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600A -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 Google Patents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600A
KR20140104600A KR1020130017865A KR20130017865A KR20140104600A KR 20140104600 A KR20140104600 A KR 20140104600A KR 1020130017865 A KR1020130017865 A KR 1020130017865A KR 20130017865 A KR20130017865 A KR 20130017865A KR 20140104600 A KR20140104600 A KR 2014010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qos
platform
gateway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863B1 (ko
Inventor
김경열
명법주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1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8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0Traffic poli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 디바이스 도메인 내에서의 QoS보장이 NSP(Network Service Provider) 도메인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M2M 디바이스 도메인을 벗어난 경우에도 서도 다른 M2M 디바이스 도메인간의 통신이나 M2M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NSCL) 간에 안정적으로 M2M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네트워크와 이동형 디바이스에서도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Method for Managed QoS of M2M System}
본 발명은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2M 디바이스 도메인에 대해 발생하는 다양한 M2M 서비스 환경에 적응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M2M 서비스의 QoS를 보장할 수 있는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지고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사물 통신에서는 홈 네트워크 등 지역 네트워크에 설치된 M2M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M2M 플랫폼을 통해, M2M 디바이스들과 게이트웨이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데이터의 수집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지역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의 동작상태나 환경 감시 등 각종 모니터링을 위한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M2M 서비스의 End-to-End(단대단)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M2M 디바이스 도메인뿐만 아니라 NSP(Network Service Provider) 도메인에서도 끊김없이(Seamless) QoS가 보장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IP망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각 패킷에 처리 우선순위를 마킹(marking)하고 네트워크 장치(라우터, 스위치, 기지국 등)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패킷을 처리하는 차별화 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 기반의 QoS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트래픽이 전달되는 장치에 대한 부하상태를 감시하여 장치별 부하상태에 따라서 기 정의된 정책설정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품질보장정책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품질보장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대부분의 QoS 제공 기술들은 단일 사업자 도메인 내에서 유효하지만, 다중 사업자간에 Qo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자간의 QoS 정책을 변환하고 전체 단대단 QoS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론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망과 제2망을 연결하는 장치는 제1망과 제2망간의 기 설정된 QoS 정책을 연동하는 QoS 맵핑 테이블을 설정하고, QoS 맵핑 테이블에 포함된 정보를 제1망과 제2망간의 패킷에 적용하여 전송하는 방법들이 사용된다. 또한 QoS를 제공하는 방식이 단말에 기반하는 경우 등급별 IP(Premium/Kornet)를 분리 할당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M2M 서비스의 QoS는 데이터 플로우의 경로 상의 각 NSP(Network Service Provider) 도메인마다 QoS 정책들이 다르기 때문에 자사의 M2M 디바이스 도메인 내에서 QoS를 보장 했다고 해서 타 사업자의 네트워크 도메인에서도 보장된다고 할 수 없다. 자사의 M2M 디바이스 도메인뿐만 아니라, 액세스(Access) 도메인이나 코어(Core) 도메인과 같은 각 NSP 도메인이 공존하는 도메인에서도 QoS 정책을 준용해야 품질 보장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느 M2M 디바이스 도메인을 벗어난 경우의 QoS 제공 방법은 전무하므로 M2M 디바이스(DA/DSCL)가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QoS 보장 방법과 서로 다른 NSP간의 QoS 보장 방법에 대해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또한, 디바이스별로 QoS를 적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QoS서비스가 적용되지 않는 낮은 등급(예, Kornet) IP를 사용하여 BE(Best Effort) 정책에 따라 리마킹(Remarking)된 디바이스에서의 QoS 품질 보장 방안 등, 장치에 고정된 서비스정책이 아닌 필요시마다 적절한 서비스 정책을 적용하는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M2M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유선망/3G/LTE/Wifi/WiBro등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단말과NODE(DSCL, GSCL, NSCL), 어플리케이션(DA,GA,NA)들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므로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High Priority(Gold) 트래픽이 대량으로 유입될 경우에는 트래픽 열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M2M 디바이스 도메인 내에서의 QoS보장이 NSP(Network Service Provider) 도메인에서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M2M 디바이스 도메인을 벗어난 경우에도 서도 다른 M2M 디바이스 도메인간의 통신이나 M2M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NSCL) 간에 안정적으로 