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558A - New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 Google Patents

New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558A
KR20140104558A KR1020130017375A KR20130017375A KR20140104558A KR 20140104558 A KR20140104558 A KR 20140104558A KR 1020130017375 A KR1020130017375 A KR 1020130017375A KR 20130017375 A KR20130017375 A KR 20130017375A KR 20140104558 A KR20140104558 A KR 2014010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olor
distribution
sens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0148B1 (en
Inventor
이규원
오민석
양동민
정병만
최민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4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5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7Evaluating sense of tas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a new tongue diagnosis model developed by analyzing color of tongue, which divide the area of a tongue after pre-processing color pictures of the tongu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blem to sense sweet, salty, sour and bitter tast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ensory components of the tongue by using HIS color model. The system for the new tongue diagnosis model comprises the following: a picture acquiring unit which takes pictures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region perceiving unit which perceives a tongue region of interest in the pictures taken by the picture acquiring unit; a tongue region detecting unit which detects only a tongue region from a sequence of the pictures of the tongue by using labeling; a tongue sensory components detecting unit which detects sensory components of the tongue for taste; a tongue sensory components classifying unit which classifies sensory component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tongue sensory components detecting unit; a tongue colorimetric model generating unit which develops a model of a color distribution of the sensory components of the tongue classified by the tongue sensory components classifying unit; a sensory innervation color analyzing unit which performs a color analysis using the colorimetric model; a normal state comparing unit which compares a result of the color analysis with the color distribution of a normal state; a sensory components irregularity inferring unit which infers that a result of the comparison has the same color distribution with that of the normal state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state; and a tongue sensory components problem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problem in sensory components of the tongue based on a result of the infere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oblem to sense tastes according to parts of sensory innervation of the tongue for taste.

Description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 모델 시스템 및 방법{New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New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color of tongue and method.

본 발명은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혀 사진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혀 영역을 분할하여,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혀 감각 분포에 따른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and method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gue tongue model system and method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of a tongue photograph, To a new system of tongue diagnosis by a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which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weet taste, a salty taste, a sour taste, and a bitter taste according to a sensory distribution.

혀를 진단하는 기존의 방법은 혀 부분만을 검출하여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치흔설, 열문설 등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방법, 혀 전체의 색상 분포를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색상분석 방법이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diagnosing the tongue is to detect only the tongue portion,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such as the tongue panting and the tongue tongue through the morphological analysis, and to analyze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whole tongue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

형태 분석 방법은 혀 영역을 분할한 후, 한의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치흔설, 열문설 등을 판별하는데 유용하며, 색상학적 분석 방법은 혀 영역을 분할한 후, 혀 전체의 색상을 분석하여 황태, 건조태, 후태 등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기존 방법들은 혀 전체의 형태나 색상의 이상유무로써 한의학적 진단을 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The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is useful to distinguish the tongue area and the tongue area defined in Oriental medicine. The color analysis method divides the tongue area and analyzes the color of the whole tongue, It is a method to discriminate the womb, The existing methods are used for the diagnosis of the oriental medicine by the abnormal shape or color of the whole tongue.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혀 사진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혀 영역을 분할하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혀 감각 분포에 따른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propose a method of dividing a tongue region by dividing a tongue region by a preprocessing process of a tongue photograph and using the HSI color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tongue sensation distribution has a sweet taste, And to provide a new modeling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to be judg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ethod of modeling the tongue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 상기 사진 취득부로부터 상기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프로그램에서 불러온 뒤, 혀 감각 분포별 짠맛, 신맛, 단맛, 쓴맛으로 분할하는 혀 영역 검출부; 상기 혀 영역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혀 감각 분포별로 분할한 사진을 이용하여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Hue(색상), Saturation(채도), Intensity(명도))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상태의 색상과 비교하는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 및 상기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로부터 짠맛, 신맛, 단맛, 쓴맛의 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정상태와 비교했을 시,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하는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based on tongue color analysis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a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area detecting unit for retriev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viding the tongue color image file into a salty taste, a sour taste, a sweet taste, and a bitter taste according to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Hue, Saturation, Intensity) using a photograph divided into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by using a picture divid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transmitted from the tongue area detecting unit. ). Among them, the color analysis part of the tongue, which compares the hue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the saturation (S)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only to the color of the normal state, And a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which determines 'normal' if it is within a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state us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salty, sour, sweet and bitter taste from the color analysis part of the tongue, And a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section.

