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846A -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846A
KR20140104846A KR1020130018841A KR20130018841A KR20140104846A KR 20140104846 A KR20140104846 A KR 20140104846A KR 1020130018841 A KR1020130018841 A KR 1020130018841A KR 20130018841 A KR20130018841 A KR 20130018841A KR 20140104846 A KR20140104846 A KR 2014010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ignal
display panel
motion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767B1 (ko
Inventor
유민철
Original Assignee
(주)미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디웨어 filed Critical (주)미디웨어
Priority to KR102013001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7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와, 미러의 뒷면에 위치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표시패널와, 상기 미러의 뒷면에 위치하여 미러를 관통하는 소정의 신호를 발산한 후 미러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인식장치와, 움직임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움직임을 기초로 영상표시패널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Mirror display system and method which are operated based on detection of object movement}
본 발명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장치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을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러(mirror)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울의 기능과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일반 거울로서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용된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115911호 국내공개특허 제2009-008795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장치를 통해 감지된 움직임을 기초로 동작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러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 움직임 감지를 위하여 초음파 도플러 등을 이용한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움직임 인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이고 유지 보수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열 방출 효과가 뛰어나 셋탑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는, 미러; 상기 미러의 뒷면에 위치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미러의 크기보다 작은 영상표시패널; 상기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중첩되지 아니한 곳에 위치하고, 상기 미러를 관통하는 소정의 신호를 발산한 후 상기 미러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인식장치; 및 상기 움직임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인식 장치의 일 예는,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원편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의 앞쪽으로 발산하고 상기 미러의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집광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로 전달하는 필터;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수신한 신호 세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의 일 예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과 같거나 큰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과 내부 전압으로 분배하고,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을 전원선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로부터 센서신호선선을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센서신호처리부; 및 상기 전원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내부 전압을 이용하여 작동하고, 상기 센서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표시패널에서 신호변환없이 출력 가능한 영상 신호를 영상신호선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패널로 출력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 일반 거울로 사용되다가 사용자의 움직임(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 접근)을 감지하면 영상표시패널을 통해 화면신호를 출력하거나, 반대로 화면신호를 출력하다가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일반 거울로 전환하는 등 거울과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광고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를 위한 센서를 미러 앞쪽이나 주변에 설치할 필요없이 미러 뒷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설치시 미관상 지저분함을 없앨 수 있다. 더구나 미러 뒷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체 미러가 모두 거울의 기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표시패널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미러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셋탑박스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패널이 부착된 미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움직임 인식 장치에서 처리되는 신호 파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셋탑박스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셋탑박스의 외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을 기초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100), 영상표시패널(110), 움직임 인식 장치(120) 및 셋탑박스(130)를 포함한다.
미러(100)의 일 예로 유리표면에 금속 산화물을 붙여 빛의 일부를 반사하고 일부를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미러(100)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적용 예에 따라 다양한 수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표시패널이 'on'인 경우 그 출력 화면이 앞면에서 보일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이를 만족하는 여러 종류의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영상표시패널(110)은 영상 신호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장치로서 LED, LCD, AMOLED 등 다양한 형태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고려할 때 평판형의 영상표시패널(11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신호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장치이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영상표시패널(110)은 미러(100)의 크기보다 작고 미러(100)의 뒷면 일측에 위치한다.
움직임 인식 장치(120)는 미러(100) 앞쪽의 일정 영역 내에서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미러(100)의 뒷면에 위치한 영상표시패널(110)과 중첩되지 아니한 영역에 위치한다. 움직임 인식을 위한 센서로 종래 초음파 도플러 등을 이용한 근접 센서 등이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움직임 인식 장치(120)가 미러(100)의 뒷면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종래 센서의 활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움직임 인식 장치(120)는 미러(100)로 막혀 있는 제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도 보다 정확한 인식을 위하여 원편광 적외선을 사용한다. 움직임 인식 장치(120)는 원편광 적외선을 미러(100) 앞쪽으로 발산한 후 미러(100)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세기를 기초로 미러(100)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 등을 파악한다. 움직인 인식 장치(12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셋탑박스(130)는 움직임 인식 장치(120)에 의해 감지된 미러(100)와 객체와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 여부를 기초로 영상표시패널의 on/off를 제어한다. 셋탑박스(130)는 다양한 매체 신호(예를 들어, HDMI, DVI, RGB 신호 등)를 영상표시패널(110)이 사용하는 신호형태(예를 들어,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aling))로 변환하여 영상표시패널(110)에 제공하며 또한 영상표시패널(110)에 필요한 정확한 전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영상표시패널(110)은 신호변환이나 전압 변환을 위한 별도의 모듈을 자체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다.