M2M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네트워크와 이동형 디바이스에서도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장) 요청을 받아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설치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대역폭의 잉여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잉여 대역폭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플랫폼과 송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 중 소정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로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랫폼과 M2M 디바이스 또는 게이트웨이가 송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 중 소정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플랫폼과의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QoS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M2M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게이트웨이가 접속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M2M 디바이스가 이동된 위치의 지역 네트워크에 설치된 제2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QoS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M2M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접속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해당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접속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해당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고유 식별자,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기명칭, 또는 제어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서로 다른 사업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복수의 서버와 상기 복수의 서버와 연동하는 협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협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협상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서버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버에서 각각이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해당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해당 네트워크 스위치에 해당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와 연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장) 요청을 받아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제1수단;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한 후, 통보하는 QoS 정책 적용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에 따르면, M2M 디바이스(DSCL)와 게이트웨이(GSCL) 간의 QoS 보장 및 M2M 디바이스(DSCL)나 게이트웨이(GSCL)와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NSCL) 간에 주고 받는 중요데이터에 대해 안정적인 품질보장이 가능하여, 보안이나 의료 관련 모니터링과 같은 고품질이 요구되는 M2M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가능하며, 특히 서비스 가입형이 아닌 실시간 요청형식(On-Demand)으로 QoS를 위한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하면서 다양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M2M 디바이스에 대한 QoS 보장이 가능하고, NSP 사업자 입장에서 QoS를 차별화하여 고객에 제공함으로써 QoS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QoS 보장을 위한 M2M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각 인터페이스의 QoS 기능(capability) 리소스를 포함한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가 QoS를 요청하는 경우의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이 QoS를 요청하는 경우의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M2M 디바이스의 QoS 요청에 대한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사업자들의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QoS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M2M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의 QoS 보장을 위한 M2M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각 인터페이스의 QoS 기능(capability) 리소스를 포함한 M2M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2를 참조하여, M2M 시스템의 기본적인 환경을 설명한다.
네트워크 도메인에는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레이어)을 탑재한 M2M 플랫폼(또는 중앙서버)(110)가 포함되며, M2M 디바이스 도메인(140)에는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디바이스 서비스 기능 레이어) 또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이 탑재된 센서 등 다양한 M2M 디바이스(141)와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게이트웨이 서비스 기능 레이어)을 탑재한 게이트웨이(142)가 포함된다. 게이트웨이(142)에는 M2M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이 탑재될 수 있고, M2M 플랫폼(110)에는 M2M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가 탑재될 수 있다. 이외에도, M2M 플랫폼(110) M2M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NTOE(Network Telco Operator Exposure capability capability), NGC(Network Generic Communication capability), NSEC(Network SECurity capability), NREM(Network Remote Entity Management capability) 등 M2M 디바이스(141), 게이트웨이(142)의 제어와 데이터 수집 등을 위한 NSCL 기능들이나, MSBF(M2M Service Bootstrap Function), MAS(M2M Authentication Server) 등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기능들을 위한 수단들이 포함된다.
