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283A -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283A
KR20140105283A KR1020130019336A KR20130019336A KR20140105283A KR 20140105283 A KR20140105283 A KR 20140105283A KR 1020130019336 A KR1020130019336 A KR 1020130019336A KR 20130019336 A KR20130019336 A KR 20130019336A KR 20140105283 A KR20140105283 A KR 2014010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emale connector
lifting
wire connec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584B1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102013001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5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7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indoor arenas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은 본체 하부 내측에 설치된 상측단자와 결합하고 있던 승하강체의 하측단자가 이탈이 되어도 일정 구간 동안 전선케이블에 의해 조명이 켜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이후의 하강구간을 지나면 조명이 꺼진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본체(10) 일 측면에 내부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암 커넥터(12)와, 상기 암 커넥터(12)에 연결되는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과,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의 일 끝단에 설치되어 승하강체(2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재(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내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연결관(101)과, 상기 연결관(101) 일 측에 형성되어 암 커넥터(12)에 결합하기 위해 수평 절결홈(111)과 걸림돌기(112)을 가지는 제 1 수 커넥터(110)와, 타 단에 또 다른 연결관에 설치된 제1 암 커넥터(120)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다수의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Lifting device of lighting lamp}
본 발명은 조명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명등은 본체 하부 내측에 설치된 상측단자와 결합하고 있던 승하강체의 하측단자가 이탈이 되어도 일정 구간 동안 전선케이블에 의해 조명이 켜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이후의 하강구간을 지나면 조명이 꺼진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구장이나 배구장 등 실내 체육관 또는 기타 장소에서 조명등의 높이를 맞출 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도를 쉽게 맞출 수가 있도록 한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 체육관, 공장, 교회, 공연장, 예식장, 연회장, 주유소, 레스토랑, 커피숍, 백화점 등과 같이 천장 면이 높은 곳에는 고소 조명등이 설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최초 사용시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조명등의 제한된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조명등이 고장이 남에 따라 새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조명등의 사용 수명을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작업을 해주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높은 천장 면에 설치 사용되는 고소 조명등을 교환 및 청소작업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특성상 별도의 고소 작업장비 즉, 고소 작업대,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고소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은 지상에서의 작업보다 많은 불편함과 숙련도가 요구될 뿐 아니라, 특히 고소 작업도중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 등의 안전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었으며, 고소 작업장비 사용에 다른 경비가 증가 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고소 조명등을 지상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전구를 교환 또는 청소작업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 승강장치가 안 출된 바 있다.
이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건축물의 천장 면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조명등이 고정되는 승하강체와, 상기 승하강체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의 일정부위에 부설된 드럼 상에 고정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승하강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 하부 내측에 상측단자가 구비되고, 이와 접촉되도록 승하강체 상부 외측에 하측단자가 설치되며 지상에서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받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승하강체를 지상으로 하강 또는 천장 면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명등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시켜 조명등을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등은 본체 하부 내측에 설치된 상측단자와 결합하고 있던 승하강체의 하측단자가 이탈되는 경우 조명등이 점멸되기 때문에 상기 승하강체를 일정부분 높이 조절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농구장이나 배구장 등 실내 체육관에서 원하는 조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조명등을 최대한 밝게 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등을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국내 특허공보 제10-1055759호 (2011년 08월 11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7868호 (2005년 03월 21일)
본 발명은 조명등은 본체 하부 내측에 설치된 상측단자와 결합하고 있던 승하강체의 하측단자가 이탈이 되어도 일정 구간 동안 전선케이블에 의해 조명이 켜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이후의 하강구간을 지나면 조명이 꺼진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구장이나 배구장 등 실내 체육관 또는 기타 장소에서 조명등의 높이를 맞출 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도를 쉽게 맞출 수가 있도록 한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천장 면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하부에 조명등이 고정되는 승하강체(20)와, 상기 승하강체(20)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10)의 일정부위에 부설된 드럼(40)상에 고정된 와이어(50)를 이용하여 승하강체(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하부 내측에 상측단자(11)가 구비되고, 이와 접촉되도록 승하강체(20) 상부 외측에 하측단자(21)가 설치되며 지상에서 리모콘(30)의 조작에 의해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받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승하강체(20)를 지상으로 하강 또는 천장 면으로 상승하도록 한 조명등 승하강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일 측면에 내부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암 커넥터(12); 및
