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786A -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786A
KR20140103786A KR1020130017712A KR20130017712A KR20140103786A KR 20140103786 A KR20140103786 A KR 20140103786A KR 1020130017712 A KR1020130017712 A KR 1020130017712A KR 20130017712 A KR20130017712 A KR 20130017712A KR 20140103786 A KR20140103786 A KR 2014010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very
resource
filter condition
resul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851B1 (ko
Inventor
이승권
장덕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1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M2M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방법은, 특정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따른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받는 단계, 필터 조건에 따라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로서 URI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필터 조건에 따른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of M2M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M2M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M2M 플랫폼들의 M2M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 (MTC,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또는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에서는 M2M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구조를 2011년 10월에 ETSI TS 102 690 V1.1.1 (이하 '구조'라 한다)으로 발표한 바 있다.
기존의 ETSI M2M 표준의 구조에 따라 규정된 컨테이너 자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나 게이트웨이 또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정보를 전송하면, M2M 플랫폼(서버)에서는 정보를 저장한다.
M2M 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M2M 플랫폼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생성 관리한다. 이러한 M2M 서비스 제공자의 다양화에 따라 각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각각의 M2M 플랫폼에 기반하여 다수의 M2M 네트워크 도메인 상호간 통신, 즉 N-N 통신이 대두되었으며, 이러한 N-N 통신에서 효율적인 자원 정보 검색 방법이 필요하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N-N 통신에서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의 처리 결과를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자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따른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필터 조건에 따라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로서 URI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조건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의 종속 자원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요청된 상기 필터 조건을 나타내는 속성 및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조건은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chString) 속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는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상기 필터 조건에 대한 디스커버리 요청 횟수 및 주기를 나타내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따른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받으면 상기 필터 조건에 따라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로서 URI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필터 조건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으로서 저장하는 M2M 플랫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디스커버리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빈도수가 많아지므로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서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네트웍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 시 별도의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즉시 응답할 수 있어 디스커버리 연산 효율을 높이고 디스커버리 요청을 받은 서버의 장치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의 횟수 및 주기에 따라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디스커버리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M2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커버리 자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디스커버리 요청에 따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복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M2M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N-N 통신 환경에서 디스커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콜렉션 자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조회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생성, 갱신,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통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스마트 디아비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SDC),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지며, 본 명세서에서는 M2M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이 M2M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기간 통신, 즉 사물 통신을 제공하는 모든 시스템 및 구조와 이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통신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사물 통신은 지능형 검침(Smart Meter), 전자 보건(e-Health), 통신 가전(Connected Consumer), 도시 자동화(City Automation), 차량 응용(Automotive Applicatio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M2M 객체 또는 장치는, M2M 디바이스(예를 들어, M2M 표준규격 디바이스(D), M2M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 또는 M2M 부분표준규격 디바이스(D') 일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G) 또는 M2M 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M2M 서비스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2M 표준 구조의 M2M 서비스 구조는, 예를 들어, 경우 1(Case1), 경우2(Case2), 레거시 경우1(Legacy case1), 레거시 경우2(Legacy case2), 레거시 경우3(Legacy case3) 등이 고려될 수 있다.
M2M 서비스 구조는 사물 지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M2M Device domain)과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Network and Application domain) 또는 M2M 서버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은 M2M 서비스 능력인 M2M SC(M2M Service Capabilities) 에 접근하거나 서비스 로직을 제공하는 M2M 어플리케이션(M2M Application)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M2M SC를 포함한다.
한편, M2M 디바이스 도메인은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또한 M2M 디바이스 및 M2M 게이트웨이는 M2M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M2M S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가 M2M SC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함된 M2M SC를 통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가 M2M SC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M2M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M2M SC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M2M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의 M2M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ies: SC)를 통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SC는 일 실시예로서 xAE, xGC, xRAR, xCS, xREM, xSEC, xHDR, xTM, xTM, xIP, xCB 또는 xTO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수 있으며, x는 네트워크의 경우 N, 게이트웨이의 경우 G, 디바이스의 경우 D일수 있다. 즉, xIP는 NIP, GIP 또는 DIP일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될 xSEC는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것(Security Capability)으로서, NSEC, GSEC 또는 DSEC 일 수 있다.
이러한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의 SCL(Service Capability Layer)은 네트워크 도메인의 SCL(Service Capability Layer)과 특정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상호 통신하며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한다.