M2M 디바이스(141)는 게이트웨이(142)와 지역 네트워크(예를 들어, 유선망, 또는 무선 근거리통신망(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DMA/WCDMA, WiFi 등에 의한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를 통해 통신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141)는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142)를 통해 각 사업자(A, B) NSP(Network Service Provider)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 즉, CDMA/WCDMA, WiFi 등에 의한 이동통신망, 또는 WiBro 등 유무선 인터넷 등의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M2M 플랫폼(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M2M 플랫폼(110)은 이러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M2M 디바이스(141), 게이트웨이(142)의 제어와 이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른 서버 또는 스마트폰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로 모니터링 정보 등의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ETSI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사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기능의 집합인, 서비스 기능들(Service Capabilities)(DSCL, GSCL, DSCL)과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즉, mIa(NA-NSCL 인터페이스), mId(플랫폼(NCSL)과 게이트웨이(GSCL)/디바이스(DSCL) 간 인터페이스), dIa(디바이스 내부(DA-DSCL) 인터페이스 또는 디바이스(DA)와 게이트웨이(GSCL) 간 인터페이스)를 위한 리소스 정보를 활용하며, 각각의 서비스 기능들(DSCL, GSCL, DSCL)에서 서비스에 필요한 속성 정보 등 리소스 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 M2M 디바이스의 QoS 보장을 위해, 각 사업자(A, B) NSP 서버(120)는 QoS 보장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위한 리소스(예, attribute, classify, mark, delay, loss, jitter 등)를 이용하고, M2M 디바이스(141)는 QoS 보장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위한 리소스(예, attribute, classify, mark, policy 등)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GSCL)(142)는 M2M 디바이스(들)(141)와의 트래픽 중에서 QoS(서비스 품질 보장)이 필요한 경우 플랫폼(NCSL)(110)으로 QoS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차례로 플랫폼(NCSL)(110)은 게이트웨이(GSCL)(142)가 접속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SP서버(210)에게 QoS를 요청하고, NSP서버(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를 검색하고, 승인 제어(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을 확인하며, 그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하여 해당 NSP도메인 네트워크 스위치(S/W)에 QoS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게이트웨이(GSCL)(142)가 플랫폼(NCSL)(110)으로 보내는 데이터에 대하여 품질 보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DSCL 또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이 탑재된 M2M 디바이스(들)(141)은, M2M 서비스의 다양한 모니터링 목적에 따라 화재, 침입발생, 노인 및 아이(노유자) 관찰, 사유지 보안, 매장 감시, 각종 시설 감시 등 주변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움직임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향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나, 헬스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혈압계, 체온계, 심박계 등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각종 전자 기기가 될 수도 있고, 기타 필요에 따라 다양한 M2M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M2M 디바이스가 설치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M2M 시스템에서 M2M 디바이스의 QoS 보장을 위한 M2M 시스템의 다양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GSCL)(142)가 QoS를 요청하는 경우의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게이트웨이(GSCL)(142)는 M2M 디바이스(들)(141)로부터 수신하거나 수집하여 플랫폼(NCSL)(110)으로 전송하거나 플랫폼(NCSL)(11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수집하여 M2M 디바이스(들)(141)로 전송하는 데이터 트래픽 중에서, 미리 결정된 정책에 따른 끊김없이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중요 데이터 등 QoS(서비스 품질 보장)가 필요한 데이터 트래픽의 경우,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플랫폼(NCSL)(110)으로 QoS를 요청할 수 있다(110).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리소스를 조회하여 M2M 디바이스(들)(14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QoS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GSCL)(142)가 접속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SP서버(210)에게 QoS를 요청하고(111), NSP서버(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를 검색한다(112, 113). NSP서버(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토폴로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112),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관리하고 있는 해당 토폴로지 정보(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상의 자원(예, 대역폭)이나 성능 등의 판단에 기초가 되는 스위치, 집선스위치, 라우터, 또는 백본라우터 등 설치 운영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NSP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113).