상기 암 커넥터(12)에 연결되는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 및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의 일 끝단에 설치되어 승하강체(2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재(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로부터 승하강체(20)가 하강 시 상기 승하강체가 전원연결부재(200)가 유지되는 구간만 조명이 점등된 상태로 이동하고 이후 승하강체(20)와 전원연결부재(200)가 분리되는 구간은 조명이 점멸된 상태로 와이어(50)에 매달려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내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연결관(101)과, 상기 연결관(101) 일 측에 형성되어 암 커넥터(12)에 결합하기 위해 수평 절결홈(111)과 걸림돌기(112)을 가지는 제 1 수 커넥터(110)와, 타 단에 또 다른 연결관에 설치된 제1 암 커넥터(120)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다수의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암 커넥터(120) 내부에 제 1 수 커넥터(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2)가 걸어맞춤되는 반원형 홈(121)과 결합하여 상기 반원형 홈(121) 구간에서만 회동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전원연결부재(200)는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승하강체 상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이 형성되며, 이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은 상기 승하강체(20)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하부 외측 및 내측 접점(P3,P4)에 접점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는 조명등은 본체 하부 내측에 설치된 상측단자와 결합하고 있던 승하강체의 하측단자가 이탈이 되어도 일정 구간 동안 전선케이블에 의해 조명이 켜진 상태로 하강하다가 이후의 하강구간을 지나면 조명이 꺼진 상태로 와이어에 매달려서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구장이나 배구장 등 실내 체육관 또는 기타 장소에서 조명등의 높이를 맞출 수가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도를 쉽게 맞출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승강장치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또는 도 2b는 승하강체가 본체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는 승하강체가 본체로부터 이탈 된 후의 상태를 아래서 본 도면이고,
도 2b는 승하강체가 본체로부터 이탈 된 후의 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체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 조명등 승강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 면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하부에 조명등이 고정되는 승하강체(20)와, 상기 승하강체(20)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10)의 일정부위에 부설된 드럼(40)상에 고정된 와이어(50)를 이용하여 승하강체(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하부 내측에 상측단자(11)가 구비되고, 이와 접촉되도록 승하강체(20) 상부 외측에 하측단자(21)가 설치되며 지상에서 리모콘(30)의 조작에 의해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받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승하강체(20)를 지상으로 하강 또는 천장 면으로 상승하도록 한 조명등 승하강장치(1)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 일 측면에 내부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되도록 암 커넥터(12)가 설치된다.
상기 암 커넥터(12)에는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이 끼워맞춤되고, 이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의 일 끝단에는 승하강체(2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재(2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연결관(101)과, 상기 연결관(101) 일 측에 형성되어 암 커넥터(12)에 결합하기 위해 수평 절결홈(111)과 걸림돌기(112)을 가지는 제 1 수 커넥터(110)와, 타 단에 또 다른 연결관에 설치된 제1 암 커넥터(120)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다수의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하되, 상기 본체(10)의 외측 보다 크게 하여 본체와의 간섭을 없애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 반듯이 다수의 'ㄷ'형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스프링 형상 또는 링크형상 또는 안테나 형상으로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101)은 합성수지로 동일 구조를 가지도록 여러 개 사출되어 제1 수 커넥터(110)가 다른 연결관(101)의 제1 암 커넥터(120)에 끼워지며, 승, 하강 시 와이어(50)와 간섭이 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암 커넥터(120)에는 반원형 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수 커넥터(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2)가 걸어맞춤되는 이 반원형 홈(121) 구간 내에서만 회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전원연결부재(200)는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승하강체 상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이 형성되며, 이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은 상기 승하강체(20)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하부 외측 및 내측 접점(P3,P4)에 접점 되어 도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등 승강장치(1)는 평상시 즉, 본체(10)와 승하강체(20)가 결합한 상태에서 천장에 매달려 있다가, 작업자가 조명 위치(높이)를 조절하거나 램프의 교환 및 청소할 때에 의해 리모콘(30)을 "온"하여 하강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구동모터(M)가 동작을 하여 상기 와이어(50)를 드럼(40)으로부터 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하강체(2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측단자(11)와 승하강체(20)의 하측단자(21)의 접점이 떨어지면, 도시하지 않은 릴레이스위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전원연결부재(200) 하부에 설치된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기는 상기 승하강체(20) 상부에 설치된 하부 외측 및 내측 접점(P3,P4)에 도통하여 상기 승하강체(20)로부터 일정구간만 접점이 되어 조명이 켜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에 조명등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조명 램프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리모콘(30)을 이용하여 하강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승하강체(20) 상부에 설치된 하부 외측 및 내측 접점(P3,P4)이 전원연결부재(200)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조명이 점멸된 