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735A -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735A
KR20140104735A KR1020130018606A KR20130018606A KR20140104735A KR 20140104735 A KR20140104735 A KR 20140104735A KR 1020130018606 A KR1020130018606 A KR 1020130018606A KR 20130018606 A KR20130018606 A KR 20130018606A KR 20140104735 A KR20140104735 A KR 2014010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ouch panel
sensing period
inactive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Priority to KR102013001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735A/ko
Publication of KR2014010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회피 특성을 갖도록 개선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비활성 센싱 구간과 활성 센싱 구간 및 시작 시점에 대한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부; 및 상기 시작 시점에 의하여 위상이 결정되고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펄스를 구동 펄스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제어하도록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ING OF TOUCH SENSING SYSTEM}
본 발명은 터치 센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회피 특성을 갖도록 개선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 등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기능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 대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며, 터치 기능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조합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가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을 누름에 따라서 기기를 조작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투명 스위치 패널을 의미한다.
터치 패널은 정전식으로 터치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 인식을 구현하는 터치 패널의 일예로 "뮤추얼 캐패시턴스 터치 센싱 장치"가 "미국공개특허 US 2009/0091551호"로 공개된 바 있다.
일반적인 터치 센싱 시스템은 정전 용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동 방식으로 센싱하도록 개발되는 경우가 있다.
차동 방식으로 센싱 신호가 구동되는 경우, 터치 센싱 시스템은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터치 감도와 센싱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 의하여 유입 또는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에 대하여 회피 특성을 갖도록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기성을 갖는 노이즈에 대응한 회피 특성을 갖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기성 펄스에 기인한 노이즈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회피 특성을 구현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비활성 센싱 구간과 활성 센싱 구간 및 시작 시점에 대한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부; 및 상기 시작 시점에 의하여 위상이 결정되고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펄스를 구동 펄스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제어하도록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하여 적어도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활성 센싱 구간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활성 센싱 구간을 갖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펄스에 의하여 상기 비활성화 센싱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외부의 장치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한 회피 특성을 가짐으로써 터치 센싱 시스템이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펄스를 설명하는 파형도.
도 4는 RI, NASI 및 ASI를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환 환경에 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발생할 수 있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하여 회피 특성을 갖도록 구현한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의 실시예는 도 1의 디지털 로직부(20)에 포함되어 구현되거나 별도의 회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회로의 실시예는 도 2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로직부(20)와 원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 회로가 디지털 로직부(20)에 포함되어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시스템은 PWM 제어부(10), 구동 회로(12), 터치 패널(14), 센싱 회로(16) 및 이미지 버퍼(18) 및 디지털 로직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PWM 제어부(10)는 주기적인 센싱을 위한 구동 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 회로(12)는 구동 펄스에 동기된 구동 신호를 터치 패널(14)로 제공한다. 이때, 구동 신호는 차동 방식으로 터치 패널(14)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은 다수의 구동 라인(도시되지 않음)과 다수의 센싱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구동 라인과 다수의 센싱 라인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대개 이격된 공간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을 공유하도록 서로 교차하거나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라인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센싱 라인에서 센싱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터치에 의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한 경우 센싱 신호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반영한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즉, 터치 패널(14)은 주기적으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대응한 센싱 신호를 차동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싱 회로(16)는 터치 패널(14)에서 차동 방식으로 인가되는 센싱 신호를 이미지 버퍼(18)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센싱 회로(16)는 센싱 신호의 증폭이나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버퍼(18)는 터치 패널(14)의 풀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단위의 저장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 회로(16)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값을 갖도록 변환하여 저장한 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미지 버퍼(18)는 디지털 신호로 센싱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지털 로직부(20)는 이미지 버퍼(1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인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디지털 로직부(20)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에 대한 로우 데이터(Raw Data) 형태로 표현되는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로우 데이터는 터치 패널(14)의 프레임 영역에 대한 다수의 스캔 라인들의 위치 별로 구분되어 디지털 값이 맵핑된 차동값을 갖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1의 디지털 로직부(20)는 펌웨어(Firm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에 대응한 좌표를 계산하거나 정확한 좌표 계산을 위한 노이즈를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디지털 로직부(2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도 2의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구성은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는 제어 회로는 디지털 로직부(20)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디지털 로직부(20)는 제어 펄스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하는 구성을 갖는다.
디지털 로직부(20)는 준비 구간(RI : Ready Interval, 이하, 'RI'라 함), 비활성 센싱 구간(NASI : Non-Active Sensing Interval, 이하, 'NASI'라 함) 및 활성 센싱 구간(ASI : Active Sensing Interval, 이하, 'ASI'라 함)를 세팅하고, 세팅된 RI, NASI 및 ASI에 의하여 제어 펄스를 생성하여서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 RI는 시작 시점(ST : Start Timing, 이하, 'ST'라 함)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이다.