이후 NSP서버(210)는 수신한 토폴로지 정보를 참조하여 승인 제어(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 부족은 없는지를 확인하여(114),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없다면 거절 메시지를 플랫폼(NCSL)(110)으로 리턴하지만,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있다면 그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한다(115). NSP서버(210)는 결정한 QoS 정책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전송하여(116), 스위치(S/W)가 해당 QoS 정책을 설치하고 적용하도록 제어한다(117).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정책 적용 결과를 NSP서버(210)로 통보하며(118), NSP서버(210)는 플랫폼(NCSL)(110)으로 QoS 정책이 적용되었음을 통보한다(119).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게이트웨이(GSCL)(142)로 QoS 정책 적용 완료를 통보하면(120), 게이트웨이(GSCL)(142)는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에 적용된 QoS 정책에 따라 플랫폼(NCSL)(110)과 M2M 디바이스(141)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품질 보장이 가능하게 된다(121).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가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에 적용하도록 설정하는 QoS 정책은,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서, 각 패킷에 우선순위를 마킹(marking)하고 네트워크 장치(라우터, 스위치, 기지국 등)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패킷을 송수신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 각 패킷의 종류나 크기 등에 따른 맵핑을 미리 정의한 QoS 맵핑 테이블을 관리하여 이에 따라 패킷을 송수신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 또는 M2M 디바이스(141) 또는 게이트웨이(GSCL)(142) 등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대역폭 등급 등 통신 등급이 미리 결정된 경우에 그에 따라 패킷을 송수신 처리하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패킷을 송수신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이 QoS를 요청하는 경우의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은 플랫폼(NCSL)(110)과 연동하여 스마트 폰 등 사용자 단말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기타 장치일 수 있으며, 플랫폼(NCSL)(110)과 연동하도록 별도 구현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또는 플랫폼(NCSL)(110)에 구현된 플랫폼(NCSL)(110)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일 수 있다. 먼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이 관리하는 모든 게이트웨이(GSCL)(142)와 그에 소속되어 게이트웨이(GSCL)(142)와 통신하는 M2M 디바이스(들)(141)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등록절차를 위한 통신을 통하여 플랫폼(NCSL)(110)에 등록되어 관리되고 있다(209).
이와 같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은 위와 같이 관리되고 있는 M2M 디바이스(들)(141)과 플랫폼(NCSL)(1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플로우 경로(하나의 게이트웨이 경로 또는 복수로 구성된 그룹 게이트웨이의 모든 경로를 선택 가능)에 대하여 플랫폼(NCSL)(110)으로 QoS를 요청할 수 있다(210).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리소스를 조회하여 해당 M2M 디바이스(들)(14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QoS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211), 해당 M2M 디바이스(들)(141)과 게이트웨이(GSCL)(142)가 접속하는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SP서버(들)(210)에게 QoS를 요청하고(212), NSP서버(들)(210)는 각각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토폴로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관리하고 있는 해당 토폴로지 정보(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상의 자원(예, 대역폭)이나 성능 등의 판단에 기초가 되는 스위치, 집선스위치, 라우터, 또는 백본라우터 등 설치 운영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NSP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213).
이후 NSP서버(들)(210)는 수신한 토폴로지 정보를 참조하여 승인 제어(AC, 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각 M2M 디바이스(들)(141) 또는 게이트웨이(GSCL)(142)에 대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 부족은 없는지를 확인하여,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없다면 거절 메시지를 플랫폼(NCSL)(110)으로 리턴하지만,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있다면 각 M2M 디바이스(들)(141) 또는 게이트웨이(GSCL)(142)별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한다(214). NSP서버(들)(210)는 결정한 QoS 정책 정보를 각각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전송하여(215), 스위치(S/W)가 해당 QoS 정책을 설치하고 적용하도록 제어한다(216). 각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정책 적용 결과를 NSP서버(들)(210)로 통보하며(217), NSP서버(210)는 플랫폼(NCSL)(110)으로 QoS 정책이 적용되었음을 통보한다(218).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으로 QoS 정책 적용 완료를 통보하면(219), 각 M2M 디바이스(들)(141) 또는 게이트웨이(GSCL)(142)는 각 연관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에 적용된 QoS 정책에 따라 플랫폼(NCSL)(110)과 M2M 디바이스(141)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220),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 간의 송수신 데이터에 대한 품질 보장도 가능하게 된다(221).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M2M 디바이스(DA/DSCL)(141)의 QoS 요청에 대한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M2M 디바이스(DA/DSCL)(141)가 제1게이트웨이(GSCL#1)에 등록하여 QoS 서비스를 받다가 이동하여 제2게이트웨이(GSCL#2)에 등록하여 QoS 서비스를 받기 위한 QoS를 제공 절차를 나타낸다. M2M 디바이스(DA/DSCL)(141)은 언제든지 이동하여 그 지역의 네트워크에서 관리되는 게이트웨이에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고유 식별자,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기명칭, 제어 명령어 등 플랫폼과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정보들)를 등록하여 이동된 위치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여 M2M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먼저, 이동 전에M2M 디바이스(DA/DSCL)(141)가 제1게이트웨이(GSCL#1)에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면(310), 제1게이트웨이(GSCL#1)는 플랫폼(NCSL)(110)으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통보하여 등록하게 한다(311). 이때 M2M 디바이스(DA/DSCL)(141)가 제1게이트웨이(GSCL#1)로 QoS를 요청하면(312), 제1게이트웨이(GSCL#1)는 플랫폼(NCSL)(110)으로 해당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대한 QoS를 요청할 수 있다(313).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해당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대한 QoS 정책이 이루어짐을 데이터베이스(QoS 정책 대상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해당 게이트웨이, M2M 디바이스 등에 대한 정보)에 등록하고(314),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QoS 정책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리소스를 조회하여 M2M 디바이스(14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QoS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1게이트웨이(GSCL#1)가 접속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SP서버(210)에게 QoS를 요청한다(315).