상기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실제 환자에게서 취득된 혀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전체 부분에서 혀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한 혀 전체 영역 중에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하며,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하며, 상기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는 정상태의 H(Hue)값을 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고, 상기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는 분석된 짠맛, 신맛, 단맛, 쓴맛에 대해서 색상 변화 근거를 이용하여 혀의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new tongue model system based on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divides only the tongue area in the entire face using the tongue photograph obtained from the actual patient and extracts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the bitter taste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S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are analyzed using the HSI color model with the photographs of the regions divided into salty, sour, sweet and bitter portions. If the H (Hue) value of the tongu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and the numerical value within this normal value range comes out The normal value of S is b-0.2 <b <b + b, where S is the normal value and b is the normal value. 0.2, the values in this normal range are out of the range And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judging unit uses the color change basis for the analyzed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re is a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of the tongu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 상기 사진 취득부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혀 영역 인지부;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혀 영역 검출부;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혀 감각분포 검출부;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분할하는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모델화하는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색상분석을 하는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정상태 비교부;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 및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를 포함하여,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are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ongue area of the area of interest from the photograph taken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 tongue area detecting unit that detects only the tongue area using the labeling sequence from the tongue area photograph sequence;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tongue sensed part;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unit for dividing sensory region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unit; A tongue color modeling unit for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unit of the tongue;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using a colorimetric model; A statistical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analyzed data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 sensation region inferr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nd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an abnormality based on the reasoning, and discriminat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is present according to a sensory distribution area which is a part of the taste of the tongue.

상기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는 상기 정상태 비교부에서 정상태의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추론을 하여 맛(쓴맛, 단맛, 짠맛, 신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정상태와 비교하여 정상수치범위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비교한 뒤 색상분포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inference unit deduces a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ortion that senses a taste (bitter taste, sweet taste, salty taste, sour taste) by deducing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based on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normal state in the normal state comparison unit,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it is compared with the normal value range to determine whether it belongs to the normal value range or not, and then the color distribution is deduced.

상기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는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 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을 도출해내며, 판별 기준은 다음과 같이 정상태의 H(Hue)값을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여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or determines 'normal' if it is within a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when the value derived by deriving the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art of the tongue taste is compared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tongue,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where the value in the normal range is given as follows: Normal value ", the normal value of S is b-0.2 <b <b + b when the value of S (Saturation) of the steady state is b, 0.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in the normal numerical value range is 'normal', if the numerical value is out of the normal numerical value range, it is judged as 'abnorma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is jud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혀 영역 인지부에 의해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단계; 혀 영역 검출부에 의해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단계;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하는 단계;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에 의해 모델화하는 단계;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에 의해 색상분석을 하는 단계; 정상태 비교부에 의해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단계;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에 의해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단계; 및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nalyzing sensory distribution of a tongue and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is present or absent is performed by a tongue area recognition unit from a photograph taken from a photograph acquisition unit for photographing a tongue color photograph file using a digital camera Recognizing the tongue area of the area of interest; Detecting only the tongue region using labeling from the tongue region photo sequence by the tongue region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on unit; Dividing sensory part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sensory tongue distribution detecting part by sensory distribution area dividing parts of the tongue;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partitioning unit of the tongue by the color modeling generating unit of the tongue; Performing color analysis by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using a colorimetric model; Comparing the data analyzed by the normal state comparator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Inferr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is present according to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which is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portion based on the reasoning.

