APP)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제어된 난수표부(130)가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하여 출력한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포맷 정보를 포맷정보부로부터 읽어 활성화(active) 상태로 설정 운용한다(S320).
즉,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모든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시간 정보를 무선 수신하고 동일한 앱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용하므로 동일한 시간 대(band)에 난수표부로부터, 불규칙한 일련번호 이지만, 동일한 포맷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일련번호를 출력한다.
단말제어부는 감시 중인 키패드부(180)를 통하여 수신할 상대방의 호출번호 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30).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호출번호 정보와 VoIP를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포트(150)를 직렬접속 방식 또는 병렬접속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접속 방식으로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직렬 접속방식은 USB, I2C, RS232C, RS422, SATA, LAN, IEEE-1394, PCIE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병렬접속 방식은 PATA, IDE, PCI, SCSI, AGP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또한, 단말제어부는 오디오부(170)와 기저대역부(160)를 경유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활성화 제어된 데이터 포트를 통하여 부가장치부(200)에 출력한다.
부가장치부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루틴 처리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로 변환한 후에 휴대단말기에 출력한다. 루틴 처리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는 부가장치부가 출력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다시 입력한다(S340).
단말제어부는 부가장치부로부터 입력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포맷저장부로부터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되어 검색되고 활성화된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포매팅한다(S350).
여기서 포매팅된 신호는 포매팅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포맷 정보를 알지 못하면 그 내용을 분석하거나 해독할 수 없으므로,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는 단순한 바이너리의 디지털 데이터로 인식한다.
단말제어부는 포매팅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에 수신측의 호출번호 정보를 포함시키고 이동통신무선부에 인가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한다(S360).
그러므로 이동통신 교환국은 포매팅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에 음성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 또는 분석할 수 없으며, 수신측 호출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게이트웨이를 제어하고 인터넷을 경유시켜 바이너리 신호로 전송한다.
즉,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즉시 음성급 신호를 VoIP로 변환시키고 인터넷 네트워크를 경유시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 휴대단말기가 수신측이 되어 포매팅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수신하고 음성급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쉽(SIP) 처리는 휴대단말기에서 진행될 수 있으나 부가장치부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쉽(SIP)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하드웨어 구성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표준적인 VoIP 처리시에는 쉽(SIP) 처리가 필요하지만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한 VoIP 처리에서는 쉽(SIP) 처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제어부는 이동통신무선부를 통하여 포매팅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410).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번호 정보를 분리 추출하여 분석한다(S420).
분석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에 고유하게 할당된 호출번호 정보 인지를 확인하므로, 수신된 VoIP 신호가 입력하여야 될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30).
수신된 VoIP 신호의 호출번호 정보가 자신에게 할당된 고유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VoIP 신호를 입력하고 활성화된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언포매팅(un-formating) 처리하므로 해독 처리한다(S440).
여기서 모든 휴대단말기는 기지국이 제공하는 동일한 시간 정보에 의하여 동일하게 구동되는 앱 프로그램이 동일한 포맷 정보가 활성화되도록 제어된다는 것은 VoIP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단말제어부는 언포매팅 처리된 VoIP 신호를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처리 시킨 후에 다시 입력한다(S450). 루틴 처리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히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제어부는 부가장치부로부터 루틴 처리되어 입력된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증폭시키고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감시한다(S460).