NSP서버(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NSP서버(210)는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토폴로지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관리하고 있는 해당 토폴로지 정보(예를 들어, 네트워크 운영상의 자원(예, 대역폭)이나 성능 등의 판단에 기초가 되는 스위치, 집선스위치, 라우터, 또는 백본라우터 등 설치 운영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NSP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다(316).
이후 NSP서버(210)는 수신한 토폴로지 정보를 참조하여 승인 제어(AC, 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 부족은 없는지를 확인하여,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없다면 거절 메시지를 플랫폼(NCSL)(110)으로 리턴하지만, 잉여 자원(예, 대역폭)이 있다면 그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한다(317). NSP서버(210)는 결정한 QoS 정책 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로 전송하여(318), 스위치(S/W)가 해당 QoS 정책을 설치하고 적용하도록 제어한다(319).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는 정책 적용 결과를 NSP서버(210)로 통보하며(320), NSP서버(210)는 플랫폼(NCSL)(110)으로 QoS 정책이 적용되었음을 통보한다(321).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제1게이트웨이(GSCL#1)로 QoS 정책 적용 완료를 통보하면(322), 제1게이트웨이(GSCL#1)는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에 적용된 QoS 정책에 따라 플랫폼(NCSL)(110)으로 M2M 디바이스(141)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품질 보장이 가능하게 된다(323).
한편, 이와 같이 제1게이트웨이(GSCL#1)의 중계에 따라 M2M 디바이스(141)와 플랫폼(NCSL)(1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QoS(서비스 품질 보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M2M 디바이스(DA/DSCL)(141)는 언제든지 이동하여 제2게이트웨이(GSCL#2) 등 다른 지역 네트워크에서 관리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여 동일한 QoS 정책이 연속적으로 적용된 M2M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M2M 디바이스(DA/DSCL)(141)는 이동된 위치에서 갱신된 새로운 IP 주소 등을 할당 받을 수 있으며, 제2게이트웨이(GSCL#2)에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일련번호 등 고유 식별자,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기명칭, 제어 명령어 등 플랫폼과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정보들)를 등록하면(324), 제2게이트웨이(GSCL#2)는 플랫폼(NCSL)(110)으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통보하여 등록하게 한다(325).
이에 따라 플랫폼(NCSL)(110)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대한 제2게이트웨이(GSCL#2)를 통한 QoS 정책 등록이 없음을 확인하여 제2게이트웨이(GSCL#2)를 통해 해당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대한 QoS 정책이 이루어짐을 데이터베이스(QoS 정책 대상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해당 게이트웨이, M2M 디바이스 등에 대한 정보)에 등록하고(326), 제2게이트웨이(GSCL#2)를 통해 M2M 디바이스(DA/DSCL)(141)에 QoS 정책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리소스를 조회하여 M2M 디바이스(14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QoS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제2게이트웨이(GSCL#2)가 접속한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NSP서버(210)에게 QoS를 요청한다(327).