본 발명은 실제 환자에게서 취득된 혀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전체 부분에서 혀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한 혀 전체 영역 중에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한다.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 분석을 한다. 정상태의 H(Hue)값을 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 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 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 '이상' 이라고 판별한다. 분석된 짠맛, 신맛, 단맛, 쓴맛에 대해서 색상 변화 근거를 이용하여 혀의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혀 전체 색상을 분석하여 황태, 건조태, 후태등을 판별하는 방법과 비교했을때, 사람들의 미각별 이상유무를 판단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혀의 색상 변화 추이에 따라 한의학적 진단을 할 수 있게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tongue area is divided in the entire face area using the tongue photograph obtained from the actual patient, and the divided part is divided into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The HSI color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images of salty, sour, sweet and bitter parts. Color analysis is performed using only H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S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or . If the value of H (Hue) of the steady stat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If the value in the normal value range is a normal value, If it comes out, it is judged as "abnormal". If the value of S (saturation) of the normal state is b, the normal value of S is determined as b-0.2 <b <b + 0.2, If a numerical value is found, it is judged to be "abnormal".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of the tongue is determined using the color change basis for the analyzed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judging whether or not the taste of the tongue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taste of a person,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determining the color of the tongue, the dryn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a medical diagnosis accord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tongu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혀의 영역 추출 및 색상학적 분석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혀 부분을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4는 미각 부위별 검출 사진을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ongue area extraction and color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alyzing sensory distribution of a tongu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etecting a tongue portion.
Fig. 4 shows a detection photograph of each taste reg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혀의 영역 추출 및 색상학적 분석 시스템 구성도이다. 혀의 영역 추출 및 색상학적 분석 시스템은 사진 취득부(1), 혀 영역 검출부(2),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3),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4)로 구성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ongue area extraction and coloring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ngue region extraction and colorimetric analysis system is composed of a photograph acquisition unit 1, a tongue region detection unit 2, a tongue colorimetric analysis unit 3, and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4.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1); 상기 사진 취득부(1)로부터 상기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프로그램에서 불러온 뒤, 혀 감각 분포별 (짠맛, 신맛, 단맛, 쓴맛)로 분할하는 혀 영역 검출부(2); 상기 혀 영역 검출부(2)로부터 전달된 혀 감각 분포별로 분할한 사진을 이용하여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상태의 색상과 비교하는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3); 및 상기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3)로부터 짠맛, 신맛, 단맛, 쓴맛의 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정상태와 비교했을 시,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하는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4)를 포함한다. A new modeling system based on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region detecting unit 2 for reading the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 from the program and then dividing the tongue image into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bitter taste); The photographs of the areas divided into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area are analyzed using the HSI color model using the photographs divid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transmitted from the tongue area detection unit 2. Among them, (3) a tongue color analysis unit which performs colorimetric analysis using only H (Hue) and S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to compare with the color of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salty, sour, sweet and bitter tastes from the coloring analyzer 3 of the tongue is compared with the normal state, it is judged as 'normal' if it is in a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And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4).

참고로, 디지털 신호 처리(DSP)분야에서 HSI 컬러 모델은 Hue(색상), Saturation(채도), Intensity(명도)의 약자를 조합한 것이다. For reference, HSI color models in the field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combine abbreviations of Hue, Saturation, and Intensity.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실제 환자에게서 취득된 혀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전체 부분에서 혀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한 혀 전체 영역 중에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한다.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한다.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3)는 정상태의 H(Hue)값을 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4)는 분석된 짠맛, 신맛, 단맛, 쓴맛에 대해서 색상 변화 근거를 이용하여 혀의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new tongue model system based on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divides only the tongue area in the entire face using the tongue photograph obtained from the actual patient and extracts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bitter taste .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S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or saturation are analyzed using the HSI color model with the photographs of the regions divided into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do. If the value of H (hue) of the tongu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And if the value is out of the normal value range, it is judged as "abnormal". If the value of S (saturation) of the normal state is b, the normal value of S is determined as b-0.2 <b <b + 0.2, When a numerical value is found, it is judged as "abnormal". Th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4 of the tongue is characterized by judging whether there is a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of the tongue using the color change basis for the analyzed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영역 추출 및 색상학적 분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As shown in Fig. 1, region extraction and colorimetric analysis of the tongue generally operate as follows.

사진 취득부(1)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사진파일을 프로그램에서 불러온 뒤, 혀 영역 검출부(2)로 전달하여 혀 감각 분포별 (짠맛, 신맛, 단맛, 쓴맛)로 분할한다.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3)는 혀 감각 분포별로 분할한 사진을 이용하여 정상태의 색상과 비교를 한 후,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4)로 전달한다.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4)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의 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정상태와 비교했을 시,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한다.
The photo-taking unit 1 generally reads a photo file photographed by using a digital camera, and then transfers it to the tongue area detecting unit 2 to divide it into tongue sensory distributions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bitter taste) . The coloring analysis unit 3 of the tongue compares the color of the tongue with the color of the normal state using a photograph divid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4. When th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4 of the tongue uses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it is judged as 'normal' if it is within the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do.