또한 네트워크 도메인의 SC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타 규격에 따라 공지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M2M 표준 구조에 따르면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도메인들의 상호 인터페이스로서 mIa, mId, dIa의 참조점(reference points)이 정의된다.
mIa는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참조점으로서 M2M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능력 레이어인 NSCL (M2M Service Capability Layer in the network)과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인 NA (Network Application)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mId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NSCL과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의 디바이스/게이트웨이 서비스 능력 레이어 D/G SCL (DSCL 또는 GSCL)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즉, mId는 M2M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NSCL과 디바이스의 서비스 능력 레이어인 DSCL (M2M Service Capabilities in the M2M Device) 간에 적용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dIa는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참조점으로서, M2M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디바이스 서비스 능력 레이어(DSCL)와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evice Application)(DA)의 인터페이스, M2M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 능력 레이어(GSCL)와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teway Application)(GA)의 인터페이스, M2M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GSCL과 DA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경우1(Case1)은, M2M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y: SC)(113)과 M2M 어플리케이션(111)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D)(110)를 보여준다. M2M 디바이스(D)(210)는 mId 참조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도메인(190)의 NSCL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경우2(Case2)는, M2M 어플리케이션(131)을 포함하나 M2M SC를 미포함하는 M2M 디바이스(D')(130)을 보여준다. M2M 디바이스(D')(130)은 M2M SC를 미포함하는 대신 dIa 참조점을 사용하여 M2M 게이트웨이(G)(170)의 M2M SC(173)에 의존할 수 있다.
레거시 경우1 내지 3(Legacy case1 내지 3)은, 디바이스가 M2M 서비스 능력은 물론 M2M 어플리케이션도 포함하지 않는 비표준규격 디바이스인 레거시 디바이스(d)(150)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레거시 디바이스(d)는 SC의 일 실시예인 xIP(Interworking Proxy capability)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1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네트워크의 경우 N, 게이트웨이의 경우 G, 디바이스의 경우 D일수 있다. 즉, xIP는 NIP, GIP, DIP일 수 있다.
xIP는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의 구조(structure)를 발견하고, SCL에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 구조(Area Network structure)를 나타내는 M2M 자원 구조(structure)를 생성할 수 있다.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 structure)가 바뀌면, 이것이 반영되도록 M2M 자원 structure를 관리할 수 있다.
Legacy case1은,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150)가 네트워크 도메인의 N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2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또한, Legacy case2는,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150)가 M2M 게이트웨이의 G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1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또한, Legacy case3은,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150)가 M2M디바이스(D)의 D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1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NSCL 환경에서, 특정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능력과 같은 요청자(issuer)는 NSCL에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M2M NSCL에는 다수의 자원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능력은 이때 디스커버리 검색 연산의 범위를 줄이기 위해 필터 조건을 사용한다. 필터 조건은 예를 들면 검색문자열(searchStrings) 속성(attribute) 등으로 표현되며, NSCL에서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에 대한 연산 처리시 필터 조건이 사용된다.
NSCL에서는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에 의해 필터 조건에 부합하는 자원의 주소, 예를 들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가 생성되고, 그 결과가 요청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디스커버리 연산 결과에 따른 URI 리스트는 디스커버리 자원 등에 저장되지 않고 폐기된다.
도 2는 디스커버리 자원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커버리 자원에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 결과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디스커버리 자원에는 속성과 부속 자원(sub-resource)이 포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디스커버리 자원은 서비스 능력(SCL) 내의 자원을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커버리 요청에 따라 서비스 능력(SCL)의 <sclBase> 자원에 포함된 자원 중에서 필터 조건(filterCriteria) 속성에 부합하는 자원의 URI 리스트가 검색되어 요청자에게 전달되고 검색된 URI 리스트는 폐기된다.
도 3은 자원 검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요청에 따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요청자(issuer)(310)는 조회(RETREIVE) 명령어(Method)를 사용하여 “<sclBase>/discovery” 형태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스팅 SCL(Hosting SCL)(320)에게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한다(S351).
이 경우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 즉 검색을 위한 필터 조건(filterCriteria)은 이슈어(310)가 예를 들면 검색문자열(searchStrings) 속성(attribute)과 같은 파라미터로 제공한다.
호스팅 SCL(320)은 이슈어(310)의 요청 메시지 및 포함된 파라미터가 유효한지를 검증한 후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맞는 URI 리스트를 생성한다(S353).