또한, 이하에서 부가장치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인코딩하고 쉽처리하여 VoIP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출력하며 VoIP 신호를 입력하여 쉽처리로 해독하고 디코딩 처리하여 출력하는 일련의 루틴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부가장치부(200)의 부가장치 제어부(210)는 감시중인 정합부(250)와 데이터 포트(150)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한다(S510).
부가장치 제어부는 감시중인 정합부를 통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코덱모듈부(220)에 인가하여 인코딩 처리한다(S520).
코덱모듈부에서 인코딩 처리하는 방식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G.711 규약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부가장치 제어부는 인코딩 처리된 신호를 쉽모듈부에 인가하여 시그널링 신호를 부가하는 쉽(SIP)처리하므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부가장치 제어부는 알려진 RTP 처리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부가장치 제어부는 처리 완료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VoIP) 신호를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530).
한편, 부가장치 제어부에 의하여 감시중인 정합부(250)와 데이터 포트(150)를 통하여 접속된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S510), 다시 분석하여 VoIP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540).
부가장치 제어부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로부터 VoIP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된 VoIP 신호를 쉽모듈부에 인가하고 시그널링 신호를 제거하여 해독하는 쉽(SIP) 처리 시킨다(S550). 이때, RTP 등의 해독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부가장치 제어부는 쉽처리된 신호를 코덱모듈부에 인가하여 디코딩 처리한다(S560). 코덱모듈부에서의 디코딩 처리 방식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G.711 규약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장치 제어부는 디코딩 처리 완료된 신호를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S570).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부가장치부가 휴대단말기에 접속되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참고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포트에 해당 커넥터와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된 부가장치부(200)는 작은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에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와 스마트 폰 등이 모두 포함되고 모든 휴대단말기(100)는 데이터 포트(150)를 구비하므로 데이터 포트(150)에 접속하는 커넥터는 해당 기능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설명한다.
또한,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어 부가장치부(200)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은 길이, 폭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도면에서도 기능적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만 도시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7의 a)에는 휴대단말기(100)의 데이터 포트(150)에 소형 칩 형태의 부가장치부(200)를 단순하게 연결시켜 사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아이씨(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칩(Chip) 형태로 구성되는 부가장치부(200)가 외부 충격 등의 물리적 영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다.
칩은 PGA, DSP, FPGA, PROM, 집적회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b)에는 부가장치부(200)를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의 표면에 그대로 부착하거나 별도의 홈을 형성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c)에는 부가장치부(200)를 휴대단말기의 보조케이스(300)에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보조케이스의 표면 또는 별도 형성된 홈에 부착시킬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또는 보조케이스에 부가장치부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홈(home)은 홀(hole), 슬롯(slot)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고 데이터 망인 인터넷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VoIP 음성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60 : 이동통신 시스템 61 : 기지국
62 : 이동통신교환국 63 : 게이트웨이
64 : 인터넷 65 : 데이터베이스
66 : 공중통신망 67 : T1/E1 트렁크
100 : 휴대단말기 110 : 단말제어부
120 : 포맷저장부 130 : 난수표부
140 : 단말메모리부 150 : 데이터 포트
160 : 기저대역부 170 : 오디오부
180 : 키패드부 190 : 이동통신무선부
200 : 부가장치부 210 : 부가장치제어부
220 : 코덱모듈부 230 : 쉽모듈부
240 : 부가메모리부 250 : 정합부
300 : 보조케이스부