본 발명은, 실제 환자에게서 취득된 혀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전체 부분에서 혀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한 혀 전체 영역 중에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한다.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한다. 여기에서 H는 0 ~ 360, S는 0~1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분석된 짠맛, 신맛, 단맛, 쓴맛에 대해서 색상분포도를 이용하여 혀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상태의 H(Hue)값을 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 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 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tongue area is divided in the whole face portion using the tongue photograph obtained from the actual patient, and the divided portion is divided into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S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or saturation are analyzed using the HSI color model with the photographs of the regions divided into the salty taste, the sour taste, the sweet taste and the bitter taste. do. Here, H has a value between 0 and 360, and S has a value between 0 and 1.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of the tongue by using a color distribution chart for the analyzed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If the value of H (Hue) of the steady stat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If the value in the normal value range is a normal value, If it comes out, it is judged as "abnormal". If the value of S (saturation) of the normal state is b, the normal value of S is determined as b-0.2 <b <b + 0.2, When a numerical value is found, it is judged as "abnormal".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alyzing sensory distribution of a tongu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5); 상기 사진 취득부(5)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혀 영역 인지부(6);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혀 영역 검출부(7);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혀 감각분포 검출부(8);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8)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분할하는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9);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9)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모델화하는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10);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색상분석을 하는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11);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정상태 비교부(12);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13); 및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14)를 포함하여,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new modeling system based on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includes a photo-taking unit 5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area recognition unit 6 for recognizing the tongue area of the area of interest from the photograph taken from the photographing unit 5; A tongue area detection unit (7) for detecting only the tongue area using labeling from a tongue area photograph sequence;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section (8) for detecting a tongue sensation portion;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section 9 for dividing sensory region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section 8; A tongue color modeling generation unit 10 for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unit 9 of the tongue;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11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using a color model; A steady-state comparing unit 12 for comparing the analyzed data with a normal state and a color distribution; A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absence inference unit 13 for inferr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s to whether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re the same or different; And a tongue sensation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14) for discriminating an abnormality based on the reasoning. The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es the abnormality according to a sensory distribution area which is a part of the taste of the tongue.

상기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13)는 상기 정상태 비교부(12)에서 정상태의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추론을 하여 맛(쓴맛, 단맛, 짠맛, 신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정상태와 비교하여 정상수치범위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비교한 뒤 색상분포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inferring unit 13 derives a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art that senses a taste (bitter taste, sweet taste, salty taste, sour taste) based on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normal state in the normal state comparing unit 12 When the derived value is compared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state, it is compared with the normal value, whether or not it belongs to the normal value range, and then the color distribution is deduced.

상기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14)는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 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을 도출해내며, 판별 기준은 다음과 같이 정상태의 H(Hue)값을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여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한다.When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14 derives the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art which tastes the taste of the tongue and compares the derived value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state,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and the value within this normal range is given as follows: The normal value of S is determined to be b-0.2 <b>,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is not normal, If b <b + 0.2, the value is judged to be 'normal' when the numerical value within the normal numerical value range is reached, and if the numerical value is out of the normal numerical value range, it is judged as 'abnormal'.

도면에서 5는 사진 취득부이며, 6 은 혀 영역 인지부, 7 은 혀 영역 검출부, 8은 혀 감각분포 검출부, 9 는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 10은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 11 은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 12 는 정상태 비교부, 13은 감각분포 영역 이상유무 추론부, 14 는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를 나타낸다.8 is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section; 9 is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section; 10 is a tongue color modeling generating section; 11 is a tongue area recognizing section; 12 denotes a normal phase comparator, 13 denotes a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absence portion, and 14 denotes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por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As shown in FIG. 2, the analysis of the sensory distribution of the tongue and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are performed as follows.