ST는 제어 펄스가 시작되는 시점을 정의하여 위상을 결정하며, ST가 가변되는 경우 제어 펄스의 위상이 가변될 수 있다. RI는 ST와 NASI가 개시되는 사이의 구간을 정의하며, ST의 조정에 따라서 RI가 가변될 수 있다.
NASI는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존재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을 정의한다. NASI에서 터치 패널(14)의 센싱이 비활성화되며, 이미지 버퍼(18)에 센싱 신호가 제공되지 않는다.
ASI는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없는 구간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을 정의한다. ASI에서 터치 패널(14)의 센싱이 활성화되며, 이미지 버퍼(18)에 센싱 신호가 제공된다.
상기한 NASI와 ASI는 제어 펄스의 듀티비와 주기를 결정하며, NASI와 ASI의 합이 제어 펄스의 한 주기에 해당한다.
도 1에서 디지털 로직부(20)는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펄스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디지털 로직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펄스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하기 위하여,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부(30), 세팅부(32), 제어부(34) 및 노이즈 측정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30)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파워온에 대응하여 각 부품의 초기화를 수행하는 것이며, 파워온에 대응한 초기화 시퀀스가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세팅부(32)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초기화 시퀀스는 전원의 안정화 과정 및 펄스들의 안정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측정부(38)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서 노이즈를 측정하고 세팅부(32)가 요구하는 경우 노이즈 측정량을 세팅부(32)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노이즈 측정부(38)는 이미지 버퍼(18)에서 출력되는 센싱 데이터의 차동값들이 일정값 이상이면 카운트를 증가시켜서 노이즈 측정량을 검출하거나 또는 프레임 상의 분산값으로부터 노이즈 측정량을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노이즈 측정부(38)는 세팅부(32)의 요청에 의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파워온에 대응한 시점 또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단위로 RI, NASI, ASI를 세팅하는 시점에 노이즈 측정량을 세팅부(3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측정부(38)는 매 프레임의 ASI에 대응하여 노이즈 측정량을 세팅부(32)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팅부(32)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RI, NASI 및 ASI를 세팅하여 제공한다. 여기에서, RI의 세팅에 의하여 ST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RI, NASI, ASI 및 ST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34)는 RI를 결정하는 ST에 의하여 위상이 결정되며, NASI에 의하여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며, ASI에 의하여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34)는 구동 펄스에 의한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제어하도록 제어 펄스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할 수 있다.
센싱 회로(16)는 제어부(34)에서 제어 펄스가 제공되면 제어 펄스의 NASI에 대응하여 이미지 버퍼(18)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스킵(Skip)한다.
NASI에 대응하여 센싱 회로(16)에서 이미지 버퍼(18)로 센싱 신호가 제공되는 것이 스킵됨에 따라서 주기성 노이즈를 갖는 센싱 데이터가 이미지 버퍼(18)에서 디지털 로직부(2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주기성 노이즈에 대한 회피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구동 펄스는 터치 패널(14)의 구동을 위하여 PWM 제어부(10)에서 생성되어서 구동회로(12)로 제공된다. 구동 펄스는 주기적인 센싱을 위하여 주기성을 갖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노이즈는 주기성 노이즈를 예시한 것이다.
터치 센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환경에 의하여 터치 센싱 시스템은 일부 부품이 디스플레이 장치와 직간접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한 커플링 경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인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로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터치 센싱 시스템은 인셀(In-Cell) 방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개발되는 추세이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인한 노이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소자을 구동하기 위한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 신호, 스캔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주기성을 갖는 구동 신호가 존재하며, 이들이 주기성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스캔 라인 단위로 데이터가 한꺼번에 출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에 리플 성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플 성분도 주기성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의 디스플레이 노이즈는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기성 노이즈 중 하나를 예시한 것이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 센싱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디스플레이 노이즈는 구동 특성상 터치 센싱 시스템의 구동 펄스보다 낮은 주기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터치 센싱 시스템의 구동 펄스와 디스플레이 노이즈의 주기는 일치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3의 제어 펄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발생하는 구간에 센싱을 회피하는 것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어 펄스는 디스플레이 노이즈의 주기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주기와 펄스폭을 갖는 것으로 세팅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팅부(32)는 ST, RI, NASI 및 ASI를 포함하는 참조 데이터들을 관리하며, 각 참조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조건의 ST, RI, NASI 및 ASI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세팅부(32)의 참조 데이터들의 관리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같이 일정한 형태로 참조 데이터 별로 ST, RI, NASI 및 ASI가 연결되도록 저장되며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면 연결된 ST, RI, NASI 및 ASI가 선택되도록 저장 상태가 관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세팅부(32)는 파워온에 대응하여 ST, RI, NASI 및 ASI를 세팅하여 제어부(34)로 제공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30)에서 파워온에 대응한 초기화 시퀀스가 개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세팅부(32)는 참조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서 ST, RI, NASI 및 ASI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한다.