셋탑박스(130)는 미러(100)의 뒷면 일측에 부착되어 위치할 수도 있으나, 케이블(140)을 통해 영상표시패널(110) 및 움직임 인식장치(120)와 연결되어 원하는 거리만큼 물리적으로 이격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미러(100)에 셋탑박스(130)가 함께 부착되는 경우 셋탑박스(130)의 두께만큼 전체 장치가 두꺼워질 뿐 아니라 셋탑박스(130)의 고장이나 유지 보수시에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된 곳에서 탈부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므로, 셋탑박스(130)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케이블(140)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셋탑박스(130)는 다수의 움직임 인식장치 및 영상표시패널과 연결되어 다수의 미러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셋탑박스(130)는 영상표시패널(11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자체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있거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셋탑박스(13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움직임 인식 장치에서 처리되는 신호 파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설명에서 함께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움직임 인식 장치(120)는 필터(200) 및 적외선 센서(210), 적외선 센서(210)에 의해 생성된 후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기초로 움직임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220)는 증폭부(230), 필터부(240) 및 감지부(250)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210)는 일정 크기의 원편광의 적외선을 생성하여 출력한 후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적외선을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210)에 의해 생성된 적외선은 필터(200)를 통해 원편광(Circular Polarization)으로 만들어져 미러(100) 앞면으로 발산된다. 발산된 신호는 미러(100)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며, 필터(200)는 되돌아 오는 신호를 다시 한 번 집광하여 적외선센서(210)의 수신부로 보낸다.
객체의 움직임이 있다면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에 변화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객체(예를 들어, 사람)가 미러(100) 앞쪽으로 다가올수록,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의 크기는 점점 커져 최대신호(객체가 미러(100)에 접촉하는 경우)가 되며, 멀어지면 신호의 크기는 다시 작아진다. 따라서 움직임 인식 장치(120)는, 감지된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객체가 미러(100)에 얼마만큼 근접했는지 또는 객체 움직임이 있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원편광 적외선 신호의 크기는 미러(100) 때문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출력신호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여러 잡음 신호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220)의 증폭부(230)는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부(240)는 여러 잡음 신호를 보정하여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폭부(230)는 발산된 원편광 적외선 신호가 미러(100)와 최단 거리(예를 들어, 객체가 미러 앞면에 접촉된 상태)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 왔을 때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최대신호가 되도록 미리 설정된 증폭율에 따라 증폭한다. 증폭부의 증폭율은 미러(100)의 반사율과 투과율, 적외선 센서(210)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 세기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실험적 방법 또는 이론적 계산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부(230)는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100% 증폭하거나 150% 증폭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서 잡음 신호 등을 제거한다. 필터부(240)는 도 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된 신호에서 그 크기가 급격히 변화는 구간(410)을 파악한 후 그 구간의 앞뒤의 신호(400,410) 크기의 평균을 기준으로 급격히 변화는 구간(410)을 평탄한 신호 형태(420)로 보정한다. 필터부(240)는 도 3d의 필터링 과정에 앞서, 도 3c와 같이 증폭부(23)에 의해 증폭된 신호에서 기 설정된 최대신호를 벗어나는 신호의 크기를 최대신호로 보정하는 과정을 미리 수행한 후 급격히 변화는 구간(410)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감지부(250)는 필터부(240)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를 기초로 미러(100)와 객체 사이의 거리와 객체 움직임 여부 등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250)는 도 3e와 같이, 필터링된 신호에서 기 설정된 기준신호보다 큰 신호 구간에서는 '1'의 신호를 발생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0'의 신호를 발생하여 객체가 미러(100)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지 그 밖에 있는지를 구분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셋탑박스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30)는 전원분배부(410), 센서신호처리부(420), CPU(440)와 그래픽코어(450) 등을 포함하는 메인보드(430)를 포함한다. 셋탑박스(130)는 그 외에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미도시) 등 그 구현을 위해 필요한 다른 여러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당연히 포함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에 관한 구성 위주로 도시하였다.