사진 취득부(5)는 디지털 카메라로 혀의 사진을 취득하여, 혀 영역 인지부(6)로 전달한다. 혀 영역 인지부(6)는 입력 영상에서 혀 검출에 앞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얼굴영역만을 검출하고 얼굴 영역을 특징 지역으로 분할하여 기본 객체를 형성한다. 사진 시퀀스로부터 혀 영역을 인지하여 혀 영역 검출부(7)로 보낸다. 혀 영역 검출부(7)는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함으로써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혀 영역 검출부(7) 다음으로 혀 감각분포 검출부(8)로 보낸다. 혀 감각분포 검출부(8)는 혀 감각분포 별로 영역을 나눈다. 본 발명은 감각분포에 따른 이상유무를 판별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짠맛, 단맛, 신맛, 쓴맛을 개별적 영역으로 나눈다. 혀의 양 옆부분이 신맛, 혀의 가운데 부분이 짠맛, 혀의 안쪽 부분이 쓴맛, 혀의 앞부분이 단맛이다.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9)는 짠맛, 단맛, 신맛, 쓴맛으로 검출된 부분들을 따로 분할한다. 이는 혀의 감각분포를 따로 판별하기 위함이다. 감각분포 분할이 끝나면,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10)로 보낸다.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모델화하여 체계적으로 색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색상분포를 모델화 한다. 모델화 한 후,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11)로 보낸다.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11)는 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 정도를 알 수 있고, 부위 별로 어느 정도의 설색이 분포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11)가 끝나면 정상태 비교부(12)로 보낸다. 정상태 비교부(12)는 색상 분석부에서 나온 자료와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태와 비교를 한다. 정상태와 비교하여 정상수치범위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비교한 뒤,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13)로 보낸다.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13)는 정상태와 색상분석이 같으면 '정상'으로 추론을 하고, 정상태와 색상분석이 상이할 경우 '이상'으로 추론을 한다. 추론이 끝나면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14)로 보낸다.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14)는 감각분포 영역 이상유무 추론부에서 나온 추론으로 이상유무를 판별한다.The photograph acquiring unit 5 acquires a photograph of the tongue with a digital camera and transfers it to the tongue recognition unit 6. [ The tongue area recognition part (6) detects only the face area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before the tongue detection in the input image, and forms the basic object by dividing the face area into the characteristic areas. Recognizes the tongue area from the photo sequence and sends it to the tongue area detection unit 7. The tongue area detection unit 7 creates a basic environment by detecting only the tongue area using the labeling from the photographic sequence. The tongue area detection unit 7 then sends the tongue area detection unit 8 to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on unit 8.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unit 8 divides the area into tongue sensory distributions.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alty taste, the sweet taste, the sour taste, and the bitter taste into individual regions, since it is for discriminating an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sensory distribution. The sides of the tongue are sour, the center of the tongue is salty, the inside of the tongue is bitter, and the tip of the tongue is sweet.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section 9 of the tongue divides the portions detected as salty, sweet, sour, and bitter taste separately. This is to discriminate the sensory distribution of the tongue separately. When the sensory distribution is divided, the tongue is sent to the color modeling generator 10 of the tongue. The color distribution is modeled so that the color distribution can be systematically analyzed by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divided tongue area. And sent to the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11. The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ing unit 11 can know the degree of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art where the taste is felt and can know how much sour color is distributed in each part. When the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ing unit 11 is finished, the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ing unit 11 sends the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ing unit 11 to the normal state comparing unit 12. The steady state comparing unit 12 compares the steady state with the data and results from the color analyzing unit. Compares the normal value with the normal value, and sends it to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13).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13 makes inference as 'normal' if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analysis are the same, and makes an 'abnormal' when the normal state and color analysis are different. After the inference is completed, it is sent to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14.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14 discriminates an abnormality by inference derived from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absence unit.

도 3은 혀 부분을 검출하는 과정으로 (15)는 사진 취득부에 해당한다. (16)은 취득 사진에 대한 2진화를 한 결과이며, (17)은 혀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 관심영역을 설정한 결과이다. (18)은 관심영역을 검출한 결과이다. 3 is a process of detecting a tongue portion, and (15) corresponds to a photo-taking unit. (16) is the result of binarizing the acquired photograph, and (17) is the result of setting the region of interest to extract the tongue portion. (18) is the result of detecting the region of interest.