제어부(34)는 세팅부(32)에서 제공되는 ST, RI, NASI 및 ASI를 이용하여 제어 펄스를 생성하여 센싱 회로(16)에 제공한다.
센싱 회로(16)는 제어 펄스의 NASI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14)에 대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센싱 신호를 이미지 버퍼(18)로 제공하지 않는다. 즉, 센싱 회로(16)는 제어 펄스의 ASI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14)에 대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여 센싱 신호를 이미지 버퍼(18)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센싱 회로(16)는 주기성 노이즈인 디스플레이 노이즈가 존재하는 구간을 회피하여 터치 패널(14)의 센싱을 수행한다.
이미지 버퍼(18)는 센싱 신호에 대응한 센싱 데이터를 노이즈 측정부(36)로 제공하며, 노이즈 측정부(36)는 노이즈 측정량을 세팅부(32)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한다.
세팅부(32)는 노이즈 측정부(36)의 노이즈 측정량을 판단하며 노이즈 측정량이 많은 경우 다른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ST, RI, NASI 및 ASI를 센싱 회로(16)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팅부(32)의 ST, RI, NASI 및 ASI 제공, 제어부(34)의 제어 펄스 생성 및 제공, 센싱 회로(16)의 제어 펄스에 따른 동작, 노이즈 측정부(36)의 노이즈 측정량 제공, 그리고, 세팅부(32)의 노이즈 측정량 판단에 따른 참조 데이터 선택의 과정이 터치 패널(14)의 프레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세팅부(32)는 파워온에 대응하여 노이즈 측정량이 가장 작은 상태 또는 노이즈 측정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를 유지하는 안정된 상태의 참조 데이터 즉 ST, RI, NASI 및 ASI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팅부(32)는 상기한 파워온 이후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참조 데이터에 연결된 ST, RI, NASI 및 ASI를 업데이트하여 세팅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세팅부(32)의 참조 데이터를 업데이트한 ST, RI, NASI 및 ASI 세팅은 노이즈 측정량을 참조하여 매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세팅부(32)는 도 4와 같이 RI를 NASI와 ASI를 결정한 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팅부(32)는 특정한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여서 NASI, ASI를 먼저 결정하고(S10) 이어서 RI를 결정할 수 있다.(S12)
그리고, 제어 펄스의 위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RI를 조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세팅부(32)는 상기 단계 S10 및 S12에서 결정된 RI, NASI 및 ASI를 제어부(34)에 제공하여, 제어부(34)는 수신된 RI, NASI 및 ASI를 참조하여 제어 펄스를 생성한 후 센싱 회로(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센싱 회로(16)의 동작에 따른 노이즈가 세팅부(32)에서 검출되며(S14), 노이즈 검출을 위한 노이즈 측정량은 노이즈 측정부(36)로부터 세팅부(32)에 제공될 수 있다.
세팅부(32)는 노이즈 측정량에 따라서 RI를 조정하여 제어 펄스의 위상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S16) 현재 결정된 RI를 조정한다.(S18)
세팅부(32)에서 RI가 조정되면, 제어부(34)는 조정된 RI로 제어 펄스의 위상을 변경하여 제공한다.
세팅부(32)는 변경된 위상을 갖는 제어 펄스에 따른 노이즈를 검출하여(S14) RI를 계속 조정할 것인지 판단한다(S16).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세팅부(32)는 미리 정해진 범위를 만족하는 노이즈 측정량이 검출되어 RI 조정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S16) 현재 RI, NASI 및 ASI를 세팅한다.(S2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터치 패널(14)을 센싱하는 센싱 회로(16)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PWM 제어부(10)에 제어 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과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며, PWM 제어부(10)가 제어 펄스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것만 상이하므로 중복된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실시예는 세팅된 RI, NASI 및 ASI를 갖는 제어 펄스를 PWM 제어부(10)에 제공하며, PWM 제어부(10)는 NASI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를 구동 회로(12)로 제공하는 것을 스킵(Skip)할 수 있다.