전원분배부(410)는 외부로부터 일정 크기의 전압을 공급받아 셋탑박스(130)의 내부 구동전압 및 영상표시패널(110)에 공급할 전압으로 분배한다. 전원분배부(410)는 일반적으로 셋탑박스(130)의 내부 구동전압보다 더 큰 전압을 요구하는 영상표시패널(110)에게 전압을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영상표시패널(110)의 구동전압과 같거나 더 큰 전압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원분배부(41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부터 24V의 전압을 공급받은 후 24V의 전압을 전력선을 통해 영상표시패널(110)에 공급하고, SMPS로부터 공급받은 24V를 12V로 변환하여 내부 구동 전압으로 사용한다.
센서신호처리부(420)는 센서신호선(464)을 통해 움직임 인식 장치(120)로부터 움직임 감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보드(430)에 공급한다.
메인보드(430)는 여러 종류의 신호(예를 들어, HDMI, RGB, DVI 등)를 영상표시패널(110)에서 별도의 신호 변환 과정 없이 바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신호 형태(예를 들어, LVDS)로 변환하고, 센서신호처리부(420)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를 기초로 영상표시패널(110)로 영상신호를 출력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셋탑박스(130)는 센서신호처리부(120)와 센서신호선(464)으로 연결되고, 영상표시패널(110)과 전력선(460) 및 영상신호선(462)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선들을 표기하였으나 이 선(460,462,464)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140)로 묶여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셋탑박스의 외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셋탑박스(130)의 메인보드(430)는 여러 영상 신호의 변환과 그래픽 관련 기능 등을 수행함에 따라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CPU(440)와 그래픽코어(450) 등을 포함하므로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적절히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성이 필요하다. 종래 열을 방출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냉각팬을 두었으나 이 경우 냉각팬의 부피만큼 셋탑박스의 크기가 커지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또한 냉각팬의 구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130)는 소음 발생 없이 효율적으로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케이스(500)를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구성한다. 특히 CPU(440)와 그래픽코어(450)의 열 방출을 위하여 이들 각각(44,450)을 케이스의 특정 부위(510,520)와 밀착시켜 열전도 구리스를 이용하여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을 기초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는 원평광의 적외선을 미러 앞면을 통해 발산한다(S600). 움직임 인식 장치는 미러 앞쪽에 위치한 객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면(S610), 그 신호의 크기를 증폭한 후(S620), 잡음신호 등을 필터링한다(S630). 그리고 필터링된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객체와 미러와의 거리 또는 움직임 등을 감지한 후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on/off를 제어하도록 셋탑박스로 출력한다(S64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미러;
    상기 미러의 뒷면에 위치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미러의 크기보다 작은 영상표시패널;
    상기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중첩되지 아니한 곳에 위치하고, 상기 미러를 관통하는 소정의 신호를 발산한 후 상기 미러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인식하는 움직임인식장치; 및
    상기 움직임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움직임을 기초로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인식장치의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신호선; 및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영상신호 및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영상신호선 및 전력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영상신호선 및 전력선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영상신호와 전력을 각각 공급하고, 상기 센서신호선을 통해 상기 움직인인식장치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인식장치는, 원편광의 적외선을 출력한 후 상기 미러를 관통하여 되돌아오는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4. 미러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고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원편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미러의 앞쪽으로 발산하고 상기 미러의 앞쪽에 위치한 객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집광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로 전달하는 필터; 및
    상기 적외선 센서가 수신한 신호 세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감지된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된 신호에서 크기가 급격하게 변화는 구간을 상기 구간의 앞뒤 신호의 평균을 기초로 보정하는 필터부; 및
    상기 보정된 신호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미러와 객체 사이의 거리 또는 객체 움직임을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인식 장치.