도 4는 미각 부위별로 검출한 결과이다. (19)는 쓴맛, (20),(21)은 신맛, (22)는 짠맛, (23)은 단맛으로 총 4개의 미각 부위로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 4 shows the results of detection by taste region. (19) shows bitter taste, (20), (21) shows sour taste, (22) shows salty taste, and (23) shows sweet taste.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혀 영역 인지부에 의해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단계; 혀 영역 검출부에 의해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단계;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하는 단계;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에 의해 모델화하는 단계;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에 의해 색상분석을 하는 단계; 정상태 비교부에 의해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단계;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에 의해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단계; 및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analyzing sensory distribution of a tongue and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is present includes recognizing a tongue area of a region of interest by a tongue area recognition unit from a photograph taken from a photograph acquisition unit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a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Detecting only the tongue region using labeling from the tongue region photo sequence by the tongue region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on unit; Dividing sensory part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sensory tongue distribution detecting part by sensory distribution area dividing parts of the tongue;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partitioning unit of the tongue by the color modeling generating unit of the tongue; Performing color analysis by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using a colorimetric model; Comparing the data analyzed by the normal state comparator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Inferr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is present according to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which is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portion based on the reason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modified.

1: 사진 취득부
2: 혀 영역 검출부
3: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
4: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
5: 사진 취득부
6: 혀 영역 인지부
7: 혀 영역 검출부
8: 혀 감각분포 검출부
9: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
10: 혀의 색생학적 모델링 생성부
11: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
12: 정상태 비교부
13: 감각분포 영역 이상유무 판별부
14: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
1:
2: tongue area detection unit
3: Colorimetric analysis of the tongue
4: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5:
6: Tongue area recognition part
7: tongue area detection unit
8: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on unit
9: Sensory distribution area division of the tongue
10: Genetic modeling of the tongue
11: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sis unit
12:
13: Sensory distribution area abnormality discrimination part
14: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Claims (8)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
상기 사진 취득부로부터 상기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프로그램에서 불러온 뒤, 혀 감각 분포별 짠맛, 신맛, 단맛, 쓴맛으로 분할하는 혀 영역 검출부;
상기 혀 영역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혀 감각 분포별로 분할한 사진을 이용하여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Hue(색상), Saturation(채도), Intensity(명도))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정상태의 색상과 비교하는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 및
상기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로부터 짠맛, 신맛, 단맛, 쓴맛의 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정상태와 비교했을 시,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하는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
를 포함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In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area detecting unit for retriev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dividing the tongue color image file into a salty taste, a sour taste, a sweet taste, and a bitter taste according to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Hue, Saturation, Intensity) using a photograph divided into salty taste, sour taste,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by using a picture divid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transmitted from the tongue area detecting unit. ). Among them, the color analysis part of the tongue, which compares the hue (Hue) corresponding to the color and the saturation (S) corresponding to the saturation only to the color of the normal state, And
Us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salty, sour, sweet and bitter tastes from the color analysis part of the tongue,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normal state, if it belongs to the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the sensation of the tongue which judges 'normal' A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New tongue modeling system based on color analysis of tong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은,
실제 환자에게서 취득된 혀 사진을 이용하여 얼굴 전체 부분에서 혀 영역만을 분할하고, 분할한 혀 전체 영역 중에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누어 분할하며, 짠맛, 신맛, 단맛, 쓴맛 부분으로 나눈 영역의 사진을 가지고 HSI 컬러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그 중, 색상에 해당하는 H(Hue)와 채도에 해당하는 S(Saturation)만을 이용하여 색상학적 분석을 하며,
상기 혀의 색상학적 분석부는 정상태의 H(Hue)값을 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고,
상기 혀의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는 분석된 짠맛, 신맛, 단맛, 쓴맛에 대해서 색상 변화 근거를 이용하여 혀의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Using the tongue photographs obtained from the actual patient, only the tongue area is divided from the entire face area, and the divided area is divided into the salty, sour, sweet and bitter parts and divided into the salty, sour, sweet and bitter parts (Hue) and the saturation (S) corresponding to the hue. The color histogram is analyzed using the HSI color model,
If the value of the H (Hue) of the tongu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If the value in the normal range is found, The normal value of S is b-0.2 <b <b + 0.2, and the value within this normal value range is determined as "abnormal" if the value is out of the normal value range.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when a value other than the normal value range is found,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bnormal'
Wherein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judges whether or not th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of the tong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change basis for the analyzed salty, sour, sweet, bitter taste, ) Model system.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
상기 사진 취득부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혀 영역 인지부;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혀 영역 검출부;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혀 감각분포 검출부;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분할하는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모델화하는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색상분석을 하는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정상태 비교부;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 및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를 포함하여,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In a new tongue modeling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a digital camera;
A tongue are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ongue area of the area of interest from the photograph taken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 tongue area detecting unit that detects only the tongue area using the labeling sequence from the tongue area photograph sequence;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tongue sensed part;