이후 위의 316 ~ 322 단계와 유사한 과정을 수행하여, NSP서버(210)가 자신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를 검색하고, 승인 제어(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을 확인하며, 그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하여 해당 NSP도메인 네트워크 스위치(S/W)에 QoS 정책을 적용함으로써, 제2게이트웨이(GSCL#2)는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에 적용된 동일한 QoS 정책의 연속적 적용에 따라 플랫폼(NCSL)(110)으로 M2M 디바이스(141)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품질 보장이 가능하게 된다(328).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사업자들의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QoS(서비스 품질 보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M2M 서비스의 QoS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에서는, 다중 NSP 도메인 간 QoS(서비스 품질 보장)를 위해서, 사업자들(예, A,B)의 NSP 도메인 네트워크 상에, 예를 들어, 사업자들(예, A,B)의 NSP 서버들(NSP#A, NSP#B) 사이에서 연동하는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을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GSCL)(142)의 중계로 M2M 디바이스(들)(141)과 플랫폼(NCSL)(110) 간에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사업자들의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QoS(서비스 품질 보장)가 이루어져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게이트웨이(GSCL)(142)는 플랫폼(NCSL)(110)으로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을 이용하기 위한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QoS를 요청할 수 있고(410), 플랫폼(NCSL)(110)은 해당 요청(해당 게이트웨이 정보가 포함됨)을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은 해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게이트웨이(GSCL)(142) 정보(고유 식별자, MAC 주소, IP 주소 등)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 관리되는 네트워크 장비 정보(스위치 등)를 검색하여(412) 게이트웨이(GSCL)(142)가 통신 가능한 그 주위의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들을 관리하는 NSP 서버들 중 복수의 NSP 서버들(NSP#A, NSP#B)을 결정할 수 있다(413).
이때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은 결정한 복수의 NSP 서버들(NSP#A, NSP#B)로 게이트웨이(GSCL)(142)와 플랫폼(NCSL)(110) 사이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를 요청할 수 있다(414, 415).
이후 도 3의 112 ~ 118 단계와 유사한 QoS 정책 적용 과정을 수행하여, 각 NSP 서버(NSP#A/NSP#B)가 각각이 관리하는 도메인의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를 검색하고, 승인 제어(Admission Control) 과정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 상의 자원(예, 대역폭)을 확인하며, 그에 맞는 QoS 정책을 결정하여 각각의 NSP도메인 네트워크 스위치(S/W)에 QoS 정책을 적용시키게 되고, 각각의 네트워크 상의 스위치(S/W)가 정책 적용 결과를 각 NSP 서버(NSP#A/NSP#B)로 통보하면(도 3의 118 참조), 각 NSP 서버(NSP#A/NSP#B)는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으로 QoS 정책이 적용되었음을 통보한다(416, 417).
이와 같은 QoS 정책 적용 결과가 통보되면, NSP 협상(negotiation) 시스템(121)은 플랫폼(NCSL)(110)으로 해당 QoS 정책이 적용되었음을 통보한다(418).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GSCL)(142)의 중계로 M2M 디바이스(들)(141)과 플랫폼(NCSL)(110) 간에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사업자들의 NSP 서버들(NSP#A, NSP#B)이 관리하는 다중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품질 보장이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419).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2M 시스템의 M2M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GSCL)(142)의 중계로 M2M 디바이스(들)(141)과 플랫폼(NCSL)(110)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플랫폼(NCSL)(110)이 사용자 단말로 모니터링 정보 등을 제공하는 M2M 서비스 사업자(M2M SP)는M2M 디바이스(들)(141) 등의 설치 운영에 드는 비용을 감안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 이용료를 과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플랫폼(NCSL)(110)에서 서비스 이용 기간, 트래픽량 등을 기초로 소정의 과금 정책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여 부과 내역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QoS 보장을 위한 처리를 이용한 M2M 디바이스(들)(141)과 관련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는 일정 주기 등으로 QoS 보장을 위한 처리를 이용한 해당 이용 기간, 해당 트래픽량 등을 기초로 소정의 과금 정책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과금을 정산하여 부과 내역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2M 플랫폼(110)
NSP(Network Service Provider) 서버(120)
NSP 도메인의 네트워크(130)
M2M 디바이스 도메인(140)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
M2M 디바이스(141)
게이트웨이(142)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레이어)(110)
DSCL(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디바이스 서비스 기능 레이어)(141)
GSCL(Gateway Service Capability Layer, 게이트웨이 서비스 기능 레이어)(142)

Claims (11)

  1.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장) 요청을 받아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상에 설치 운영되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토폴로지 정보에 따라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대역폭의 잉여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잉여 대역폭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플랫폼과 송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 중 소정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로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랫폼과 M2M 디바이스 또는 게이트웨이가 송수신하는 데이터 트래픽 중 소정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게이트웨이 모두 또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플랫폼과의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서,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1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QoS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M2M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1게이트웨이가 접속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M2M 디바이스가 이동된 위치의 지역 네트워크에 설치된 제2게이트웨이에서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해당 