즉, 도 4의 실시예는 주기성 노이즈가 존재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구동 펄스를 스킵하고, 그 결과 터치 패널(14)은 주기성 노이즈가 존재하는 구간에 센싱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주기성 노이즈가 존재하는 구간에 터치 센싱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 센싱 신호에 노이즈가 실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시스템이 주기성 노이즈를 회피하는 특성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터치 센싱 시스템이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10 : PWM 제어부 12 : 구동 회로
14 : 터치 패널 16 : 센싱 회로
18 : 이미지 버퍼 20 : 디지털 로직부
30 : 캘리브레이션부 32 : 세팅부
34 : 제어부 36 : 노이즈 측정부

Claims (13)

  1.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한 비활성 센싱 구간과 활성 센싱 구간 및 시작 시점에 대한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부; 및
    상기 시작 시점에 의하여 위상이 결정되고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활성 센싱 구간에 의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 펄스를 구동 펄스에 의한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제어하도록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부는 서로 다른 조건의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 상기 활성 센싱 구간 및 상기 시작 시점을 포함하는 참조 데이터들을 관리하며, 적어도 일부의 상기 참조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 별 노이즈 측정량을 참조하여 특정한 상기 참조 데이터의 선택에 의한 상기 세팅을 수행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부는 파워온에 대응하여 상기 세팅을 수행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부는 서로 다른 조건의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 상기 활성 센싱 구간 및 상기 시작 시점을 포함하는 참조 데이터들을 관리하며, 노이즈 측정량을 참조하여 매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별로 특정한 상기 참조 데이터의 선택에 의한 상기 세팅을 수행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부는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 및 상기 활성 센싱 구간이 결정된 후 노이즈 측정량을 참조하여 상기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의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에 상기 구동 펄스가 상기 터치 패널에 제공되는 것을 스킵(Skip)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펄스의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에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에 대응한 센싱 신호의 출력을 스킵(Skip)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8. 주기성 노이즈에 대응하여 적어도 터치 패널의 센싱을 비활성화하는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을 활성화하는 활성 센싱 구간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활성 센싱 구간을 갖는 제어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펄스에 의하여 상기 비활성화 센싱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펄스의 위상을 결정하는 시작 시점을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펄스는 상기 시작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과 활성 센싱 구간을 갖도록 생성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시점은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활성 센싱 구간을 결정한 후 노이즈에 대응하여 조정된 후 세팅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센싱 구간과 상기 활성 센싱 구간 및 상기 시작 시점은 파워온에 대응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단위로 세팅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구동 펄스가 상기 터치 패널에 제공되는 것을 스킵(Skip)하여 수행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패널의 센싱에 대응한 센싱 신호의 출력을 스킵(Skip)하여 수행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0018606A 2013-02-21 2013-02-21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KR20140104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06A KR20140104735A (ko) 2013-02-21 2013-02-21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06A KR20140104735A (ko) 2013-02-21 2013-02-21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35A true KR20140104735A (ko) 2014-08-29

Family

ID=5174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06A KR20140104735A (ko) 2013-02-21 2013-02-21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7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3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부러짐 감지 방법 및 장치
WO2021226927A1 (zh) * 2020-05-14 2021-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及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3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부러짐 감지 방법 및 장치
WO2021226927A1 (zh) * 2020-05-14 2021-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驱动方法、触控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379079B2 (en) 2020-05-14 2022-07-05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ouch drive method, touch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303B1 (en)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circuit, and touch display device
TWI550569B (zh) 動態電源調整電路、觸控顯示器的驅動系統及驅動觸控顯示器之方法
US10203782B2 (en) Stylus pen and touch sens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8860432B2 (en) Background noise measurement and frequency selection in touch panel sensor systems
KR101573238B1 (ko) 액정 표시 장치
EP1998315B1 (en) Resolution detec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9607566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panel driver including software-controlled gate waveforms
US20130271420A1 (en) Touch control apparatus and touch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110242031A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function and 2d sensing method thereof
US8786558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panel module including touch panel and display panel by referring to level transition of at least one driving signal
TWI410838B (zh) 臨界值補償方法
KR20140104735A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방법
CN110955352A (zh) 触控面板显示器及触控面板显示器的控制方法
JP2008180830A (ja) 表示装置
US11209932B2 (en) Display device with built-in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for
TWI674573B (zh) 觸控顯示驅動電路
JP7041035B2 (ja)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及び入力表示装置
JP2001109418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206206A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電子情報機器及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20140143577A (ko) 터치 센싱 시스템의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
KR20210111582A (ko) 액티브 펜의 위상에러를 보상하는 터치 센싱장치 및 액티브 펜의 위상에러 보상방법
US10310668B2 (en) Touch screen display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touch screen display system
JP2007183397A (ja) 表示装置
KR20190079166A (ko) 통합구동회로부, 그를 이용하는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120060365A (ko)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