A tongu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unit for dividing sensory region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ng unit;
A tongue color modeling unit for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dividing unit of the tongue;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using a colorimetric model;
A statistical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analyzed data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 sensation region inferr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nd
And a tongue sensation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an abnormality based on the reasoning, and discriminating the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sensory distribution area, which is a part of the tongue taste sensed, Model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는
상기 정상태 비교부에서 정상태의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추론을 하여 맛(쓴맛, 단맛, 짠맛, 신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정상태와 비교하여 정상수치범위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비교한 뒤 색상분포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presence /
When comparing the values obtained by deriving the color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portions (bitterness, sweetness, salty taste, sour taste) which are inferred on the basis of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normal state in the above-mentioned normal state comparing section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state, Wherein the color distribution is inferred after comparing whether it belongs to the normal value range or not, and a new coloring model system by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는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 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을 도출해내며, 판별 기준은 다음과 같이 정상태의 H(Hue)값을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여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설진(舌診) 모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etection unit
When comparing the values obtained by deriving the color distributions for each part that tastes the taste of the tongue, compared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state, it is discriminated as 'normal' if it is within the predefined normal value range, If the value of H (Hue) of the steady state is a,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The normal value of S is b-0.2 <b <b + 0.2, and the value within this normal range is the value of S (saturation) And when a value other than the normal value is found, it is judged as "abnormal" to judge whether there is a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or not, and a new tongue diagnosis model based on the color analysis of the tongue system.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혀의 컬러 사진파일을 촬영하는 사진 취득부로부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혀 영역 인지부에 의해 관심지역의 혀 영역을 인지하는 단계;
혀 영역 검출부에 의해 혀 영역 사진 시퀀스로부터 레이블링을 사용하여 혀 영역만을 검출하는 단계;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혀 감각분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혀의 감각부위들을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하는 단계;
상기 혀의 감각분포 영역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혀 영역의 색상 분포를 혀의 색상학적 Modeling 생성부에 의해 모델화하는 단계;
색상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감각분포 색상 분석부에 의해 색상분석을 하는 단계;
정상태 비교부에 의해 분석한 자료를 정상태와 색상분포를 비교하는 단계;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에 의해 비교를 한 결과를 정상태와 색상분포가 같은지 또는 상이한지 추론하는 단계; 및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상기 추론을 바탕으로 상기 혀의 맛을 느끼는 부분인 감각분포 영역에 따른 이상유무의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
In a method for analyzing sensory distribution of a tongu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exists,
Recognizing the tongue area of the area of interest by the tongue area or cognition part from the photograph taken from the photo-taking part for photographing the color photograph file of the tongue using the digital camera;
Detecting only the tongue region using labeling from the tongue region photo sequence by the tongue region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detection unit;
Dividing sensory parts of the tongue detected by the sensory tongue distribution detecting part by sensory distribution area dividing parts of the tongue;
Model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region divided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partitioning unit of the tongue by the color modeling generating unit of the tongue;
Performing color analysis by a sensory distribution color analyzer using a colorimetric model;
Comparing the data analyzed by the normal state comparator with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Inferring whether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by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is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normal state and the color distribu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ccording to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which is a portion of the tongue sensed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etermination portion based on the inferen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exis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각분포 영역 이상 유무 추론부에 의해 상기 정상태 비교부에서 정상태의 색상분포를 기준으로 추론을 하여 맛(쓴맛, 단맛, 짠맛, 신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정상태와 비교하여 정상수치범위에 속하는지 속하지 않는지를 비교한 뒤 색상분포를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nsory distribution region abnormality inference unit derives a color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of the taste (bitterness, sweetness, salty taste, sour taste) based on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normal state in the normal state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color distribution of the tongue with that of the normal tongue, comparing whether the tongue is within the normal range or not, and deducing the color distribu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혀 감각분포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별로 색상분포를 각각 도출해 내어 도출한 값을 정상태의 색상분포도와 비교했을 때, 미리 정의한 정상수치 범위에 속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이상'이라는 판별을 도출해내며, 판별 기준은 다음과 같이 정상태의 H(Hue)값을a라 하면, H의 정상수치는 a-2 < a < a+2으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며, 또한, 정상태의 S(Saturation)값을 b라 하면, S의 정상수치는 b-0.2 < b < b+0.2로 이 정상수치 범위 안의 수치가 나온 경우 '정상'이라고 판별하고, 정상수치 범위 이외의 수치가 나온 경우는 '이상'이라고 판별하여 감각 분포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감각 분포 분석 및 이상유무 판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f the value derived by deriving the color distribution for each part tasting the tongue by the tongue sensory distribution abnormality discrimination unit is compared with the color distribution chart of the normal state, If the value of H (Hue) of the steady state is a, then the normal value of H is a-2 <a <a + 2, The normal value of S is determined to be b-0.2 <b <0. If the value of S (saturation) is b, the normal value of S is b-0.2 <b < b + 0.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ue is within the normal range, it is judged as 'normal'. If the value is out of the normal value range, it is judged as 'abnormal' Distribution analysis and abnormalities Identification method.
KR1020130017375A 2013-02-19 2013-02-19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KR101460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375A KR101460148B1 (en) 2013-02-19 2013-02-19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375A KR101460148B1 (en) 2013-02-19 2013-02-19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58A true KR20140104558A (en) 2014-08-29
KR101460148B1 KR101460148B1 (en) 2014-11-11