디바이스 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여 등록시키고, 상기 M2M 디바이스로부터 QoS 요청을 수신한 후, 상기 M2M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접속한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하여 요청하는 해당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접속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해당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해당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고유 식별자,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IP(Internet Protocol) 주소, 기기명칭, 또는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에서 서로 다른 사업자가 운영하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플랫폼에서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복수의 서버와 상기 복수의 서버와 연동하는 협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QoS 요청을 상기 협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협상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상기 복수의 서버로 상기 QoS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버에서 각각이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해당 게이트웨이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해당 네트워크 스위치에 해당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1. 네트워크 상의 플랫폼을 통해서 게이트웨이와 연동하는 디바이스를 관리하며 디바이스의 제어 및 데이터를 이용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와 연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 보장) 요청을 받아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로 해당 QoS 요청을 전송하는 제1수단;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네트워크 스위치에 요청하여 수신한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플로우 경로에 대한 QoS 정책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에 상기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제어한 후, 통보하는 QoS 정책 적용 완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지역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2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시스템.
KR1020130017865A 2013-02-20 2013-02-20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KR102158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65A KR102158863B1 (ko) 2013-02-20 2013-02-20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865A KR102158863B1 (ko) 2013-02-20 2013-02-20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600A true KR20140104600A (ko) 2014-08-29
KR102158863B1 KR102158863B1 (ko) 2020-09-24

Family

ID=5174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65A KR102158863B1 (ko) 2013-02-20 2013-02-20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8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906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84911A (ko) * 2009-01-19 2010-07-28 주식회사 케이티 M2m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65269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공평한 자원을 할당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55955A (ko) * 2010-11-24 2012-0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오픈플로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906A (ko) * 2005-11-18 2007-05-23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84911A (ko) * 2009-01-19 2010-07-28 주식회사 케이티 M2m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65269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공평한 자원을 할당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55955A (ko) * 2010-11-24 2012-06-0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오픈플로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863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033B2 (en) Small data usage enablement in 3GPP networks
US11974264B2 (en) Mobile core network service exposure for the user equipment
US11678252B2 (en) Quality of ser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to user equipment, users, and application server
CN110099370B (zh) 服务层南向接口和服务质量
CN113841432A (zh) 用于提供与终端的连接以便使用边缘计算服务的方法和设备
JP6406259B2 (ja) 通信装置、制御装置、通信方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50085A1 (en) Object-to-object intelligent network (o2n)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ultiple transmission channels,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system
KR20150135769A (ko) M2m 서비스 설정 변경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208605B (zh) 链路信息的发送方法、装置和流量的控制方法、装置
KR101995871B1 (ko) M2m 로밍을 위한 m2m 교환 플랫폼
JP6477476B2 (ja) 通信装置、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00606B (zh) 一种网络资源调度方法、智能控制中心及网关
CN107079526B (zh) 用于联合演进型分组核心服务总线的系统和方法
US10314101B2 (en) Controll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KR102158863B1 (ko) M2M 시스템의 QoS 보장 방법
CN102238532A (zh) 一种获取mtc服务器地址的方法及系统
JP706868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JP20171269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iash et al. Supporting LTE networks in heterogeneous environment using the Y-Comm framework
Baleh et al. Enriched connectivity-as-a-service for dynamic Mobile-Cloud
Elmangoush et al. Mobility management for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WO2018046090A1 (en) Packet flow optimization in a transport network
CN117378175A (zh) 用于建立双层pdu会话的系统和方法
Makaya et al. Over-the-air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IP-based M2M devices
JP201921644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