그리고 호스팅 SCL(Hosting SCL)(320)은 디스커버리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로 생성된 URI 리스트를 요청자(310)에게 전달한다(S355). 이때 호스팅 SCL(320)은 생성된 URI 리스트 크기가 요청자(310)가 요청한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요청 크기로 축소하여 요청자(310)에게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SCL간 공유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서비스 능력 레이어(SCL)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2M 시스템 구조는 복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네트워크 도메인 간의 통신에 있어서 mIm은 M2M 플랫폼(190)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능력 레이어인 NSCL(193)과 다른 M2M 플랫폼(200)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능력 레이어인 NSCL(203) 간에 적용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도 5는 N-N 통신 환경에서 디스커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네트워크 도메인이 연결되어 상호 통신하는 N-N 통신 환경 구조로서, NSCL 1(521)은 날씨 자원(resource)을 소유하고 있는 SCL이며 NSCL2(523), NSCL3(525) 및 NSCL n(529)과 mIm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한다.
따라서 NSCL 1(521)은 NSCL 1(521)과 연결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531),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533) 및 서비스 능력(DSCL/GSCL)(535)로부터 디스커버리 요청을 받을 뿐만 아니라 타 네트워크 도메인, 예를 들면 NSCL 3(525)과 연결된 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511),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513) 또는 서비스 능력(DSCL/GSCL)(515)으로부터 디스커버리(discovery) 요청을 받는다.
따라서 NSCL 1(521)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NA)(531),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533), 및 서비스 능력(DSCL/GSCL)으로부터만 디스커버리 요청을 받는 경우에 비하면, NSCL 1(521) 연결된 다수의 네트워크 도메인, 예를 들면 NACL 2(523), NSCL 3(525), NSCL n(529) 및 그 각각에 또다시 연결된 타 네트워크 도메인(511),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513) 및 서비스 능력(515) 등을 감안하면 N-N 통신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도 동일한 디스커버리 요청이 빈번히 반복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 결과를 폐기하게 되면 NSCL 1(521)은 동일한 디스커버리 연산을 반복해서 처리하여야 하므로 서버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날씨 자원을 요청하는 플랫폼(NSCL)의 수가 증가할수록 NSCL 1(521)의 부하는 더더욱 증가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 결과를 소정 시간 동안 폐기하지 않고 저장하여 동일한 디스커버리 요청이 반복되면 저장된 연산 처리 결과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 결과 저장을 위해 M2M 자원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커버리(discovery)의 처리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기존 표준 규격의 디스커버리 자원은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 및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로 대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구성에 있어서, 우선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이 생성된다.
디스커버리 콜렉션 자원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의 집합(collection)을 나타낸다. 또한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종속 자원(subresource)으로서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과 가입(subscription)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subResource Multiplicity Desctription
<discovery> 0..unbounded See clause 9.2.3.36.x
Subscriptions 1 See clause 9.2.3.2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의 종속 자원으로서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이 생성된다.
<discovery> 자원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커버리 연산 결과에 따른 인스턴스(instance)를 나타낸다. 또한 <discovery> 자원은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필수 속성(attribute)과 선택 속성(attribute)을 포함한다.
Attribute Name Mandatory/Optional Type Desctription
accessRightID O RW See clause 9.2.2 Common attributes.
creationTime M RO See clause 9.2.2 Common attributes.
lastModifiedTime M RO See clause 9.2.2 Common attributes.
requestedSearchString M RW 요청된 discovery의 SearchString
requestedNumber OfSearchString M RW SearchString의 요구횟수
requestedIntervalOfSearchString M RW SearchString의 요구주기
discoveryResult M RW Discovery 처리 결과
expirationTime M RW Discovery 처리결과의 폐기 시점을 나타냄
defaultExirationTime M RW Discovery 처리결과의 폐기 시점 기본값
표 2에서,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chString) 속성은 요청된 디스커버리의 검색문자열(SearchString)을 나타내며 디스커버리의 처리 결과, 즉 검색된 URI 리스트는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에 저장된다. 여기서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chStrings)과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이라는 명칭은 일종의 예로서 검색문자열 또는 검색결과 등 다른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를 시간 제한 없이 저장하기 보다는 디스커버리 요청 횟수 및 요청 주기에 따라 저장 기간을 제한하는 것이 예를 들면 저장 공간 확보로 자원 배분 등에 효율적이다. 따라서 표 2를 참조하면 검색문자열요청횟수(requestedNumberOfSearchString) 속성 및 검색문자열요청주기(requestedIntervalOfSearchString)와 같은 속성이 제공된다.