  6.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신호 및 전력을 공급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과 같거나 큰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과 내부 전압으로 분배하고, 상기 영상표시패널의 작동 전압을 전원선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공급하는 전원분배부;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위치한 움직임 인식 장치로부터 센서신호선선을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센서신호처리부; 및
    상기 전원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내부 전압을 이용하여 작동하고, 상기 센서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영상표시패널에서 신호변환없이 출력 가능한 영상 신호를 영상신호선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패널로 출력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부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8. 제 6항에 있어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보드에 탑재된 CPU와 그래픽코어에 밀착되어 열전도 구리스를 통해 열을 방출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
KR1020130018841A 2013-02-21 2013-02-21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841A KR101596767B1 (ko) 2013-02-21 2013-02-21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841A KR101596767B1 (ko) 2013-02-21 2013-02-21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846A true KR20140104846A (ko) 2014-08-29
KR101596767B1 KR101596767B1 (ko) 2016-02-23

Family

ID=5174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841A KR101596767B1 (ko) 2013-02-21 2013-02-21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45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73B1 (ko) 2018-10-22 2021-04-08 양민철 미러형 증강 현실 표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651B1 (ko) * 2007-02-08 2008-05-20 정종찬 룸미러 야시경
KR20090087956A (ko) 2006-12-12 2009-08-18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저전력 모드동안 및 저전력 모드에서 나올 때 입력 및/또는 출력 구성 및 데이터 상태의 유지
KR20090095337A (ko) * 2008-03-05 2009-09-09 (주)오늘보다내일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디지털 미러
WO2011106082A1 (en) * 2010-02-25 2011-09-01 Thomson Licensing Miniature multilayer radiative cooling case with hidden quick release snaps
KR20110115911A (ko) 2010-04-16 2011-10-24 이창희 매립형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7956A (ko) 2006-12-12 2009-08-18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저전력 모드동안 및 저전력 모드에서 나올 때 입력 및/또는 출력 구성 및 데이터 상태의 유지
KR100830651B1 (ko) * 2007-02-08 2008-05-20 정종찬 룸미러 야시경
KR20090095337A (ko) * 2008-03-05 2009-09-09 (주)오늘보다내일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디지털 미러
WO2011106082A1 (en) * 2010-02-25 2011-09-01 Thomson Licensing Miniature multilayer radiative cooling case with hidden quick release snaps
KR20110115911A (ko) 2010-04-16 2011-10-24 이창희 매립형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45A (ko) * 2016-12-15 201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767B1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929964U (zh) 一种智能广告牌
US9218076B2 (en) Electronic device
KR101481570B1 (ko) 그린 스마트 절전형 led 전광판
US20140232958A1 (en) Flat panel electronic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EP3312671B1 (en) Portable air projection apparatus
US9723181B2 (en) Gesture recognition apparatus and complex optical apparatus
SG195431A1 (en) Intelligent mirror cum display solution
US9372572B2 (en) Touch locating method and optical touch system
US9383866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optical touch control apparatus and motion tracking apparatus utilizing the image sensing apparatus
KR101596767B1 (ko) 움직임 감지를 기초로 작동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106287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 power state based on temperature
US20120306817A1 (en) Floating virtual image touch sensing apparatus
US201401182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015421B2 (en) Power s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appliance
US20100110024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dmd and dlp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223386B2 (en) Interactive point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pture ranges and method for switching capture ranges for use in interactive pointing device
US20060124851A1 (en) Omnidirectional photodetector
US20180039344A1 (en) Coordinate detection apparatus, electronic blackboard, image display system, and coordinate detection method
US20140232643A1 (en) Laser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TWI533190B (zh) 觸控感測裝置、觸控系統以及觸控偵測方法
KR101818450B1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190114573A (ko) 원통형 스크린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12530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900007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2100499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