Family

ID=5174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375A KR101460148B1 (en) 2013-02-19 2013-02-19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8386A (en) * 2016-02-26 2017-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ngue image processing device, tongu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ongue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3781488A (en) * 2021-08-02 2021-12-10 横琴鲸准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Tongue picture image segmentatio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339B1 (en) 2020-09-14 2022-04-20 안치범 Tongue diagnosis kit for color correction and saliva test and non-face-to-face tongue diagnosis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086329A (en) 2020-12-16 2022-06-23 (주)올핀 IOT om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058A (en) * 2007-07-24 2009-02-12 Saieco:Kk System,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ongue diagnosis
KR101063343B1 (en) * 2009-11-24 2011-09-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lor Information Segmentation Method Using Tongue Image
KR101244194B1 (en) * 2011-06-30 2013-03-1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Tongue coat analyzer using light source with range of specific wavelength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8386A (en) * 2016-02-26 2017-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ongue image processing device, tongu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ongue image processing program
CN113781488A (en) * 2021-08-02 2021-12-10 横琴鲸准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Tongue picture image segmentatio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148B1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3690B (en) Fac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N105518711B (en) Biopsy method, In vivo detec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5828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orged face using infrared image
JP713238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50232490A1 (en) Red-eye detection device, red-eye detection method, and red-eye detection program
JP67007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106356B2 (en) Image monitoring device
CN109948476B (en) Human face skin detection system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11539912A (en) Health index evaluation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face structure positioning and storage medium
JP200921127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965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disguised face
JP2000259814A (en) Image processor and method therefor
JP2008243093A (en) Dictionary data registration device and method
EP16651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ature recognition
KR101891631B1 (en) Image learnig device, image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device,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154953B1 (en) Apparu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ring size
KR101460148B1 (en) Tongue diagnosis model system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tongue
JP3490910B2 (en) Face area detection device
JP54805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KR1018549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olor of digital image based on the human sclera and pupil
JP2017053699A (en) Wavelength decision method of near-infrared image capturing used in substance determination, and substance determination method using near-infrared image
JP4146751B2 (en) Face identification device, face identification method, and face identification program
JPH08138024A (en) Picture direction discriminating method
Harville et al. Consistent image-based measurement and classification of skin color
JP6920944B2 (en) Object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