검색문자열요청횟수(requestedNumberOfSearchString) 속성은 해당 검색문자열(SearchString)에 대한 디스커버리 요청 횟수를 의미하고 검색문자열요청주기(requestedIntervalOfSearchString)는 해당 검색문자열(SearchString)에 대한 디스커버리 요청의 주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검색문자열요청횟수(requestedNumberOfSearchString) 속성 및/또는 검색문자열요청주기(requestedIntervalOfSearchString) 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검색문자열(SearchString)의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를 폐기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폐기 시점은 예를 들면 만료시간(expirationTime) 속성에 저장할 수 있다. 기본만료시간(defaultExirationTime) 속성은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에 대한 폐기 시점의 기본값을 나타내며 별도로 만료시간(expirationTime) 속성값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 기본만료시간(defaultExirationTime)을 사용하여 해당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를 폐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조회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자원의 생성, 갱신, 삭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디스커버리 자원(discovery resource) 연산 처리 절차에 있어서 조회(RETRIEVE) 절차뿐만 아니라 갱신(UPDATE), 생성(CREATE), 삭제(DELETE) 처리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NA, DA, GA) 또는 서비스 능력(SCL) 등의 요청자(issuer)(810)는 조회(RETREIVE) 명령어(Method)를 사용하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호스팅 SCL(Hosting SCL)(820)에게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한다(S851). 이때 요청자(810)는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를 위한 필터 조건(filterCriteria)을 예를 들면 검색문자열(searchStrings) 속성(attribute)을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다.
이에 따라 호스팅 SCL(820)은 해당 검색문자열(searchString)에 해당하는 URI 리스트를 생성한다(S853). 이를 위해, 호스팅 SCL(820)은 우선 디스커버리 콜렉션 자원의 종속 자원인 디스커버리 자원의 속성 중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xhString) 속성을 검색하여 이슈어(310)가 제공한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맞는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치하는 디스커버리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디스커버리 자원의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에 저장된 URI 리스트를 상기 검색문자열에 대한 디스커버리 연산 결과로서 출력한다.
그러나 해당 필터 조건에 맞는 디스커버리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검색문자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URI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 해당 검색문자열과 생성된 URI 리스트에 기초하여 디스커버리 콜렉션 자원의 종속 자원으로서 디스커버리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이어서 호스팅 SCL(820)은 디스커버리 응답(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생성된 URI 리스트를 요청자(810)에게 전달한다(S855).
도 9를 참조하면 요청자(910)는 디스커버리 자원의 갱신(UPDATE), 생성(CREATE), 삭제(DELETE) 중 하나를 요청 할 수 있다(S951). 이러한 요청은 예를 들면 서버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NA)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디스커버리 요청(RETRIEVE)을 수행한 애플리케이션(NA, DA, GA) 또는 서비스 능력(SCL)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호스팅 SCL(920)은 디스커버리 갱신, 생성, 삭제 요청에 포함된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맞는 디스커버리 자원 <discovery>을 갱신, 생성 또는 삭제하고(S953), 요청에 대한 결과에 따라 요청자(910)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955).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커버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커버리 자원의 처리 결과를 저장한 후 동일 요청자 또는 타 요청자가 동일한 디스커버리 요청을 하는 경우 기존의 디스커버리 처리에 따라 저장된 URI 리스트를 참조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슈어(1010)가 호스팅 SCL(102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을 요청하면(S1051), 호스팅 SCL(1020)은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을 처리하여(S1053), 이슈어(1010)에게 URI 리스터를 응답한다(S1055). 그리고 호스팅 SCL(1020)은 생성된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 자원으로 저장하고 저장 유효시간을 설정한다(S1057).
이후 동일 이슈어 또는 타 이슈어(1010)가 호스팅 SCL(1020)에게 디스커버리 자원을 요청하면(S1059), SCL(1020)은 디스커버리 자원으로 저장된 URI list를 검색하여 이슈어(1010)에게 검색된 URI 리스터를 응답한다(S1063).