상태로 와이어(50)에 매달려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점멸되기 1-3초 전에 상기 하강시 본체(10)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드럼 회전수 감김 센서(예를 들어 리미트 센서)에 의해 미리 점멸되어 스파크(과부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조명 램프를 교환 및 청소한 다음 다시 리모콘(30)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M)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50)가 드럼(40)에 감김으로써, 상기 승하강체(20)가 상승하게 되고, 최초로 전원연결부재(200)과 결합하고, 계속 상승하여 본체(10)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본체(10)의 외부를 감싸며 차례로 적층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체(20)가 상승하여 전원연결부재(200)에 접촉한 다음 1-3초 후에 전원이 들어오도록 하여 스파크(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조명등 승강장치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 조명등 승강장치 10 : 본체
11 : 상측단자 20 : 승하강체
21 : 하측단자 30 : 리모콘
40 : 드럼 50 : 와이어
100 :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 101 : 연결관
110 : 수 커넥터 111 : 수평 절결홈
112 : 걸림돌기 120 : 고정 암 커넥터
121 : 반원형 홈 200 : 전원 연결부재
M : 구동모터 L : 전선
P1 : 상부 외측 접점 P2 :상부 내측 접점
P3 : 하부 외측 접점 P4 :하부 내측 접점

Claims (5)

  1. 건축물의 천장 면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하부에 조명등이 고정되는 승하강체(20)와, 상기 승하강체(20)의 상측부에 일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10)의 일정부위에 부설된 드럼(40)상에 고정된 와이어(50)를 이용하여 승하강체(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 하부 내측에 상측단자(11)가 구비되고, 이와 접촉되도록 승하강체(20) 상부 외측에 하측단자(21)가 설치되며 지상에서 리모콘(30)의 조작에 의해 상승신호 또는 하강신호를 받음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승하강체(20)를 지상으로 하강 또는 천장 면으로 상승하도록 한 조명등 승하강장치(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일 측면에 내부 전원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암 커넥터(12); 및
    상기 암 커넥터(12)에 연결되는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 및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의 일 끝단에 설치되어 승하강체(20)에 임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연결부재(2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로부터 승하강체(20)가 하강 시 상기 승하강체가 전선 연결부재(200)가 유지되는 구간만 조명이 점등된 상태로 이동하고 이후 승하강체(20)와 전선 연결부재(200)가 분리되는 구간은 조명이 점멸된 상태로 와이어(50)에 매달려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내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연결관(101)과, 상기 연결관(101) 일 측에 형성되어 암 커넥터(12)에 결합하기 위해 수평 절결홈(111)과 걸림돌기(112)을 가지는 제 1 수 커넥터(110)와, 타 단에 또 다른 연결관에 설치된 제1 암 커넥터(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 및 보호수단(100)은 다수의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4. 제 2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커넥터(120)에 반원형 홈(121)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수 커넥터(110)에 형성된 걸림돌기(112)가 이 반원형 홈(121)과 결합하여 상기 반원형 홈(121) 구간 내에서만 회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200)는 도넛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승하강체 상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이 형성되며, 이 상부 외측 및 내측 접점(P1,P2)은 상기 승하강체(20) 상부에 일측에 설치된 하부 외측 및 내측 접점(P3,P4)에 접점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1020130019336A 2013-02-22 2013-02-22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10150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36A KR101503584B1 (ko) 2013-02-22 2013-02-22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36A KR101503584B1 (ko) 2013-02-22 2013-02-22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83A true KR20140105283A (ko) 2014-09-01
KR101503584B1 KR101503584B1 (ko) 2015-03-18

Family

ID=5175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36A KR101503584B1 (ko) 2013-02-22 2013-02-22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72A (ko) * 2019-09-26 2021-04-05 김응복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263Y1 (ko) 2004-05-03 2004-07-16 박상구 판형 피티씨 소자
KR100990797B1 (ko) 2008-01-10 2010-10-29 신정훈 조도 조절이 가능한 조명 승하강장치
JP5028295B2 (ja) 2008-02-19 2012-09-19 コイズミ照明株式会社 照明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72A (ko) * 2019-09-26 2021-04-05 김응복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584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989B1 (ko) 조명등 승강 장치
EP1384030B1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JP2007287500A (ja) 照明器具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1503584B1 (ko)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100679998B1 (ko)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190047587A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140147224A (ko) 베어링 타입 와이어 권취 드럼을 갖는 승강릴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100084765A (ko) 승강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KR20070113554A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에서의 비접촉식 드럼 회전수감지장치
KR200248459Y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의 접점구조.
KR100864157B1 (ko) 승강릴의 승하강체 스토퍼
KR100537289B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
KR200356233Y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KR100516416B1 (ko) 행거용 조명기
KR200309700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승강체 회전방지장치
KR100574155B1 (ko) 절첩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CN210069783U (zh) 遥控升降灯座
KR101960601B1 (ko)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