Claims (14)

  1. 이동통신 휴대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탈부착 상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부가장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칩 형태로 내장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속하고 정합되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며 구성된 각 기능부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제어하고 감시하는 부가장치제어부;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되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디코딩하는 코덱모듈부;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에게 송신할 오디오 신호를 시그널링 처리하는 쉽모듈부; 및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된 다수의 데이터 신호와 알고리즘을 각각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검색하여 출력하는 부가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뒷면 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탈되는 보조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부가장치부와 접속하고 구성된 각 기능부를 제어하며 감시하는 단말제어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집된 다종 다수의 포맷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검색된 포맷 정보를 출력하는 포맷저장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포맷저장부에 저장된 다종 다수의 포맷 정보를 불규칙한 순서로 선택하는 일련번호를 반복하여 출력하는 난수표부;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용 앱 프로그램과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각각 저장하고 상기 앱 프로그램을 활성화 상태로 설정시키는 단말메모리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외부와 데이터 통신하는 데이터포트;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번호 정보는 전화번호 정보와 IP 주소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저대역 신호를 해당 알고리즘으로 처리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부로부터 인가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저대역부에 전달하는 오디오부;
    상기 기저대역부에 접속하고 데이터 또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저대역부에 전달하는 키패드부; 및
    상기 단말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이동통신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하고 무선 수신된 이동통신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단말제어부에 전달하는 이동통신무선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단말메모리부에 저장된 알고리즘으로 각 기능부를 제어와 운용하며 상기 난수표부가 선택한 일련번호에 해당하는 포맷 정보를 상기 포맷저장부로부터 검색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상기 검색된 포맷으로 포매팅하며 수신할 호출번호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이동통신무선부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포트는
    직렬통신 방식과 병렬통신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접속하되,
    상기 직렬통신 방식은 USB, I2C, RS232C, RS422, SATA, LAN, IEEE-1394, PCIE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병렬통신 방식은 PATA, IDE, PCI, SCSI, AGP에 의한 접속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칩은
    PGA, DSP, FPGA, PROM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9.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부가장치부가 포함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의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입력된 2 개 이상의 다종 다수 포맷 정보를 포맷저장부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난수표부가 선택한 포맷 정보를 읽어 활성화 시키는 기초단계;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호출번호 정보가 입력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을 시작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포트를 활성화 제어하고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 다시 입력하는 변환단계; 를 포함한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루틴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된 포맷 정보로 포매팅하고 수신측 호출번호 정보를 포함시켜 이동통신무선부에 인가하여 무선송신하는 포맷송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11.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부가장치부가 포함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의 처리속도를 개선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이동통신무선부가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무선수신하면 수신측 호출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고유한 호출번호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무선단계;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호출번호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된 포맷 정보로 언포매팅 처리하는 포맷해독과정; 및
    상기 단말제어부에 의하여 언포매팅 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활성화 제어된 데이터포트에 접속된 상기 부가장치부에 출력하여 루틴처리한 후 다시 입력하는 복구과정; 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부가장치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과정;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13. 상기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틴과정은
    상기 부가장치부의 부가장치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코덱모듈부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처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코딩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쉽모듈부에 인가하여 시그널링 신호를 부가하는 쉽처리하고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14. 상기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장치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에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쉽모듈부를 제어하여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로부터 시그널링 신호를 제거하는 쉽처리에 의하여 해독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쉽처리된 인터넷 기반 음성통신 신호를 코덱모듈부에 인가하여 디코딩 처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6 단계에서 디코딩 처리된 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에 출력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운용방법.

KR1020130019411A 2013-02-22 2013-02-22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51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11A KR101519392B1 (ko) 2013-02-22 2013-02-22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11A KR101519392B1 (ko) 2013-02-22 2013-02-22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06A true KR20140105306A (ko) 2014-09-01
KR101519392B1 KR101519392B1 (ko) 2015-05-13

Family

ID=5175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11A KR101519392B1 (ko) 2013-02-22 2013-02-22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3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39590A1 (en) * 2007-04-13 2008-10-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soft mobile VoIP client in a cellular PC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392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956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bluetooth headphone
US7966045B2 (en) WLAN communications system
EP1475979B8 (fr) Procédé pour l'établissement de connexion dans un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CN204616044U (zh) 基于蓝牙技术的音乐分享系统
EP25361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ircuit switched link of wifi handheld equipment
RU201515679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й трубки для стационарных телефонов с помощью домашнего шлюза и смартфона
CN104768153A (zh) 发送、接收网络配置信息的方法及其wifi终端
US8340058B2 (en) Headphone with enhanced voice communication
CN101163226B (zh) 利用WiMAX网络实现移动视频会议的方法及系统
CN106656274B (zh) 一种语音传输系统
WO20151654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data
CN109039994B (zh) 一种计算音频和视频异步时差的方法及设备
JP2008244853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KR101519392B1 (ko) 데이터 처리속도가 개선된 휴대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CN105004346B (zh) 一种实现车载导航仪具有网络通话功能的方法及系统
KR20070069551A (ko) 화상 통화와 채팅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통합된 이미지채널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50010992A (ko) 휴대통신단말기 간의 비화통신 시스템
GB24532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a sounder device
JP2014147012A (ja) 音声呼の確立と同時に、相手方端末におけるコードを確認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9167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data through tones
JP513500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41893B1 (ko) RoIP 게이트웨이의 자석식 전화기 통화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708535B1 (ko) 전화번호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0783121B1 (ko) 무선전화기용 베이스 스테이션
KR100608781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VoIP 음성정보 송신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