본 발명에 따르면 N-N 통신 환경에서는 동일한 디스커버리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빈도수가 많아지므로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서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네트웍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디스커버리 자원 처리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동일한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 시 별도의 디스커버리 연산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즉시 응답할 수 있어 디스커버리 연산 효율을 높이고 디스커버리 요청을 받은 서버의 장치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커버리 자원 요청의 횟수 및 주기에 따라 디스커버리 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디스커버리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90, 200 : 네트워크 도메인

Claims (14)

  1. M2M 통신 환경에서 특정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따른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필터 조건에 따라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조건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의 종속 자원으로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요청된 상기 필터 조건을 나타내는 속성 및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건은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chString) 속성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는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상기 필터 조건에 대한 디스커버리 요청 횟수 및 주기를 나타내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건은 검색문자열(searchSt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자원 검색 방법.
  8. M2M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필터 조건(filterCriteria)에 따른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 처리를 요청받으면, 상기 필터 조건에 따라 디스커버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로서 URI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필터 조건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를 디스커버리(discovery) 자원으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디스커버리 콜렉션(discoveries collection) 자원의 종속 자원으로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요청된 상기 필터 조건을 나타내는 속성 및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속성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건은 요청검색문자열(requestedSearchString) 속성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수행 결과에 따른 상기 URI 리스트는 디스커버리결과(discoveryResult) 속성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커버리 자원은 상기 필터 조건에 대한 디스커버리 요청 횟수 및 주기를 나타내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건은 검색문자열(searchSt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플랫폼.
KR1020130017712A 2013-02-19 2013-02-19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12A KR101986851B1 (ko) 2013-02-19 2013-02-19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12A KR101986851B1 (ko) 2013-02-19 2013-02-19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86A true KR20140103786A (ko) 2014-08-27
KR101986851B1 KR101986851B1 (ko) 2019-06-07

Family

ID=5174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12A KR101986851B1 (ko) 2013-02-19 2013-02-19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20A (ko) * 2016-11-29 2018-06-07 전자부품연구원 자원 획득 방법
US11102213B2 (en) 2014-11-14 2021-08-24 Convida Wireless, Llc Permission based resource and service discov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395A (ko) * 2008-01-18 2011-08-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2m 통신을 인에이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35367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WO2012068465A1 (en) * 2010-11-19 2012-05-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to-machine (m2m) interface procedures for announce and de-announce of resources
KR20120124345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케이티 연결 상태 확인 이벤트에 기반하여 m2m 통신 개체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04497A (ko) * 2010-03-09 2013-01-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머신-투-머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395A (ko) * 2008-01-18 2011-08-24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2m 통신을 인에이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04497A (ko) * 2010-03-09 2013-01-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머신-투-머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035367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procedures: beaconing; broadcast; conflict resolution
WO2012068465A1 (en) * 2010-11-19 2012-05-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chine-to-machine (m2m) interface procedures for announce and de-announce of resources
KR20120124345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케이티 연결 상태 확인 이벤트에 기반하여 m2m 통신 개체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2213B2 (en) 2014-11-14 2021-08-24 Convida Wireless, Llc Permission based resource and service discovery
KR20180060620A (ko) * 2016-11-29 2018-06-07 전자부품연구원 자원 획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851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4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outing
KR101811966B1 (ko) 시멘틱 공표 및 탐색을 위한 메커니즘
CN101969468B (zh) 查询服务器集群系统及查询方法
EP3170091B1 (en) Method and server of remote information query
CN104378452B (zh) 一种用于域名解析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413845B (zh) 基于物联网操作系统的资源存储方法及装置
US20140115169A1 (en) Operating group resources in sub-groups and nested groups
EP30366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virtual device resource accessible by an application
WO2017133496A1 (zh) 一种资源获取的方法及相关设备
CN107181806B (zh) 一种基于dubbo的分布式业务处理系统及方法
CN110049503B (zh) 一种获取数据的方法和设备
WO2014161261A1 (zh) 数据的存储方法及装置
CN107306247B (zh) 资源访问控制方法及装置
KR101986851B1 (ko) M2m 통신에서의 자원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CN104731893A (zh) 一种基于dubbo的web服务查找方法、装置和系统
KR101700198B1 (ko) 장치 관리를 위한 노드의 주소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532852A (zh) 一种路由调度方法、装置及网络设备
WO2017000540A1 (zh) 数据查询方法及装置
CN115396494A (zh) 基于流式计算的实时监控方法及系统
CN107451164B (zh) 一种语义查询的方法及装置
CN111193805B (zh) 一种资源发现的方法及装置
CN104753972A (zh) 网络资源收藏处理的方法和服务器
KR101986850B1 (ko) M2m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28096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 간 연동 방법 및 장치
KR20150043992A (ko) 리소스 접근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